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5493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493A
KR19990085493A KR1019980017939A KR19980017939A KR19990085493A KR 19990085493 A KR19990085493 A KR 19990085493A KR 1019980017939 A KR1019980017939 A KR 1019980017939A KR 19980017939 A KR19980017939 A KR 19980017939A KR 19990085493 A KR19990085493 A KR 1999008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d
control station
bsm
base station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섭
김원무
서정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1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493A/ko
Publication of KR1999008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93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S, PCS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FA)을 결정하는 운용 데이터(PLD)를 동시에 변경하여 호 자원에 관련된 하드웨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줌으로써 운용중인 호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서도 가입자 수의 증/감에 따른 FA를 증설 또는 감설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A의 증/감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의 증/감에 따라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제어국에서 BSM으로부터의 FA 증/감설을 위한 PLD 변경 요구 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한 후 기지국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PLD를 모두 변경하여 그 결과를 BSM으로 전달하고, 이어 BSM에서 제어국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PLD를 변경하여 그 결과를 제어국으로 전달하며, 이후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 하드웨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 요구 명령을 전달하여, 기지국에서 제어국과 BSM 모두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변경된 PLD대로 하드웨어를 활성화시켜 FA를 증설하거나 하드웨어를 비활성화시켜 FA를 감설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종래처럼 PLD를 새로 만들어 로딩받을 필요가 없이 BSM에서 한 번의 명령어로 FA 증/감설을 수행함으로써 가입자들의 호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 DCS),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PCS)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Frequency Area ; 이하, 'FA'라 칭함)을 결정하는 운용 데이터(Program Load Data ; 이하, 'PLD'라 칭함)를 동시에 변경하여 호 자원에 관련된 하드웨어(Hardware)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줌으로써 운용중인 호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서도 가입자 수의 증/감에 따른 FA를 증설 또는 감설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A의 증/감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 기지국(2), 제어국(3), BSM(Base Station Manager)(4) 및 교환국(5)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FA는 가입자 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기지국(2)에서 한 FA의 가입자 수는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입자의 수에 따라 운용자는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여 운용할 FA를 결정한다.
특히, 기지국(2)에서 운용할 FA를 결정하는 기준은 PLD로서, 이 PLD를 근거로 해당 FA에 속한 하드웨어 자원들을 활성화하여 호를 설정하고 운용한다.
종래에는 기지국(2)을 처음 설치할 때 PLD를 미리 제작하여 BSM(4)에 저장시켜 놓으므로, 기지국(2)을 운용할 경우 BSM(4)에 저장된 PLD를 제어국(3)에서 다운 로딩받고, 이어 기지국(2)에서 차례로 로딩받아 해당하는 FA에 관련된 하드웨어를 활성화하여 호 서비스를 실시한다.
즉, 기지국(2)과 제어국(3)을 제어하는 워크 스테이션인 BSM(4)에서 기지국(2)과 제어국(3)의 각종 실행파일을 포함하여 PLD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국(3)에서 로딩 요구시 이를 다운 로딩하여 주고, 이어 제어국(3)에서 다운 로딩받은 파일과 PLD를 저장하고 있다가 기지국(2)에서 로딩 요구시 이를 다운 로딩하여 준다.
그러면, 기지국(2)은 상기 PLD의 내용을 읽어 해당하는 FA에 관련된 하드웨어를 활성화하여 호 서비스를 실시한다.
한편, 가입자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FA를 증설 또는 감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PLD를 새로 제작하여 BSM(4)에 저장시켜 제어국(3)과 기지국(2)에서 다시 다운 로딩받아 호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FA의 증/감설에 따라 새로운 PLD를 제작 및 저장하고, 각각의 제어국(3)과 기지국(2)의 다운 로딩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에 기지국(2)에서는 이동국(1)으로의 호 서비스를 중단할 수 밖에 없게 되어 가입자에게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내 BSM에서의 FA 증/감설을 위한 한 번의 PLD 변경 요구 명령에 따라 제어국과 기지국에서 PLD를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PLD를 제작하지 않으면서 호 서비스의 중단없이 가입자 수의 증/감에 따른 FA를 증설 또는 감설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A의 증/감설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국 2 : 기지국
3 : 제어국 4 : BSM
5 : 교환국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A의 증/감설 방법은, 가입자의 증/감에 따라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제어국에서 BSM으로부터의 FA 증/감설을 위한 PLD 변경 요구 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한 후 기지국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PLD를 모두 변경하여 그 결과를 BSM으로 전달하고, 이어 BSM에서 제어국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PLD를 변경하여 그 결과를 제어국으로 전달하며, 이후 제어국에서 기지국으로 하드웨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 요구 명령을 전달하여, 기지국에서 제어국과 BSM 모두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변경된 PLD대로 하드웨어를 활성화시켜 FA를 증설하거나 하드웨어를 비활성화시켜 FA를 감설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A의 증/감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의 증/감에 따라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BSM(4)에서 먼저 제어국(3)으로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기 위한 PLD 변경을 요구하고(S1), 이 PLD 변경 요구를 받은 제어국(3)은 다시 기지국(2)으로 동일한 PLD 변경 요구를 한다(S2).
상기 PLD 변경 요구를 받은 기지국(2)은 이에 해당하는 PLD를 모두 변경하고, 이 PLD 변경 결과를 제어국(3)으로 응답한다(S3).
이 PLD 변경 결과를 응답받은 제어국(3)은 상기 기지국(2)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해당하는 PLD를 모두 변경하고, 제어국(3) 역시 PLD 변경 결과를 BSM(4)으로 응답한다(S4).
이후, 상기 PLD 변경 결과를 응답받은 BSM(4)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국(3)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해당하는 PLD를 변경한 후, 그 결과를 제어국(3)으로 응답한다(S5).
상기 BSM(4)의 PLD 변경 결과를 응답받은 제어국(3)은 기지국(2)으로 호 자원에 관련된 하드웨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을 요구한다(S6).
상기 하드웨어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 요구를 받은 기지국(2)은 상기 제어국(3)과 BSM(4) 등 모든 PLD의 변경 과정이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변경된 PLD대로 하드웨어를 활성화시켜 FA를 증설하거나 또는 하드웨어를 비활성화시켜 FA를 감설함으로써 FA 증/감설 동작을 완료한 후, 이 FA 증/감설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제어국(3)과 BSM(4) 그리고 이동국(1)으로 각각 응답한다(S7).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기지국(2)에서의 FA 증/감설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국(3)으로부터 FA 증/감설을 위한 PLD 변경 요구 명령을 수신하는 대로(S11), 기지국(2)은 기존의 PLD를 일부 변경하는데 사용하였던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여러 PLD를 변경한다(S12).
이어, BSM(4)과 제어국(3)으로부터 각각의 PLD를 변경하였다는 응답을 수신받고 나서(S13), 이 응답으로부터 BSM(4)과 제어국(3)이 PLD 변경을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4), PLD 변경이 모두 성공하였다면 내부 메모리에 적재된 데이터 베이스를 변경하여(S15), 해당하는 하드웨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S16).
이후, 상기 단계(S16)의 하드웨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7), 호 자원에 관련된 하드웨어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이동국(1)으로 FA 증설 또는 감설 정보를 전달하여 증/감설된 하드웨어로 정상상적인 호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한다(S18).
즉, FA 증설시에는 활성화된 하드웨어를 통해 호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고, FA 감설시에는 비활성화된 하드웨어를 통해 감설된 FA를 호 서비스에서 제외하고 다른 주파수로 호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PLD를 새로 만들어 로딩받을 필요가 없이 BSM에서 한 번의 명령어로 FA 증/감설을 수행함으로써 가입자들의 호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PLD를 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필요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검증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Claims (2)

  1. 이동국(1), 기지국(2), 제어국(3), BSM(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의 증/감에 따라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는 경우, BSM(4)에서 제어국(3)으로 FA를 증설 또는 감설하기 위한 PLD 변경을 요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PLD 변경 요구에 따라 제어국(3)에서 기지국(2)으로 동일한 PLD 변경을 요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PLD 변경 요구에 따라 기지국(2)에서 해당하는 PLD를 변경하고 그 변경 결과를 제어국(3)으로 응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기지국(2)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제어국(3)에서 해당하는 PLD를 변경하고 그 변경 결과를 BSM(4)으로 응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제어국(3)에서의 PLD 변경 결과가 성공하였을 경우 BSM(4)에서 해당하는 PLD를 변경하고 그 변경 결가를 제어국(3)으로 응답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의 PLD 변경 결과를 응답받은 제어국(3)에서 기지국(2)으로 하드웨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을 요구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의 하드웨어 활성화/비활성화 및 FA 증/감설 요구에 따라 기지국(2)에서 상기 제어국(3)과 BSM(4)의 PLD의 변경 과정이 성공하였을 경우 변경된 PLD대로 하드웨어를 활성화시켜 FA를 증설하거나 또는 하드웨어를 비활성화시켜 FA를 감설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의 기지국(2)에서의 FA 증/감설 동작이 완료되는 대로 그 결과를 제어국(3)과 BSM(4) 그리고 이동국(1)으로 응답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2)에서의 FA 증/감설 동작은, 상기 제어국(3)으로부터 FA 증/감설을 위한 PLD 변경 요구 명령을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제어국(3)에서의 PLD 변경 요구에 따라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PLD를 변경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BSM(4)과 제어국(3)으로부터 각각의 PLD를 변경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고 이 응답으로부터 BSM(4)과 제어국(3)이 PLD 변경을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BSM(4)과 제어국(3)이 PLD 변경을 성공하였다면 내부 메모리에 적재된 데이터 베이스를 변경하여 해당하는 하드웨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하드웨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하드웨어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어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이동국(1)으로 FA 증설 또는 감설 정보를 전달하여 증/감설된 하드웨어로 정상상적인 호 서비스를 실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KR1019980017939A 1998-05-19 1998-05-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KR1999008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39A KR19990085493A (ko) 1998-05-19 1998-05-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939A KR19990085493A (ko) 1998-05-19 1998-05-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93A true KR19990085493A (ko) 1999-12-06

Family

ID=658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939A KR19990085493A (ko) 1998-05-19 1998-05-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4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669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ld 데이터의 변경에 의한 통신 불량의 개선한 무선통신 시스템
KR100696335B1 (ko) * 1999-09-13 2007-03-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신장치
US9008681B2 (en) 2007-09-07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tation operation m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35B1 (ko) * 1999-09-13 2007-03-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신장치
KR20030056669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ld 데이터의 변경에 의한 통신 불량의 개선한 무선통신 시스템
US9008681B2 (en) 2007-09-07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tation operation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3061B (zh) 一种pdu会话处理的方法和装置
US6226516B1 (en) Method for invoking dynamically modifiable subscriber services and an intelligent telecommunication network incorporating the same
WO2020062278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17238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act data stores
US20060155827A1 (en) Reconfiguration of a group of network nodes in an ad-hoc network
CN105992294A (zh) 用户终端及其lte系统下电路交换业务的处理方法及装置
WO2002073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phone boo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1148170A (zh) 多热点配网方法、装置、网卡、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999008549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증/감설 방법
KR1999008555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 자동화 방법
JP3397573B2 (ja) 移動通信方法
JP2009017114A (ja) 無線端末局の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配布および更新方法
US8009640B2 (en) Method of creation of a new communication network by a wireless terminal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2598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데이터 관리 방법
KR970003972B1 (ko) CMS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공통 데이타 초기로딩방법(Method for Loading of Common Data Initial in CDMA Mobile System)
KR100354328B1 (ko) 심리스한서비스를제공하는네트워크서비스변경및추가방법과그를이용한네트워크서비스제공시스템및그방법
KR100394552B1 (ko) 더블류엘엘시스템에서의인증수행방법
WO2024032502A1 (zh) 会话迁移控制方法、装置、网络侧设备及介质
CN111404707B (zh) 池内虚拟网络功能vnf容量控制方法、装置及网络设备
KR20000002797A (ko) 멀티 액세스 채널 운용시 액세스 채널 자동 변경방법
JP2003284137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その動作方法
KR1999005652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오버 헤드 채널 관리 방법
KR10082716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증설 및 감설 방법
WO2023202560A1 (zh) 辅小区组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终端、设备和介质
JP2021005395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