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6841A -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기상 레이다 - Google Patents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기상 레이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841A
KR19990076841A KR1019980704968A KR19980704968A KR19990076841A KR 19990076841 A KR19990076841 A KR 19990076841A KR 1019980704968 A KR1019980704968 A KR 1019980704968A KR 19980704968 A KR19980704968 A KR 19980704968A KR 19990076841 A KR19990076841 A KR 1999007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ance factor
radar
predicted value
attenuated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009B1 (ko
Inventor
앙리 쏘바죠
다니엘 베겡
레지 드빈느
Original Assignee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filed Critical 게네비브 부 탄
Publication of KR1999007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0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4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 G01S7/025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involving the transmission of linearly polarised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이 처리는 2 개의 편광 채널 (H, V) 상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먼저 단일 편광 상에서 거리 (i) 까지 각각의 문에서 레이다 빔을 따라 강수율( )의 예측(19, 30 내지 32)을 결정하고, 강수율의 적분의 제 1 예측값 (I1)을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감쇠 미분 반사율(ZHa(γ))로부터 비감쇠 미분 반사율 계수(ZDRs(γ))의 예측(35 내지 38, 47, 48)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비감쇠 미분 반사율 계수(ZDRs(γ))의 측정값이 결정되고 (30, 40 내지 42), 측정값(I2)이 강수율로부터 연역되고(43, 44), 편광(H)에만 적용되는 처리의 파라미터(α)를 반복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예측값(I1)과 비교된다(45, 46). α 가 조절되는 경우에, 비감쇠미분 반사율 계수의 보전값과 강수율이 얻어진다(38, 47). 본 발명은 기상 레이다에 응용된다.

Description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기상 레이다
본 발명은 대기물현상(hydrometeor)에 의해 감쇠되는 파장에서 동작하는 펄스 레이다를 이용하여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에 관한 것이다.
기상분야에서, 특히 단기 예보를 위하여 강수 및 다른 대기물현상의 관측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강수율(이러한 현상의 특성파라미터이다)을 정량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레이다를 이용하는 것이 다년간 고려되어 오고 있다. 이것을 하기 위하여, 레이다 빔에 의해 조사될 때의 강수 내지 대기물현상의 반사율을 측정함에 근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대기물현상에 의한 감쇠는 그 측정을 실제와 어긋나게 하고 그래서 가능하면 적게 감쇠되는 파장, 따라서 상당히 높은 파장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 의해 작동이 어렵게 되고 고비용이 요구된다.
또다른 더욱 관심을 끄는 방법이 제안되어 오고 있는데, 이는 2 개의 파장에 대한 감쇠와 단일 편광과 관련된 것으로써 레이다의 교정과 무관하게 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요구된 정밀도를 가진 측정을 얻는데에 어떤 기술적인 난점을 가진다. 그것은 2 개의 파장에서 빔을 일치시켜야하고 측정을 동시에 하여야 한다는 문제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수행되고 있는 모든 연구는 좀더 단파장의 레이다를 이용하는 것이 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것은 더욱 컴팩트해지고 저렴한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하지만, 특히 강수량이 큰 경우에는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감쇠보정의 문제에 직면한다.
본 발명은 대기물현상(강수, 헤일, 구름 등)이 구성하고 있는 흡수체를 통과하는 전자기파의 복귀 경로 상에서 상당히 높은 전자기파감쇠를 일으키는 단파장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2 개의 편광 성분 ()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중 편광 레이더를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고, 한편 수행된 미분 측정에 의해 얻어진 값에 대하여 감쇠효과를 보정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대기물현상에 의해 감쇠되는 어떤 파장에서의 펄스 레이다 동작을 이용하여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레이다는 각각의 편광에 따르는 다양한 범위 게이트를 위하여 감쇠 반사율 인자에 대한 이중의 일련의 측정값(ZHa(γ), ZVa(γ))을 전달하는 이중 편광 레이다이고, 상기 방법은 :
A) 상기 레이다의 각각의 범위 게이트에서, 단일 편광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 인자에 근거하여, 반사율 인자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과 단일 편광에 대한 감쇠계수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을 결합함으로써, 강수율(Rs)의 제 1 예측값을 결정하는 단계 ;
B) 강수율의 상기 제 1 예측값에 근거하여,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의 예측값을 구하는 단계 ;
C)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의 상기 예측값과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a)에 대한 레이다 측정으로부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의 예측값을 연역하는 단계 ; 및
D)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Hs) 및 강수율(Rs(γ))의 보정값을 추출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반사율 인자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에서 파라미터(α, β) 중의 하나를 반복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레이다의 단일 편광에 대하여 단계 A 에서 예측된 강수율 측정값(I1(γ,R))과 상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로부터 연역된 강수율 측정값 (I2(γ,R)) 사이에서 등식을 얻으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이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이점은, 미분 측정에 기초하기 때문에, 그것이 레이다의 교정 및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구름에 의한 감쇠에 무관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대기물현상에 의해 감쇠되는 파장의 펄스와 함께 동작하고,
2 개의 직교 편광 채널 ()에 대응하는 모드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2, 3, 4)에 연계된 이중 편광 안테나(1) ; 상기 안테나의 2 개의 채널에 펄스를 전송하는 트랜스미터 ; 및
2 개의 직교 편광 채널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설계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를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은 더욱 명확히 이해되고 그 특징과 이점은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상 레이다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은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 레이다는 반사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사하는 이중 편광 일차 소스(1)를 포함하는 이중 편광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스는 2 개의 편광 채널 ()를 가진 모드 (직교모드) 추출장치(2)에 연계되어 있다. 일차 소스는 소망하는 범위에 매칭되는 반복 주파수(예로서, 150km 의 범위에 대해서 Fr= 1kHz)를 가진 펄스를 전송하는 펄스 트랜스미터(6)에 의해 공급된다. 전송전력은, 수평에 대해 45°로 향하는 편광을 얻기 위하여 매직 T 를 통하여 또는 원평광을 얻기 위하여 3dB 커플러(5)에 의해서 안테나의 두 채널에 분배된다. 이러한 2 개의 전송 모드는, 그 의도가 직교 편광을 가진 2개의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고 그들을 진폭에 근거하여 처리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선험거으로 동등하다. 원편광은 트랜스미터에 대한 안테나에 의한 반사된 정상파의 비율 면에서 제 2 의 이점이 있다.
2 개의 동등한 수신 채널이 제공되어, 2 개의 전력 순환장치 (3, 4)에 의해 유도된 신호를 처리한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은 리미터(7, 8), 증폭기(9, 10), 중간 주파수로의 변경을 위한 믹서(11, 12), 중간 주파수 증폭기(15, 16), 큰 동적범위를 얻기 위한 대수 증폭기(17, 18), 및 아날로그/디지털 코더(19, 20)를 포함한다. 부호화된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털 처리 장치(21)(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됨)로 보내지고, 반사율 인자(Z) 및 강수율(R)을 보정한후에 출력으로서 전송한다. 믹서(11, 12)는 더나아가 자동 주파수제어 회로(14) 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진동장치(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어떤 기상관측 응용분야에 대해서는, 대기물현상의 성질에 관련된 보완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소망되는데, 이때는 추가적인 도플러 수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는 것이 이점이 있다. 이러한 채널은 채널()의 경우에 직교 부호 신호(IH, QH)를 그리고 채널 () 의 경우에 직교부호신호(IV, QV)를 전송하기 위하여 한편에는 2 개의 아날로그/디지털 코더(23, 24) 와 다른 한편에는 2 개의 아날로그/디지털 코더(26, 27)에 의해 뒤따르는 벡터 복조 회로(22, 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단일 편광(예로서,채널) 에 기초하여, 거리(r)에서 강수 (또는 다른 대기물현상) 중에 측정된 감쇠반사율 인자 (ZHa(γ))의 감쇠 계수(a)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수식은
여기서 Z0(γ) 는 비감쇠 반사율 인자이고, Δ γ 는 범위 게이트의 폭이고, ai는 순위(i)의 범위 게이트에 속하는 감쇠계수이고, 단위 길이당 dB 로 표현되고, 여기서 ZHa(γ) 와 각(γ) 는 dBZ (즉, = 10 log Z mm6mm-3)로 표현되며, r = n Δ γ이다.
감쇠계수는 R 과 다음의 알려진 수식에 의해 관련이 있다.
여기서, kH및 γH는, 온도 및 물방울 크기 분포 (DSD) 에 약하게 의존하고 각각의 파장에 대해서 계산될 수 있는, 편광() 에 관련된 파라미터이다.
수석 (1) 과 (2) 를 결합하면,
이고, 여기서
이다.
I1은 선택된편광에 대하여 레이다 빔을 따라가는 강수율의 측정값이며, 즉, 그것은 게이트 n 에 선행하는 n-1 개의 범위 게이트에서의 추적된 감쇠를 나타낸다.
이제, 강수에 의한 강수에 대한 반사율 인자(Z) 와 강수율(R)사이의 알려진 관계식은 :
이고, 여기서 α 와β 는 파라미터이다. 그래서 수식(4)는 다음과 같이 동등한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파라미터(α, β)는 DSD 에 강하게 의존한다. 수식 (3) 및 (5) 에서 4 개의 파라미터 (k, γ, α, β) 에 대한 근사값을 이용함으로써, 보정된 예측값 (Z(γ))은 1978년에 P.H. Hildebrand 에 의해 "Iterative correction for attenuation of 5 cm radar in rain" J.App.Meteor., 17, page 508-514 에서 제안된 반복법을 이용함으로써, 일련의 n 개의 측정값 (Za(γ))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한 논문에 지시된 것과 같이, 가정된 DSD 및 온도의 오차는 감쇠 예측을 매우 저하시킬 수 있지만, 그러나 이러한 저하는 레이다를 교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로부터 기인 것과 비교하여 작다. 레이다 교정 오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 파라미터는 R 에 대한 Z 의 관계식에서의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I1(γ,R) 에 관련되는 본질적인 불확정성은 파라미터(α, β)로부터 기인한다.
그래서, 이러한 부확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다의 두 편광을 이용하는 미분 측정이 채용된다. 미분 반사율 (ZDR)은 수식
에 의해서 정의되고, 여기서 Z 는 dBZ 로 표현되고, 첨자(H, V) 는 레이다의 2 개의 편광(예로서, 수평과 수직)에 대응한다.
감쇠된 파장에 대하여, H 와 V 편광 에 대하여 수식(1)을 이용하고 H 항으로 부터 V 항을 소거하면,
이 되고, 여기서 ZDRa(γ)은 감쇠 편광측정 레이다 측정이고, ZDRs=ZOH-ZOV는 물방울의 형상에만 기인되는 비감쇠 미분 반사율 계수이고, ADP는 전자기파의 경로에 대한 미분 편광측정 감쇠이다. 즉,
이다.
가정된 DSD 로써, 물방울의 형상에만 기인되는 미분 반사율 계수(ZDRs)는 강수율의 함수 :
로서 계산될 수 있다.
수식(8)의 감쇠계수(aiH, aiV)는 H 및 V 편광에 대한 수식(2)에 의해서 주어진다. DSD가 가정되었다고 한다면, 파라미터()는 계산될 수 있다.계산에서, 차 aH-aV는 DSD 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어진 파장에 대하여, kH및 kV는 매우 다르지만, 그러나이다.
수식 (2) 와 (8)을 결합하면,
이고, 여기서
이다. 주의할 것은, 수식(11)은 수식(4')에서와 유사한 방식, 즉 Z 의 함수로 기술될 수 있다.
I2(γ, R) 는 미분 감쇠(ADP)로부터 연역된 강수율 측정값을 나타내고, kH-kV는 정확히 알려진 것으로 가정되어 있다. 이것은 미분 측정으로부터 기인하기 때문에, ADP는 레이다의 교정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경우에 I1과 I2의 예측에 있어서, 강수에 대한 DSD 의 자연적인 가변성과 교정오차 때문에 오직 파라미터(α, β) 만이 가변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파장과 관측되는 강수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후학적 평균값과 동등한 상수값으로 β 를 유지되도록 제안되고, 미분 감쇠(ADP)를 이용함으로써 파라미터(α)를 조절하도록 제안된다.
β 에 관한 이러한 가정은 문헌에서 참조가능한 수많은 측정결과에 의해서 확인된다.
그래서, 이 이론에 의해서, α 의 임의의 중간값을 선택하면서 편광 중의 단 하나에 대한 일련의 측정에 근거하여 I1을 결정하고,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를 예측하기 위하여, 미분 레이다 측정 및 I1을 이용한 계산에 근거하여 I2를 예측하고, 적절하다면 I1 I2하게 될 때까지 α 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I1과 I2를 비교하며, 그러면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i) 및 강수율(Ri)의 보정된 예측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는 이 방법을 이용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의 좌측 부분은 단일 편광(H 편광)에 관련되고, 우측 부분은 미분 처리에 관련된다.
H 채널의 코더(19)에 의해 전송된 대수 신호는 단계 30 에서 선형 신호(ZHa(γ))로 다시 변환된다. 이들 신호는 레이다의 N 개의 펄스에 대하여 평균되고(단계 31), 그다음에 예측된 강수율()이 수식(5)에 따라 소정의 α 및 β (α 경우에는 임의의 값)에 근거하여 계산되고(단계 32), 각각의 범위 게이트(i)에 대하여 이러한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33 는 수식(2)에 근거하여 감쇠 계수()를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측값()은 수식(2) 및 (4)에 따라 그들로부터 연역된다.(단계 34)
더나아가, 단일 편광 (H) 에 대한 일련의 측정으로부터 연역된 감쇠 반사율인자()는 단계 36 및 37 에 의해서 계산되고, 수식(3)의 감쇠 항()은 단계 35 에 의해서 예측된다. 합산으로 구성되는 단계 38 에 의해서 수식(3)을 적용함으로써, H 편광에 대한 비감쇠 반사율 계수의 예측값(ZHs(γ))을 제공하고, 다음에 단계 47 에 의해서 수식(5)에 이미 선택된 파라미터(α, β)를 적용함으로써, 보정된 강수율()의 예측값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측값에 근거하여, 단계 48 에서, 수식(9)에 따라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Hs(γ))의 예측값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나아가, 30 및 40 에 의해서 전송된 H 및 V 채널에 대한 부호화된 신호와 함께 시작하여, 비율()이 얻어지고(단계41), N 개의 펄스에 대하여 평균되는 감쇠 편광측정 레이다 측정값 (ZDRa)을 제공한다(단계 42). 이 평균값과 단계 48 에서 전송된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의 측정값 사이의 차 (단계 43)는 미분 편광측정 감쇠의 예측값 ()을 구성한다. Δ γ 과 kH-kV의 값에 근거하여, 단계 44 는 수식(10)에 따라 (γ,R) 의 예측값을 전송한다. 다음에 가 단계 45에서 비교된다.
만약 이면, 단계 46 은 적절한 방향으로의 증가분( Δ α)만큼 파라미터(α)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계산을 다시 시작하기 위하여 단계 32 및 47 에 새로운 값(α')을 적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은 = 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되고, 이것은 α 에 주어지는 정확한 값에 해당한다. 다음, 비감쇠 반사율 인자(Zi(γ) = (γ)) 및 강수율(Ri(γ) = (γ))의 보정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 49).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서, 수식(9)에 대하여 수식(10)에 대한 kH및 kV뿐만아니라 ZDRs도 단일 가정된 DRS 에 대하여 계산되었다는 것이 가정되었다. 이것은, 주어진 기후조건에 대하여 평균 DSD 가 안정된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수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은 기후학적 고려에 기초하여 특별한 DSD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나아가, 반사율 인자가 낮은 거리(r)에서 범위 게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ZDRs가 다음에 낮아지고 수식(9)에 따르는 예측의 오차가 이경우에 또한 낮아지기 때문이다. 특별한 게이트에 대한 이러한 선택은 모두 더욱 정당화되고 용이하게 되는데, 이는 거리(r)에서의 게이트가 인자 (I1, I2, α)가 상당히 변하지 아니하고도 다른 반사율 인자와 함께 r 주위의 다른 것에 의해서 대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2 개 또는 3 개의 인접한 게이트에 근거하여 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DSD 에서의 분산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평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목할 것은, 관측된 방사 방향은 여러 개의 세그멘트로 분할될 수 있고, 그것에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은 하나의 편광에 대하여 레이다에 의해 측정된 반사율 계수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그 미분값에 영향을 주는 램덤 샘플링 오차에 매우 민감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중요한 이점 중의 하나는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그것이 레이다의 교정 및 검출되지 않은 구름에 기인하는 감쇠에 무관하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이점으로서, 헤일에 대한 정량적인 검출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 설명하면, 헤일이 강수 셀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헤일스톤은 거의 구형상이므로, 두 편광에 대하여 ZH ZV인, 그래서 거의 영인 미분 반사율 인자를 가진, 고 반사율 인자를 생성한다. 한편, 편광에 무관한 강력한 감쇠가 있고, 미분 감쇠(ADP)에 대해 영의 기여를 한다. 그래서 헤일의 존재는 I1을 수정시키지만, 그러나 균일한 강수의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I2를 대응하여 수정시키지는 않는다. 다음, α 에서의 상당한 변화가 관측되고, 그것은 헤일의 표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주목할 것은, 비록 상술한 설명이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를 이용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km 정도의 전파영역에서 나타나는 미분 위상 변이 (kDP=kH-kv) 와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다.
분명히, 상술한 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기상 레이다는 상술된 2 개의 채널 대신에, 시간 분할로서 그 채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2 개의 편광에 대한 신호가 입력으로 스위칭되고 출력으로 언 -스위칭됨으로써, 단일 수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스위칭 속도는 편광 (H 및 V) 에 대해 수신된 신호가 스위칭 시간 동안에 비상관성을 가지지 않도록 선택될 필요가 있다.
더나아가, 도플러채널의 출력 상에서 가능한 신호 (I, Q)가 채널 (H, V) 각각에서 신호 진폭()을 계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진폭은 채널(17, 19, 및 18, 20)을 이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코더(19, 20)에 의해서 출력된 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이 가지고 있는 난점은 대수 증폭기의 사용으로부터 기인하는 동적범위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2 의 본발명에 따르는 처리장치에서, 선형 신호로 다시 변환시키는 대신에 대수 신호를 계속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대기물현상(hydrometeor)에 의해 감쇠되는 어떤 파장에서의 펄스 레이다 동작을 이용하고,
    상기 레이다는 각각의 편광에 따르는 다양한 범위 게이트에 대하여 감쇠 반사율 인자(ZHa(γ), ZVa(γ))에 대한 이중의 일련의 측정값을 전달하는 이중 편광 레이다이고,
    A) 상기 레이다의 각각의 범위 게이트에서, 단일 편광에 대해 측정된 반사율인자에 근거하여, 반사율 인자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과 단일 편광에 대한 감쇠계수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을 결합함으로써, 강수율(Rs)의 제 1 예측값을 결정하는 단계 ;
    B) 강수율의 상기 제 1 예측값에 근거하여,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의 예측값을 구하는 단계 ;
    C)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의 상기 예측값과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a)에 대한 레이다 측정값으로부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의 예측값을 연역하는 단계 ; 및
    D) 비감쇠 반사율 인자(ZHs(γ)) 및 강수율(Rs(γ))의 보정값을 추출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반사율 인자와 강수율 사이의 관계식에서 파라미터(α, β) 중의 하나를 반복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레이다의 단일 편광에 대하여 단계 A 에서 예측된 강수율 측정값(I1(γ,R))과 상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로부터 연역된 강수율 측정값(I2(γ,R)) 사이에서 등식을 얻으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 는
    a) 상기 제 1 일련의 측정값(ZHa(γ))에 대하여, 임의로 지정된 파라미터(α, β)에 근거하여 다양한 범위 게이트(1내지 n-1)에 대한 강수율(Ri)의 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
    b) 상기 강수율(Ri)의 예측값으로부터, 단일 편광에 대하여 예측된 강수율측정값이고 강수로 인한 감쇠를 특징하는 제 1 예측값(I1(γ,R))을 연역하는 단계 ;
    c) 상기 제 1 예측값(I1(γ, R)) 및 제 1 일련의 측정값(ZHa(γ))에 근거하여, 비감쇠 반사율 인자(ZHS(γ))의 예측값 및 보정된 강수율(RS)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 는
    d) 상기 보정된 강수율(RS)의 상기 예측값 및 주어진 물방울 크기 분포(DSD)에 근거하여,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γ))의 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C) 는
    e) 감쇠 반사율 인자(ZHa(γ), ZVa(γ))에 대한 상기 이중의 일련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a(γ))의 측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
    f)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a(γ))의 측정값과 단계 d) 중에 얻어진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s(γ))의 예측값으로부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의 예측값을 연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D) 는
    g) 상기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의 예측값으로부터, 강수로 인한 감쇠를 특징하는 제 2 예측값(I2(γ,R)), 즉 강수율 측정값을 연역하는 단계
    h) 상기 제 1 예측값(I2(γ, R))과 상기 강수로 인한 감쇠를 특징하는 제 2예측값(I2(γ, R))을 비교하는 단계 ;
    i) 단계 h) 에 따른 비교결과가 상기 제1 예측값과 상기 제2 예측값이 다르다고 지시한다면, 단계 a) 에서의 상기 파라미터(α, β)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고 단계 a) 부터 단계 h) 까지를 반복하는 단계 ; 및
    j) 단계 h) 에 따른 비교결과가 상기 제 1 예측값과 상기 제2 예측값이 동등하다고 지시한다면, 비감쇠 반사율 인자(ZHs(γ))및 보정된 강수율(Rs)의 상기 예측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a) 는
    a.1) 레이다의 N 개의 펄스에 대하여 상기 제 1 일련의 측정값(ZHa(γ))을평균하는 단계 ; 및
    a.2) 각각의 범위 게이트(i)에 대하여, 임의로 지정된 파라미터(α, β)에 근거하여 강수율()의 예측값을 식 :
    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b) 는
    b.1) 강수율()의 예측값에 근거하여, 각각의 범위 게이트에서 감쇠 계수()를 식 :
    (여기서, kH및 γH는 주어진 온도와 주어진 물방울 크기 분포에 대한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 ;
    b.2) 상기 감쇠 계수( )로부터, 상기 제 1 예측값( (γ, R)을 식 :
    (여기서, n 은 레이다로부터 거리 r 에 있는 범위 게이트의 수)에 따라 연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c) 는
    c.1) 상기 제 1 예측값( (γ, R)에 근거하여, 식 :
    (여기서 Δ γ 은 범위 게이트의 폭)에 따라 감쇠값( )을 계산하는 단계 ;
    c.2) 레이다의 N 개의 펄스에 대하여 상기 제 1 일련의 측정값(ZHz(γ))을평균하는 단계 ;
    c.3) 비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의 예측값( (γ))을 얻기 위하여, 상기 감쇠값( )과 감쇠 반사율 인자( (γ))의 평균값의 합을 구하는 단계 ;
    c.4) 보정된 강수율의 예측값( )을 식 :
    에 따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e) 는
    e.1) 레이다의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ZDRa(γ))의 값을 얻기 위하여, 상기 이중의 일련의 측정값(ZHa(γ), ZVa(γ))의 그 측정의 비를 구하는 단계 ;
    e.2) 레이다의 N 개의 펄스에 대하여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의 상기 값을 평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단계 f) 는 레이다 경로에 대한 미분 편광측정 감쇠(ADP(γ))의 예측값을 얻기 위하여, 단계 d) 에 따라 얻어진 비감쇠 미분 반사율인자( (γ))의 상기 예측값과 감쇠 미분 반사율 인자( (γ))의 상기 평균값 사이의 차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g) 는 상기 미분 편광측정 감쇠( (γ))의 예측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예측값( (γ, R))을 식 :
    (여기서, kV는 kH와 마찬가지로 제 2 일련의 측정값(ZVa(γ))에 대한 소정의 파라미터)에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대기물현상의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방법.
  12. 2 개의 직교 편광 채널 ()에 대응하는 모드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2, 3, 4)에 연계된 이중 편광 안테나(1) ;
    상기 안테나의 2 개의 채널에 펄스를 전송하는 트랜스미터(5, 6) ; 및
    상기 2 개의 직교 편광 채널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채널(7, 9, 11, 13, 15, 17, 19 ; 10, 12, 13, 16, l8, 20)을 포함하고,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르는 방법을 채용하기 위해 설계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물현상에 의해 감쇠되는 어떤 파장에서의 펄스와 함께 동작하고 강수율 및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채널의 출력단에서, 동적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대수 증폭기(17, 18)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21)는 수신된 신호를 복구하기 위하여 그 입력단에서 변환수단(30, 36, 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물현상에 의해 감쇠되는 어떤 파장에서의 펄스와 함께 동작하고, 강수율 및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
  14. 제 12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2 개의 편광에 대한 수신 채널의 출력에 각각 연계된 2 개의 도플러 수신 채널 (22 내지 24 ; 25 내지 27)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물현상에 의해 감소되는 어떤 파장에서의 펄스와 함께 동작하고 강수율 및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 개의 편광 채널을 교대로 처리하기 위하여 동기적으로 제어되는 입력 및 출력 스위칭 수단과 연계되는 단일 수신 채널을 구비하고, 스위칭 속도가 스위칭 시간 동안에 2 개의 편광내에 수신되는 신호가 비상관적으로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율 및 반사율 인자를 결정하는 이중 편광 기상 레이다
KR10-1998-0704968A 1995-12-26 1996-12-13 이중편광레이다를이용한강수율결정방법및그방법을이용하는기상레이다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15483 1995-12-26
FR9515483A FR2742876B1 (fr) 1995-12-26 1995-12-26 Procede de determination du taux de precipitation par radar a double polarisation et radar meteorologique le mettant en oeuv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841A true KR19990076841A (ko) 1999-10-25
KR100442009B1 KR100442009B1 (ko) 2004-10-02

Family

ID=948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9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009B1 (ko) 1995-12-26 1996-12-13 이중편광레이다를이용한강수율결정방법및그방법을이용하는기상레이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61013A (ko)
EP (1) EP0870206B1 (ko)
JP (1) JP3720848B2 (ko)
KR (1) KR100442009B1 (ko)
CN (1) CN1114833C (ko)
CA (1) CA2242225C (ko)
DE (1) DE69604088T2 (ko)
FR (1) FR2742876B1 (ko)
WO (1) WO199702462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96B1 (ko) * 2004-12-27 2007-11-2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레이더 장치
KR100921424B1 (ko) * 2008-11-13 2009-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KR100942689B1 (ko) * 2008-11-13 2010-02-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파파라메터 차등위상을 이용한 편파레이더 강수감쇠 보정방법
KR101881418B1 (ko) * 2017-08-23 2018-07-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환경을 고려한 라이다 장치 및 그의 출력조절 방법
KR20230006193A (ko) * 2021-07-02 2023-01-10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다중 지상 통신 기지국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엑스밴드 이중 편파 레이더 반사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06192A (ko) * 2021-07-02 2023-01-10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다중 지상 통신 기지국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엑스밴드 단일 편파 레이더 반사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876B1 (fr) * 1995-12-26 1998-02-06 Thomson Csf Procede de determination du taux de precipitation par radar a double polarisation et radar meteorologique le mettant en oeuvre
US6164130A (en) * 1997-06-15 2000-12-26 Spherics Mess- Und Analysetechnik Gmbh Electromagnetic measuring system for meteorology
FR2774174B1 (fr) * 1998-01-23 2000-07-07 Centre Nat Rech Scient Technique pour l'estimation de pluie a partir d'un radar meteorologique a diversite de polarisation
US6563432B1 (en) * 2001-01-12 2003-05-13 Safegate International Ab Aircraft docking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checking of apron and detection of fog or snow
RU2208814C2 (ru) * 2001-05-15 2003-07-20 Заренков Вячеслав Адамович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концентрации в заданной области ионосфер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FR2827391B1 (fr) * 2001-07-11 2005-04-08 Centre Nat Rech Scient Technique pour l'estimation de pluie avec radar lorsque l'attenuation est negligeable
US6522972B2 (en) 2001-07-18 2003-02-18 Preston W Helms Method for determining a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RU2222817C2 (ru) * 2002-02-28 2004-01-27 Сургут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ХМАО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эффициента невзаимности среды
US6803875B1 (en) * 2002-09-20 2004-10-12 Drs Weather Systems, Inc. Simulatneous dual polarization radar system
US6859163B2 (en) * 2002-09-20 2005-02-22 Drs Weather Systems, Inc. Simultaneous dual polarization radar system
US7049997B2 (en) * 2002-09-20 2006-05-23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Simultaneous dual polarization radar system
JP3707469B2 (ja) * 2002-11-19 2005-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二重偏波レーダ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
DE10305139B4 (de) * 2003-02-07 2006-02-16 Metek Metereologische Meß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von Niederschlagsarten in der Atmosphäre
PT1608997E (pt) * 2003-03-21 2011-10-21 Entpr Electronics Corp Sistema de radar de polarização dupla simultânea
RU2251713C1 (ru) * 2003-08-12 2005-05-10 Заренков Вячеслав Адамович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й концентрации в заданной области ионосфер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7053813B1 (en) * 2004-04-22 2006-05-30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Radar system
US6879280B1 (en) * 2004-06-28 2005-04-12 Rockwell Collins, Inc. Vertical weather profil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4762566B2 (ja) * 2005-02-15 2011-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気象レーダ装置
FI117950B (fi) * 2005-05-23 2007-04-30 Vaisala Oyj Samanaikaisen kaksoispolarisoinnin tutkajärjestelmä, jossa on jalustaan asennettu vastaanotin
CN1967283B (zh) * 2005-11-18 2010-05-12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用于气象雷达接收机前端的微波子系统
RU2316023C2 (ru) * 2005-12-06 2008-0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рпорация "Фазотрон -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оптимального обхода грозы
US7623064B2 (en) * 2005-12-06 2009-11-24 Arthur Robert Calderbank Instantaneous radar polarimetry
US7671785B1 (en) * 2005-12-15 2010-03-02 Baron Services, Inc. Dual mode weather and air surveillance radar system
US7439899B2 (en) * 2006-03-22 2008-10-21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Encoded transmitted signals in a simultaneous dual polarization weather system
US7551123B2 (en) * 2006-03-22 2009-06-23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Phase shifted transmitted signals in a simultaneous dual polarization weather system
US7369082B2 (en) * 2006-07-12 2008-05-06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implementing a scan strategy for automatic high power tube recovery
US7683828B2 (en) * 2006-07-12 2010-03-23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hase and power variance
US7750573B2 (en) * 2006-07-12 2010-07-06 Enterprise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high power tube recovery
DE102006054320A1 (de) * 2006-11-17 2008-05-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Niederschlag mittels Radar
JP4667426B2 (ja) * 2007-06-26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気象レーダ装置
RU2351950C1 (ru) * 2007-08-06 2009-04-10 Военно-косм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Ф. Можайского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выбросов в атмосферу
FR2925697B1 (fr) * 2007-12-21 2010-01-15 Thales Sa Procede de traitement d'une image radar.
WO2009114864A1 (en) * 2008-03-14 2009-09-17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Adaptive specific differential phase in dual-polarization radar
AU2009244220B2 (en) * 2008-05-07 2013-09-12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Dual-polarization radar processing system using time domain method
RU2379709C1 (ru) * 2008-06-25 2010-01-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Иркутское высшее военное авиационное инженерное училище (военный институт)"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корости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хода ионосферного возмущения
JP5325361B2 (ja) * 2009-02-06 2013-10-23 古野電気株式会社 レーダ装置
US8264908B2 (en) * 2009-03-09 2012-09-11 Second Wind Systems, Inc. Method of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precipitation in sodar systems
RU2403592C1 (ru) * 2009-03-30 2010-1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тавропольский военный институт связи ракетных войск"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еличины интенсивности неоднородностей ионосферы по данным вертикального зондирования
EP2278353B1 (en) * 2009-07-24 2018-02-14 Kabushiki Kaisha Toshiba Weather radar apparatus and rainfall rate calculation method
JP2011027546A (ja) * 2009-07-24 2011-02-10 Toshiba Corp 気象レーダシステムとその降水量算出方法
JP5491788B2 (ja) * 2009-07-24 2014-05-14 株式会社東芝 気象レーダシステムとその降水強度算出方法
JP2011047743A (ja) * 2009-08-26 2011-03-10 Toshiba Corp 気象レーダシステムとその降水強度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14562B2 (ja) * 2009-08-26 2013-06-19 株式会社東芝 気象レーダシステムとその降水強度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47742A (ja) * 2009-08-26 2011-03-10 Toshiba Corp 気象レーダシステムとその降水強度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416108C1 (ru) * 2009-08-25 2011-04-10 Виктор Григорьевич Ошлаков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локации цели
JP5135317B2 (ja) * 2009-11-04 2013-02-06 株式会社ホンダエレシス 車載レーダ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88274B2 (en) * 2009-11-16 2015-03-2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Cylindrical polarimetric phased array radar
RU2420756C1 (ru) * 2010-01-18 2011-06-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сибирский завод имени Коминтерна" (ОАО "НЗиК") Способ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целей
JP4832597B2 (ja) * 2011-01-11 2011-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気象レーダ装置
US9261583B2 (en) * 2011-04-07 2016-02-16 Baron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dual polarization radar systems
KR101221773B1 (ko) 2011-05-09 2013-01-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한 기상 및 비기상 에코 분류 방법
US9182485B1 (en) * 2011-05-24 2015-11-10 Garmin International, Inc. Transmit/receive module for electronically steered weather radar
US8854250B2 (en) * 2011-06-28 2014-10-07 Vaisala Oyj Off-diagonal element echo power estimator for polarization weather radar
CN102662162B (zh) * 2012-02-16 2013-09-11 邓勇 X波段多普勒雷达降水估测方法
US9465106B2 (en) * 2012-03-27 2016-10-11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Robust attenuation correction system for radar reflectivity and differential reflectivity
KR101255736B1 (ko) 2012-09-21 2013-04-26 대한민국 단일편파 레이더를 이용한 기상 및 비기상 에코 분류 방법
CN102998670B (zh) * 2012-11-29 2014-03-26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Ka频段固定指向双极化全固态毫米波云雷达
KR101294681B1 (ko) * 2013-04-18 2013-08-08 (주) 웨더링크 기상 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WO2015005020A1 (ja) * 2013-07-11 2015-01-15 古野電気株式会社 気象情報処理装置、気象レーダシステムおよび気象情報処理方法
KR101469860B1 (ko) * 2013-10-07 2014-1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대류성 강우 특성 정보를 얻는 방법
KR101437587B1 (ko) * 2013-10-16 2014-11-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확한 강우량 추정을 위한 차등위상차 값의 보정방법
US10488556B2 (en) 2014-03-28 2019-11-26 Northeastern University System for multivariate climate change forecasting with uncertainty quantification
CN104330801B (zh) * 2014-11-15 2017-01-11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全数字阵列的有源相控阵天气雷达系统
US10026163B2 (en) 2015-02-25 2018-07-17 Cale Fallgatter Hydrometeor identification methods and systems
RU2648237C2 (ru) * 2015-04-27 2018-03-23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Ё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ложения фронта волны
RU2611587C1 (ru) * 2015-12-23 2017-02-28 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Рябов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зондирования атмосферы
RU2655164C2 (ru) * 2016-07-04 2018-05-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о-косм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А.Ф.Можайс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корости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хода ионосферного возмущения
FR3061775B1 (fr) * 2017-01-09 2020-03-27 Novimet Procede d'estimation d'un taux de precipitations, notamment de pluie ou de neige
CN107024698A (zh) * 2017-03-16 2017-08-08 河海大学 基于降雨衰减模型的雨区合成孔径雷达成像仿真方法
CN107703487B (zh) * 2017-09-15 2019-10-08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一体化的天气雷达双极化组件
CN107643522B (zh) * 2017-09-19 2020-07-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双频段双极化星载云雨测量雷达系统
RU2693842C1 (ru) * 2018-07-30 2019-07-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Прикладной Геофизики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Е.К. Федорова" (Фгбу "Ипг") Способ зондирования ионосферы и тропосферы
CN109884605B (zh) * 2019-02-02 2020-12-15 中国气象科学研究院 云雨对雷达信号的吸收衰减和米氏散射衰减的提取方法
CN111044984B (zh) * 2020-01-08 2023-07-18 福建省气象科学研究所 一种基于威力分布的雷达性能检测方法
CN111474606B (zh) * 2020-03-30 2022-04-0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基于双频双极化微波链路的降雨与水汽综合测量装置及方法
KR102221897B1 (ko) * 2020-08-31 2021-03-04 대한민국 실시간 레이더 반사도 보정오차 감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RU2756977C1 (ru) * 2020-11-22 2021-10-0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овол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Радиокомплекс для метеорной и трансионосферной связи
CN113341420B (zh) * 2021-06-07 2023-07-18 中国气象局上海台风研究所(上海市气象科学研究所) 适用不同气候态降雨的双偏振气象雷达雨滴谱反演方法
CN113466868B (zh) * 2021-06-09 2022-03-11 中山大学 一种处理双极化雷达差分相位的方法及系统
CN115425389B (zh) * 2022-09-02 2025-03-21 大连海事大学 一种基于差分测距算法的自适应波束扫描天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0676U (ja) * 1984-10-11 1985-07-09 株式会社トキメック レ−ダ装置
JP2635679B2 (ja) * 1988-05-09 1997-07-30 株式会社東芝 気象レーダ装置
JP2660942B2 (ja) * 1991-02-25 1997-10-08 日本無線株式会社 気象観測用レーダにおける降水形態識別方法
FR2742876B1 (fr) * 1995-12-26 1998-02-06 Thomson Csf Procede de determination du taux de precipitation par radar a double polarisation et radar meteorologique le mettant en oeuv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96B1 (ko) * 2004-12-27 2007-11-2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레이더 장치
KR100921424B1 (ko) * 2008-11-13 2009-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KR100942689B1 (ko) * 2008-11-13 2010-02-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파파라메터 차등위상을 이용한 편파레이더 강수감쇠 보정방법
KR101881418B1 (ko) * 2017-08-23 2018-07-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환경을 고려한 라이다 장치 및 그의 출력조절 방법
KR20230006193A (ko) * 2021-07-02 2023-01-10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다중 지상 통신 기지국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엑스밴드 이중 편파 레이더 반사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06192A (ko) * 2021-07-02 2023-01-10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다중 지상 통신 기지국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엑스밴드 단일 편파 레이더 반사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009B1 (ko) 2004-10-02
US6061013A (en) 2000-05-09
CN1206469A (zh) 1999-01-27
DE69604088D1 (de) 1999-10-07
CN1114833C (zh) 2003-07-16
FR2742876B1 (fr) 1998-02-06
CA2242225A1 (fr) 1997-07-10
DE69604088T2 (de) 2000-01-20
WO1997024629A1 (fr) 1997-07-10
EP0870206B1 (fr) 1999-09-01
JP2000502794A (ja) 2000-03-07
EP0870206A1 (fr) 1998-10-14
FR2742876A1 (fr) 1997-06-27
JP3720848B2 (ja) 2005-11-30
CA2242225C (fr) 2004-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841A (ko)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기상 레이다
Bringi et al. An examination of propagation effects in rainfall on radar measurements at microwave frequencies
EP0138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an object
CN101923157B (zh) 一种星载双通道角跟踪校准系统
EP2998763A1 (en) Phase calibration of a stepped-chirp signal for a synthetic aperture radar
Bringi et al. Rainfall estimation from C-band polarimetric radar in Okinawa, Japan: Comparisons with 2D-video disdrometer and 400 MHz wind profiler
US4514680A (en) Flaw detection system using microwaves
Hubbert et al. Studies of the polarimetric covariance matrix. Part I: Calibration methodology
WO1992022829A1 (en) Turbulence radar system
CN104360329A (zh) 一种全数字阵列相控阵天气雷达的强度定标方法
Hanson et al. Radar absorption, basal reflection, thickness and polarization measurements from the Ross Ice Shelf, Antarctica
Reid et al. Mesospheric radar wind comparisons at high and middle southern latitudes
Pelyushenko Microwave radiomete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oil slicks
Palmer et al. Frequency domain interferometry observations of tropo/stratospheric scattering layers using the MU radar: Description and first results
CA1159934A (en) Cancellation of group delay error by dual speed of rotation
Zhang et al. Consistency analysis and correction of ground-based radar observations using space-borne radar
Tan et al. Extracting rainfall rates from X-band CDR radar data by using differential propagation phase shift
KR100942689B1 (ko) 편파파라메터 차등위상을 이용한 편파레이더 강수감쇠 보정방법
Barwick et al. Radar Absorption, Basal Reflection, Thickness, and Polarization Measurements from the Ross Ice Shelf
Sauvageot Polarimetric radar at attenuated wavelength as a hydrological sensor
US3333270A (en) Radio navigation system
Camps et al. PAU in SeoSAT: A proposed hybrid L-band microwave radiometer/GPS reflectometer to improve Sea Surface Salinity estimates from space
Pant et al. Wind profiler and radio acoustic sounding system at IMD, Pune: Some preliminary results
Gilman et al. Differential Faraday rotation and polarimetric SAR
Scarchilli et al. Weather radar calibration by means of the metallic sphere and multiparameter radar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