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3637A - 절연와이어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절연와이어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637A
KR19990083637A KR1019990015757A KR19990015757A KR19990083637A KR 19990083637 A KR19990083637 A KR 19990083637A KR 1019990015757 A KR1019990015757 A KR 1019990015757A KR 19990015757 A KR19990015757 A KR 19990015757A KR 19990083637 A KR19990083637 A KR 1999008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taine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까노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1999008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6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고 결합 구멍 및 결합 돌출부를 구비한 단자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각각의 단자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제공된 돌기와,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힌지에 의해 피벗식으로 장착된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장착된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형성된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보강 비드는 결합 돌출부를 보강하여 결합 돌출부와 보유기 사이의 상호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 상에 형성된다. 결합 돌출부는 결합 돌출부와 보유기 사이의 상호 결합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결합 모서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연 와이어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N INSULATED WIRE}
본 발명은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한 전기 커넥터를 위한 개선된 하우징 설계 및 단자 설계에 관한 것이다.
다른 커넥터 요소에 접속하기 위하여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는 공지 전기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와,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는 단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에는 각각의 단자의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된 로킹 돌기가 제공된다. 절연 하우징은 절연 하우징의 측벽 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된 단자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폐쇄 위치에서 보유기는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고, 개방 위치에서 단자는 각각의 단자의 결합 구멍이 대응하는 돌기와 결합되도록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된다. 보유기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자는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는 보유기에 의해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추가로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따라, 전기 커넥터가 하나 이상의 단자를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전기 커넥터는 1차적으로 보유기를 개방시킨 다음에 각각의 단자의 결합 구멍과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공구에 의해 각각의 돌기를 편향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거 공정은 대개 최종 사용자 쪽에서 커넥터가 고장났을 때에 수행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설계를 이해하는 사람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자와 로킹 돌기 사이의 로킹 결합은 대체로 잘 알려져 있어서 단자와 로킹 돌기 사이의 결합 해제는 용이하게 수행되지만, 보유기와 절연 하우징 사이의 다양한 접속 구조와 이러한 상호 로킹 구조가 있어서 결합 해제 작업은 그렇게 용이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러한 커넥터의 "사용자 친밀성"은 저하된다.
또한, 보유기와 개별 단자의 결합 돌출부 사이의 결합을 보증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는 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공지된 전기 단자는 그러한 결합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강도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지만, 전기 커넥터가 소형화되고 단자의 크기도 또한 축소되고 단자를 형성하는 금속판이 얇아짐에 따라, 단자/보유기 결합의 강도 및 기능을 위협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친밀성(user-friendly)" 단자 보유기를 포함하며 보유기와 단자의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보증하면서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자 보유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고려하고 있으며, 상기 보유기에는 공구 삽입 구멍이 제공되며, 비드에 의해 보강된 결합 돌기를 갖는 단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고, 결합 구멍 및 결합 돌출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단자와,
각각의 단자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제공된 로킹 돌기와,
단자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자의 결합 돌출부 상에 형성된 보강 비드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고, 결합 돌출부 및 결합 구멍을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단자와,
각각의 단자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제공된 로킹 돌기와,
단자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단자의 결합 돌출부 상에 형성된 보강 비드와,
단자의 종방향에 수직한 직선에 대한 후방 단부 상에 경사부를 갖는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가 형성된 결합 돌출부의 결합 모서리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따르면,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보유기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삽입 구멍이 제공되므로, 보유기의 개폐 구조는 최종 사용자가 한번만 봐도 분명히 알 수 있어서 커넥터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는 보강 비드에 의해 보강되므로, 단자를 형성하는 시트 금속이 커넥터의 소형화에 기인하여 얇아지더라도, 결합 돌출부의 강도는 보유기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보강되어 단자 상의 인출력에 견디게 된다. 또한,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의 결합 모서리를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로 형성하므로, 인출력이 단자에 인가될 때,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는 보유기를 단자를 향해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유기가 우연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단자와 보유기 사이의 결합은 유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 내부에 장착된 절연 하우징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하우징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하우징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하우징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하우징의 배면도.
도6은 도2의 선 A-A를 대체로 따른 단면도.
도7은 도3의 선 B-B를 대체로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 하우징
1a : 전방 단부
1b : 후방 단부
1c, 1d : 외부면
2 : 단자
3 : 단자 수용 통로
4 : 보유기
5 : 힌지
7 : 공구 삽입 구멍
8 : 팁 단부
8a : 로킹 돌기
9 : 소켓
10 : 배럴
11 : 변형량 완화부
12 : 결합 구멍
13 : 결합 돌출부
14 : 보강 비드
15 :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
16 : 절연 와이어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1)과, 절연 와이어(16)에 크림핑되거나 연결되도록 된 복수개의 단자(2)를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1)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절연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전방 단부(1a)와 후방 단부(1b) 사이에 평행하게 2열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3)를 포함한다. 단자 수용 통로(3)의 각각의 열의 외부 상에서, 단자 보유기(4)는 화살표 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성형된 힌지(5)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절연 하우징(1)의 외부면(1c와 1d)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단자 보유기(4)는 각각의 보유기가 상기 단자 수용 통로의 각각의 열 내에 삽입된 복수개의 상기 단자와 결합되도록 단자 수용 통로(3)의 하나의 열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직사각형 공구 삽입 구멍(7)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기(4)의 중심에 형성되며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루드라이버 등의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3) 내에서, 외팔보형 로킹 돌기(8)는 절연 하우징의 전방 단부(1a)를 향해 제공된다. 돌기(8)의 팁 단부(8a)는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돌출한다.
이제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단자(2)는 시트 금속으로 스탬핑 성형된다. 도면에서, 우측은 팁 단부이고, 좌측은 후방 단부이다. 대체로 직사각형인 소켓(9)은 단자(2)의 팁 단부에 제공된다. 후방 단부에서, 대체로 U자형인 배럴(10)은 절연 와이어의 노출된 와이어 부분에 크림핑되도록 제공되고, 대체로 U자형인 변형량 완화부(strain relief, 11)는 절연 와이어의 절연부 상에 끼워지도록 제공된다. 소켓(9)의 저부벽(9a)은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3) 내에 제공된 돌기(8)의 각각의 팁 단부(8a)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 구멍(12)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도1 참조). 소켓(9)과 배럴(10) 사이의 단자(2)의 중간부는 단면이 대체로 U자형이다. 결합 돌출부(13)는 중간부의 측벽의 일부로부터 돌출한다. 결합 돌출부(13)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단자(2)의 횡방향(즉, 단자(2)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14)가 제공된다. 결합 돌출부(13)의 후방 단부 상의 측면 모서리는 보유기(4)의 결합 모서리로서 역할하며 후방 단부에 단자(2)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15)를 포함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절연 와이어(16)의 단부가 단자(2)에 연결된 후에, 단자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로부터 절연 하우징(1)의 대응하는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된다. 단자(2)를 하우징 내에 삽입할 때, 보유기(4)는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 위치된다. 각각의 단자 삽입 통로(3) 내로의 단자(2)의 삽입 중에, 각각의 단자(2)의 팁 단부의 소켓(9)의 저부벽(9a)은 돌기(8)의 팁 단부(8a)와 접촉하여 돌기(8)를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단자가 단자 수용 통로 내로 더욱 이동함에 따라, 돌기(8)의 팁 단부(8a)는 각각의 소켓(9)의 저부벽 내에 형성된 결합 구멍(12)에 대향하고, 돌기(8)는 팁 단부(8a)가 각각의 단자(2)와 1차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 구멍(12) 내로 돌출하는 비편향 상태로 복원된다.
단자(2)가 적절한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어 돌기(8)에 의해 1차적으로 결합된 후, 보유기(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보유기(4)의 적절한 부분은 단자를 단자 수용 통로 내에 2차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13)의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15)와 결합된다. 따라서, 돌기(8)는 각각의 단자(2)의 소켓(9) 내에 형성된 결합 구멍(12)과 1차적으로 결합되고, 보유기(4)는 각각의 단자(2)의 결합 돌출부(13)와 결합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이 방지된다. 또한, 결합 돌출부(13)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강 비드(14)가 제공됨으로써, 단자가 큰 인출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보유기(4)와 결합 돌출부(13) 사이의 결합을 보증하고, 단자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서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증하며 단자 수용 통로 내의 단자로의 과도한 힘을 최소화시킨다.
(예컨대, 와이어(16)를 손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인출력이 단자(2)에 인가되면, 이러한 힘은 결합 돌출부(13)로부터 보유기(4)로 전달된다. 즉, 결합 돌출부(13) 상에 형성된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15)는 도1에서 화살표 17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유기(4) 내에서 끌어당김으로써 힘을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보유기(4)가 우연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강 비드(14)로 인한 결합 돌출부(13)의 보강된 강도와 관련하여 보유기(4)와 결합 돌출부(13)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단자(2)를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3)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보유기(4)는 보유기와 결합 돌출부(13)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보유기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스크루드라이버 등의 적절한 공구가 절연 하우징(1)의 전방 단부(1a)로부터 삽입 구멍(7)을 통해 단자 수용 통로(3) 내로 삽입되어 돌기(8)와 결합 구멍(12)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동시에, 하나 이상의 단자가 절연 와이어(16)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공구 삽입 구멍(7)이 보유기(4)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유기(4)의 개폐 구조를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커넥터의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보유기를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중심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측면에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세부 사항으로 한정되어서도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보유기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삽입 구멍이 제공되므로, 보유기의 개폐 구조는 최종 사용자가 한번만 봐도 분명히 알 수 있어서 커넥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는 보강 비드에 의해 보강되므로, 단자를 형성하는 시트 금속이 커넥터의 소형화에 기인하여 얇아지더라도, 결합 돌출부의 강도는 보유기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보강되어 단자 상의 인출력에 견디게 된다. 또한, 각각의 단자의 결합 돌출부의 결합 모서리를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로 형성하므로, 인출력이 단자에 인가될 때,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는 보유기를 단자를 향해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유기가 우연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단자와 보유기 사이의 결합은 유지된다.

Claims (9)

  1.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는 스탬핑 성형된 단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자는 결합 구멍 및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각각의 단자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제공된 로킹 돌기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외부면 상에 장착된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보유기는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단자는 결합 돌출부와 보유기 사이의 상호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 상에 형성된 보강 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의 결합 돌출부는 단자에 인가된 힘을 결합 돌출부 및 보유기의 상호 결합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의 후방 단부 상에서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로 구성된 결합 모서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는 일체로 성형된 힌지에 의해 절연 하우징의 2개의 외부면의 각각 상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 통로는 2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보유기는 상기 단자 수용 통로의 각각의 열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절연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삽입되는 스탬핑 성형된 단자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자는 결합 구멍 및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각각의 단자의 대응하는 결합 구멍과 결합하도록 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제공된 로킹 돌기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외부면 상에 장착된 보유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보유기는 하우징으로부터의 단자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의 결합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보유기에는 보유기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적절한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 돌출부와 보유기 사이의 상호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 상에 형성된 보강 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단자의 결합 돌출부는 단자에 인가된 힘을 결합 돌출부 및 보유기의 상호 결합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결합 돌출부의 후방 단부 상에서 뒤집힌 테이퍼형 모서리로 구성된 결합 모서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는 일체로 성형된 힌지에 의해 절연 하우징의 2개의 외부면의 각각 상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피벗 이동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 통로는 2열로 형성되며, 각각의 보유기는 상기 단자 수용 통로의 각각의 열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90015757A 1998-04-30 1999-04-30 절연와이어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 Ceased KR19990083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611198A JP4168478B2 (ja) 1998-04-30 1998-04-30 電気コネクタ
JP98-136111 199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637A true KR19990083637A (ko) 1999-11-25

Family

ID=1516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757A Ceased KR19990083637A (ko) 1998-04-30 1999-04-30 절연와이어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54059A1 (ko)
JP (1) JP4168478B2 (ko)
KR (1) KR19990083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3B1 (ko) * 2000-04-07 2006-02-2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3906D1 (de) * 2000-07-29 2003-11-06 Whitaker Cor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Gehäuse für einen solch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CN101677161B (zh) * 2008-09-16 2012-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610949B2 (ja) * 2016-02-11 2019-11-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CN107453131B (zh) * 2016-05-31 2024-04-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二次锁、连接组件、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20240235111A9 (en) * 2022-10-21 2024-07-1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Housing of an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1926B (en) * 1980-03-13 1984-02-08 Labinal Connector housing with contact retaining means
DE8211844U1 (de) * 1982-04-23 1982-10-07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Zusatzverriegelung in einem Verbindergehäuse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JPS6332876A (ja) * 1986-07-21 1988-02-1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コネクタ
JPH0719095Y2 (ja) * 1987-04-30 1995-05-01 アンプ・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3B1 (ko) * 2000-04-07 2006-02-2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8478B2 (ja) 2008-10-22
EP0954059A1 (en) 1999-11-03
JPH11329554A (ja) 199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814A (en) Connector assembly
US725558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US4969841A (en) Double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 in electrical connectors
US5941733A (en) Universal serial bus plug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KR940001442Y1 (ko)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US5484223A (en) Double terminal stop connector
EP0448476B1 (en) Electrical connector
EP0986143B1 (en) Connector
KR100264848B1 (ko) 소켓형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커넥터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655993B1 (en) Terminal-retainment cancellation structure of connector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US6068522A (en) Block connector
JP3783854B2 (ja) コネクタ
US5957710A (en) Lif connector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JP200005819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9990083637A (ko) 절연와이어에접속하기위한전기커넥터
US5915996A (en) Assembly of plug and cap electric connectors
EP0933835A2 (en) Electrical connector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4076691B2 (ja) 二重係止コネクタ
JPH07201398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2735003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