[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6215A -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215A
KR19990086215A KR1019980019082A KR19980019082A KR19990086215A KR 19990086215 A KR19990086215 A KR 19990086215A KR 1019980019082 A KR1019980019082 A KR 1019980019082A KR 19980019082 A KR19980019082 A KR 19980019082A KR 19990086215 A KR19990086215 A KR 19990086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tone
called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숙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1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6215A/ko
Publication of KR1999008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21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물리적인 가입자 선로에 복수개의 논리적인 번호를 부여하고 논리적인 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음을 정의하여 동일한 착신 단말에 다양한 호출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호출음 서비스(Multi Ring Service)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입자의 전화벨소리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정의하는 단계; 발신 가입자가 정의된 식별번호에 따라 다이얼링하여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출을 요구하는 단계;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착신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착신 가능한 상태이면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이면 식별번호에 상응하는 호출신호(Ring)를 착신 가입자측에 인가함과 아울러 해당 호출음(Ring back tone)을 발신가입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물리적인 회선 가입자에게 벨소리가 다른 호출신호를 제공하여 착신자를 구분할 수 있게 하므로써 착신시 해당 착신자가 직접 전화를 받으므로써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METHOD FOR PROVIDING MULTI RING IN A DIGITAL EXCHANGE)
본 발명은 하나의 물리적인 가입자 선로에 복수개의 논리적인 번호를 부여하고 논리적인 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음을 정의하여 동일한 착신 단말에 다양한 호출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호출음 서비스(Multi Ring Ser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에서 호처리중에 최종적으로 착신측을 호출하기 위하여 착신 가입자의 전화기에 호출을 알려주기 위해 호출신호(즉, 링)를 송출함과 아울러 발신자에게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호출음(링백톤)을 제공한다. 그리고 통상의 호출신호(혹은 호출음)은 1초속 2초단으로 구성되어 소정 회수동안 착신측 전화기에 링신호를 공급한다.
그런데 가정에서 하나의 전화기를 가족이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에, 전화벨소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전화벨이 울리면 전화기에 가까이 있는 사람이 전화기의 핸드셋을 들고 발신 가입자와 통화하여 원하는 착신 가입자를 확인한 후 해당 착신가입자와 발신가입자 사이에 통화를 하게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가입회선에 다양한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할당한 후, 호출신호에 따라 원하는 착신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다중 호출음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란 물리적인 한 회선에 복수개의 논리적인 회선번호를 부여하여 각 논리적인 번호로 착신되는 호에 대해 서로 다른 호출신호 및 호출음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의 전화벨소리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정의하는 단계; 발신 가입자가 정의된 식별번호에 따라 다이얼링하여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출을 요구하는 단계;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착신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착신가능한 상태이면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이면 식별번호에 상응하는 호출신호(Ring)를 착신 가입자측에 인가함과 아울러 해당 호출음(Ring back tone)을 발신가입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음의 예,
도 3은 본 발명을 PSTN에 적용한 경우의 예,
도 4는 본 발명을 ISDN에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서 통신의 주체는 발신 가입자, 교환망, 착신 가입자로 구분되어 있고, 호의 설정은 발신 가입자의 요구에 의해 교환망이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사이에 통신경로를 연결하여 주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교환망은 발신 가입자가 연결된 발신측 교환기와 교환기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중계 교환기 및 착신가입자가 연결된 착신측교환기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환망은 하나의 교환기로 표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가입자가 휴지상태의 전화기를 후크-오프하면(단계101,102), 교환기는 이를 검출하여 발신 가능여부를 판단한 후 가입자 신호기를 할당함과 아울러 발신측 전화기에 발신음을 송출한다(단계104). 발신가입자는 발신음을 듣고 원하는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한 다이얼링을 하며(단계103), 교환기는 발신가입자가 송출하는 다이얼 디지트를 수신하여 번호번역을 한다(단계105). 이때 번호번역은 국번호번역과 착신번호번역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호출음을 구분하기 위하여 착신번호에 논리적인 번호를 부가하거나 착신번호 자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번호번역이 완료되면 해당 착신측의 상태를 판단하여 착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데(단계106), 착신측이 통화중이면 발신측에 화중음을 송출하고(단계107) 착신가능하면 이어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단계108).
판단결과 다중 호출음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면 통상의 호출신호를 가입자측으로 송출하여 착신 가입자의 전화기에 벨을 울리고(단계109,112), 다중 호출음 서비스 가입자이면 해당 번호를 분석하여 호출음의 종류를 식별한 후 지정된 종류의 호출신호를 송출한다(단계110,113). 이때, 발신가입자측으로는 착신자측의 호출신호(ring)에 상응하는 호출음(ring back tone)을 각각 송출한다.
예컨대, 착신자번호에 별도의 논리적인 번호를 부가하여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구분할 경우 "xxx-yyyy-1"이면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초속 2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하고, "xxx-yyyy-2"이면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한다. 그리고 "xxx-yyyy-3"이면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한다. 만일, 호출음을 가입자의 번호로 분류할 경우에는 "xxx-yyy1"이면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초속 2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하고, "xxx-yyy2"이면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하며, "xxx-yyy3"이면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의 타이밍 예로서, (가)는 1초속 2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도시한 것이고, (나)는 2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도시한 예이며, (다)는 5초속 1초단의 호출음(혹은 호출신호)을 도시한 예이다. 이와 같이 다중 호출음을 할당함에 있어 각 호출음을 쉽게 식별 가능해야 하고, 호출음이 많아질 경우 그에 따라 논리적인 번호가 증가하므로 적정한 수로 제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가지 종류의 호출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착신가입자가 전화기의 벨이 울리면 후크를 오프하고(단계114) 이에 따라 교환기는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 사이에 통화로를 제공한다(단계115). 통화가 완료되면 발신가입자 혹은 착신가입자가 후크-온하므로써 호 해제 절차가 수행되는데, 교환기는 통화로 설정 후 일측의 후크-온을 검출하면 통화로를 차단한 후 호를 해제한다(단계116,117,118,119).
도 3은 본 발명을 공중전화망(PSTN)에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SC(발신)"은 발신측 아날로그 가입자 호처리블록을 나타내고, "NTR"은 번호번역블록을 나타내며, "ASC(착신)"은 착신측 아날로그 가입자 호처리블록을 나타낸다. 그리고 "ASI"는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블록을 나타낸다.
발신측 ASC 블록은 프리픽스 번역을 요구하는 메시지(PfxTranSubRQ)를 번호번역 블록(NTR)에 전송한다. 번호번역 블록(NTR)은 응답 메시지(IntCallRP)를 발신측 ASC 블록에 전달하고, 이어 발신 ASC블록은 착신자 번호번역 메시지(CdNoTransRQ)를 번호번역 블록(NTR)으로 전달한다. 번호번역 블록(NTR)은 각 다이얼번호(DN)에 해당하는 링 타입정보를 실은 시져요구 메시지(CdSubbsSZRQ)를 착신측 ASC 블록에 전달하고, 착신측 ASC 블록은 발신측으로 응답 메시지(CdSubsSZRP)를 전송함과 아울러 아날로그가입자 정합 블록(ASI)에 링연결 메시지(RingConnRQ_CI)를 전달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발신측 교환기에서 후크-오프를 검출하면 발신가입자의 회선상태, 제한기능, 우선순위 등에 따라 호의 허용여부를 결정한 후, 가입자 회선 신호방식에 따라 적절한 가입자 신호기(예컨대, DTMFR)를 할당한다. 그리고 발신 가입자가 '직통 전화', '착신 금지' 가입자가 아닌 경우, 첫 디지트 감시 타이머를 셋하고, 해당 가입자에게 발신음을 송출하며, 호의 상태를 '발신중'으로 한다. 발신중에 디지트가 해당 시간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다이얼 지연 안내를 송출한다.
발신음 송출중에 발신 가입자 후크-온신호를 수신하면, 할당된 가입자 신호기를 회수하고, 호의 상태를 아이들(idle)로 바꾼다. 그리고 발신음 송출중에 가입자로부터 디지트 0∼9를 수신하면 발신음을 절단하며, 프리픽스(prefix) 분석을 위해 디지트를 저장한다. 국번호 번역에 필요한 디지트를 모두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호의 종류, 최대 및 최소 디지트 수, 디지트 전송 시작점을 판별하고, 수신된 디지트로 국번호 분석이 종료되지 않으면 추가 디지트를 수신한 후 국번호 분석을 계속한다. 국번호 분석결과 할당되지 않은 국번이면, 국번호 결번 안내를 연결한다.
호의 상태가 국번호 수신중 상태에서 발신가입자 후크-온신호를 받으면 할당된 가입자 신호기를 회수하고, 호의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바꾼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은 가입자신호를 수신하거나 '국번호 수신중' 혹은 '착신번 수신중' 상태에서 "#"과 같은 신호를 수신하면 화중음을 연결하고, 호의 상태를 '화중음 송출중'으로 바꾸고 할당된 가입자 신호기를 회수한다. '국번호 수신중', '착신번 수신중' 상태에서 '인터디지트 타임 아웃'신호를 수신하면 다이얼 지연 안내를 연결한다.
착신 가입자의 등급을 분석하여 가입자 회선 타입, 과금정보, 착발신 분리정보, 각종 특수서비스 등록정보를 얻으며, 이때 다중 호출음 서비스등록 가입자이면 다이얼번호(DN)에 해당하는 호출음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발신 가입자의 등급 및 착신 가입자의 등급을 분석하여 호의 허용여부, 해제조건 등을 최종 결정한다.
이어 착신가입자의 등급을 분석한 결과, 가입자 번호변경, 착신통화 전환, 착신금지, 통화정지, 부재중 안내 등의 특수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회선상태가 정상이며 휴지중인 가입자이면 발신가입자에게 다이얼번호(DN)값에 해당하는 호출음(Ring back tone)을 송출하고, 착신가입자에게 호출신호(Ring)를 송출하며 호의 상태를 '착신중'으로 바꾼다.
만일, 착신가입자의 상태가 '고장 수리중'인 경우, 고장수리중 안내를 송출한다. 그리고 '착신 가입자 호출'중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 복구신호'를 수신하면 호출음 및 호출신호 송출을 중단하고, 호의 상태를 아이들로 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 호출중' 상태에서 '착신 가입자 응답(hook-off)'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에게 송출중인 호출신호와 발신가입자에게 송출되고 있는 호출음을 절단하고 통화로를 연결하며 호의 상태를 '통화중'으로 만든다. 발신 및 착신가입자의 과금등급, 과금을 위한 착신지 및 발신지등을 분석하여 과금 party, 과금point, 과금기록여부, 과금기록방식, 과금요율, PPM송출여부, 요금할인기능 적용여부, 즉시 과금여부를 결정하며 필요에 따라 호 시작시간을 기록한다.
통화중 상태에서 발신가입자로부터 발신가입자절단 신호를 받으면 통화로를 해제하고 필요에 따라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과금을 중지하며 착신가입자에게 화중음을 송출하고 호의 상태를 '화중음 송출중'으로 만들고, 화중음 송출 타이머를 설정한다. 화중음 송출중 상태에서 화중음 송출 타이머신호를 수신하면 '라인 록 아웃' 상태로 만든다. 라인 록아웃 상태에서 착신가입자 절단신호를 수신하면 호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한다.
통화중 상태에서 착신 가입자 절단신호를 받으면 호의 상태를 '착신절단 대기' 상태로 바꾼다. 착신절단 대기상태에서 착신가입자 절단신호를 받으면 통화로를 해제하고 과금을 중지하며, 필요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착신절단 대기상태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착신가입자의 재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통화가 시작된다. 착신절단 대기상태에서 릴리즈 타이머 타임아웃신호를 받으면 착신가입자에게 화중음을 송출하고, 호의 상태를 '화중음 송출중'으로 하며 화중음 송출 타이머를 설정한다. 화중음 송출상태에서 화중음 송출 타이머신호를 수신하면, '라인 록아웃' 상태를 만든다. 라인 록아웃 상태에서 착신가입자 절단신호를 수신하면 호의 상태가 아이들(idle)상태로 된다.
통화중상태에서 발신가입자 복구 신호로 호가 종료하는데, 착신절단 대기상태에서 착신가입자 복구신호를 받으면 호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된다. 한편, 사용가능한 가입자 신호기가 없어 할당받지 못하면 해당 발신 가입자에게 폭주음을 송출하고, 호의 상태를 '폭주음 송출중'으로 하며, 폭주음 송출 타이머를 셋한다. 발신가입자의 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화중음을 연결하고, 호의 상태를 '화중음 송출중'으로 바꾸며, 화중음 송출 타이머를 셋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ISDN에 적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CC(발신)" 블록은 발신측 디지털 가입자호처리블록을 나타내고, "NTR"은 번호번역 블록을 나타내며, "DCC(착신)"은 착신측 디지털 가입자호처리블록을 나타낸다. 그리고 "DSI"는 디지털가입자 정합블록을 나타낸다.
발신측 DCC 블록이 엔블록 번역요구 메시지(EnblockTranRQ)를 NTR 블록으로 전송하면, NTR 블록은 이를 분석한 후 응답 메시지(SlbslntCallRP)를 발신측 DCC 블록에 전송한다. NTR 블록은 착신측 DCC 블록에 디지털 가입자 시져요구 메시지(DigCdSubsSZRQ)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착신측 DCC블록은 시져응답 메시지(DigCdSubsSZRP)를 발신측으로 전송한 후 착신측 디지털 가입자 정합블록(DSI)에 링연결요구 메시지(RingConnRQ_CI)를 전송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환기가 발신 디지털 가입자로부터 호설정 요구인 "셋업(SETU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발신호 요구로 인식한다. 셋업 메시지는 더미 호 참조번호(dummy call reference)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전달 정보능력(bearer capability)" 정보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교환기는 이 메시지를 받아들여 필수적인 정보요소의 포함여부 및 적절한 메시지 형태인지를 분석한다. 이때 정보분석결과 다중 호출음 서비스 가입자이면 다이얼링번호(DN)에 해당하는 링타입정보를 함께 송출하므로써 가입자에게 다이얼링번호(DN)별 적절한 링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입자의 회선상태 즉, 유효한 B 채널이 있는지 여부, 호제한 상태 여부등을 진단하여 발신호 요구에 대한 호설정 혹은 호해제중 하나를 결정하여 이를 발신가입자에게 통보한다. 그러므로 교환기는 사용중인 회선 및 해당 회선의 채널 사용 여부의 관리자가 되어야 한다.
엔블럭 전송모드의 경우, 셋업 메시지 내부에 착신호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와 송신완료 정보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셋업 메시지 내의 채널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채널선택절차에 따라 사용가능한 B채널을 선택한 후 호설정을 진행하며, 사용 가능한 B 채널이 없으면 호 해제를 개시한다. 만약 가입자로부터 특정채널의 사용요구가 있을 경우, 이 채널의 사용가능 여부를 조사하여 유효한 경우에만 호설정을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이를 가입자로 통지하고 호 해제를 개시한다.
오버랩 전송모드의 경우, 셋업 메시지가 호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추가정보가 필요한 상태로서 망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하여 호설정 확인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측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가입자 단말측으로부터 필요정보를 "INFORM" 메시지로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호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의 수신완료 이전까지는 수신되는 INFORM 메시지의 감시를 위해 감시 타이머를 운용하며, 이러한 타이머의 종료시까지도 INFORM을 수신하지 못하면 "소정의 해제 원인 값"의 타이머 종료에 의한 복구절차를 개시하고, 음성호인 경우 다이얼 지연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접속된다.
착신가입자의 단말이 오버랩 전송모드인 경우 교환기가 셋업 메시지를 송신한 후 착신단말로부터 호설정 확인(SETUP ACK)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발신단말은 착신단말의 전송모드에 맞도록 원하는 정보를 "INFORM" 메시지로 추가 송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발신가입자의 단말이 오버랩 전송모드인 경우, 교환기는 원하는 정보가 모두 수신될 때까지 INFORM메시지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는데, 착신측 번호 정보요소가 키패드 정보요소에 비해 처리에 있어 우선권을 갖는다. 착신가입자로부터 착신에 필요한 모든 준비가 완료된 후, 요구된 호 설정이 시작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호 진행(CALL PROCEEDING) 메시지가 전송되며, 더 이상의 호설정 정보는 접수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발신단말로부터 호출(ALERTING) 메시지(이 메시지 내에는 DN값에 해당하는 링타입 정보를 포함한다)를 수신하면 착신단말로 D채널을 통해 호출 메시지를 송신하고, B 채널을 통해 발신단말측으로 링백톤을 제공한다. 이어 착신측 가입자가 호를 접수한 것을 통지하기 위하여 착신가입자로부터 "CONNECT" 메시지가 수신된다. CONNECT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화로를 연결하고, 착신가입자에게 "CONNECT ACK" 메시지를 전송하며 발신단말로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통화중상태에서 발/착신 가입자로부터 "DISCONNECT"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입자로 "RELEASE"메시지를 반송하고, "RELEASE COMPLETE"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 그리고 "RELEASE"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메시지를 송신하고 있는 장치가 정보채널을 절단하고, 호참조 번호를 해제하며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반송하고 휴지상태로 천이한다.
해제완료(RELEASE COMPLETE) 메시지는 사용자측이 이미 B 채널 및 호참조번호를 해제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수신되는데, 이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호를 위해 사용되었던 모든 자원을 초기화시켜 B채널을 다시 이용가능하게 하고, 이 메시지를 수신한 측은 호 참조번호를 해제한다.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정상적이지 않거나 유효 B채널이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시스템 과부하 등인 경우에 해당 가입자에게 원인 혹은 표시 정보요소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를 통지한다. 가입자 혹은 교환기가 동시에 호를 해제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진 "DISCONNECT"메시지를 수신시, 타이머를 취소하고 채널을 절단하며, "RELEASE" 메시지를 가입자측으로 전송하여 호 해제 충돌을 방지한다. 또한 동시에 동일한 호 참조번호를 가진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하므로써 해제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때는 "RELEASE" 메세지를 수신한 측에서 타이머를 취소시키고, "RELEASE COMPLETE" 메시지의 송수신없이 사용했던 채널 및 호참조번호를 해제시키며 휴지상태로 천이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물리적인 회선 가입자에게 벨소리가 다른 호출신호를 제공하여 착신자를 구분할 수 있게 하므로써 착신시 해당 착신자가 직접 전화를 받으므로써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입자의 전화벨소리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정의하는 단계;
    발신 가입자가 정의된 식별번호에 따라 다이얼링하여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출을 요구하는 단계;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착신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착신 가능한 상태이면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 호출음서비스 가입자이면 식별번호에 상응하는 호출신호(Ring)를 착신 가입자측에 인가함과 아울러 해당 호출음(Ring back tone)을 발신가입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KR1019980019082A 1998-05-26 1998-05-26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KR19990086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082A KR19990086215A (ko) 1998-05-26 1998-05-26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082A KR19990086215A (ko) 1998-05-26 1998-05-26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215A true KR19990086215A (ko) 1999-12-15

Family

ID=6589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082A KR19990086215A (ko) 1998-05-26 1998-05-26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621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00A (ko) * 2000-03-08 2001-09-21 서평원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21837B1 (ko) * 2004-10-08 2007-05-2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Ip 통신 방법, ip 단말 장치, enum 서버 및 ip통신 시스템
KR100792634B1 (ko) * 2006-11-01 2008-01-09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자별 디프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제공 방법
US7440444B2 (en) 2004-07-28 2008-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US7675907B2 (en) 2004-08-04 2010-03-09 Panasonic Corporatio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US8045541B2 (en) 2004-08-04 2011-10-25 Panasonic Corporatio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KR101130810B1 (ko) * 2011-10-14 2012-03-28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00A (ko) * 2000-03-08 2001-09-21 서평원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US7440444B2 (en) 2004-07-28 2008-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US7675907B2 (en) 2004-08-04 2010-03-09 Panasonic Corporatio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US8045541B2 (en) 2004-08-04 2011-10-25 Panasonic Corporatio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KR100721837B1 (ko) * 2004-10-08 2007-05-2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Ip 통신 방법, ip 단말 장치, enum 서버 및 ip통신 시스템
KR100792634B1 (ko) * 2006-11-01 2008-01-09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자별 디프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제공 방법
KR101130810B1 (ko) * 2011-10-14 2012-03-28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4746A (en) Holding party call back subscriber feature
US5608782A (en) Telephone call connection method with automated paging and call bridging
US5309512A (en) Call waiting deluxe feature
KR100528057B1 (ko) 입중계호에 응답하기 위한 방법 및 가입자 전화 시스템의 기지 장치
JPH07203023A (ja) 狭帯域通信網用直接信号システム
KR100442662B1 (ko)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호 예약 서비스방법
US5539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ctive subscriber of disconnection of held subscriber in call-waiting service
US5844974A (en) Emergency 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EP0426451A2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H06253010A (ja) 通話中着信表示方式
JP3333460B2 (ja) 自動交換機
KR100208179B1 (ko) 국선 교환기의 통화중 메시지 전달방법
KR100285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US20020118810A1 (en) System and method to effect telephone call barge-in without operator intervention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CA2255848C (en) Holding party call back subscriber feature
JP3234698B2 (ja) Isdn交換機および端末
KR20010040284A (ko) 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과 메시지 녹음을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19980061505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와 상대방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19980061510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전송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19990018360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