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7890A -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890A
KR19990077890A KR1019990008666A KR19990008666A KR19990077890A KR 19990077890 A KR19990077890 A KR 19990077890A KR 1019990008666 A KR1019990008666 A KR 1019990008666A KR 19990008666 A KR19990008666 A KR 19990008666A KR 19990077890 A KR19990077890 A KR 1999007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display
cursor
genre
program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384B1 (ko
Inventor
고노데츠야
데구치아츠코
아카이케가즈히로
이이노사토시
마치야마유키코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38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의 프로그램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채널조건의 설정이나 장르의 설정을 한 화면으로 간단히 행하는 것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
화면(4A)을 갖는 표시수단(4)과, 방송파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데이터중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 소정기간 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의 프로그램표(WP)와를 선택하여 표시하고,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 소정기간의 프로그램표(WP)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83, 183)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84, 184)와를 갖추도록 표시수단(4)의 화면(4A)에 표시하는 선택수단(70)과를 갖춘다.

Description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contents}
본 발명은,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방송위성, 통신위성 등의 인공위성을 통해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방송파)를 디지털화하여 전송하고, 각 가정에 있어서 이것을 수신하는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다수의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극히 많은 종류의 프로그램을 방송랄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가능한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소망의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 프로그램가이드(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프로그램과 함께 전송하고, 이것을 모니터장치에 있어서 표시하고, 사용자(시청자)는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가이드를 이용하여 소망의 프로그램을 신속 확실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표시된 전자 프로그램가이드에 따라서 소망의 프로그램을 신속하고 또한 명확하게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전자기기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세트(텔레비전수상기)는, 보다 다기능화를 도모하기 위해, 다종류의 프로그램내용이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기능을 표시하는 등의 다기능화의 요구가 높아져 오고있다.
전자 프로그램가이드라고도 불리고 있는 전자프로그램표는, 예를 들면 위성방송의 트랜스폰더에서 송신되어 오는 모든 데이터(예를 들면 약 1주간분)를 편집하여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프로그램표를 구성할 때에,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카테고리 등의 선택을 위한 소트조건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전자프로그램표 이외의 별도의 메뉴화면으로 되돌아가서(이동하여), 그 소트조건의 설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자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조작은 상당히 번잡하다.
혹은, 전자프로그램표 중에는 프로그램의 장르의 설정조건을 동일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명의 표시부분에서 장르설정부분에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커서를 장르설정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면 상의 버튼(화면의 좌단 혹은 우단이거나 혹은 가장 중심위치)까지 커서를 이동하고서, 그 장르설정부분으로 향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서 커서를 프로그램명 표시부분에서 빼낼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커서를 프로그램명 표시부분과 장르설정부분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대단히 번거러웠다.
전자프로그램표를 예를 들어 리모트제어기로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에, 전자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를 이동할 경우에는, 그 커서에 의해 포인터표시를 행할 경우에, 커서는 어느 화면상의 버튼에서 그 화면상의 별도의 버튼으로 이동할 경우에, 커서의 도중이동의 궤적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서의 위치를 보던 것을 잃는 일이 많고, 사용하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종래 전자프로그램표의 한 화면 중에서 프로그램의 장르의 소트를 할 수 있는 것을 상정하였다고 하여도, 커서를 어느 버튼으로 이동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신규로 폽업윈도우 등을 표시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것이 상강된다. 그러나 이 방식이라면, 소트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키를 새로히 폽업윈도우로 표시하고, 그 중에 키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키가 있는 것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조작이 복잡하다.
프로그램명 표시부분에서 커서가 이동하고 있는 것인지, 기타 부분 중에서 커서가 이동하고 있는 가를, 즉 엑티브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서조작을 행할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는 그 어느 쪽이 엑티브영역으로 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고,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채널조건의 설정이나 장르의 설정을 한 화면에서 간단히 행하는 것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리모트커멘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제어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현재의 프로그램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현재의 프로그램표에 있어서의 커서의 엑티브영역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커서에 의해 채널선택부내의 항목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채널선택부와 장르설정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채널선택부에서 장르설정부에의 커서의 이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장르설정부에 있어서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장르설정부에 있어서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장르설정부에 있어서 선택하는 모습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현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의 전환요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현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주간 프로그램표(소정기간 프로그램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의 타이틀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의 타이틀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프로그램명 표시부의 화면단에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의 타이틀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의 동작범위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채널선택부의 조작예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주간 프로그램표의 일자선택부의 조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주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시간선택부의 조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현재 프로그램표와 주간 프로그램표 및 장르설정부와 채널선택부에 있어서의 조작순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모니터장치(표시장치) 4A. 화면
70. 선택수단 82, 182. 프로그램명 표시부
83, 183. 채널선택부(채널조건설정부) 84, 184. 장르설정부
K. 커서 PP. 현재프로그램표
WP. 주간프로그램표(소정기간 프로그램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면을 가지는 표시수단과, 방송파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내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 를 선택하여 표시하고,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의 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갖추도록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수단과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수단은 화면을 가지고 있다. 선택수단은 방송파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내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 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더구나 선택수단은,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갖추도록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의 어느 것도 표시가능하며, 더구나 현재의 프로그램표를 선택하여도 소정기간 프로그램표를 선택한 경우라도, 각각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를 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서, 한 화면에 있어서 현재의 프로그램표 중에서 채널 및 장르의 설정을 할 수 있고,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도 채널조건 및 장르의 설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채널조건설정이나 장르의 설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현재의 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상태를 바꾸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어느 영역이 선택한 영역이며, 기타의 영역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지를 사용자는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상태를 바꾼다. 이것에 의해,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가 선택한 액티브영역과, 선택하고 있지 않은 영역과를 사용자가 명확히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현재의 프로그램표 혹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를 소망의 지시영역을 지시하는 포인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커서의 이동의 궤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커서가 이동한 경우의 위치를 보던 것을 잃지 많고 커서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명 표시부를 구성하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의 셀의 표시로서는, 프로그램이 개시 또는 종료하고 있는 상태와, 프로그램이 계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셀표시의 단부처리를 바꾼다. 이서에 의해 프로그램이 개시 또는 종료하고 있는지, 혹은 프로그램이 계속하고 있는지를 사용자는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송파를 통해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중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를 선택하여 표시할 때에,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조합하여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송파를 통해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중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를 선택하여 표시할 때에,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조합하여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의 프로그램표 혹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를 선택한 경우에, 각각의 프로그램표에 있어서는 반드시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를 조합하여서 한 화면으로 볼 수 있으므로, 채널조건설정이나 장르설정을 현재의 프로그램표 혹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호적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가지의 붙어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뜻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의 형태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포함하는 시청용의 전자기기(10)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기기(10)는, 개략적으로는 파라볼라안테나(3),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100) 등을 가지고 있고,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100)는 표시수단인 모니터장치(4), IRD(Integrated Receiver/Decoder)(2), 리모트커맨더(5)를 가지고 있다. IRD(2)와 리모트커맨더(5)는 선택수단(70)을 구성한다.
모니터장치(4)는, 예를 들면 음극선관(CRT)을 갖추는 표시장치이다. 그러나 이 모니터장치(4)는 음극선관을 갖추는 표시장치에 한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나 프라즈마 디스플레이디바이스 혹은 기타 종류의 표시장치를 채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자기기(1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방송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파라볼라안테나(3)는 콘텐츠공급원(예를 들면 방송사업자, 수탁방송사업자)(130)의 파라볼라안테나(130C)에서 전송된 방송파(BC)를 위성(130D)의 트랜스폰더(130E)를 거쳐서 파라볼라안테나(3)에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파라볼라안테나(3)로 수신된 수신신호(RS)는 IRD(2)에 공급된다.
리모트커맨더(5)는, IRD(2)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입력부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고, 예를 들면 적외선(IR:Infraced)신호에 의해 IRD(2)에 대하여 각종의 지령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커맨더(5)의 후에 기술하는 키군중의 임의의 키를 누르므로써, 그 키의 기능레 대응하는 적외선신호(IR)가 IR발신부(51)에서 나와서 IRD(2)의 IR수신부(39)에서 수신할 수 있다. IRD(2)는 모니터장치(4)에 대하여 라인(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장치(4)는 화면(4A)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리모트커맨더(5)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모트커맨더(5)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조작키를 가지고 있고, 텔레비전전원키(5A), 주전원키(5B), 채널선택키(5C), 텐키(5D), EPG키(5E), 현재 프로그램표키(5F), 주간 프로그램표키(5G), 일자버튼(5H), 장르버튼(5I), 음량키(5J), 채널키(5K), 기타프로그램 설명키(5L), 라디오키(5M), 메뉴키(5T) 등을 가지고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도 1∼도 3에 표시하는 리모트커맨더(조작입력부)(5), 본체키(조작입력부)(4C), IRD(2) 등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IRD(2)는, 방송파(BC)의 수신신호(RS)를 수취하기 위한 튜닝부(40)를 가지고 있다. 이 튜닝부(40)는 방송파(BC)(수신신호(RS))로서는, 예를 들면 케이블텔레비전 방송파(CATV), 지상파방송 등을 받을 수 있다. 튜닝부(40)는 내부제어컴퓨터(42), 프로그램정보 추출부(44)에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램정보 추출부(44)는 영상신호 재생부(46)와 음성신호 재생부(48)에 접속되어 있고, 영상신호 재생부(46)는 영상믹스부(50)를 거쳐서 모니터장치(4)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음성신호 재생부(48)는 모니터장치(4)의 스피커(4S)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내부제어컴퓨터(42)는,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에 접속되어 있고,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는, 영상믹스부(50)에 접속되어 있다.
튜닝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파(BC)의 수신신호(RS)를 수신하는바,튜닝부(40)는 내부제어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42)의 지령에 의해, CATV, 지상파방송파, 위성방송파의 어느 것인지에 따라서 수신신호(RS)의 튜닝의 제어를 행한다.
프로그램정보 추출부(44)는, 튜닝부(40)에서 부여되는 수신신호(RS)중의 프로그램 데이터(PD) 중에서 프로그램정보 추출신호(ID)를 추출하여 내부제어컴퓨터(42)에 보내는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신호(IE)를 추출한다. 이 프로그램 정보신호(IE)는 영상이나 음성의 정보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영상신호 재생부(46)는 이 중의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영상신호(IS)를 영상믹스부(50)에 공급한다. 음성신호 재생부(48)는 프로그램 정보신호(IE) 중에서 음성신호(AS)를 재생하여, 모니터장치의 예를 들면 스피커(4S)에 대하여 음성출력이 되도록 공급한다.
영상믹스부(50)는, 영상신호(IS)가 공급되는 동시에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로부터의 관면표시신호(DS)를 공급한다. 이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는 내부제어컴퓨터(42)에서 데이터(DSS)를 수취하여, 표시화면 작성용의 각종 데이터를 관면표시신호(DS)로서 작성하고, 이 관면표시신호(DS)를 영상신호(IS)에 대하여 영상믹스부(50)에 의해 믹스한다.
영상믹스부(50)는, 이와 같이 관면표시신호(DS)와 영상신호(IS)를 믹스한 영상출력(IO)을 모니터장치(4)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내부제어컴퓨터(42)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가 작성하는 관면표시신호(DS)뿐 아니라, 모니터장치(4)의 화면(4A)에 있어서의 표시의 온·오프의 제어도, 내부제어컴퓨터(42)가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에 지령을 부여하는 것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정보 추출부(44)에서 내부제어컴퓨터(42)에 보내진 프로그램정보 추출신호(ID)를 EPG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한다.
내부제어컴퓨터(42)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리모트커맨더(5)로부터의 지령 혹은 도 1에 나타내는 모니터장치(4)의 본체키(4C)로부터의 사용자의 지령에 의한 조작입력의 내용과, 프로그램 데이터(PD) 및 프로그램 정보신호(IE) 등에 의거하여, 내부제어컴퓨터(42)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면표시용의 전자프로그램표를 도 1에 나타내는 화면(4A)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내부제어컴퓨터(42)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내고 있고, CPU(중앙연산처리부)(60)는, 제어프로그램(62)을 거둬들일 수 있다. 또 CPU(60)는 데이터(63)와의 정보의 수도를 행할 수 있다. 또 CPU(60)는 입출력부(64)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부(64)는, 본체키(4C) 혹은 리모트커맨더(5)로부터의 조작신호(OP)를 수취할 수 있다. 입출력부(64)는 튜닝부(40)와의 사이에서 튜닝신호(TS)를 수도할 수 있다. 입출력부(64)는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에 대하여 데이터(DSS)를 공급한다.
도 5의 제어프로그램(62)은, 조작입력부인 본체키(4C) 혹은 리모트커맨더(5)로부터의 조작입력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조작입력제어, 튜닝부(40)에 관한 튜닝제어, 프로그램정보 추출부(44)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정보 추출제어, 관면표시 신호작성부(52)에 대응하는 관면표시용 데이터작성, 관면표시 신호 작성제어 등의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63)는, EPG 데이터베이스나 관면표시용 데이터(DSS)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본체입력부인 본체키(4C) 혹은 리모트커맨더(5)와, IRD(2)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 도 16에 나타내는 주간프로그램 가이드(WP)를 선택하여 도 1의 모니터장치(4)의 화면(4A)에 표시하기 위한 선택수단(70)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모니터장치(4)의 화면(4A)에 표시할 수 있는 현재의 프로그램표(현재의 프로그램가이드)(PP)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화면(4A) 중에 표시되어 있고, 더구나 화면(4A)에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이 표시되어 있다.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에 슈퍼임포즈하여 표시되어 있다. 더구나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에 겹쳐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반투명으로 투명하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을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통하여 시청자가 어느 정도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에 대하여 반투명상태로 슈퍼임포즈하고 있다.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명과 방송시간 등을 보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는 이 일람표에서 소망의 프로그램을 선국할 수 있다.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개략적으로는 이하의 5개의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1) 프로그램 정보부(81)
프로그램 정보부(81)는, 다음에 설명하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서 선택된 특정의 프로그램의 상세정보와, 헬프메시지 및 네트워크로고(도 6에서는 예를 들면 AB라고 표시하고 있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네트워크로고란 예를 들면 위성방송 등의 네트워크명 혹은 방송사업자의 인식표시부 혹은 수탁방송사업자의 인식표시부이다.
(2) 프로그램명 표시부(82)
프로그램명 표시부(82)는, 국로고(82A), 채널번호(82B), 프로그램타이틀(82C), 방송시간 표시바(82D)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방송시간 표시바(82D)는 방송시간 경과표시부이며, 예를 들면 방송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표시면적의 대소를 바꾸므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간단히 방송경과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송시간 표시바(82D)는 소위 바그래프
표시형식의 것이다.
(3) 채널선택부(채널조건 설정부)(83)
도 6의 채널선택부(83)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선택되는 채널을 결정하는 버튼을 표시하고 있다. 텔레비전채널 결정버튼(83A)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기타 좋아하는 채널을 결정하는 버튼이나 라디오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등을 가지고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텔레비전채널 결정버튼(83A)이 커서를 위치결정하는 것에 의한 선택으로 결정되고 있다.
(4) 장르설정부(84)
도 6의 장르설정부(84)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중의 프로그램을 해당하는 장르에서 소트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영화의 장르(84A)가 소트하여 표시되어 있다. 이 장르설정부(84)는 도 9에 나타내는 다음에 방송예정의 프로그램표(NP)에도 설치되어 있다. 장르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3의 장르버튼(51)을 누른다.
(5) 현시각/조작표시부(85)
도 6의 현시각/조작표시부(85)는, 키조작방법의 헬프가이드나 현재의 일시 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프로그램표(PP)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 상에 슈퍼임포즈하여, 더구나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의 내용이 투명하여 보이도록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도 7를 참조하면, 도 7a는 노멀화면,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을 표시하고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도 7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에 슈퍼임포즈하여, 커서가 동작하는 영역(에어리어)을 변경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의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에서 도 7b의 상태로 바꾸는데는, 도 3의 현재의 프로그램표버튼(키)(5F)을 사용자가 누른다. 도 7b의 당초의 상태에서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가 커서에 의해 선택되어 있으므로, 채널선택부(83)와 장르설정부(84)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비해서 톤을 어둡게 하고 있다. 단, 장르설정부(84)에 있어서 지정된 장르(84X)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지정된 장르(84X)는 지정된 색을 표시한다.
도 7b와 c에 있어서 전환하는 경우에는, 도 3의 장르버튼(5I)을 사용자가 누르는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c에서는, 커서(K)가 채널선택부(83)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이 때에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의 톤은, 채널선택부(83)에 비하여 어둡게 하고 있다. 커서(K)의 위치는 화살표커서로 표시하고 있다. 단, 채널선택부(83) 중의 라디오채널(83R)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7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장르설정부(84)는 어둡게 된다.
또한 도 7a의 노멀화면인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의 상태에서 현재의 프로그램버튼(5F)을 누른 경우에는, 도 7b의 프로그램명 표시부(82)가 앞에 선택된 상태로 표시된다.
도 8에서는, 커서(K)가 채널설정부(83)에 있어서 이동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최초로 프로그램가이드를 열고,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표시하는 초기위치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표시하기 직전에 수신하고 있는 프로그램(80)의 경우에는, 커서(K)는 텔레비전채널(83T)의 위치에 있고, 영상이 없고 음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수신중의 경우에는 라디오채널(83R)의 위치에 오고 있다. 두번째 이후에 프로그램가이드를 열었을 때에는, 전번 설정한 커서의 위치에서 열 수 있다.
커서(K)를 도 8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혹은 좌방향 화살표를 누르므로써 이동할 수 있다. 단 가장 우측에서 커서(K)를 이동하는 경우에 몇번 우방향 화살표키를 눌러도 그 눌러진 것은 무시된다. 동일하게 가장 좌측의 위치에 커서(K)가 있는 경우에, 좌방향 화살표가 몇번 눌려도 그 눌러진 것은 무시된다. 즉 커서(K)는 텔레비전채널(83T), 좋아하는 채널(83S), 라디오채널(83R) 중에서 우방향 혹은 좌방향으로 하나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EPG키(5E)를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그 커서(K)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그 위치의 예를 들면 텔레비전채널(83T)의 표시가 반전 표시된다.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형의 커서(K)의 이동은 이동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보던 것을 잃지않게 하기 위해, 시점(P1)과 종점(P2)의 사이를 등분할하여, 예를 들면 40ms 걸러 커서(K)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9의 채널선택부(83) 내에서의 이동과, 채널선택부(83)와 장르설정부(84)간의 이동에서는, 커서(K)의 이동범위는 5분할되어서 40ms 걸러 이동한다. 또 장르설정부(84) 내에서의 이동은, 예를 들면 3분할되어서 40ms 걸러 이동한다.
다음에, 도 9와 도 10을 참조한다. 또 9는 채널선택부(83)와 장르설정부(84)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텔레비전채널(83T)이 커서(K)에 의해 선택되면, 영상이 있는 프로그램을 채널순으로 도 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늘어놓을 수 있다. 좋아하는 채널(83S)을 커서(K)로 선택하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채널설정으로 선택한 채널을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채널번호순으로 늘어놓을 수 있다.
라디오채널(83R)을 커서(K)로 선택하면, 영상이 없고 또한 음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채널순으로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표시한다.
채널선택부(83)의 위치에서 커서(K)를 도 3의 EPG키(5E)의 하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장르설정부(84) 내에서 예를 들면 좌측에서 두번째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 모습은 도 10a와 b에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채널(83T)에서 커서(K)를 이동하면, 경사 좌하측의 영화의 장르를 나타내는 위치(84M)로 이동할 수 있다. 좋아하는 채널(83S)의 경우라면, 도 9의 교양(84E)의 장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장르설정부(84)에서 도 3의 EPG키(5E)의 상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장르설정부(84)의 해당하는 버튼으로 이동한다. 스포츠, 영화, 음악, 뉴스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텔레비전채널(83T)로 이동하고, 해외방송, 교양, 어린이·교육, 드라마에서는, 좋아하는 채널(83S)로 이동한다.
도 11은 장르설정부(84)에 있어서 어느 장르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디폴트는 모두 가라앉은 색(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으로 되어 있다. 장르설정부(84)에 있어서 도 3의 EPG키(5E)를 누르면, 도 6에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의 소트하고 싶은 장르를 하나 선택할 수 있다. 소트하고 싶은 장르 위에 화살표형의 커서(K)를 이동시켜서 EPG키(5E)를 사용자가 누른다. 도 12a 혹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정을 할 때마다 색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라앉은 색으로서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와 문자를 밝게하도록 선택된 상태로 반전할 수 있다. 더 한번 결정을 하면, 도 12b와 같이 선택된 밝은 상태에서 선택되지 않은 가라앉은 색의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도 13은, 이미 한 장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별도의 장르로 결정을 누르면 이미 선택되어 있는 장르를 뮤효로 하고, 새로히 선택된 장르를 유효하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장르를 결정하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장르의 프로그램중에서, 결정한 장르의 프로그램만을 소트하여 도 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표시한다. 장르가 하나도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장르선택부(83)에서 선택된 장르의 모든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프로그램은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지금의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와, 다음에 방송예정의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다음의 현재의 프로그램표의 어느 것이 해당하면, 소트의 대상으로서 표시한다. 단, 해당하지 않는 편의 프로그램명은 표시하지 않고, ( )로 장르명을 묶어서 표시한다. 장르를 결정하면 그 결과는 프로그램명 표시부(82)에 바로 반영시킨다. 현재의 프로그램표(PP)를 일단 뽑아서 재차 표시하였을 때는, 전번 설정한 장르는 오프로 하여 디폴트(어느 것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게 된다.
도 14는 상술한 현재의 프로그램표(PP) 중의 현 프로그램과, 현재의 프로그램표(PP) 중의 다음의 프로그램(차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한 장르에 해당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 )로 묶고 있다. 즉, 도 15는 현 프로그램과 차 프로그램의 어디도 해당하는 경우의 예, 차 프로그램만 해당하는 경우, 현 프로그램만 해당하는 경우, 어디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대로 표시하고,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 )로 묶어서 표시한다. 선택한 장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대로 표시하고 있다. 소트한 결과의 화면을 표시시킨 채로하여 놓았을 때에, 해당하는 장르의 프로그램이 끝난 경우도, 그 채널은 삭제하지 않고 표시한 채로 한다. 또 별도의 채널로 해당하는 장르의 프로그램이 시작하여도, 그 채널은 늘리지 않고, 한번 프로그램가이드를 뽑아서 재차 표시하였을 때에 반영한다.
다음에, 도 16은 도 6의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는 다른 주간프로그램 가이드(주간프로그램표)(WP)를 나타내고 있다. 이 주간프로그램표(WP)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의 일예이며, 일주간 사이의 방송예정의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주간프로그램표(WP)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일주간 혹은 이주간 혹은 이주간 정도의 사이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표시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선국, 프로그램의 상세정보의 확인, 예약 등이 행해진다. 도 16의 화면에 있어서는 주간프로그램표(WP)는, 프로그램명 표시부(182), 프로그램 정보부(181), 채널선택부(183), 장르설정부(184), 시간선택부(187), 현시각/조작표시부(185), 일자선택부(199) 등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명 표시부(182)는, 채널선택부(183)에 의해 선택된 채널만의 표시도 할 수 있다.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는, 커서를 상하로 하는 것만으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시간을 선택할 수 있고,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일자의 변경도 행해진다.
일자선택부(199)에서는, 상기의 일자의 변경을 직접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시간선택부(187)에서도 동일하게 시간의 변경이 고속으로 행해진다.
프로그램 정보부(181)는, 프로그램명 표시부(182) 중의 하나의 프로그램 타이틀의 프로그램정보의 상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중에는 네트워크로고(181A)가, 예를 들면 “AB ”라고 표시할 수도 있다.
채널선택부(183)는, 도 6의 채널선택부(83)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장르설정부(184)는 도 6의 장르설정부(84)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시각/조작부(185)에는, 현재의 시각이나 조작에 관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7은,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의 하나의 프로그램 타이틀부분(182A)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프로그램 타이틀부(182A)는, 프로그램명 표시영역(182B)과 방송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부분(182C)를 가지고 있다. 타이틀부(182A)는, 프로그램명 표시영역(182B)에 있어서 프로그램명(프로그램 타이틀)을 표시할 수 있다. 반송시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부분(182C)은, 프로그램명 표시영역(182B)에 있어서, 도 17의 예에서는 2도트와 2도트의 합계 4도트분 만큼 폭이 넓어져 있다.
도 18a는, 프로그램의 반송시간의 길이를 분단위로 나타내는 최소시간의 표시부(181D)를 나타내고 있고, 1분간을 4도트로 표시한다. 하나의 프로그램은 에지부분을 포함하여 반송시간의 길이를 나타낸다. 프로그램명의 표시영역(182D)은 최저라도 4도트 필요하다. 따라서 에지부분을 포함한 8도트=2분간이 표현할 수 있는 최소시간이 된다. 반송시간이 2부간 이하의 프로그램은, 모두 2분의 프로그램으로서 표현한다.
반송시간이 1분간의 프로그램이 2개 연속하면 하나만을 표시한다. 그 장소에서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2회 눌러서 다음으로 이동시킨다. 1분간의 프로그램이 2개 연속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 18b∼e에 나타내고 있고, 도 18b에서는 1분간의 프로그램이 2개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커서를 이동하여 도 18c의 상태로 한다. 도 18c의 상태에서 다시 우방향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커서를 우로 이동하고, 도 18d와 같이 커서의 장소는 변화시키지 않으나 도 16의 프로그램 정보부(181)의 내용은 다음의 프로그램으로 한다. 그리고 다시 우방향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커서를 이동하고, 도 18e와 같이 다시 한번 눌르면 프로그램의 표시부분이 다음으로 이동한다.
도 19는, 도 1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의 화면단에서의 처리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의 타이틀부(182A)의 단부에는 에지(182G, 182F)가 설치되어 있다. 즉 타이틀부(182A)의 시작부분에서는 에지(182G)가 형성되고, 타이틀부(182A)의 끝나는 부분에서는 에지(182F)가 형성되어 있다. 어느 타이틀을 표시하는 타이틀부(182A)가 예를 들면 PM10:00 정각에 시작하는 경우에는, 10:00에 대응하여 에지(182G)가 형성되고, 0:00 정각에 끝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에지(182F)를 형성한다.
도 19b의 표시예에서는, 타이틀부(182A)의 양단부에는 에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이 경우에는, 타이틀부(182A)에서 나타내고 있는 프로그램 타이틀의 프로그램은, 계속하여 방송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9c에서는, PM10:00에서 시작하여 10:01 또는 10:02에 끝나는 경우의 프로그램은, 즉 직후의 프로그램이 1분간 또는 2분간의 경우에는, 2도트로 표시하나 프로그램명은 표시하지 않는다. 동일하게 하여 11:58 또는 11:59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2도트로 표시하나 직전의 프로그램이 1분간 또는 2분간의 경우이므로 프로그램명은 표시하지 않는다.
도 20은, 프로그램의 타이틀부(182A)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타이틀부(182A)의 프로그램명 표시영역(182B) 중에 프로그램명을 넣어가고, 프로그램명이 길어서 표시할 수 없었으면, ‥·을 넣게 된다. 프로그램이 예약되어 있는 경우는, 프로그램명의 두부에 시계마크를 넣는다. 전각 1문자밖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을 넣는다. 단, 그 프로그램이 예약되어 있으면 시계마크(WM)를 넣는다. 프로그램명 표시영역(182B)의 길이가 전각 1문자 이하의 경우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도 21은,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 커서의 동작범위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의 장르버튼(5I)과 일자버튼(5H)을 사용한다. 도 21a에 나타내는 디폴트상태(아무 것도 선택되지 않은 상태)의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 도 3의 일자버튼(5H)을 누르면, 도 21b의 상태가 된다. 즉, 일자선택부(199와 187)가 밝게 되어 있고 커서 동작범위로서 선택되어 있으나,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와 채널선택부(183) 및 장르설정부(184)는 어둡게 되어 있고 커서가 동작할 수 있는 범위로서는 선택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 않고, 도 21a의 상태에 있어서 도 3의 장르버튼(5I)을 누르면, 도 21c와 같이 채널선택부(183)와 장르설정부(184)만이 커서 동작범위로서 선택되는바, 기타부분은 선택되지 않고 어둡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21a에 있어서는, 프로그램명 표시부(182)만이 커서 동작범위로서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자버튼이나 장르버튼을 누르므로써 도 21b,c와 같이 그 커서 동작범위를 변경하여 갈 수 있다.
도 22는,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의 채널선택부(183)에 있어서의 조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22a∼d는 이미 설명한 도 8의 커서선택예와 동일한 요령으로 행할 수 있고, 텔레비전채널(183T), 좋아하는 채널(183S), 리디오채널(183R)을 커서(K)의 이동에 의해 적의 선택할 수 있다. 더구나, 도 2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K)는 도 8d와 동일한 요령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보던 것을 잃지 않도록 시점(P1)과 종점(P2)의 사이를 등분할하여, 예를 들면 40mn 걸러 이동시킨다. 기타의 점에 대해서도 도 8의 현재 프로그램표(PP)의 경우의 요령과 같으므로 도 22의 설명은 원용한다. 단, 도 22a, b, c에 있어서 결정버튼인 도 3의 EPG키(5E)를 눌러서 확정하면, 그 선택한 채널에 예를 들면 황색마크(YM)가 표시된다.
도 23은,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의 일자선택부(199)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고, 커서(K)를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혹은 좌방향 화살표 를 조작하고, EPG키(5E)를 누르는 것으로 일자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일자에 예를 들면 황색 마크(MK)를 붙여서, 도 1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의 내용을 경신한다. 프로그램명 표시부(182)는 일자를 변화시키기 전과 같은 시간대에서 변화하고 일자의 프로그램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3a∼d는 그와 같은 일자를 변화시킨 경우의 프로그램의 변화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b에 있어서 커서(K)가 오늘부터 도 23c의 26일에 이동하고, 더구나 오늘의 프로그램표라는 표시인 채로 경신하면, 예를 들면 일주간 후의 날로 지정되었을 때와 같은 시간의 프로그램 데이터만을 표시한다.
도 24는,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의 시간선택부(187)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182) 중에 커서가 있을 때에, 도 3의 일자버튼(5H)을 누르면, 현재 선택되고 있는 일자의 위치, 예를 들면 27일에 커서(K)를 표시한다. 일자선택부(187)의 어느 위치에서도 도 3의 EPG키(5E)의 하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화살표 커서(K)가 지워져서 시간선택부(187)가 도 24b와 같이 예를 들면 배경이 황색으로 변하고, 시간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살표 커서(K)가 지워져서 시간선택부(187)의 배경을 황색으로 한다.
도 24c에 있어서, 시간선택부(시간선택영역)(187)에 있어서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혹은 좌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시간축을 1시간 단위로 전후시킬 수 있다. 단, 현 시간보다 이전에는 이동하지 않는다. 시간선택부(187)에 있어서 도 3의 EPG키(5E)를 누르면, 일자선택부(199)와 시간선택부(187)의 조건으로 주간프로그램표(WP)를 도 24d와 같이 표시한다.
시간선택부(187)에서 변경한 결과의 프로그램표에의 반영은 아래의 때에 행한다. 즉, 시간선택부(187)에서 결정버튼(도 3의 EPG키(5E))을 눌러서, 커서용의 EPG키(5E)의 상방향 화살표를 누르는 것으로 뽑혀져서, 일자선택부(199)의 일자버튼(5H)을 커서(K)로 선택하여 프로그램명 표시부(182)에 되돌아 왔을 때이다.
가장 좌단의 시간이 도 2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M11:00일 때에,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일자선택부(199)의 커서를 1일 진행할 수 있다. 역으로 도 24f와 같이 가장 좌단의 시간이 오전 0:00일 때에는, 커서용의 도 3의 EPG키(5E)의 좌방향 화살표를 누르면, 일자선택부(199)의 커서를 1일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시간선택부(187)는, 커서가 시간선택부(187) 중에 들어갔을 때만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도 25를 참조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 도 16에 나타내는 주간프로그램표(WP)의 표시나, 장르설정부 및 채널선택부의 동작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되는 버튼은 키라고도 부른다.
도 3의 현재의 프로그램키(5F) 혹은 주간프로그램키(5G)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누르므로써, 도 6의 현재의 프로그램표(PP)와,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를 도 25의 스텝(ST1)에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스텝(ST2)에서는 현재의 프로그램표(PP) 혹은 주간프로그램표(WP)가 도 1의 화면(4A)에 표시된다. 스텝(ST3)에 있어서 도 6의 현재의 프로그램표(PP) 혹은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에서는, 커서(K)의 이동을 할 수 있는 액티브영역은 당초 프로그램명 표시부(82 혹은 182)에 설정되어 있다(스텝(ST3)).
스텝(ST4)에 있어서 도 3의 장르버튼(5I)을 누르지 않고, 스텝(ST5)에 있어서 도 3의 일자버튼(5H)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으로 징행한다.
스텝(ST6)에서는 사용자가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좌방향 화살표, 상방향 화살표, 하방향 화살표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 누르면, 도 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82) 혹은 도 16의 프로그램명 표시부(182) 중에서 커서가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구나 도 14와 같이, 현재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우방향 화살표 혹은 좌방향 화살표를 조작하는 것으로, 현 프로그램(지금)과 다음 프로그램의 전환선택을 행할 수 있다(스텝(ST7)).
스텝(ST6)에 있어서 EPG키(5E)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T8)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면 도 3의 현재프로그램표키(5F)를 입력하는 것으로, 현재프로그램표(PP) 혹은 주간프로그램표(WP)를 스텝(ST9)과 같이 화면(4A)에서 소거할 수 있다.
도 25의 스텝(ST4)에 있어서, 사용자가 장르버튼(5I)을 눌렀을 경우에는, 스텝(ST17)으로 이동하고, 스텝(ST5)에 있어서 일자버튼(5H)을 눌렀을 경우에는, 스텝(ST10)으로 이동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장르버튼(5I)을 눌렀을 경우에 스텝(ST17)에 있어서는, 도 6과 도 16의 현재프로그램표(PP) 혹은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의 커서(K)의 액티브영역은, 당초 장르설정부(84, 184) 혹은 장르선택부(83, 183)에 설정된다.
스텝(ST18)에 있어서 도 3의 장르버튼(5I)이 입력되면, 스텝(ST3)으로 되돌아가는바, 장르버튼(5I)이 입력되지 않고 스텝(ST18A)에서 일자버튼(5H)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스텝(ST10)으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고 일자버튼(5H)이 스텝(ST18A)에 있어서 눌러지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T19)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EPG키(5E)의 우방향 화살표, 좌방향 화살표, 하방향 화살표를 조작한 경우에 스텝(ST20)으로 이동하고, 장르설정부(84, 184)와 장르선택부(83, 183)에 있어서, 커서(K)를 상하 혹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텝(ST19)에 있어서, EPG키(5E)의 어느 방향의 키도 눌러지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T21)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에 의해 EPG키(5E)가 결정키로서 눌러지면 장르선택부(83 혹은 183)에 있어서, 해당 채널로 소트되어서 도 16의 주간프로그램표(WP)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프로그램 타이틀의 장르를 색 구분하고, 도 6의 현재프로그램표(PP)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장르로 프로그램 타이틀의 소트를 행한다.
스텝(ST21)에 있어서 결정키가 눌러지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T23)에 있어서 프로그램표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스텝(ST18)으로 되돌아 가는바,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ST9)으로 이동하여 현재프로그램표 혹은 주간프로그램표를 화면에서 소거한다.
다음에, 스텝(ST5) 혹은 스텝(ST18A)에 있어서 도 3의 일자버튼(5H)에 있어서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ST10)에 있어서 커서(K)가 이동할 수 있는 액티브영역은 도 16의 일자선택부(199)가 되고, 스텝(ST11)에 있어서 도 3의 장르버튼(5I)이 눌러지면 스텝(ST17)으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고 장르버튼(5I)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 일자버튼(5H)이 눌러지면 스텝(ST3)으로 이동하는바, 일자버튼(5H)이 눌러지지 않으면 스텝(ST13)으로 이동한다. 스텝(ST13)에서는, 도 3의 EPG키(5E)의 우방향 혹응 좌방향 화살표를 누르는 것으로, 일자선택부(199) 내에 있어서 커서의 일자위치를 스텝(ST14)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다.
스텝(ST14)의 동작이 끝나면, 혹은 스텝(ST13)에서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T15)으로 이동하고 EPG키(5E)가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ST16)으로 이동한다.
스텝(ST16)에서 해당하는 일자로 주간프로그램표를 늘어놓기를 바꾸면, 스텝(ST1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T15)에 있어서 결정키로서의 EPG키(5E)가 눌러지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T24)으로 이동하고, 프로그램 표시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ST9)에 있어서 프로그램표를 화면(4A)에서 소거한다.
영상기기의 관리상에 표시되는 전자프로그램표(EPG)에 있어서, 본 눈의 화면을 전환하지 않고, 프로그램표를 표시한 채로 장르와 채널의 동시조건소트를 할 수 있다. 메뉴화면에 표시를 전환하거나 새로운 Window를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프로그램표의 조작인 것을 보던 것을 잃지 않는 것이나 프로그램표 중에서 소트를 할 수 있는 것이 일목요연하다.
프로그램표를 프로그램명 일람만으로 멈추지 않고, 표시키는 프로그램을 채널의 종류와 장르의 조건을 조합하여 소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다시 그것이 1화면 내에서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화면내에서 소트할 수 있는 것이, 일목요연하게 사용자에게 전할 수있고, 다시 화면을 오지 않게 하여도 좋으므로, 안심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트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명 표시란에서의 커서이동(프로그램선택)에서, 장르키를 입력하고 장르/채널조건설정 등의 설정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커서가 액티브로 되어 있는 영역을 명암으로 명확히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망설이지 않고 커서를 사용하여 설정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커서를 이동사켰을 때에, 궤적을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커서를 보던 것을 잃지 않고 조작이 하기 쉽게 된다.
프로그램명 표시란의 하나 하나의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셀의 표현에 있어서, 프로그램표의 시간렌지 내에서 개시 또는 종료하고 있는 프로그램인지, 계속하고 있는 프로그램인지가 한 눈으로 알 수 있게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프로그램의 길이를 잘못 생각하거나 하지 않게 된다. 예약의 설정 등에서 정말은 2시간 있는 프로그램을 1시간이라고 잘못하지 않고 끝난다. 혹은 좌단에서는 그 시간에 그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있는지, 그 시간에 꼭 시작하는 것인지를 잘못하지 않고 끝난다.
이상, 모든 항목은 사용자의 사용편의 향상에 연결되고 유효하다고 고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방송파는, 위성방송, 지상파방송, 케이블 테레비전방송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위성방송을 이용한 방송파로 프로그램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지상파 혹은 케이블 테레비전방송 등 다른 방송파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방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채널조건의 설정이나 장르설정을 한 화면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등 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면을 가지는 표시수단과,
    방송파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를 선택하여 표시하고, 현재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갖추도록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수단과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현재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형태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소정기간 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상태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현재프로그램표 혹은 소정기간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를 소망의 지시영역을 지시하는 포인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커서의 이동의 궤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
  5. 프로그램명 표시부를 구성하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의 셀의 표시로서는, 프로그램이 개시 또는 종료하고 있는 상태와, 프로그램이 계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셀표시의 단부처리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
  6. 방송파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의 현재 방송중의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현재프로그램표와, 소정의 기간내에 방송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와 를 선택하여 표시할 때에,
    현재프로그램표와 소정기간프로그램표에는, 각각 채널을 소트하기 위한 채널조건 설정부와 프로그램의 장르를 소트하기 위한 장르설정부를 조합시켜서 표시수단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현재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명암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소정기간 프로그램표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 표시부와, 채널조건 설정부와, 장르설정부와를 가지며, 커서가 선택한 영역과 선택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표시의 명암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현재프로그램표 혹은 소정기간 프로그램표에 있어서, 커서를 소망의 표시영역을 지시하는 포인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커서의 이동의 궤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프로그램명 표시부를 구성하는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의 셀의 표시로서는, 프로그램이 개시 또는 종료하고 있는 상태와, 프로그램이 계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셀표시의 단부처리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KR1019990008666A 1998-03-16 1999-03-15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65324 1998-03-16
JP10065324A JPH11266409A (ja) 1998-03-16 1998-03-16 番組内容表示装置と番組内容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90A true KR19990077890A (ko) 1999-10-25
KR100576384B1 KR100576384B1 (ko) 2006-05-03

Family

ID=1328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384B1 (ko) 1998-03-16 1999-03-15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2784B1 (ko)
JP (1) JPH11266409A (ko)
KR (1) KR100576384B1 (ko)
CN (1) CN118167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72B1 (ko) * 2000-02-08 2007-12-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시청 내역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526B1 (en) * 1998-12-03 2004-07-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mart channel entry system
US6728966B1 (en) * 1999-03-29 2004-04-2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data naming system and method
US7877290B1 (en) 1999-03-29 2011-01-25 The Directv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displaying advertisements
US7552458B1 (en) * 1999-03-29 2009-06-2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receipt and display of advertisements
KR100331827B1 (ko) * 1999-08-24 2002-04-0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예약안내/예약확인 화면 구현방법
GB0001424D0 (en) * 2000-01-22 2000-03-08 Pace Micro Tech Plc Television programme guide
JP2001238144A (ja) * 2000-02-22 2001-08-31 Pioneer Electronic Corp 番組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695039B2 (en) 2000-04-17 2014-04-08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descriptor and extended information descriptor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7877769B2 (en) * 2000-04-17 2011-01-25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descriptor and extended information descriptor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JP3649994B2 (ja) * 2000-05-22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010161A (ja) * 2000-06-20 2002-01-1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100184B1 (en) * 2000-08-03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access of program guide information
JP4942242B2 (ja) * 2000-08-25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956865B2 (en) * 2000-10-19 2011-06-07 Jlb Ventures Llc Method and system for modification of EPG object attributes
US6943845B2 (en) * 2000-12-15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US7203952B2 (en) * 2001-03-27 2007-04-10 Digeo, Inc. Passive program completion status indicator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1417832A1 (en) * 2001-08-06 2004-05-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in a banner
JP2003061006A (ja) * 2001-08-09 2003-02-28 Kenwood Corp 番組表表示装置及び方法
US7594246B1 (en) * 2001-08-29 2009-09-22 Vulcan Ventu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 user interface
US20030046693A1 (en) * 2001-08-29 2003-03-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user interface
KR100416553B1 (ko) * 2001-10-29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렉트로닉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8099680B1 (en) 2002-03-12 2012-01-17 Arris Group,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extual pre-tuning
JP3909683B2 (ja) * 2002-05-23 2007-04-25 ソニー株式会社 番組表示制御装置および番組表示制御方法
EP1610549A4 (en) * 2003-04-03 2009-01-07 Panasonic Corp ANIMAL IMAGE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KR100688651B1 (ko) * 2003-10-02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프로그램정보 구현장치 및 그 방법
US7782400B2 (en) * 2003-12-18 2010-08-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0346650C (zh) * 2004-02-26 2007-10-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在频道切换时进行预播节目提示的方法
JP4801908B2 (ja) * 2005-02-09 2011-10-26 株式会社 サイバー・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放送番組の広告入札受付システムおよび番組表示システム
CN100428789C (zh) * 2005-03-31 2008-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节目指南信息实现预约录制的方法及系统
KR100717009B1 (ko) * 2005-07-18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재생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9282272B2 (en) * 2005-07-22 2016-03-08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to be displayed by an electronic equipment within pages associated to time references
JP4104620B2 (ja) * 2005-08-02 2008-06-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番組表表示装置及び方法、放送受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52450B2 (ja) * 2005-10-2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099803A1 (ja) * 2006-02-28 2007-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番組表生成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及び番組表生成方法
KR20070104130A (ko) * 2006-04-21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JP5354048B2 (ja) * 2006-09-15 2013-11-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表における画像情報表示方法
CN101304500B (zh) * 2007-05-09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终端上提供浏览数字电视节目的方法
KR101425679B1 (ko) * 2007-10-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JP5379382B2 (ja) * 2008-01-25 2013-12-25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735677B2 (ja) 2008-08-07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17603A (ja) * 2008-10-16 2009-01-22 Sharp Corp 受信装置
GB2474229A (en) * 2009-09-25 2011-04-13 Sony Europ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CN101860701A (zh) * 2010-05-07 2010-10-13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机顶盒寻找所需节目的方法
US8687947B2 (en) 2012-02-20 2014-04-01 Rr Donnelley & Son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vide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esentation
CN107509103B (zh) * 2017-08-29 2020-03-1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电视epg数据的存储管理及页面布局的方法
CN111836095B (zh) * 2020-07-08 2022-03-15 海看网络科技(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tv端循环显示节目的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345A (en) * 1995-01-04 2000-12-19 Sony Corpor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ion and programming information in a multiple station broadcast system
US5880768A (en) * 1995-04-06 1999-03-09 Prevue Networks,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systems and processes
US6323911B1 (en) * 1995-10-02 2001-11-27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5793438A (en) * 1995-11-13 1998-08-11 Hyundai Electronics America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enhanced presentation
US6216264B1 (en) * 1995-11-17 2001-04-10 Thomson Licensing S.A. Scheduler apparatus employing a gopher agent
JP4420474B2 (ja) * 1996-02-14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436317B1 (ko) * 1996-05-29 2004-09-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프로그램가이드제어장치
US6057831A (en) * 1996-08-14 2000-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cursor position indicator
EP0836282B1 (en) * 1996-10-08 2002-06-12 Sony Corporatio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hase lock loop circuit
US6177931B1 (en) *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US6243142B1 (en) * 1997-10-17 2001-06-0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ime and program status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133962A (en) * 1998-10-30 2000-10-17 Sony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having different modes for viewing
US6169543B1 (en) * 1998-12-28 2001-01-02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to include reminder item or local ident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72B1 (ko) * 2000-02-08 2007-12-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시청 내역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8640A (zh) 1999-12-15
CN1181671C (zh) 2004-12-22
JPH11266409A (ja) 1999-09-28
US6462784B1 (en) 2002-10-08
KR100576384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384B1 (ko) 프로그램내용 표시장치와 프로그램내용 표시방법
US6305017B1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selectable non-program options
US56941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guides with category selection overlay
EP0735750B1 (en) Program guide signal receiver for television
US65189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n-screen guide for a multiple 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69548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ont size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US6034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2431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ime and program status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532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endar-based planner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broadcast events
US7047549B2 (en) Television schedul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multiple program occurrences
US6817027B1 (en) Display interface comprising a channel matrix
KR20010021591A (ko) 양방향프로그램안내내비게이터메뉴시스템
KR100592075B1 (ko)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783307B2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H11266408A (ja) 番組内容表示装置と番組内容表示方法とコンテンツ表示装置
KR20050094232A (ko) 디지털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구현 방법
JP4140079B2 (ja) 受信装置
WO2003092273A1 (en) Parental control channel list tracking
US20020029383A1 (en) Television system
US20020100048A1 (en) Upcoming program information display
KR100246794B1 (ko) 프로그램 안내방법
JPH11317885A (ja) 双方向通信リモコン装置
JP2004048538A (ja) 番組表示方法および受信装置
KR1999002685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20000073130A (ko) 티브이(tv)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