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1424B1 -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424B1
KR100921424B1 KR1020080112791A KR20080112791A KR100921424B1 KR 100921424 B1 KR100921424 B1 KR 100921424B1 KR 1020080112791 A KR1020080112791 A KR 1020080112791A KR 20080112791 A KR20080112791 A KR 20080112791A KR 100921424 B1 KR100921424 B1 KR 10092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pitation
point
value
radar
observation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인
김정희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4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6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a combined indication of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5Correlation function computation including computation of convolution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Z-R관계식에 의해 강수량을 추정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단계와; Z-R관계식에 관측범위 전체에 하나의 b값을 할당하고 각 지점별로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해당 지점의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간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값을 결정하는 제2단계와; 결정된 계수 A와 b를 Z-R관계식에 대입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계산하고 상기 강수량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각 지점의 강수형태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각 지점에 대해 제3단계에서 구해진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하고 상기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점의 A값을 결정하는 제4단계와; 관측자료와 제4단계에서 결정된 각 지점의 계수 A값과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한 Z-R 관계식을 사용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추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플러 레이더 기상 예측 강수량

Description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Method of rainfall estimation using doppler weather radar}
본 발명은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Z-R 관계식의 계수 중 b값을 관측범위에 대해 하나의 값을 정한 후 관측자료와 실제강수량을 사용하여 각 지점에서의 계수 A를 구한 후 다시 상기 계수를 사용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으로부터 강수형태를 구하고 상기 강수형태별로 서로 다른 b값을 할당한 후 이를 사용하여 계수 A를 다시 구한 후 강수량을 추정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플러 기상 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Z-R관계식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Z-R 관계식은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1
이다. 여기서 Z는 레이더 반사도 인자이며 R은 강수강도(mm/h)이고 A와 b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양수이다.
많은 학자들이 최적의 A와 b를 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를 살펴보면 Marshall과Palmer는 층상운에 대해 A=200, b=1.6의 값을 제시 하였고 Fujiwara는 A가 1~120, b가 1~2 사이에서 변하며 대류성이 증가할수록 A가 증가하고 b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Austin은 강수의 유형에 따라 A를 층상운, 대류세포를 포함한 층상운, 강한 대류운에 대하여 각각 100, 200~300 및 400 정도의 값을 적용할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Wilson and Brandes는 전체 지상강수량과 레이더 강수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보정하는 방법을제시하였으며 Zawadzki는 레이더 반사도 인자와 지상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Z-R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Rosenfeld 등은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A, b 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는 A와 b를 사전에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연구는 레이더의 관측범위 내의 모든 지점에 대해 동일한 A와 b를 사용하고 있어 국지적인 호우가 일상적인 한국에서는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즉 동일한 시점에서 각 지점에 따라 강수의 유형이 다를 경우 이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다 각 지점에서의 최적의 Z-R 관계식을 구하여 정확한 강수량의 예측이 가능한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Z-R관계식에 의해 강수량을 추정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단계와; Z-R관계식에 관측범위 전체에 하나의 b값을 할당하고 각 지점별로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해당 지점의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간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값을 결정하는 제2단계와; 결정된 계수 A와 b를 Z-R관계식에 대입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계산하고 상기 강수량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각 지점의 강수형태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각 지점에 대해 제3단계에서 구해진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하고 상기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점의 A값을 결정하는 제4단계와; 관측자료와 제4단계에서 결정된 각 지점의 계수 A값과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한 Z-R 관계식을 사용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추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계는 계산에 사용된 b를 구하기 위하여 관측 범위 전체의 각 지점의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와 b를 구한 후 그 중 b만을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해진 A와 b를 사용하여 계산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 간의 상관계수가 0.5 이하이면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가 평균제곱오차의 근(RMSE)에 대해 2배 이상인 자료는 삭제하고 다시 계산하여 상기 상관계수가 0.5를 초과하거나 반복횟수가 5회일 때까지 반복하여 b를 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계의 레이더 관측 자료는 실제강수량과 역치 이하의 신호를 제거한 레이더 관측 자료로부터 마샬-팔머의 Z-R 관계식을 사용하여 추정된 추정강수량 간의 상관관계를 최대로 하는 역치를 구하여 상기 역치 이하의 신호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의하면 Z-R관계식의 계수 중 b를 먼저 구한 후 각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A를 구하여 강수량을 예측하므로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된 '관측자료'라 함은 기상 레이더가 발사한 빔이 대기중의 물방울에 반사된 에코를 취합한 정보이며 '실제강수량'이라 함은 관측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 설치된 레인게이지들의 측정값에 의해 구해지는 강수량이며 '추정강수량'이라 함은 상기 관측자료를 Z-R관계식에 대입하여 추정한 강수량을 의 미한다.
본 발명의 강수량 추정 방법은 5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단계는 레이더로부터 전달되는 관측자료로부터 노이즈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인게이지의 경우 0.5mm의 팁핑-버켓을 구비하며 1분 단위로 강수량을 측정한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0.5 mm의 팁핑-버켓을 가진 레인게이지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오류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오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역치 이하의 신호를 제외한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추정강수량을 구하고 상기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상관계수를 최대로 하는 역치를 결정한 후 상기 역치 이하의 신호를 오류로 판단하여 관측 자료에서 제거하게 된다.
즉 복수 개의 역치를 미리 설정한 후 각 역치별로 추정강수량을 구하여 실제강수량과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역치를 구하게 된다. 최적의 역치를 구하면 관측자료에서 상기 역치 이하의 신호는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이더의 관측 범위는 입체를 이루고 있어 동일한 지점에 대하여 고도 별로 다수의 관측 자료가 존재하므로 특정한 고도의 자료만을 사용하여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이를 위해 각 고도별 관측자료에서 구해진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상관 계수를 최대로 하는 고도를 찾아 상기 고도의 관측자료를 강수량의 추정에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리 다수개의 고도를 설정한 후 각 고도 별로 상관계수를 구하여 비교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치를 구하거나 고도를 구하기 위하여 관측자료로부터 추정강수량을 구하기 위한 Z-R관계식으로 마샬-팔머의 Z-R 관계식(이하 MP 라고 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MP는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2
로 나타난다. 그러나 추정강수량을 구하기 위한 Z-R관계식을 상기와 같은 MP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연구 결과에 나타난 다른 Z-R관계식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처리 과정 중 일부만 수행하거나 다른 전처리 과정(예를 들면 2차트립에코의 제거, 브라이트밴드의 제거)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2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단계는 각 지점의 시간대 별 관측자료로부터 구해지는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해당 지점의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계수를 구하게 된다. 제2단계에서 구하는 계수는 A와 b이다. 여기서 계수 b는 모든 지점에 동일한 값이 할당되며 A는 각 지점마다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b를 결정한 후 각 지점의 A값을 구하고 있다.
상기 계수 b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계수 A와 b를 구한 후 A는 버리고 b를 취하는 방법과 사전에 정해진 상수(예를 들면 마샬-팔머의 관계식에서 사용하는 계수 1.6)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계수 A와 b를 구한 후 A는 버리고 b를 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A와 b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Z-R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계산이 용이하도록 한다.
Z-R 관계식은 다음 식 (1) 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3
(1)
(단, z는 선형 레이더 반사 인자이며 R은 실제강수량이다.)
여기서 z=y, log R = x로 두면 상기 식(1)은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4
(2)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 =10b, b'=10logA 로 두면 식(2)는 y=A'x+b'로 변환된다.
여기서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5
(3)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6
(4)
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식(3) 과 식(4)로부터 Z-R 관계식에서 사용되는 계수 A와 b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수 b를 바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나 관측자료 등에 비정상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A와 b를 적용하여 계산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 간의 상관계수가 0.5 이하이면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 간의 차이가 평균제곱오차의 근(RMSE)에 대해 2배 이상인 자료는 삭제하고 다시 A와 b를 구하게 된다.
새로 구해진 A와 b를 사용하여 구한 상관관계가 다시 0.5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상관관계가 0.5 이상이거나 반복횟수가 5회 이상일 경우 반복을 종료하고 b를 취하게 된다.
b의 값을 사전에 정한 상수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상기 상수는 종래의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나 관측자의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b의 범위를 제한(예를 들면 1<=b<=3)하고 그 범위 내에서 상관계수나 를 최대로 하는 b를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수 b가 결정되면 상기 b를 Z-R 관계식에 대입한다.
이후 각 지점 별로 최적의 A를 구하게 된다. 지점의 크기는 레이더의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관측자료의 경우 대한민국 강원도 철원의 광덕산에 설치된 기상레이더에서 관측한 것으로 상기 레이더의 해상도는 250m 이므로 약 250mX250m의 지역이 하나의 지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하나의 지점에 대한 최적의 A값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먼저 해당 지점에서의 시간대 별로 저장되어 있는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관측자료의 시계열 자료를 전달받은 후 상기 관측자료의 시계열 자료로부터 구할 수 있는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간의 차이의 제곱합을 최소로 하는 A를 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모든 지점에 대해 A의 값을 구하게 되면 3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3단계에서는 제2단계에서 구해진 b의 값과 각 지점에서 구해진 A의 값을 사용하여 각 지점에서의 강수량을 추정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Z-R 관계식의 계수 A와 b가 정해진 상태에서 관측자료로부터 추 정강수량을 계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지점에서의 강수량을 구한 후 각 지점의 강수량에 따라 강수 형태를 분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간당 10mm/hr이상인 경우 대류형(convective)로 판단하게 되며 그 이하인 경우에는 층류형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대류형과 층류형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수형태를 둘 이상의 다양한 형태로 분류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4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단계에서는 각 지점에 대하여 제3단계에서 판단한 강수형태에 따라 b 값을 다시 할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류형의 경우 Woodley 등이 제안한 1.4를 사용하고 층류형의 경우에는 마샬-팔머가 제안한 1.6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값 대신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값이나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값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각 지점에 대해 b값을 할당한 후 제2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측자료의 시계열자료와 측정강수량의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각 지점의 최적의 A를 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5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5단계에서는 제4단계에서 구한 각 지점에서의 계수 A와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계수 b를 Z-R관계식에 대입하여 강수량을 추정하게 된다.
Z-R관계식과 레이더의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강수량을 추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한민국 강원도 철원 광덕산에 설치되어 있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에서 관측한 관측자료와 상기 광덕산 기상레이더의 관측범위 내에 위치하는 레인게이지로부터 구해지는 실제강수량을 사용하여 강수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광덕산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더의 관측 범위와 상기 레이더의 관측 범위 내의 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지점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인게이지가 설치되지 않은 지점은 인접한 지점의 레인게이지들이 측정한 강수량으로부터 보간법 등을 사용하여 실제 강수량을 추정하게 된다.
레이더에서 구해지는 로 데이터 (raw data)는 거리, 방위, 고도가 각각 250m, 1도 , 1도인 해상도를 가지는 원좌표계의 각 점에서의 에코의 강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먼저 이를 직교좌표계로 변환하여 관측자료를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좌표계를 직교좌표계로 변환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노이즈로는 2차트립에코, 브라이트밴드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과 기기의 오류에 의한 노이즈 그리고 레이더의 빔이 가려져 발생하는 오류 등을 포함하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이즈나 오류를 제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역치를 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P를 적용하여 구한 시간당 누적 강수량이 0 mm/hr, 0.5 mm/hr, 0.1 mm/hr 인 것을 각각 역치로 설정하고 관측자료에서 역치 이하로 나오는 신호를 제거하게 된다.
이후 각 역치별로 상관계수를 구한 후 이를 비교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역치를 구하게 된다. 예를 들어 0.5 mm/hr 일 때 상관관계가 가장 높으면 관측자료에서 시간당 누적 강수량이 0.5mm/hr 이하인 자료는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인게이지의 팁핑-버켓이 0.5 mm이므로 그 배수인 0, 0.5,1을 각각 역치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값 외에 다른 값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고도를 결정하게 된다. 먼저 각각 고도가 1.5km, 2.0km, 2.5km일 때의 관측자료를 MP에 대입하여 구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상관계수를 구하게 된다. 이들 중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는 고도를 구한 후 해당 고도의 관측자료만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역치와 고도를 고려하여 관측자료를 구하면 다음으로 2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2단계에서는 관측범위 전체에 하나의 b값을 할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b를 상기 상수를 마샬-팔머의 Z-R관계식에 사용된 1.6으로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b의 값을 1.6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에 포함된 계수를 사용하거나 관측자의 실험에 의해 결정된 계수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수를 사용하는 대신 식(3)과 식(4)로부터 A'와 b'를 구한 후 A와 b를 계산하는 것도 무방하다.
b가 결정되면 다음으로 각 지점(250mX250m 구간)별로 A를 구하게 된다. 먼저 해당 지점의 레이더 관측자료의 시계열 자료를 구하고 이를 통해 구하는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간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를 계산하게 된다.
모든 지점에 대해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A 값을 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에서는 상기 A값과 b값을 Z-R관계식에 대입한 후 레이더로부터 구한 관측자료를 대입하여 각 지점에서의 강수량을 추정하게 된다.
도2의 (a)는 MP를 사용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의 분포를 나타내며 도2의 (b)는 본 발명의 2단계에서 구해진 A와 b를 대입하여 구해진 추정강수량의 분포를 나타낸 다.
상기와 같기 각 지점에서의 강수량을 추정한 후 시간당 10mm 이상의 강수량을 가진 지점은 강수형태를 대류형으로 두고 그 이하인 지점은 층운형으로 둔다.
도2의 (c)는 레이더의 반사도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도2의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류된 것이며 도2의 (e)는 Biggerstaff와 Listemaa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Biggerstaff와 Listemaa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한 것에 가깝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제4단계에서는 상기 제3단계에서 결정된 강수형태에 따라 각 지점의 b 값을 다시 할당하게 된다. 즉 도2의(d)에서 붉은 색으로 나타난 지점(대류형)에는 1.6을 할당하고 녹색으로 나타난 지점(층은형)에는 1.4를 대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지점에 b 값을 할당하고 관측자료의 시계열자료와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제2단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A값을 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5단계에서는 각 지점의 A와 b값을 이용하여 다시 추정강수량을 계산하게 된다.
도3은 제2단계만을 수행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의 분포와 실제강수량 그리고 4단계에서 구해진 계수를 사용하여 추정한 강수량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a),(b),(c)는 제2단계를 수행한 후 구한 추정강수량이며 (d),(e),(f)는 실제강수량이며 (g),(h),(i)는 4단계를 수행한 후 구한 추정강수량을 나타낸다.
이를 보면 제4단계를 수행하여 구해진 추정강수량의 분포가 실제강수량의 분포에 더욱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 : 광덕산의 레이더의 관측범위와 관측범위 내의 레인게이지의 분포
도2 : 다양한 방법으로 구해진 강수량의 분포와 강수형태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3 : 2단계에서 구해진 계수를 사용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 및 4단계에서 구해진 계수를 사용한 추정강수량의 분포를 나타낸 도

Claims (4)

  1. Z-R관계식에 의해 강수량을 추정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처리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단계와;
    Z-R관계식에 관측범위 전체에 하나의 b값을 할당하고 각 지점별로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추정강수량의 시계열 자료와 해당 지점의 실제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간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값을 결정하는 제2단계와;
    결정된 계수 A와 b를 Z-R관계식에 대입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계산하고 상기 강수량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각 지점의 강수형태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각 지점에 대해 제3단계에서 구해진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하고 상기 제2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점의 A값을 결정하는 제4단계와;
    관측자료와 제4단계에서 결정된 각 지점의 계수 A값과 강수형태에 따라 사전에 할당된 b값을 대입한 Z-R 관계식을 사용하여 각 지점의 강수량을 추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단,Z-R 관계식은
    Figure 112009045028787-pat00007
    이며 여기서 Z=레이더 반사도 인자이며 R은 강수강도(mm/h)이고 A와 b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양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계산에 사용된 b를 구하기 위하여 관측범위 전체의 각 지점의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의 제곱의 합을 최소로 하는 A와 b를 구한 후 그 중 b만을 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구해진 A와 b를 사용하여 계산한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 간의 상관계수가 0.5 이하이면 추정강수량과 실제강수량의 차이가 평균제곱오차의 근(RMSE)에 대해 2배 이상인 자료는 삭제하고 다시 계산하여 상기 상관계수가 0.5를 초과하거나 반복횟수가 5회일 때까지 반복하여 b를 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레이더 관측 자료는 실제강수량과 역치 이하의 신호를 제거한 레이더 관측 자료로부터 마샬-팔머의 Z-R 관계식을 사용하여 추정된 추정강수량 간의 상관관계를 최대로 하는 역치를 구하여 상기 역치 이하의 신호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여기서 마샬-팔머 Z-R 관계식은
    Figure 112008078529429-pat00008
    )
KR1020080112791A 2008-11-13 2008-11-13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2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91A KR100921424B1 (ko) 2008-11-13 2008-11-13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791A KR100921424B1 (ko) 2008-11-13 2008-11-13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424B1 true KR100921424B1 (ko) 2009-10-14

Family

ID=4156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7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1424B1 (ko) 2008-11-13 2008-11-13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42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94B1 (ko) 2011-03-25 2012-03-28 메테오르 주식회사 선박용 x 밴드 레이더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강수 레이더 시스템
KR101224258B1 (ko) 2012-03-21 2013-01-21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기상레이더 3차원 반사도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강우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44544B1 (ko)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KR101330846B1 (ko) 2013-07-11 2013-11-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레이더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운버스트 탐지 방법
KR101354522B1 (ko) 2012-08-23 2014-01-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분법과 초기추정법을 이용한 고분해능 레이더 바람장 산출방법
CN105068151A (zh) * 2015-07-31 2015-11-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雨团识别及其特征参数的构建方法和装置
KR101802455B1 (ko) 2016-11-16 2017-11-2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강우의 공간 규모를 고려한 강우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8535793A (zh) * 2018-06-14 2018-09-14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一种公路交通气象条件监测和告警系统
CN110972783A (zh) * 2019-12-03 2020-04-10 大连市人工影响天气办公室 一种人工增雨(雪)地面燃烟炉作业决策方法及系统
CN115792847A (zh) * 2022-11-08 2023-03-14 江西师范大学 一种基于神经网络和回波垂直信息的定量降水估测方法
CN117370714A (zh) * 2023-12-07 2024-01-09 南京气象科技创新研究院 一种代表站定量确定方法
CN118094127A (zh) * 2024-04-29 2024-05-28 南京信息工程大学 基于高空数据与gm灰色迭代的降水量预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76841A (ko) * 1995-12-26 1999-10-25 게네비브 부 탄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기상 레이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KR19990076841A (ko) * 1995-12-26 1999-10-25 게네비브 부 탄 기상 레이다를 이용한 강수율 결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기상 레이다
JP3720848B2 (ja) 1995-12-26 2005-11-30 トムソン―セーエスエフ 二偏波レーダを使用する降水率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気象レー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민 외2인, POSS를 이용한 강수입자분석과 Z-R 관계식 산출(I), 한국기상학회지 제40권 제5호, 2004년 10월
김형우, 도플러 레이다 자료를 리용한 집중호우의 중규모 대류계 분석, 2000년 2월, 서울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94B1 (ko) 2011-03-25 2012-03-28 메테오르 주식회사 선박용 x 밴드 레이더 네트워크를 이용한 국지강수 레이더 시스템
KR101224258B1 (ko) 2012-03-21 2013-01-21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기상레이더 3차원 반사도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강우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54522B1 (ko) 2012-08-23 2014-01-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분법과 초기추정법을 이용한 고분해능 레이더 바람장 산출방법
KR101244544B1 (ko) 2013-01-09 2013-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및 이중편파 레이더 변수의 샘플링오차 품질지수 산출 방법
KR101330846B1 (ko) 2013-07-11 2013-11-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레이더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운버스트 탐지 방법
CN105068151A (zh) * 2015-07-31 2015-11-18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雨团识别及其特征参数的构建方法和装置
KR101802455B1 (ko) 2016-11-16 2017-11-2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강우의 공간 규모를 고려한 강우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8535793A (zh) * 2018-06-14 2018-09-14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一种公路交通气象条件监测和告警系统
CN108535793B (zh) * 2018-06-14 2023-09-26 安徽省大气探测技术保障中心 一种公路交通气象条件监测和告警系统
CN110972783A (zh) * 2019-12-03 2020-04-10 大连市人工影响天气办公室 一种人工增雨(雪)地面燃烟炉作业决策方法及系统
CN110972783B (zh) * 2019-12-03 2022-01-28 大连市人工影响天气办公室 一种人工增雨雪地面燃烟炉作业决策方法及系统
CN115792847A (zh) * 2022-11-08 2023-03-14 江西师范大学 一种基于神经网络和回波垂直信息的定量降水估测方法
CN117370714A (zh) * 2023-12-07 2024-01-09 南京气象科技创新研究院 一种代表站定量确定方法
CN117370714B (zh) * 2023-12-07 2024-03-19 南京气象科技创新研究院 一种代表站定量确定方法
CN118094127A (zh) * 2024-04-29 2024-05-28 南京信息工程大学 基于高空数据与gm灰色迭代的降水量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24B1 (ko) 도플러 기상레이더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 방법
CN112213727B (zh) 一种基于主被动微波联合探测的星载雷达的降水订正方法
CN111623722B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边坡变形立体监测系统和方法
CN108828691B (zh) 短临降水预报方法与装置
Rolstad et al. Spatially integrated geodetic glacier mass balance and its uncertainty based on geostatistical analysis: application to the western Svartisen ice cap, Norway
KR101531224B1 (ko) 이중편파 레이더 기반의 강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3532B1 (ko) 기상레이더의 강수량 추정 방법
KR100931950B1 (ko) 기상레이더의 강수 유형 구분 방법
Wang et al. Improvement of rada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based on real-time adjustments to ZR relationships and inverse distance weighting correction schemes
KR101486798B1 (ko) 기후정보 편의 보정을 위한 단계적 스케일링 방법
CN105891833A (zh) 基于多普勒雷达信息识别暖云降水率的方法
CN113281716A (zh) 一种光子计数激光雷达数据去噪方法
CN116338607A (zh) 时间域和空间域两步式InSAR对流层延迟矫正方法
KR102428330B1 (ko) 연직바람 관측장비와 이중 도플러 레이더 바람장을 이용한 태풍 수평 바람장 회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oistinen et al. Operational measurement of precipitation in cold climates
JP5429493B2 (ja) 降雨観測設備の投資計画評価方法
KR101755521B1 (ko) 레이더 폴리곤 기법을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방법
KR101892502B1 (ko) 윈드프로파일러를 이용한 srh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srh 산출 방법
CN117968589B (zh) 一种地基合成孔径雷达影像质量评价方法
Wardah et al. Radar rainfall estimates comparison with kriging interpolation of gauged rain
CN117348116B (zh) 一种基于非锋性斜压带的局地强对流天气预报方法
CN111095033B (zh) 气象雷达装置及暴雨预测方法
Szturc et al. Quality control and verification of precipitation observations, estimates, and forecasts
Pejcic et al. Polarimetric radar-based methods for evaluation of hydrometeor mixtures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JP2005172634A (ja) 標高別地物占有率計測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浸水深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510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00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