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5328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328B1
KR100285328B1 KR1019960023356A KR19960023356A KR100285328B1 KR 100285328 B1 KR100285328 B1 KR 100285328B1 KR 1019960023356 A KR1019960023356 A KR 1019960023356A KR 19960023356 A KR19960023356 A KR 19960023356A KR 100285328 B1 KR100285328 B1 KR 10028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mobile
call transfer
control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069A (ko
Inventor
김대식
허용필
박유란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600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328B1/ko
Publication of KR98000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3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가 특정 키의 입력을 통해 새로운 착신 가입자로 호를 전환하여 발신 가입자와 새로운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가 새로운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 이동 가입자 제어 서브 시스템내의 이동호 전환부가 발신 가입자와 통화 중인 착신 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절단하고, 새로운 착신 가입자와 통화로를 구성함으로써 빌신 가입자와 새로운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PSTN 망의 호 전환 기능을 디지털 이동통신 망에서도 구현하여 다른 이동 가입자 및 고정 가입자에게 호를 전환하여 줌으로써 전화 통화가 유용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동호 전환 기능을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가입자 제어 서브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호 전환부 11 : 고정 가입자 제어부
12 : 이동 가입자 제어부 13 : R2 중계호 제어부
14 : NO. 7 중계호 제어부 15 : 메시지 변환 처리부
16 : 부가 서비스 제어부 17 : 라이브러리 구성부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가 특정 키의 입력을 통해 새로운 착신 가입자로 호를 전환하여 발신 가입자와 새로운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 전환이란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사이의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가 플래시(Flash), 특수 문자 및 숫자 등의 특정 기능 키를 입력하여 제3의 화신 가입자를 호출한 다음 발신 가입자와 새로 호출된 제3의 착신 가입자간에 통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공공기관 및 기업체 등의 사무실 등에서 많이 이용되는 기능으로서, 전화를 건 발신 측의 가입자가 찾는 사람이 다른 곳에 있을 경우에 그사람이 있는 쪽의 전화로 호를 전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호 전환 기능은 고정 가입자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PSTN망에만 구비되어 있었을 뿐, 종래의 이동 가입자 간의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이동통신 망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호 전환 기능을 이동통신 망에서도 구현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 가입자 제어 서브 시스템 내의 이동호 전환부가 이동 가입자 제어부 및 부가 서비스 제어부 등과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기존의 착신 가입자에 의해 새롭게 호출된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 전환 방법은,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 중에 착신 가입자가 새로운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 이동 가입자 제어 서브 시스템내의 이동호 전환부가 발신 가입자와 통화 중인 착신 가입자 사이의 통화로를 절단하고, 새로운 착신 가입자와 통화로를 구성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새로운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호 전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동호 전환 기능을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가입자 제어 서브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망의 이동전화 호를 전환 하기 위해 각각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이동호 전환부(10)와, 고정 가입자의 발신 및 착신 호를 제어하고, 발신이나 호 전환 착신이 고정 가입자인 경우 상기 이동호 전환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고정 가입자 제어부(11)와, 이동 가입자의 발신 및 착신 호를 제어하고, 발신이나 호 전환 착신이 이동 가입자인 경우 상기 이동호 전환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이동 가입자 제어부(12)와, 발신과 착신이 서로 다른 교환기에 연결된 가입자의 호가 R2 중계호일 경우 이를 제어하고, 발신으로부터의 호 또는 전환 착신으로부터의 호가 R2 중계호인 경우 상기 이동호 전환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R2 중계호 제어부(13)와, 발신과 착신이 서로 다른 교환기에 연결된 가입자의 호가 NO.7 중계호 일 경우 이를 제어하고, 발신으로부터의 호 또는 전환 착신으로부터의 호가 NO.7 중계호인 경우 상기 이동호 전환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NO.7 중계호 제어부(14)와, 교환기와 제어국 사이의 메시지를 변환처리하고, 제어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제어국으로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상기 이동호 전환부(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메시지 변환 처리부(15)와, 교환기 부가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호 전환 서비스의 시도시 이를 다른 부가 서비스들과 구분하여 상기 이동호 전환부(10)가 동작하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 제어부(16)와, 교환기의 매인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로 구성된 라이브러리 구성부(1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 가입자 제어 서브 시스템은 교환기의 메인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다른 호처리 소프트웨어 블록들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의 이동 가입자 제어 서브 시스템의 기능 처리 블록들에 의한 이동통신 망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 중인 상태에서 착신 가입자가 새로운 가입자로 호를 전환시켜 주기 위해 특정한 기능 키(예를 들면, *30+새로운 착신번호+Flash)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발신 가입자는 고정 가입자나 또는 이동 가입자일 수 있으나, 상기 착신 가입자는 이동 가입자로서 이동 호의 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능 키를 입력하는 동시에 발신 가입자에게 호 전환 서비스를 통보하게 되고, 이어서 발신과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로를 절단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보류음을 송출한다.
여기서, 보류음은 가입자에게 송출되는 톤의 한 종류로 두 가입자가 서로 통화중에 특수 서비스를 가진 가입자의 후크-플래시(Hook-Flash)상태로 상대 가입자가 호 대기 상태가 될 때 이 대기중인 가입자에게 송출되는 음이다.
이어서, 이동호 전환부에 의해 새로운 착친 가입자와 호 전환을 시도한 기존의 극신 가입자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새로운 호 전환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음을 송출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호 전환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호 전환을 시도한 기존의 착신 가입자와 새로운 호 전환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착신 가입자 끼리의 통화 후, 상기 호 전환을 시도한 기존의 착신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게 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보류음 절단 요구와 함께 호 전환 착신의 정보를 전달하고 착신 가입자 끼리의 통화로를 절단한다.
상기 보류음 절단 요구를 받은 발신 가입자는 보류음을 절단하고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전화 착신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 가입자와 호 전환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발신 가입자 또는 호 전환 착신 가입자 중 어느 한 쪽의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게 되면 이동호 전환부는 과금 정보를 송신한 후 호 전환 기능 수행을 해제한다.
상기 경우는 정상적인 호 전환 처리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이외에 호 전환에 있어 발생되는 부가적인 호 전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첫째 호 전환 기능 보유자가 호 전환 착신이 응답하기 전에 절단하는 경우에는 호 전환 착신이 응답하였을 때 발신 가입자와 호 전환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로가 바로 연결된다.
그리고, 호 전환 기능 보유자가 호 전환 시도중 발신 가입자가 절단한 경우에는 호 전환 착신 응답시 기능 보유자와 호 전환 착신 간에 통화를 하고 어느한 쪽이 절단하면 호가 종료된다.
또한, 발신과 호 전환 착신 간 통화중에 호 전환 착신에게도 호 전환 기능이 있으면 제4의 가입자에게 호를 전환할 수 있으며, 호 전환 기능 보유자와 호 전환 착신간 통화 중에 호 전환 착신이 절단되면 발신과 호 전환 기능 보유자간 통화로가 다시 연결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PSTN망의 호 전환 기능을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도 구현하여 다른 이동 가입자 및 고정 가입자에게 호를 전환하여 줌으로써 전화 통화가 유용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발신, 착신 가입자 간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착신 가입자가 새로운 가입자로 호를 전환시켜 주기 위한 기능 키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기능 키를 입력하는 동시에 발신 가입자에게 호 전환 서비스를 통보하여 발신과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로를 절단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보류음을 송출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수행 후, 이동호 전환부에 의해 새로운 착신 가입자와 호 전환을 시도한 기존의 착신 가입자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하고 새로운 호 전환 착신 가입자애게 호출음을 송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호출음에 대해 호 전환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는 경우 호 전환을 시도한 착신 가입자와 호 전환 착신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착신 가입자 끼리의 통화 후, 상기 호 전환을 시도한 착신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는 경우 발신 가입자에게 보류음 절단 요구와 함께 호 전환 착신의 정보를 전달하고 착신 가입자끼리의 통차로를 절단하는 제5단계와, 제5단계에서 송신한 보류음 절단 요구에 따라 발신 가입자가 보류음을 절단하고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전화 착신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구성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호 전환 착신 가입자 간의 통화를 수행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19960023356A 1996-06-24 1996-06-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356A KR100285328B1 (ko) 1996-06-24 1996-06-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356A KR100285328B1 (ko) 1996-06-24 1996-06-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69A KR980007069A (ko) 1998-03-30
KR100285328B1 true KR100285328B1 (ko) 2001-04-02

Family

ID=375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3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5328B1 (ko) 1996-06-24 1996-06-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53A (ko) * 2000-03-02 2001-09-15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발신호 전환방법
KR100863883B1 (ko) 2006-05-19 2008-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1081B1 (ko) * 2006-10-17 2013-05-06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 전화망에서 호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53A (ko) * 2000-03-02 2001-09-15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발신호 전환방법
KR100863883B1 (ko) 2006-05-19 2008-10-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1081B1 (ko) * 2006-10-17 2013-05-06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 전화망에서 호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6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741A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lata caller identification
US5309512A (en) Call waiting deluxe feature
KR100227159B1 (ko) 전기통신시스템에서 호출을 자동으로 라우팅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5862208A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party to change terminals during a call
US6141556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multi-extension services
US5627875A (en) Method in a telephone system for reaching a subscriber under busy/no answer conditions and ring/no answer conditions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US6405041B1 (en) Concurrent ringing on multiple network telephones
US6516060B1 (en) Advanced call sequencing service
JPH07154482A (ja) 電話呼処理方法
US8526590B2 (en) Distinctive call waiting based on a redirecting number
KR100520370B1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285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CA2190630C (en) Call setup and service invocation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H05145964A (ja)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の連続発呼方式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97000067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넘버7(No.7) 신호방식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와 애널로그 가입자와의 정합방법
JPS63302655A (ja) 複数通信事業者間での可聴音による応答信号送出法
KR19990016137A (ko)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KR19990058069A (ko) 교환기에서 아날로그 가입자를 위한 발신번 전송방법
KR20000046380A (ko) 변경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안내방송하는방법
JP200025345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秘書電話方法および秘書電話装置
KR19990053802A (ko) 착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씨티-2 착신정합 교환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EP1090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re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