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5991A - 불고기판 - Google Patents

불고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991A
KR19990085991A KR1019980018725A KR19980018725A KR19990085991A KR 19990085991 A KR19990085991 A KR 19990085991A KR 1019980018725 A KR1019980018725 A KR 1019980018725A KR 19980018725 A KR19980018725 A KR 19980018725A KR 19990085991 A KR19990085991 A KR 1999008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bulgogi
ocher
low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철
Original Assignee
윤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철 filed Critical 윤수철
Priority to KR101998001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991A/ko
Publication of KR1999008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91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 및 견고성을 갖는 금속의 장점과 열을 받으면 그 열을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황토 또는 석재의 특성을 접목시킴으로써 고기를 요리할 때 고기의 맛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기가 불고기판의 표면에 늘어붙는 현상을 제거하는 불고기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불고기판은 중앙부가 상부로 둥글게 곡면을 이루고 둘레에는 오목한 국물받이(12)가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포개어지는 하판(30)을 구비하여, 상기 하판(30)의 상부에 황토(17)를 깔고 그 상부에 상기 상판(10)을 눌러씌운 후 외주연단을 기밀하게 연결시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판(10)과 하판(30) 사이에 황토(17)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열을 가하더라도 은근하게 가열됨으로 사용할 때 요리되는 고기가 타거나 늘어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황토(17)에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이 발산되게 됨으로 고기의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아울러 상하판(30)이 스테인레스이기 때문에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또 내부식성이 양호하고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깨지지 않아 수명이 길며, 성형성이 좋아 제작이 쉽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에 따라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불고기판
본 발명은 불고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하판 사이에 황토를 충진시켜 성형성 및 견고성을 갖는 금속의 장점과 열을 받으면 그 열을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황토 또는 석재의 특성을 접목시킴으로써 고기를 요리할 때 고기의 맛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기가 불고기판의 표면에 늘어붙는 현상을 제거하는 불고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불고기판은 대부분 금속이나 석재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금속으로된 불고기판은 동이나 주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인데, 동이나 주물에는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고기와 함께 중금속을 섭취하게 되어 인체에 큰 해를 입게 되는 폐단이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요즘은 이러한 동이나 주물로된 불고기판의 생산 및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동이나 주물외의 금속으로된 불고기판도 있으나,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의 특성에 의해 불고기판이 빨리 달아올라 고기가 쉽게 타거나 늘어붙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석재로된 불고기판은 이와 같이 중금속의 오염이나 고기가 늘어붙거나 타는 현상은 덜하지만 무겁고 충격에 약하여 잘 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공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고 또 두께가 두꺼워 중량이 많이 나가 취급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하판 사이에 황토를 충진시켜 성형성 및 견고성을 갖는 금속의 장점과 열을 받으면 그 열을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황토 또는 석재의 특성을 접목시킴으로써 고기를 요리할 때 고기의 맛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기가 불고기판의 표면에 늘어붙는 현상이 없고, 제작이 쉬워 생산성 향상됨으로 그에 따른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고, 아울러 무게가 가벼워 취급하기가 쉬운 불고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불고기판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요부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판 12 - 국물받이 14 - 화기구멍
16 - 요홈 20 - 황토층 30 - 하판
32 - 보강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고기판은, 중앙부는 상부로 둥글게 곡면을 이루고 둘레에는 오목한 국물받이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포개어지는 하판을 구비하여, 상기 하판의 상부에 황토층을 깔고 그 상부에 상기 상판을 눌러씌운 후 외주연단을 기밀하게 연결시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고기판의 분리 단면도이다.
불고기판의 형상은 대체로 중앙부는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그 중심부에 화기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오목한 국물받이(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향을 갖는 본 발명의 불고기판은 상판(10)과, 하판(30) 및 그 사이에 충진된 황토(17)층으로 3중 구조로로 구성된다.
상판(10)과 하판(30)은 녹이슬지 않고 인체에 전혀 무해한 얇은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인체에 결코 해롭지 않은 금속이나 또는 석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판(10)과 하판(30)의 성형은 스테인레스의 판을 절곡시켜 성형하는 공법으로 제조하며, 가공시 절곡부는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드 처리한다.
상판(10)은 중심부 즉 화기구멍(14)에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홈(16)은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나 양념국물을 국물받이(12)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홈(16)을 상판(10)의 저면에서 보면 도 3과 같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해 변형되는 스테인레스판을 보강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하판(30)은 화기구멍(14)에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보강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리브(32)는 하판(30)의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 4와 같이 단순히 일정한 두께로 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보강리브(32)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황토층(17)은 아주 미세한 분말이 압착되어 충진된 것이다. 황토층(17)에 알루미늄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황토층 또는 알루미늄외에 석재분말 특히 게르마늄분말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불고기판을 제작할 때에는 하판(30)의 상부에 황토를 깔아 황토층(17)을 이루고 그 상부에 상판(10)을 안착시킨 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판(10)과 하판(30)의 외주연둘레를 눌러붙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판의 외주연부를 둥글게 말아 하판의 외주연부와 눌러붙여 연결하는데, 용접으로 견고하게 용착시킬 수도 있다. 또 중앙부에 형성된 화기구멍(14)을 용접으로 상판(10)과 하판(30)을 용접하여 밀봉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고기판은 상판과 하판 사이에 황토층이 있으므로 열을 가하더라도 은근하게 가열됨으로 사용할 때 요리되는 고기가 타거나 늘어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황토층에 열이 가해지면 원적외선이 발산되게 됨으로 고기의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아울러 상,하판이 스테인레스재로 되어 있기기 때문에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또 내부식성이 양호하고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깨지지 않는 견고성이 뛰어나 수명이 길다.
또한 성형성이 좋아 제작이 쉽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두께가 얇고 가벼워 취급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중앙부는 상부로 둥글게 곡면을 이루고 둘레에는 오목한 국물받이(12)가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포개어지는 하판(30)을 구비하여, 상기 하판(30)의 상부에 황토층(17)을 깔고 그 상부에 상기 상판(10)을 눌러씌운 후 외주연단을 말아 눌러붙여 연결시키고, 중심부는 화기구멍(14)을 형성하여 상하판(10)(30)을 용접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하판(30)은 스테인레스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하판(30)사이에 석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과 하판(30)사이에 충진된 황토층(17)에 알루미늄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30)의 저면에 중앙부에서 방사형태로 다수개의 보강리브(32)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0)에는 방사형상으로 다수의 요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고기판.
KR1019980018725A 1998-05-23 1998-05-23 불고기판 Abandoned KR19990085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725A KR19990085991A (ko) 1998-05-23 1998-05-23 불고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725A KR19990085991A (ko) 1998-05-23 1998-05-23 불고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91A true KR19990085991A (ko) 1999-12-15

Family

ID=6589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25A Abandoned KR19990085991A (ko) 1998-05-23 1998-05-23 불고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9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635A (ko) * 2000-10-19 2002-04-25 박경주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조리판 내에 내장한 조리용기
KR20040029900A (ko) * 2002-10-02 2004-04-08 한규진 황토구이 주방기구
KR100970454B1 (ko) * 2008-07-25 2010-07-16 제해성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6114459A1 (ko) * 2015-01-15 2016-07-21 화영실업(주) 폴리에스테르 축광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축광 필름, 축광 원사, 축광 분말, 축광 핫멜트 필름 및 산업 부자재
KR20190000671A (ko) * 2017-06-23 2019-01-03 홍길몽 휴대용 구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635A (ko) * 2000-10-19 2002-04-25 박경주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조리판 내에 내장한 조리용기
KR20040029900A (ko) * 2002-10-02 2004-04-08 한규진 황토구이 주방기구
KR100970454B1 (ko) * 2008-07-25 2010-07-16 제해성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6114459A1 (ko) * 2015-01-15 2016-07-21 화영실업(주) 폴리에스테르 축광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축광 필름, 축광 원사, 축광 분말, 축광 핫멜트 필름 및 산업 부자재
KR20190000671A (ko) * 2017-06-23 2019-01-03 홍길몽 휴대용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590A (en) Flexible heat transfer pad
EP0648459B1 (fr) Récipient de cuisson à déformation de fond maitrisée
US10040118B2 (en) Graphite encapsulated cookware
KR101709584B1 (ko) 조리용기 및 구이판 제조방법
US7320277B2 (en) Cooking utensil
KR19990085991A (ko) 불고기판
KR100970454B1 (ko)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20742Y1 (ko) 조리용기
EP0970647A1 (fr) Récipient de cuisson dont le fond est renforcé par une plaque et des gorges radiales
JP2006204907A (ja) 型成形された塩を用いた調理用具
KR20010044740A (ko) 충전물 내장 고기구이 불판
EP0846435A1 (en) A cooking pot for food
CN218105545U (zh) 烹饪锅
KR200397540Y1 (ko) 조리된 음식을 담는 보온 석재 접시
KR200248113Y1 (ko) 조리용기
EP4072386B1 (fr) Dispositif de cuisson comportant un fond diffuseur multicouches
JPS6237532Y2 (ko)
US6273290B1 (en) Handle for a lid for an article of cookware
KR200199934Y1 (ko) 남비
KR200338548Y1 (ko) 도자기형 조리기구의 파손방지장치
KR200398857Y1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
KR200305099Y1 (ko) 고기 구이판
KR19990074241A (ko) 솥뚜껑구이판 겸 전골남비
JPH0712031U (ja) 加熱用調理器
KR100774361B1 (ko) 조리용 옥돌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0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11029

Appeal identifier: 2000101003067

Request date: 200012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230

Effective date: 200110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110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01230

Decision date: 20011029

Appeal identifier: 200010100306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0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