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6851A -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851A
KR19990076851A KR1019980704978A KR19980704978A KR19990076851A KR 19990076851 A KR19990076851 A KR 19990076851A KR 1019980704978 A KR1019980704978 A KR 1019980704978A KR 19980704978 A KR19980704978 A KR 19980704978A KR 19990076851 A KR19990076851 A KR 19990076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cksheet
contact angle
absorbent artic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833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필립 베윅-손택
파올로 베글리오
Original Assignee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199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68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Publication of KR1999007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61F13/514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having apertures of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facing the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 흡수 코어(4) 및 배면시이트(3)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면시이트(3)는 천공을 갖는 기체 투과성 중합성 2차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4)는 유체 저장층을 포함하고, 이때 흡수 제품(1)은 저장층과 배면시이트(3)를 가로지르는 유체 접촉각 구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흡수 제품 분야, 특히 생리대의 개발에 기초가 되는 주 소비자 요구는 높은 수준의 보호성과 편안함이다.
흡수 제품의 편안함을 개선시키는 한가지 대단히 바람직한 수단은 소위 "통기성 배면시이트"의 사용이다. 통기성 배면시이트의 한 유형은 2차원 또는 평명 미세다공성 필름이다. 이러한 천공된 통기성 배면시이트는 전형적으로 증기 및 공기 투과성이어서 주변과의 기체 교환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코어중에 저장된 유체의 일부가 증발되어 흡수 제품내에서의 공기의 순환을 증가시킨다. 이는 사용중에, 특히 연장된 사용 기간 동안 다수의 착용자들이 경험한 끈적거리는 느낌을 감소시키므로 특히 유익하다.
그러나, 흡수 제품에서의 통기성 배면시이트의 사용과 관련된 주된 단점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가멘트상으로의 습윤이라 칭하는 누출 가능성의 증가이다. 이러한 통기성 배면시이트는 원칙적으로는 단지 기체 상태의 물질의 이동을 허용하고, 분출, 확산 및 모세관 작용과 같은 물리적 기작이 여전히 일어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유체가 배면시이트를 통해 사용자 가멘트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기작은 제품을 운동중에, 분비량이 많거나 연장된 기간동안 사용하는 경우 더욱 심해진다. 실제로, 통기성 배면시이트가 탁월하게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하는 반면에, 보호 측면에서는 특히 압박 조건하에서 허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 된다.
흡수 제품에서의 이러한 통기성 배면시이트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 가멘트상으로의 습윤 문제점은 당해분야에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예를들어 미국 특허 제 4,341,216 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러층의 배면시이트를 사용하는데 중점을 두어왔다. 유사하게, 공개되지 않은 유럽 특허 출원 제 94203230 호에는 코어 영역상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은 2 개 이상의 통기성층으로 이루어진 통기성 배면시이트를 포함하는 통기성 흡수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되지 않은 유럽 특허 출원 제 94203228 호에는 기체 투과성의 소수성 중합체성 섬유 직물의 외부층과 지향적인 유체 이동성을 갖는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하는 내부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용 통기성 배면시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해결책도 완전한 만족을 주지 못했다. 이는 얇은 제품, 즉 두께가 제품의 편안함에 주요한 변수로서 고려되는 제품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편안함이 증가된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이분법이 존재하며, 따라서 얇은 통기성 제품은 바람직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통기성 배면시이트를 사용하고 요구되는 보호 수준을 유지하는 감소된 두께를 가짐으로써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하는 흡수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얇은 생리대에 통기성 배면시이트를 사용하여 배면시이트와 코어간의 소수성 구배를 생성시킴으로써 높은 수준의 보호성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실리콘 및 클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의 사용 또는 저 표면 에너지 처리에 의해 성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산 및 모세관 작용과 같은 물리적 기작이 방해받고 습윤성이 완전히 제거되거나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표면 에너지 구배의 사용 자체는 공개되지 않은 미국 출원 제 08/442,935 호에 논의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는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는 유체 이동 웹, 예를들어 상면시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웹은 한 방향으로의 유체 이동을 촉진시키며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시킨다. 상기 웹은 중간 부분에 의해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웹의 제 1 표면은 중간부의 표면 에너지 보다 적은 표면 에너지를 가짐으로써 표면 에너지 구배를 생성시킨다. 적합한 저 표면 에너지 물질로는 실리콘, 플루오로중합체 및 장쇄 소수성 탄화수소가 있다. 상기 웹은 유체를 착용자 접촉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흡수 제품용 상면시이트로서 특히 적합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흡수 코어 및 배면시이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코어는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의 중간에 있다. 배면시이트는 코어를 향해 단일 방향의 유체 이동성을 갖는 기체 투과성 이차원 천공 필름을 포함하고, 코어는 유체 저장층을 포함하며, 배면시이트는 외부층을 포함한다. 코어와 배면시이트는 각각 하나이상의 층을 포함하며, 이때 각각의 층은 착용자 대향면과 가멘트 대향면을 갖고, 이들 층의 각 표면은 유체 접촉각을 갖는다. 흡수 제품은 유체 저장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이로부터 외부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여기까지 연장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부분중의 하나이상의 층의 착용자 대향면이 인접층의 인접한 가멘트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는 하부 부분의 하나이상의 층의 가멘트 대향면이 동일한 층의 착용자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은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을 하부 부분의 하나이상의 층의 표면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흡수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수 제품, 특히 사용자 가멘트상으로의 습윤성이 감소된 통기성 배면시이트를 갖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의 제 1 실시태양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1-1 라인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배면시이트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3은 표면상의 액체 소적의 확대된 단면도로, 이때 각 A는 표면과 액체의 접촉각을 나타낸다.
도 4는 2 개의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면상의 액체 소적의 확대된 단면도이며, 따라서 2 개의 상이한 접촉각 A(a) 및 A(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생리대(1), 유아용 기저귀, 실금자용 제품 및 팬티 라이너와 같은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제품들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2), 배면시이트(3), 및 상기 상면시이트(2)와 상기 배면시이트(3)사이에 있는 흡수 코어(4)를 포함한다. 상면시이트(2), 배면시이트(3) 및 코어(4)는 각각 착용자 대향면과 가멘트 대향면을 갖는다. 상면시이트의 가멘트 대향면과 배면시이트의 착용자 대향면은 상기 흡수 제품의 주변부(5)에서 서로 결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부는 흡수 저장층의 가멘트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의 일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흡수 제품은 날개, 측면 랩핑 부재 또는 측면플랩을 갖는다.
배면시이트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제품은 단일 방향 유체 이동성의 통기성 배면시이트(20)를 포함한다. 배면시이트(20)의 주요 역할은 흡수 구조물에 흡수되고 보유된 배설물이 흡수 제품과 접촉하는 물품들, 예를들어 언더팬츠, 팬츠, 파자마 및 언더가멘트를 적시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의 배면시이트는 또한 상기를 통한 증기와 공기의 이동을 허용하여 공기가 상기 배면시이트의 내외로 순환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시이트는 기체 투과성이며 2차원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인 천공된 층(21)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2차원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인"은 실질적으로 1㎜미만, 바람직하게는 0.5㎜미만의 깊이를 갖는 층을 의미하며, 이때 천공은 모두 층의 평면 이내에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2차원 층은 층의 평면에서 돌출되는 천공을 갖는 천공 예비성형된 필름은 포함하지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2차원 층의 천공은 임의의 외형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천공은 또한 다양한 치수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천공은 15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5㎛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차원 배면시이트의 전체 면은 전체 표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천공을 갖는다. 그러나, 중심부 또는 말단부와 같이 표면적의 특정한 영역만 천공을 포함하는 배면시이트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이내로 생각할 수 있다.
배면시이트의 2차원 천공된 층은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시판되는 중합체 물질로 제조된다. 적합한 미세다공 물질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쳐링 캄파니(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의 XMP-1001, 및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의 엑손 케미칼스(Exxon Chemicals)에서 시판하는 XBF-100W를 포함한다. 적합한 물질은 소위 통기성 의류에서의 용도로 당분에 공지된 예를 들면 고텍스(TM) 또는 심파텍스(TM)형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배면시이트로서 사용되는 천공 물질은 유럽 특허 제 293 482 호 및 참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공의 치수는 배면시이트 층의 면을 가로질러 힘을 가하여(즉, 층을 연신시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시이트는 이 2차원 층에 추가하여 또다른 층, 바람직하게는 하나이상의 추가 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배면시이트는 기체 투과성인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배면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배면시이트에서 코어로의 유체 이동을 돕기위한 돌출 천공 또는 상기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제 1 층과 유사한 2차원 천공 층을 갖는 직포, 부직포 성형된 천공 중합성 필름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면시이트의 제 2 층은 1방향 유체 이동 천공 층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중합성 부직포와 같은 중합성 섬유로 구성된 섬유성 패브릭 층을 포함한다. 섬유성 섬유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g/㎡의 기저 중량을 갖는다. 섬유는 임의의 중합성 물질,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방(섬유간 또는 섬유내 혼방) 섬유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섬유와 비흡수성 천연 섬유의 혼방물 또는 면과 같은 처리된 천연 섬유를 제 2 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딩, 카딩 또는 용융 취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층은 한면이 용융취입된 섬유로 덮인 스펀본딩된 섬유의 매트릭스 또는 다르게는 스펀취입된 섬유로 두 면이 모두 덮인 용융취입된 섬유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배면시이트의 제 2 층은 또한 섬유가 팽창하여 섬유간 공간이 감소되는 액체 흡수성 섬유층을 5중량%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시이트는 흡수 제품의 가멘트 대향면에 대해 연장되는 코어에 인접하여 하부에 위치한다. 배면시이트가 2차원층인 하나의 층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 층은 코어에 인접할 것이다. 그러나, 배면시이트가 다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2차원 층은 상기 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코어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하지않을 수 있다. 배면시이트를 구성하는 모든 층은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고 직접 접촉한다.
배면시이트는 전형적으로 흡수 구조물의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측면 플랩, 측면 랩핑 요소 또는 날개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한다.
흡수 코어
본 발명에 따라, 흡수 코어(23)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 1 부분은 (a) 임의의 1 차 유체 분배층(바람직하게는 임의의 2 차 유체 분배층을 함께 갖는다); (b) 유체 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c) 상기 저장층 아래에 있는 임의의 섬유("더스트")층; 및 (d) 다른 임의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흡수 코어는 예상되는 최종 용도에 따라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흡수 제품이 생리대 또는 팬티 라이너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는 15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a. 1 차/2 차 유체 분배층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코어의 제 1 부분의 한가지 선택적인 성분은 1 차 유체 분배층과 2 차 유체 분배층이다. 1 차 분배층은 전형적으로 상면시이트의 아래에 놓이며, 상기 시이트와 유체 연통한다. 상면시이트는 포획된 유체를 상기 1 차 분배 층에서 최종 분배를 위해 저장층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1 차 분배층을 통한 유체의 이동은 흡수 제품의 두께를 통해서 뿐만아니라, 길이 및 폭 방향으로도 일어난다. 또한 선택적인, 그러나 바람직한 2 차 분배층은 전형적으로 상기 1 차 분배층 아래에 놓이며, 상기 1 차 분배층과 유체 연통한다. 이 2 차 분배층의 목적은 유체를 1 차 분배층으로부터 쉽게 포획하여 이를 하부에 놓인 저장층으로 신속히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부에 놓인 저장층의 유체 용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유체 분배층들은 상기 분배층에 전형적인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b. 유체 저장층
1 차 또는 2 차 분배층과 유체 연통하고 전형적으로 이들 층의 하부에 놓이는 유체 저장층(6)이 있다. 이 유체 저장층은 임의의 통상적인 흡수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하이드로겔", "초흡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이라 칭하는 흡수성 겔화 물질을 적합한 담체와 함께 포함한다.
흡수성 겔화 물질은 다량의 수성 체액을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적인 압력하에서 상기 흡수된 유체를 유지시킬 수 있다. 흡수성 겔화 물질은 적합한 캐리어중에 균질하거나 비균질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적합한 캐리어는 이들이 흡수성인한 또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수성 겔화 물질은 거의 대개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약간 가교결합된, 부분적으로 중화된 중합체성 겔화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상기 물질은 물과 접촉시 하이드로겔을 형성한다. 이러한 중합체 물질은 당해분야에 잘 공지된 중합성의 불포화된 산-함유 단량체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캐리어로는 흡수 구조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예를들어 천연 섬유, 개질 섬유 또는 합성 섬유, 특히 플러프 및/또는 티슈 형태의 개질되거나 비개질된 셀룰로즈 섬유가 있다. 적합한 캐리어를 흡수성 겔화 물질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또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와 관련된 티슈 또는 티슈 적층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수 구조물의 실시태양은 티슈를 상기 티슈 자체상에 절첩시켜 형성된 이층의 티슈 적층물을 포함한다. 이들 층을 예를들어 접착제 또는 기계적 상호연결 또는 수소 가교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다른 선택적인 물질을 상기 층들사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강화된 셀룰로즈 섬유와 같은 개질된 셀룰로즈 섬유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섬유를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아크릴(예: Orlon),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불용성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예: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이성분 섬유, 삼성분 섬유, 이들 혼방물 등으로 제조된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표면은 친수성이거나 친수성으로 처리한다. 저장층에 또한 충전제 물질, 예를들어 펄라이드, 규조토, 질석 등을 포함시켜 액체 보유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흡수성 겔화 물질을 캐리어중에 불균질하게 분산시키는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장층은 국소적으로는 균질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층은 저장층의 칫수내에서 한 방향 이상의 분배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불균질 분포를 또한 흡수성 겔화 물질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캐리어들의 적층물이라 칭할 수도 있다.
c. 선택적인 섬유("더스트")층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코어중에 포함되는 선택적인 성분은 저장층에 인접하고 전형적으로는 상기 층의 하부에 놓이는 섬유층이다. 이 하부 섬유층을 전형적으로는 "더스트"층이라 칭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층이 흡수 코어의 제작도중 저장층중의 흡수성 겔화 물질을 부착시키는 기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흡수성 겔화 물질이 섬유, 시이트 또는 스트립과 같은 거대 구조물의 형태인 경우에, 이러한 섬유 "더스트"층은 포함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더스트"층은 패드의 길이를 따라 유체의 신속한 흡입과 같은 일부의 추가적인 유체-취급능력을 제공한다.
d. 흡수 구조물의 기타의 선택 성분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코어는 흡수성 웹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선택적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강화 스크림을 흡수 코어의 개별적인 층들내에, 또는 개별적인 층들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강화 스크림은 유체 이동에 대한 계면 장벽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대개 열 결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구조적인 일체성을 제공하는 경우, 강화 스크림은 대개 열 결합된 흡수성 구조물에는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코어에 포함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차 또는 2 차 유체 분배 층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들과 분리되어 제공되는 또다른 성분은 냄새 억제제이다. 다른 냄새 억제제, 특히 적합한 제올라이트 또는 점토 물질로 코팅되거나 또는 이들과 별도인 활성탄을 흡수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킨다. 이들 성분들을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으나, 종종 분리된 입자들로서 포함시킨다.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24)는 단일층 또는 여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상면시이트는 상기 상면시이트의 착용자 대향면을 제공하는 제 1 층(25), 및 상기 제 1 층과 흡수 코어(23)사이의 제 2 층(26)을 포함한다.
상면시이트는 전체적으로 및 따라서 각 층들이 순응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두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탄성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면시이트를 상기 목적에 이용할 수 있고 당해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물질들, 예를들어 부직포,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면시이트의 하나이상의 층들(바람직하게는 상부층)은 액체 투과성의 천공된 중합체성 필름(2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층은 착용자 대향면으로부터 흡수 구조물로의 유체 이동을 촉진시키는 천공을 갖는 필름 물질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예를들어 미국 특허 제 3,929,135; 4,151,240; 4,319,868; 4,324,426; 4,343,314; 및 4,591,523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면시이트는 전형적으로 흡수 구조물의 전면을 통해 연장되며 바람직한 측면플랩, 측면 랩핑 요소 또는 날개의 일부 또는 전부로 연장되어 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유체 접촉각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하부 부분의 임의의 층은 착용자 대향면 및 가멘트 대향면을 갖고, 상기 표면들의 각각은 유체 접촉각을 가지며, 이때 상기 하부 부분의 상기 층들의 하나이상의 착용자 대향면은 인접층의 인접한 가멘트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에 따라, 상기 하부 부분의 임의의 층은 착용자 대향면 및 가멘트 대향면을 갖고, 상기 층의 상기 표면들의 각각은 유체 접촉각을 가지며, 이때 상기 하부 부분의 상기 층들의 하나이상의 가멘트 대향면은 동일층의 착용자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접촉각 구배가 상기 하부 부분중의 임의의 층의 임의의 표면(착용자 대향면 또는 가멘트 대향면)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접촉각 구배는 동일층의 착용자 및 가멘트 대향면을 가로질러, 또는 하부 부분의 하나이상의 층의 가멘트 대향면과 인접층의 인접 표면사이, 즉 배면시이트의 제 1 층의 착용자와 가멘트 대향면사이, 배면시이트의 제 1 층의 가멘트 대향면과 제 2 층의 착용자 대향면사이, 배면시이트의 제 2 층의 착용자와 가멘트 대향면사이, 또는 임의의 후속적인 배면시이트 층들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층들이 특정한 접촉각 관계를 나타내는 이들 층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하부 부분에 접촉각의 연속적인 구배를 생성시키는 것도 또한 예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명을 간략히 나타내기 위해서 이후부터는 코어의 가멘트 대향면과 배면시이트의 제 1 층의 착용자 대향면사이의 분명하거나 증가된 접촉각 구배의 존재에 촛점을 두기로 한다.
전형적으로, 고체 표면(112)상에 놓인 액체 방울(110)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체 표면과 접촉각(A)을 만든다. 액체에 의한 고체 표면의 습윤성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 A는 감소한다. 액체에 의한 고체 표면의 습윤성이 감소함에 따라, 접촉각 A는 증가한다. 액체-고체 접촉각은 당해분야에 공지된 기법, 예를들어 문헌[Arthur W. Adamson,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Second Edition(1967)], [F.E. Bartell and H.H. Zuidema, J. Am. Chem. Soc., 58, 1449(1936)] 및 [J.J. Bikeman, Ind. Eng. Chem., Anal. Ed., 13, 443(1941)](이들 문헌은 각각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에 보다 상세히 개시된 기법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당해분야의 보다 최근의 문헌으로는 [Cheng, et al., Colloids and Surfaces 43:151-167(1990)] 및 [Rotenberg, et al.,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93(1): 169-183(1983)](이들 문헌은 또한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침착된 수성 유체(예: 수성 체액)에 의해 습윤될 수 있는 표면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친수성 및 습윤성은 전형적으로 관련된 유체 및 고체 표면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으로 정의된다. 이는 문헌[Robert F. Gould, 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Copyright 1964)](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어 있다. 표면은 유체가 상기 표면을 통해 자발적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을때 수성 유체에 의해 젖는다(친수성)고 한다. 환언하면, 표면은 수성 유체가 상기 표면을 통해 자발적으로 퍼지는 경향이 없으면 "소수성"으로 간주된다.
액체 접촉각은 표면 이질성(예를들어,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 예를들어 조도), 오염도, 고체 표면의 화학적/물리적 처리 또는 조성 뿐만아니라 액체의 성질 및 그의 오염도에 따라 변한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는 또한 접촉각에 영향을 준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되면, 접촉각은 증가한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가 증가하면, 접촉각은 감소한다.
액체를 고체 표면(예: 필름 또는 섬유)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낸다:
W=G(1+cosA)
상기식에서,
W는 erg/cm2(x 10-3J/m2)로 측정되는 결합일률이고,
G는 다인/cm(x 103N/m)로 측정되는 액체의 표면 장력이고,
A는 。로 측정되는 액체-고체 접촉각이다.
주어진 액체에 대해서, 결합일률은 액체-고체 접촉각의 코사인에 따라 증가한다(접촉각 A가 0일때 최대값에 도달한다).
결합일률은 주어진 액체 대한 주어진 표면의 표면 에너지 특징을 이해하고 정량화하는데 유용한 수단중 하나이다.
표 a는 특정 유체(예: 물, 그의 표면 장력은 75 다인/cm(75 x 10-3J/m2)이다)에 대한 고체-액체 접촉각과 결합일률간의 관계를 예시하는데 유용하다.
A(。) cos A 1 + cos A W (erg/cm2(x 10-3J/m2))
0 1 2 150
30 0.87 1.87 140
60 0.5 1.50 113
90 0 1.00 75
120 -0.5 0.5 38
150 -0.87 0.13 10
180 -1 0 0
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표면의 결합일률이 감소할때(상기 특정 표면의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냄), 상기 유체의 상기 표면에 대한 접촉각은 증가하며, 따라서 유체는 "구슬" 모양이 되어 보다 작은 접촉 표면적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의 역은 주어진 표면의 표면 에너지가 주어진 유체에 따라 감소할때도 마찬가지로 사실이다. 그러므로, 결합일률은 고체 표면에 대한 계면 유체 현상에 영향을 준다.
보다 중요하게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체 접촉각에 의해 예시되는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성이 유체 이동을 방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 4는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2 개의 영역 (113)과 (115)(예시를 위해 상이한 빗금 표시로 나타냄)를 갖는 고체 표면상에 놓인 유체의 소적(110)을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상황하에서, 영역(113)은 영역(115)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며, 따라서 영역(115)보다 유체 소적에 대한 감소된 습윤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소적(110)은 소적 접촉 영역(115)의 테두리에서 생성된 접촉각(A(a))보다 큰 소적 접촉 영역(113)의 테두리에서의 접촉각(A(b))을 생성시킨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점 "a" 및 "b"를 평면상에 놓았지만, 점 "a" 및 "b"간의 거리 "dx"는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이는 표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소적/표면 접촉 정도를 나타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소적(110)은 표면 에너지 불균형을 경험하며 따라서 영역 (113)과 (115)간의 상대적인 표면 에너지의 차(즉,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성)에 기인한 외부힘을 경험하게 된다. 상기 표면 에너지 차를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낸다:
dF=G[cosA(a)-cosA(b)]dx
상기식에서,
dF는 유체 소적에 대한 전체 힘이고,
dx는 기준 위치 "a"와 "b"간의 거리이고,
G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A(a) 및 A(b)는 각각 위치 "a" 및 "b"에서의 접촉각(A)이다.
cos A(a) 및 cos A(b)에 대해 수학식 (1)을 풀고 이를 수학식 (2)에 대입하면 하기 수학식 (3)을 얻는다:
dF=G[(W(a)/G-1)-(W(b)/G-1)]dx
수학식 (3)을 간단히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dF=(W(a)-W(b))dx
2 개의 표면간의 표면 에너지 차의 중요성은 수학식 (4)에서 명백히 나타나며, 이는 결합일률의 차이의 크기 변화가 힘의 크기에 직접 비례함을 나타낸다.
표면 에너지 효과 및 모세관성에 대한 물리적 성질의 보다 상세한 논의가 문헌[Portnoy K. Chatterjee, Textile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7, Absorbency(1985)] 및 [A.M. Schwartz, Capilliarity, Theory and Practice, Ind. Eng. Chem. 61,10(1969)](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소적에 의해 경험하게되는 힘은 이 경우 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의 방향으로의 코어를 향한 이동을 야기시킬 것이다. 간략성과 표현상 명확성을 위해서,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성을 도 4에 일정하지만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잘-한정된 영역들간의 단일의 뚜렷한 불연속부 또는 경계부로서 나타내었다. 표면 에너지 구배는 또한 연속적인 구배 또는 단계적인 구배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때 임의의 특정 소적(또는 이러한 소적의 부분들)에 가해진 힘은 각각의 특정한 소적 접촉 영역에서의 표면 에너지에 의해 측정된다.
본원에 사용된 "구배"라는 용어는 표면 에너지 또는 결합일률간의 차이에 적용되는 경우 측정가능한 거리에 걸쳐 일어나는 표면 에너지 또는 결합일률의 변화를 나타낸다. "불연속성"이란 용어는 "구배" 또는 변화의 유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때 표면 에너지의 변화는 필수적으로 0의 거리에 걸쳐 일어난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모든 "불연속성"은 "구배"라는 정의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모세관" 및 "모세관성"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하기 라플레이스(Laplace) 식 (5)로 나타내는 원리에 따라 유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내의 통로, 천공, 기공 또는 공간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p=2G(cosA)/R
상기식에서,
p는 모세관압이고,
R은 모세관의 내부 반경(모세관 반경)이고,
G 및 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Emery I. Valko, Penetration of Fabrics, Chem. Aftertreat. Text, Chapter III, (1971), pp. 83-1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A가 90°인 경우, A의 코사인은 0이고, 모세관압이 없다. A가 90°이상인 경우, 코사인 A는 음수이고 모세관 압은 유체가 모세관에 들어가는 것에 저항한다. 따라서, 친수성 수용액의 경우, 모세관 벽은 인식될 만한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도록 친수성 이어야만한다. 또한 R이 증가함에 따라(더 큰 천공/모세관 구조), 모세관압이 감소하므로, R은 의미있는 값을 갖도록 p에 대해 충분히 작아야만 한다.
아마도 모세관 또는 유체 통로 자체의 배향 및 배치에 대한 구배 자체의 특정한 배향 또는 배치가 적어도 표면 에너지 구배의 존재만큼 중요하다.
물은 단지 논의 목적을 위한 예로서 기준 액체로서 사용될 뿐이고 이로 한정하고자함이 아니다. 물의 물성은 잘 확립되어있고, 물은 쉽게 이용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어디에서 수득하든지간에 균일한 성질을 갖는다. 물에 관한 접착일의 개념은 목적하는 유체의 특정한 표면 장력 특징을 고려함으로써 혈액, 생리혈 및 뇨와 같은 다른 유체에도 쉽게 응용될 수 있다.
흡수 코어에 인접하게 접촉 위치하는 배면시이트의 일부에 인접한 비교적 낮은 표면에너지 및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위치된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 부분을 생성시키는 코어와 배면시이트 사이의 표면 에너지 구배를 가짐으로써, 배면시이트는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코어로부터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배면시이트로 유체 방울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액체 방울의 이동은 액체-고체 접촉면상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낮은 표면 에너지 부분과 높은 표면 에너지 부분사이의 접촉각 차에 의해 유도된다. 음의 모세관 압을 생성시키는 생성된 표면 에너지 구배는 흡수 제품상의 천공된 배면시이트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전술된 설명에 따른 표면 에너지 구배를 갖는 천공된 배면시이트를 가짐으로써 습윤 가능성은 감소된다. 일부 사용중의 힘이 수거된 유체를 패드로부터 압착(예를 들면 배면시이트의 하부면을 향해 흡수 코어로부터 압착됨)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이런 바람직하지못한 이동은 유체가 배면시이트의 개구를 통해 패드의 바깥으로 향하고자 할 때 상기 유체를 밀어내는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배면시이트의 표면에 의해 저지될 것이다.
따라서, 유체는 코어와 배면시이트의 층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표면 에너지 구배의 구동력에 의해 흡수 코어에 보다 쉽게 보유된다.
본 발명의 표면 에너지 구배에 관하여, 임의의 이런 구배의 상한 및 하한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임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계면이 표면 에너지 구배를 한정하는 배면시이트와 코어의 영역들은 소수성/친수성 범위가 상이한 면상에 있을 필요가 없다. 즉, 구배는 다양한 정도의 소수성 또는 다양한 정도의 친수성을 갖는 2개의 표면에 의해 확립될 수 있으며, 소수성 표면과 친수성 표면으로 확립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어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부여되는 구동력을 극대화시키고 가멘트 접촉면상의 배면시이트가 완전히 습윤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위해서는, 배면시이트의 상면이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 즉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표면 에너지 구배는 2차원 필름 배면시이트와의 상승효과를 제공하여 배면시이트를 통한 유체 이동을 방지한다. 배면시이트의 제 1 면상의 유체는, 코어로부터 배면시이트 및 가멘트을 향한 그의 이동과 상반되는 2 개의 상이하지만 상보적인 구동력과 직면하게 된다. 이들 2 개의 힘은 유사하게 결합되어 배면시이트를 향한 유체 이동을 방해하여 습윤의 빈도수를 매우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에 따른 천공된 배면시이트와 코어를 디자인 하는데 다수의 물리적 변수가 고려되어야만 하고, 보다 특히 적절한 유체 취급을 위해 표면 에너지 구배의 적절한 크기 및 배치를 고려해야만한다. 이런 인자에는 사용하는 물질에 따른 표면 에너지 차의 크기, 물질의 이동성, 물질의 생체적합성, 다공성 또는 모세관 크기, 전체 캘리퍼 및 기하학, 유체 점도 및 표면 장력, 및 계면의 어느 한 면상의 다른 구조물의 존재 또는 부재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에너지 구배를 제공하는 2 개의 인접한 표면사이의 유체 접촉각의 차이는 10°이상, 바람직하게는 20°이상이어야하고,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면은 90°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이상의 유체 접촉각을 가져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면시이트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및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혼입된 미국 특허 제 4,777,073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후 일반적으로 1982년 9월 28일자로 토마스(Thoma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51,784 호; 1984년 6월 26일자로 토마스에게 허여된 제 4,456,570 호; 및 1985년 8월 13일자로 토마스에게 허여된 제 4,535,020 호의 개시에 따라 코로나 방출 처리와 같은 수단에 의해 친수성이 된다. 그런 다음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면 처리를 천공된 층의 착용자 대향면에 가하고 바람직하게는 경화시킨다. 적합한 표면 처리는 실-오프(Syl-Off) 7677로 시판되는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Dow Corning)의 실리콘 릴리이즈 피복제에 실릴-오프 7048로서 시판되는 가교결합제가 각각 100 대 1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 것이다. 다른 적합한 표면 처리는 각각 100 대 2.5중량부의 양인 UV 9300 및 UV 9380C-D1으로 뉴욕주 와터포드 소재의 제너랄 엘렉트릭 캄파니, 실리콘 제품 지부에서 시판되는 2가지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실리콘 피복제이다. 전형적으로 표면 면적 제곱 미터당 0.25g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g의 양으로 사용되는 낮은 표면에너지 물질이 만족스럽게 수행되지만, 배면시이트의 성질 및 유체의 특징 등에 따른 특정한 용도의 경우 다른 피복 양이 적합할 수도 있다. 배면시이트의 평면성 때문에 낮은 표면 에너지 처리는 천공이 막히지않도록 수행되어야만 한다.
다른 적합한 처리 물질은 불화중합체(예를 들면 상표명 테플론(TEFLON)으로 시판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염화불화중합체와 같은 불화된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않는다.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다른 물질로는 바셀린, 라텍스, 파라핀 등과 같은 탄화수소가 있으며, 실리콘 물질이 현재 생체적합성 때문에 흡수 제품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체적합성"은 생물종 또는 당단백질, 혈소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낮은 수준의 특이적 흡착성, 또는 달리 말하자면 낮은 친화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런 물질은 사용 조건하에서 다른 물질보다 더 큰 정도로 생물학적 물질에 침착하지않는 경향이 있다. 이 성질은 후속적인 유체 취급 상황에 필요한 표면 에너지 성질을 더 잘 보유할 수 있게 한다. 생체적합성이 없으면, 이런 생물학적 물질의 침착이 표면의 조도 또는 불균일성을 증가시켜, 유체 이동을 저지시키는 힘 또는 저항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생체적합성은 유체 이동에 대한 저지력 또는 저항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유체가 표면 에너지 구배 및 모세관 구조에 더 빨리 접근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에너지를 유지하면서 또한 후속의 유체 침착 또는 침착동안에 원래의 표면 에너지 차가 유지된다.
그러나, 생체적합성은 낮은 표면 에너지와 동의어는 아니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부 물질은 어느 정도의 생체적합성을 나타내지만 또한 상당히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낸다. 실리콘 및 불화 물질과 같은 현재 바람직한 물질은 낮은 표면 에너지 및 생체적합성 모두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흡수 제품을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 코어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연결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예를 들면 배면시이트 및/또는 상면시이트를 접착제의 일정한 연속 층, 접착제의 패턴 층 또는 접착제의 임의의 개별적인 선, 나선 또는 점의 배열에 의해 흡수 코어에 또는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요소들을 열 결합, 가압 결합, 초음파 결합, 동력학적 결합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연결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흡수 제품을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용 실금자용 제품 및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로서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본원에 개시된 성분에 추가하여 흡수 제품은 또한 날개 및 측면 플랩, 언더가멘트 접착 수단 및 릴리이즈 페이퍼, 랩핑 요소, 고착 수단 등과 같은 이런 용도에 적합한 제품에 전형적인 모든 특징 및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시험 방법
시험 방법 1a 및 1b - 습윤 시험
습윤 시험은 체 분비물의 이동을 방해하는 통기성 배면시이트 또는 배면시이트 제조물의 성질을 평가하기위해 사용된다. 이는 시험 용액의 조성을 단순히 변화시킴으로써 전체 범위의 체 분비물에 대해 다공성 배면시이트의 액체-불투과성 정도의 직접적인 측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의 기본 원리:
시험의 기본 원리는 체 분비물을 이용하여 일회용 흡수 제품의 사용중 부하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위해 예를 들면 생리대를 제조하고 방풍 유리로 제조된 투명한 시험대에 편평하게 위치시킨다. 제품을 착용자 대향면(윗면)이 노출되고 가멘트 대향면(배면)이 시험대와 접촉하게 놓는다. 분석할 시료위에 목적하는 시험 액체의 임의의 목적하는 양을 전달(한꺼번에 또는 경우에 따라 일련의 단계로)시킬 수 있는 액체 이동 시스템을 매단다.
시험 시료의 최외부면과 투명한 시험대 사이에 흡수 여과지 시이트(이탈리아 카티에라 파비니 에스피에이(Cartiera Favini S.p.A.)에서 제조된다; 타입 업소벤테 비안카 "N30"(이탈리아 퍼루기아 디타 브라기올라))를 놓는다. 이 흡수 여과지를 예를 들면 팬티에 부착된 생리대 또는 의류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기저귀/실금자용 기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시험 시료의 배면시이트와 긴밀하게 접촉시킨다. 투명한 시험대의 바로 아래에는 흡수 여과지(체 분비물을 시뮬레이션한 착색 용액으로 습윤됨)의 임의의 변화가 연속적으로 관찰되도록 거울을 놓는다. 예를 들면, 다공성 배면시이트가 액체 이동에 적절하게 저항하지 못하는 경우, 여과지는 착색 용액으로 습윤될 것이고 이는 거울로 관찰할 수 있다. 이동의 시간 의존성에 추가하여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흡수 여과지(팬티를 시뮬레이션한 것)상의 얼룩의 크기로서의 이동된 용액의 크기가 쉽게 측정될 수 있다.
하기 설명한 바람직한 시험 방법에 따라 시료 뷰렛을 통해서 보정된 전달 시스템을 통해 시험 시료에 시험 용액을 도입한다. 일단 패드가 시험 용액으로 충전되면 상면시이트(착용자 대향면)에 시험 용액이 고여있지않도록 용액이 시험 시료로 흡수되게 1분간 기다린다.
1분동안 기다린 다음, 시험 시료를 보다 응력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중에 수득될 수 있는 압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70g/㎠(제곱 cm당 g)의 압력하에 놓는다. 시험 시료를 30분 이상의 기간동안 70g/㎠의 압력하에 유지시키고, 예를 들어 흡수지상의 착색 얼룩 면적을 10 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혈액과 같은 일부 체 분비물의 이동성 및 미세다공성 배면시이트를 통한 확산 과정이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연장된 시간동안 측정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습윤 실패 기작을 이해하는 것과 정확한 시험 디자인을 지키는 것이 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한다. 예를 들면 비교적 큰 천공(200㎛이상)을 갖는 통기성 배면시이트가 시험 시료를 가압하였을 때 비교적 빨리 일어날 수 있는 압출 과정(앉았을 때 미치는 압력이 비교적 큰 천공을 통해 액체에 가해지는 경우와 같은)에 의해 보다 실패하기 쉽다. 대조적으로, 더 작은 천공(200㎛ 미만)을 갖는 다공성 물질은 단순한 확산 또는 모세관 구동성 확산 과정에 의해 보다 실패하기 쉽다. 이런 과정은 압출 과정보다 느리다.
방법 1a: 고 분출 시뮬레이션
본 제 1 시험 디자인에서는 높은 부하량(시험 용액의 급작스러운 분출) 시뮬레이션하에서의 다공성 배면시이트의 불투과성을 측정한다. 이러한 사용중 시뮬레이션은 전형적으로 흡수 코어(또는 구조물)가 기능하여 체 분비물을 적절하게 흡수하고 결합하는 한정된 기간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제어하기 가장 어렵다(이는 종종 장기간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나는 경우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셀룰로즈 섬유(에어펠트, 티슈)로 구성된 흡수 코어 및 흡수성 겔화 물질은 액체가 적절하게 흡수되고 단단히 결합할 때까지 몇분이 소요된다. 공극 또는 섬유간 공간을 차지하고있는 결합되지않은 분비물은 매우 유동적이고 다공성 배면시이트로 빨리 이동하여 가압하에서 압출되거나 모세관 힘에 의해 배면시이트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고 분출 시뮬레이션은 전형적인 생리대에 대해 하기의 조건하에서 상기 일반적인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시험 용액: 합성 뇨 + 1% 계면활성제 또는 인조 생리혈 + 1% 계면활성제
분출 부피(㎖): 생리대의 경우 10㎖
분출 속도(㎖/분): 10(즉 60초에 10㎖)
가해진 압력(1초간 기다린 후): 70g/㎠
결과는 10, 20, 30분 경과후 제곱 cm 당 얼룩/습윤 영역으로서 보고된다.
방법 1b: 반복적인 부하 시뮬레이션
본 시험 디자인에서, 체 분비물이 한번에 배출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반복 배출되는 보다 전형적인 부하 조건하에서 통기성 배면시이트의 불투과성을 측정한다. 전형적인 생리대에 대해 수행된 반복 부하 시뮬레이션은 하기의 구체적인 조건을 사용하여 상기 일반적인 설명에 따라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시험 시료의 중간에 위치된 시험 용액(하기 참조) 5㎖을 시료에 가한다. 1분간 시험 액체가 흡수되기를 기다리고 5분동안 압력을 가한다. 이 기간 후에 완전히 습윤된 크기(면적)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압력을 곧 제거하고 시료에 다시 5㎖의 시험 용액을 부하한다. 다시 1분간 액체가 흡수되기를 기다리고 시료(이제는 10㎖의 시험 용액을 함유함)에 5분간 압력을 가한다. 이 기간 후에 완전히 습윤된 크기(면적)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압력을 곧 제거하고 시료에 다시 5㎖의 세번째 시험 용액을 부하한다. 다시 1분간 액체가 흡수되기를 기다리고 시료(이제는 15㎖의 시험 용액을 함유함)에 5분간 압력을 가하고 얼룩 크기(완전히 습윤된)를 다시 측정한다. 패드에 20㎖의 용액이 부하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패드를 또다른 30분동안 부하한후 최종 습윤 영역을 측정한다.
시험 용액: 합성 뇨 + 1% 계면활성제 또는 인조 생리혈 + 1% 계면활성제
분출 부피(㎖): 생리대의 경우 5㎖씩 단계적으로 반복
최대 부하량: 20㎖
부하 속도(㎖/분): 2.5(즉 2분에 5㎖)
가해진 압력(1초간 기다린 후): 70g/㎠
결과는 5, 10, 15 및 20㎖ 부하시는 5분 경과후 20㎖ 부하시는 부하후 5분 및 30분 경과후 제곱 cm 당 얼룩/습윤 면적으로서 보고된다.
시험 방법에 사용되는 시험 용액 유형 및 부피
시험 용액 조건을 가능한 통기성 배면시이트 디자인을 쉽게 평가하도록 사용되는 제품 최종 용도에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리대는 생리적 분비물을 함유하도록 디자인된다. 이들 분비물은 여성에 따라 상당히 다양할 수 있고 일일 위생 습관(세수, 세탁 등)에 의한 다양한 수준의 지방산 및 세제 유형의 오염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매우 유동적이고 매우 낮은 표면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실제적인 생리적 분비물 양상을 하기 상세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양의 혈액 및 뮤신으로부터 유도된 인조 생리혈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험 용액의 부피는 1회 분출시 5㎖까지면 모든 사용중 분출 상황의 99%가 이 범위내에 들정도로 충분히 높다. 유사하게 사용중 생리대는 반복적으로 20㎖까지(모든 생리대의 95%가 이범위에 포함된다) 반복적으로 부하될 수 있고 거의 이 보다 높지 않다. 전형적으로 생리대는 10㎖(모든 생리대의 90%)이하의 부하량을 갖는다.
비록 실금자용 패드, 유아용 기저귀 또는 팬티라이너(생리 기간중에 또는 기간의 시작/끝에 여성에 의해 착용된다)가 생리대와는 다른 필요조건을 갖지만, 뇨 분비물에 더 가까운 시험 용액이 생리대상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 오염물(지방산, 계면활성제 및 세제 잔여물)이 여전히 발견되고 합성 뇨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은 사용중 발견되는 조건에 잘 상응한다. 여성용 위생 제품(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가벼운 요실금 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통상적이므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합성 뇨 용액을 이용하여 잠재적인 통기성 배면시이트 물질 또는 구조물을 평가하는 것 또한 적절하다. 부피는 또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조건을 반영하도록 선택된다. 기저귀 또는 보다 응력을 받는 실금자용 용도에 대해서, 본 방법을 보다 많은 시험 용액 부하 부피 및 전달 속도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시험 용액의 제조: 합성뇨 + 1% 계면활성제(우레아B/1%)
시험 용액인 합성뇨를 먼저 10 ㎏ 마스터 배치로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보다 적은 양을 제거하고 계면활성제를 가한다. 각각 10 ㎏의 우레아B 배치는 하기의 성분들로 구성된다:
성분 화학식 양/10 ㎏ 배치
우레아 200 g
염화 나트륨 NaCl 90 g
황산 마그네슘 MgSO4·7H2O 11 g
염화 칼슘 CaCl2 6 g
증류수 H2O 9693 g
다음 방법에 따라 10㎏들이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개별적인 측정을 위해, 전형적으로 100 ㎖의 우레아B/1% 계면활성제의 시험 용액을, 우레아 B 용액 90 ㎖과 계면활성제 10 ㎖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우레아B/1% 용액은 성분들이 사용전에 분리되지 않도록 항상 혼합되어야 한다.
시험 용액의 제조: 인조 생리혈 + 1% 계면활성제
인조 생리혈(AMF)은 점도, 전기 전도도, 표면 장력 및 외관면에서 인간의 생리혈과 매우 유사하게 변형시킨 양(sheep)의 혈액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1%)를 상기 시험 유체(페게시스/USA에 의해 공급된 것)에 도입시켜 혈액의 표면 장력을 낮추게 되는 전형적인 위생 관행(및 몇몇 제한된 상황하에서는 음식물의 영향)이 추가의 계면활성제 또는 예상치 못한 수준의, 예를들어 지방산을 도입시킬 수도 있는 응력 상황을 보다 잘 반영시켰다. 저 표면 장력의 생리혈은 생리대와 같은 통기성 흡수 제품에 대한 배면시이트 습윤 실패에 가장 큰 기여요소이다.
시약:
1) 피브린 제거된 양의 혈액을 유니패스 에스피에이(Unipath S.p.A{Garbagnate Milanese/Italy})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2) 제이티 베이커 홀랜드 레젼트 그레이드(J.T. Baker Holland Reagent Grade)로부터의 젖산(85 내지 95% w/w).
3)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 USA로부터 시약 등급의 수산화 칼륨(KOH).
4)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 USA로부터 시약 등급의 인산염 완충 염수 정제.
5) 시그마 케마칼 캄파니 USA로부터 시약 등급의 염화 나트륨.
6) 시그마 케마칼 캄파니 USA로부터 타입 III(CAS 84082-64-4)의 위 뮤신.
7) 증류수.
단계 1:
젖산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9 ± 1%의 젖산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2:
KOH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 수산화 칼륨(KOH) 용액을 제조한다.
단계 3:
지시된 정제를 1 ℓ 증류수에 용해시켜 pH 7.2로 완충된 인산염 완충액을 제조한다.
단계 4:
460 ± 5 ㎖의 인산염 완충액과 7.5 ± 0.5 ㎖의 KOH 용액의 조성을 갖는 용액을 제조하고 45 ± 5 ℃로 서서히 가열한다.
단계 5:
약 30 g의 위 뮤신을 단계 4에서 제조한 에열(45 ± 5 ℃) 용액에 서서히 용해(일정하게 교반하면서)시켜 점성 용액을 제조한다. 일단 용해되면 용액의 온도를 50 내지 80 ℃로 상승시키고 혼합물을 약 15 분간 덮어둔다. 열을 줄여 40 내지 50 ℃의 비교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고 2.5 시간동안 계속 교반한다.
단계 6:
고온 플레이트로부터 용액(단계 5로부터)을 회수하여 40 ℃ 미만으로 냉각시킨다. 10% 젖산 용액 2.0 ㎖을 가하고 2 분간 철저히 혼합한다.
단계 7:
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15 분간 121 ℃의 온도로 가열한다.
단계 8: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피브린 제거된 양의 혈액으로 1:1로 희석한다.
AMF의 제조에 이어서, 그의 점도, pH 및 전도도를 혈액 특징이 보통의 생리혈과 근사한 범위에 있도록 정한다(문헌[H.J. Bussing "zur Biochemie de Menstrualblutes" Zbl Gynaec, 179,456(1957)] 참조). 점도는 7 내지 8(단위 cStK)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pH는 6.9 내지 7.5의 범위에 있고 전도도는 10.5 내지 13(단위 mmho)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점도가 상술한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이를 사용할 수 없으며 새로운 배치의 AMF를 제조해야 한다. 이는 사용된 위 뮤신의 양을 조절할 것으로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천연 산물이기 때문에 그의 조성은 각각 다를 수도 있다.
개별적인 측정을 위해서, 전형적으로 계면활성제를 갖는 100 ㎖의 AMF 시험 용액을 AMF 용액 90 ㎖(25 ℃에서 유지된 것)과 계면활성제 10 ㎖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AMF/1% 계면활성제 용액을 성분들이 사용전에 분리되지 않도록 항상 혼합해야 한다. 상기 용액을 제조한지 4 시간내에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을 나타내는 실시예는 시험 방법 1a 및 1b에 따라 시험하고 결과는 표 1에 자세히 나타낸다. 각각의 시험 샘플을 상기 배면시이트 구조물에 대한 긴밀한 유체 접촉부 또는 그의 일부를 형성하는 물질에 특정한 처리를 가함을 제외하고 모든 면에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제조하였다. 시험 샘플로, 프록터 앤드 갬블 게엠베하(Schwalbach/Germ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상표명 "Always Ultra Normal"로 생산되는 생리대 패드를 전체 구조물에 대해 배면시이트를 매우 적게 부착시킴을 제외하고 통상적인 제작 공정에 따라 제작하였다. 이에 의해 기존의 불투과성(액체 및 기체에 대해) 플라스틱 필름이 제거되고 또다른 통기성 배면시이트가 대체된 배면시이트가 수득되었다. 생리대의 구조는 추가적인 표면 처리(실리콘 코팅제를 통한 하나의 액체/고체 표면의 표면 에너지의 강하)를 제외하고 모든 실시예에 대해 동일하였다.
실시예 1(참고)
본 실시예에서는 생리대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가소성 불투과성 배면시이트를 미세다공성 필름(제조 코드 엑사이르(Exxaire) XBF-100W로서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된다)으로 대체하여 흡수 코어와 직접 접촉하도록 위치시킨다. 추가의 층 또는 추가의 표면 처리가 없다.
실시예 2
이는 천공된 미세다공성 필름(제조 코드 엑사이르 XBF-100W로서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된다)의 착용자 대향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흡수 코어 티슈의 가멘트 대향면을 기저 중량 약 6g/㎡의 열 경화된 실리콘으로 처리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리콘은 미국 소재의 다우 코닝(Dow Corning)(상표명 실-오프 7048 가교결합제/실-오프 7677 박리 피복제(혼합비율 10%: 90%)로서 시판된다) 제품이다.
실시예 3
이는 미세다공성 필름(제조 코드 엑사이르 XBF-100W로서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된다)의 착용자 대향면을 기저 중량 약 2g/㎡의 열 경화된 실리콘으로 처리(프린트)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리콘은 미국 소재의 다우 코닝(상표명 실-오프 7048 가교결합제/실-오프 7677 박리 피복제(혼합비율 10%: 90%)로서 시판된다) 제품이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는 추가 층이 코어의 가멘트 대향면 및 미세다공 필름(제조 코드 엑사이르 XBF-100W로서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된다)의 착용자 대향면에 인접하게 존재한다. 이 층은 저밀도 PE(제조 코드 X-1522로 미국 소재의 드레데가 코포레이션(Tredegar Corporation)에서 공급된다)로 제조된 천공 필름이다. 천공 필름의 착용자 대향면(흡수 코어의 가멘트 대향면과 접촉하게 위치된)을 기저 중량 약 2g/㎡의 열 경화된 실리콘으로 추가 처리하였다. 실리콘은 미국 소재의 다우 코닝(상표명 실-오프 7048 가교결합제/실-오프 7677 박리 피복제(혼합비율 10%: 90%)로서 시판된다) 제품이다.
실시예 5
이 실시예에서는 시료 미세다공 필름(제조 코드 엑사이르 XBF-100W로서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에서 공급된다)의 가멘트 대향면상에 추가의 층을 첨가하였다. 이 층은 적층된 부직물(상표명 MD 2005로서 독일 소재의 코로빈 게엠바하(Corovin GmbH)에 의해 제조된 14MB/14SB)로 구성된다. 14g/㎡의 스펀본드 및 14g/㎡의 용융취입(착용자 대향면)으로 구성된 적층된 부직포를 기저 중량 약 4g/㎡의 열 경화된 실리콘으로 추가 처리하였다. 실리콘은 미국 소재의 다우 코닝(상표명 실-오프 7048 가교결합제/실-오프 7677 박리 피복제(혼합비율 10%: 90%)로서 시판된다) 제품이다.
각각의 실시예의 습윤 시험 결과
습윤 시험 시험 용액 시험 디자인 방법 비처리시의 습윤*(㎠) 처리시의 습윤*(㎠)
실시예 1 우레아B/1% 1a 45 -
실시예 1 AMF/1% 1a 55 -
실시예 1 AMF/1% 1b 105 -
실시예 2 우레아B/1% 1a 45 15
실시예 2 AMF/1% 1a 55 25
실시예 2 AMF/1% 1b 105 70
실시예 3 우레아B/1% 1a 45 20
실시예 3 AMF/1% 1a 55 30
실시예 3 AMF/1% 1b 105 80
실시예 4 우레아B/1% 1a 45 0
실시예 4 AMF/1% 1a 55 0
실시예 4 AMF/1% 1b 105 0
실시예 5 우레아B/1% 1a 45 0
실시예 5 AMF/1% 1a 55 0
실시예 5 AMF/1% 1b 105 0
* 제품 부하 30분 후에 기록한 습윤 값이다
유체 접촉각 측정: 방법 번호 2
액체 접촉각 시험은 고체 표면과 액체 소적간의 계면 특성을 평가하는 표준 시험이다. 접촉각, 즉 표면에 대해 소적이 형성하는 접촉각은 여러 상호작용의 반영이다. 액체-고체 상호작용의 성질이외에 액체의 성질, 그의 표면 장력, 고체 및 표면의 성질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거친 표면에 대한 소적은 전형적으로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갖는 매끄러운 표면에 대한 소적보다 더 큰 접촉각을 나타낸다. 물의 소적이 90° 이상의 접촉각을 나타낸다면, 그 표면은 액체에 대해 "소수성"으로 간주된다. 만일 그 접촉각이 90°미만이면 그 표면은 "친수성"으로 간주된다.
방법의 기본 원리:
액체가 표면에 대해 만드는 접촉각은 표면상의 소적의 광학적 분석에서부터 보다 신뢰성있는 기법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기법들로 측정할 수 있다. 접촉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은 "윌헬미 플레이트 기법(Wilhelmy Plate Technique)"이다. 이 기법의 원리는 고체 샘플을 수 용기상에 매달고 상기 샘플을 한정된 깊이로 상기 물내로 서서히 강하시키고 이어서 이를 회수하는 것이다. 이어서 접촉시(침지 깊이 0) 상기 물질 샘플에 대해 물에 의해 발휘되는 지연력을 미세저울에 의해 측정하고 접촉각의 코사인을 하기 식으로부터 측정한다:
상기식에서,
F는 저울에 의해 측정되는 0의 침지 깊이에서의 샘플 힘(㎎)이고,
P는 계면에서의 샘플의 주변부(cm)이고,
ST는 표면 장력(다인 cm)이고,
CosΦ는 접촉각의 코사인이고,
g는 (위치 측정시) 중력 가속도이다.
접촉각의 측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칸 인스트러먼츠 인코포레이티드(Cahn Instruments, Inc., Cerritos CA 90701-2275 U.S.A)에 의해 제작된 자동화된 "동력학적 접촉각 분석기(모델 DCA-322)"이다. 평가되는 각각의 물질(표 참조)에 대해서, 샘플(24 mm x 30 mm)을 준비하고 이를 장치 사용법에 명시된 대로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시킨다. 물질 샘플의 표면이 달리 오염되지 않도록 접촉되지 않게 대단히 조심해야 한다. 각 물질을 측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제작시 변수 또는 표면 불규칙성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5 회 측정한다.
액체/고체 물질의 표면 접촉 각 및 상기 개시된 실시예의 표면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번호 표면 비처리된 접촉각* 처리된 접촉각
실시예 3 엑사이르 XBF-100W 미세다공 필름, 미국 소재의 엑손 케미칼 캄파니 85 105
실시예 2 코어 티슈공급자: 덴마크 소재의 워키소프트 약 0 131
실시예 4 LDPE 필름 코드 X-1522공급자: 미국 소재의 트레데가 102 121
실시예 5 부직 MD2005(14SM+14MB)독일 피엔 소재의 코로빈 게엠바하 117 140
표면에 대한 액체의 접촉각 및 모세관 또는 압출 공정을 통해 액체를 전달하는 다공성 물질의 능력은 표면 이탈 또는 표면 구조, 액체의 성질, 및 표면과의 상호작용 뿐만아니라 이동 기작에 따라 다르다. 본 시험에 사용된 시험 용액은 고도로 친수성이고 높은 표면 장력을 갖는 증류수이다. 이에 의해 생리혈 또는 뇨 유형의 분비물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거나 예상되는 것들보다 높은 접촉각을 생성시킨다. 물에 의한 90°이상의 접촉각은 물질의 공극이 생리혈 유형의 분비물에 대해 음의 모세관력을 발휘할 것을 내포하지 않는다. 그러나, 접촉각의 증가는 문제의 물질을 통한 액체 이동(모세관 또는 압출을 통해) 정도/효율을 감소시키는 쪽으로 작용할 것이다.

Claims (17)

  1.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흡수 코어 및 배면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가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의 중간에 있는 일회용 흡수 제품으로,
    상기 배면시이트는 기체 투과성 2차원 천공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유체 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시이트는 외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및 상기 배면시이트는 각각 착용자 대향면과 가멘트 대향면을 갖는 하나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층들의 상기 표면들은 각각 유체 접촉각을 가지며,
    상기 흡수 제품은 상기 유체 저장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이로부터 상기 외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여기까지 연장된 하부 부분을 갖고,
    이때 상기 하부 부분의 상기 층들중 하나이상의 착용자 대향면이 인접층의 인접한 가멘트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 흡수 제품.
  2.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흡수 코어 및 배면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가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의 중간에 있는 일회용 흡수 제품으로,
    상기 배면시이트는 기체 투과성 2차원 천공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유체 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시이트는 외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및 상기 배면시이트는 각각 착용자 대향면과 가멘트 대향면을 갖는 하나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층들의 상기 표면들은 각각 유체 접촉각을 가지며,
    상기 흡수 제품은 상기 유체 저장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이로부터 상기 외층의 가멘트 대향면을 포함하여 여기까지 연장된 하부 부분을 가지며,
    이때 상기 하부 부분의 상기 층들중 하나이상의 가멘트 대향면이 상기 동일층의 착용자 대향면의 유체 접촉각보다 큰 유체 접촉각을 갖는 흡수 제품.
  3.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을 하나이상의 층의 표면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흡수 제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층들중 하나이상이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이 경화성 실리콘, 플루오로중합체, 탄화수소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일회용 흡수 제품.
  6.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부분의 층의 가멘트 대향면 또는 착용자 대향면이 상기 표면의 m2당 0.25 g 이상의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7. 제 1 항 내지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면시이트가 2개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배면시이트의 제 2층이 2차원 층의 착용자 대향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일회용 흡수 제품.
  9. 제 7 항에 있어서,
    배면시이트의 제 2층이 2차원 층의 가멘트 대향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일회용 흡수 제품.
  10. 제 7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층이 천공 중합성 성형 필름 또는 2차원 중합성 천공 층 또는 섬유층인 일회용 흡수 제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가 제 1 부분이 저장층을 포함하고 제 2 부분이 섬유층을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며, 이때 섬유층이 배면시이트에 인접한 일회용 흡수 제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의 착용자 대향면이 인접한 면의 액체 접촉각보다 10°이상 큰 액체 접촉각을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접촉각이 인접한 면의 액체 접촉각보다 20°이상 큰 일회용 흡수 제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층의 가멘트 대향면의 액체 접촉각이 90°이상인 일회용 흡수 제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표면의 액체 접촉각이 100°이상인 일회용 흡수 제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이 생리대 또는 팬티라이너인 일회용 흡수 제품.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에 연속적인 액체 접촉각 구배를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
KR1019980704978A 1995-12-28 1996-12-19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KR10027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120647 1995-12-28
EP95120647.3 1995-12-28
US95120647.3 1995-12-28
PCT/US1996/020683 WO1997024095A1 (en) 1995-12-28 1996-12-19 Absorbent articles having fluid contact angle gradients and apertured backsheet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851A true KR19990076851A (ko) 1999-10-25
KR100272833B1 KR100272833B1 (ko) 2000-12-01

Family

ID=821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978A KR100272833B1 (ko) 1995-12-28 1996-12-19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874612B2 (ko)
JP (1) JP3245176B2 (ko)
KR (1) KR100272833B1 (ko)
CN (1) CN1211911A (ko)
AT (1) ATE222482T1 (ko)
AU (1) AU1469697A (ko)
BR (1) BR9612383A (ko)
CA (1) CA2241744C (ko)
DE (1) DE69623130T3 (ko)
ES (1) ES2177831T5 (ko)
HK (1) HK1016454A1 (ko)
MX (1) MX9805293A (ko)
TW (1) TW344659B (ko)
WO (1) WO1997024095A1 (ko)
ZA (1) ZA96109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3464B2 (en) * 1996-06-17 2003-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eathable absorbent articles
PL186958B1 (pl) 1996-12-20 2004-04-30 Kimberly Clark Co Wyrób chłonny
EP0922444A1 (en) * 1997-12-11 1999-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e use of a breathable absorbent article to provide a clean and dry topsheet
EP0934736A1 (en) * 1998-02-04 1999-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breathable backsheet comprising slanted capillary apertures
JPH11348163A (ja) * 1998-06-03 1999-12-21 Mitsui Chem Inc 吸収性物品用バックシート材
EP0985392A1 (en) * 1998-09-07 2000-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super hydrophobic layers
JP3851737B2 (ja) * 1999-01-21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US6177607B1 (en) 1999-06-25 2001-0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roduct with nonwoven dampness inhibitor
US6673980B1 (en) 1999-07-16 2004-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roduct with creped nonwoven dampness inhibitor
DE20311313U1 (de) 2003-07-23 2003-10-02 RKW AG Rheinische Kunststoffwerke, 67547 Worms Perforierter Film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US8178748B2 (en) * 2008-02-15 2012-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8974432B2 (en) 2010-07-22 2015-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EP2535061B1 (en) 2011-06-16 2014-07-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oling composition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same
US11007082B2 (en) 2014-07-23 2021-05-18 Innovative Therapies Inc. Foam laminate dressing
EP3834791A1 (en) 2019-12-11 2021-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net article comprising a lower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3903A (en) * 1971-11-30 1978-07-04 Johnson And Johnson Hydrophobic sheet with hydrophilic passages
US3881489A (en) * 1973-08-20 1975-05-06 Procter & Gamble Breathable, liquid inpervious backsheet for absorptive devices
JPS55116802A (en) 1979-02-28 1980-09-08 Kao Corp Permeable disposable diaper
US4323069A (en) * 1980-05-12 1982-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termediat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core
US4648876A (en) 1982-09-24 1987-03-10 Personal Products Company Breathable panty liner
US4735843A (en) * 1986-12-18 1988-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ectively surface-hydrophilic porous or perforated sheets
US5611879A (en) * 1987-12-18 1997-03-18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with a variable density in the Z direction and a method of forming said article
US5330457A (en) * 1991-09-30 1994-07-19 Hercules Incorporated Enhanced core utilization in absorbent products
SE508402C2 (sv) * 1992-04-28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ptionskropp i ett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dambinda, trosskydd, inkontinensskydd, blöja och liknande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tt banformat absorptionsmaterial
US5370764A (en) * 1992-11-06 1994-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making film laminated material
US5368910A (en) * 1993-04-02 1994-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plastic web having improved fluid drainage
CA2116081C (en)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US5545155A (en) * 1994-03-30 1996-08-13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with plates
EP0705583A1 (en) 1994-10-07 1996-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and water vapour permeable absorbent articles and their fixation to undergar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6454A1 (en) 1999-11-05
BR9612383A (pt) 1999-07-13
JPH11501561A (ja) 1999-02-09
WO1997024095A1 (en) 1997-07-10
MX9805293A (es) 1998-10-31
TW344659B (en) 1998-11-11
ES2177831T5 (es) 2006-05-16
KR100272833B1 (ko) 2000-12-01
EP0874612B2 (en) 2005-12-07
ZA9610902B (en) 1997-08-01
CA2241744A1 (en) 1997-07-10
AU1469697A (en) 1997-07-28
CA2241744C (en) 2003-06-10
JP3245176B2 (ja) 2002-01-07
ATE222482T1 (de) 2002-09-15
DE69623130D1 (de) 2002-09-26
EP0874612A4 (en) 2000-05-17
DE69623130T2 (de) 2003-05-28
DE69623130T3 (de) 2006-07-06
EP0874612A1 (en) 1998-11-04
ES2177831T3 (es) 2002-12-16
EP0874612B1 (en) 2002-08-21
CN1211911A (zh)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832B1 (ko) 유체 접촉각 구배를 갖는 흡수 제품
US6232521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fluid contact angle gradients
KR100272833B1 (ko) 유체 접촉각 구배 및 천공된 배면시이트 층을 갖는 흡수 제품
US20010027303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reduced topsheet adhesion
US20050256476A1 (en) Breathable absorbent articles and composites comprising a vapor permeable, liquid barrier layer
CZ385196A3 (en) Absorption article, structure contained in the absorption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structure
KR100249614B1 (ko) 이중 층 필름 상면시이트를 갖는 생리용품
KR20010104384A (ko) 기본 중량이 감소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향상된 통기성배면시이트를 갖는 흡수 제품
US20020123729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fluid contact angle gradients and apertured backsheet layer
AU746159B2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fluid contact angle gradients and apertured backsheet layer
KR19990044457A (ko) 선택된 천공 분포를 갖는 다중 천공 크기의 필름 상면시이트를 갖는 위생용품
MXPA98007271A (en) Absorbent articles that have reduced adhesion of the super sheet
CZ287970B6 (cs) Pružný absorpční výrob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