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556A -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68556A KR19990068556A KR1019990020177A KR19990020177A KR19990068556A KR 19990068556 A KR19990068556 A KR 19990068556A KR 1019990020177 A KR1019990020177 A KR 1019990020177A KR 19990020177 A KR19990020177 A KR 19990020177A KR 19990068556 A KR19990068556 A KR 199900685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data
- driving record
- vehicle
- record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07C5/04—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4—Indica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engin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기록계통을 전자식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운행속도변화를 초단위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운행기록데이터를 장기간 보존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와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riving recorder and a driving record capable of electronically implementing a driving record system of a vehicle to record changes in the driving speed of a vehicle in seconds, and to store and manage the driving record data for a long time.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for data.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로그램모드의 설정치를 입력하고, 운행기록데이터를 확인조회하는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수단과, 차량의 운행상태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수집한 운행기록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차량의 운행상태를 검출하여 수집한 운행기록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시킴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확인조회시에 그 운행기록데이터가 확인가능하게 표시 및 프린트출력되도록 제어처리하는 제어수단,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에 의해 차량의 운행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운행기록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출력하는 프린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수의 차량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운행기록장치가 해당되는 차량으로부터 수집한 각각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외부에 무선전송처리하게 되면, 메인 컴퓨터장치에서 다수의 운행기록장치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각각 수집저장 및 운행상태의 확인조회를 위해 출력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et value of a program mode, performing key input for checking and checking driving record data, and storing data for storing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by detecting a driving state of a vehicle in seconds. Means for storing the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by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eans and the control program in the data storage means, and displaying the driving record data so as to be confirmed at the time of confirmation inquiry by the key input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rint output to be printed out,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ata storing means, and print output means for printing out the driving record data on a recording sheet. ; When a plurality of driving recorde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each wirelessly process each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from a corresponding vehicle, the main computer device collects and stores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recorders, respectively. And output processing for confirmation inquiry of the driving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와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로운행상태를 기록하였다가 운행이력으로서 확인가능하게 출력하는 운행기록계통을 전자식으로 구현함에 의해 보다 정밀도가 있고 다양한 운행기록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운행기록데이터의 보존 및 관리가 보다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와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nd driving record data, and more particularly, by more precisely implementing a driving record system that records the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outputs it in a checkable manner as a driving histo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system for driving record data, which enables to create a variety of driving record lists, and to more reliably preserve and manage driving record data.
일반적으로, "도로교통법"과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 56조"의 적용을 받는 수하물 수송용 차량이나 대민 수송용 버스차량과 같은 자동차량의 경우에는 도로주행 기간동안의 도로운행이력을 알아보기 위해 일정 기간동안의 차량의 운행거리와, 순간 속도변화, 운전자 교대상황 등을 자동적으로 기록지에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식 운행기록계를 채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vehicles such as baggage transport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bus vehicles subject to the "Road Traffic Act" and "Article 56 of the Regulation on Automobile Safety Standards", the driving history during the road driving period is known. In order to view, a mechanical driving recorder is used to automatically record and store the driving distance, instantaneous speed change, driver's traffic status, et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이러한 기계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기록된 차량의 도로운행이력은 해당 차량의 안전운전에 대한 실태를 알 수 있는 검토자료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근태현황과 차량의 올바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history of the vehicle recorded by such a mechanical tachograph not only functions as a review data to know the actual condition of safe driving of the vehicle, but also as a basic data for the driver's attendance status and proper management of the vehicle. Mainly used.
한편, 그러한 통상적인 기계식 운행기록계에 있어서는 마그넷부가 변속기의 속도계 구동기어와 케이블에 의해 결합되어 기어의 회전에 따라 마그넷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함에 따라, 랙과 피니언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차속에 비례한 움직임을 속도기록계의 기록침을 통해서 기록지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주행거리가 케이블로부터의 회전에 의해 캠이 회전되면서 기록침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킴에 따라 별도의 기록지상에 기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such a conventional tachograph, the magnet part is coupled by the speedometer drive gear of the transmission and the cable,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by the rack and pinion as the magnet rotates as the gear rotates. This allows the recorder to record movements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vehicle on the recording paper through the tachometer's needle, and as the mileage reciprocates the needle as the cam rotates by the rotation from the cable. It is configured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sheet.
그 기계식 운행기록계의 경우에는 차량의 평균속도를 1분 단위마다 기록지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부주의한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그 사고발생의 추이를 차속변화를 기록한 기록지를 참조하여 추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driving recorder, the averag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sheet every minute, so that if the accident of the inadvertent vehicle occurs, the trend of the accident can be estimated by referring to the recording sheet of the change of vehicle speed. Doing.
하지만, 그러한 종래의 기계식 운행기록계의 경우에는 변속기의 속도계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인가받아 그래프식으로 기록되는 기록용지상에 차량의 속도변화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록지의 기록수명이 1일 또는 1주일에 지나지 않아서 수시로 기록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차량의 속도변화에 대한 기록시간 단위가 1분정도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유발되는 돌발사고와 같이 수초 단위로 발생되는 차속상황에 대해서는 기록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운행기록계통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driving recorder, since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peedometer driving of the transmission is applied,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can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paper that is recorded in a graph form.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recording sheet at any time because it is only one day or one week, and because the recording time unit for the speed change of the vehicle is limited to about one minute, the vehicle speed that is generated in the unit of seconds such as a sudden accident that occurs momentarily As the situation becomes impossible to reco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erform its role as a driving record system properly.
게다가, 최근에는 이러한 운행기록계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상황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필요성과 요구가 제기되는 바, 종래의 기계식 운행기록계로는 그러한 다양한 필요성과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는 불리함이 있다.In addition,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reproducing and analyzing a vehicle's driving situation in various ways using these tachographs has recently been raised.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a conventional mechanical tachograph to satisfy such various necessities and demands. There is a disadvantage.
또한, 종래의 기계식 운행기록계의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거리와 차속변화 등의 기록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해당 차량의 운행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에나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한 차량운행정보의 분석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그에 따른 상황대처도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recorder, in order to collect and analyze the record information such as the mileage of the vehicle and the change in the vehicle speed, it is inevitably possible only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completely terminated. As the analysis becomes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tuational response cannot be made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운행기록계통을 전자식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운행속도변화를 초단위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운행기록데이터를 장기간 보존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change i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 seconds by electronically implementing the driving record system of the vehicle and to store and manage the driving record data for a long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which is enabl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식으로 구현된 차량의 운행기록계통에 대해 해당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광범위한 데이터의 설정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and outputting a wide range of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riving record system of the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식의 운행기록계통에 의해 반복적으로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무선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운행기록계통을 관리하는 메인 컴퓨터장치에서 해당 운행정보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무선수신받아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on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that is repeatedly recorded by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system, and to manage the corresponding driving recor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for driving record data that can periodically receive, manage, and analyze data.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식의 운행기록계통에 의해 반복적으로 기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형 컴퓨터장치를 매개하여 용이하게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driving record data, which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llect and manage data on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repeatedly recorded by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system through a portable computer device.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에 의하면, 시동장치로부터의 시동 온/오프신호와 차속검출장치로부터의 차속검출신호를 공급받아 차량의 운행상태를 검출하여 기록하는 차량의 운행기록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모드의 실행에 따라 해당 차량의 운행상태기록에 관련된 설정치를 입력함과 더불어, 그 설정치에 의거하여 수집된 운행기록데이터를 확인조회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시동장치로부터의 시동 온/오프신호와 상기 차속검출장치로부터의 차속검출신호 및 차량의 배터리전원을 입력받는 신호입력수단, 프로그램모드에 따른 설정치에 근거하여 차량의 운행상태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시킴과 더불어, 그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의 확인조회에 대한 제어처리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제어데이터 저장수단, 차량의 운행상태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수집한 운행기록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 상기 제어데이터 저장수단의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입력수단을 통한 시동 온/오프신호와 차속검출신호에 의해 차량의 운행상태를 검출하여 수집한 운행기록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시킴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운행상태의 확인조회시에 그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가 확인가능하게 표시 및 프린트출력되도록 제어처리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표시제어하에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에 의해 차량의 운행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프린트제어하에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출력하는 프린트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receiving the start on / off signal from the starter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to detec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 a driving recorder of a vehicle for recording, inputting a setting value related to driving state record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execution of a program mode, and performing a key input for confirming and querying collected driving record data based on the setting value.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a key input means, a start on / off signal from the starter,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a signal input means for receiving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and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program mode Is detected and stored in the unit of second, and the control process for the verification inquiry of the stored driving record data is provided. Control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rogram,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by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 seconds, start-up via the signal input means based on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data storage means By storing the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by detect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the off signal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in the data storing means, and from the data storing means when checking the driving state by the key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processing so that the driving record data is identifiably displayed and printed out,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ata storage means under display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Operation record day from the data storage means under print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It provides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comprising a print output means for printing the output to the recording paper.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되는 차량으로부터 수집한 각각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외부 전송처리하는 다수의 운행기록장치와, 상기 다수의 운행기록장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되는 운행기록장치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소정 주파수의 무선신호로서 무선전송시키는 다수의 데이터 송신수단, 상기 다수의 데이터 송신수단으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다수의 운행기록장치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수단 및, 상기 데이터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운행기록장치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데이터복조처리하여 수집저장함과 더불어 운행상태의 확인조회를 위한 출력처리를 행하는 운행기록 수집/처리수단으로 구성된 운행기록데이터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driving record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each of the driving record data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vehicles col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vehicle external transmission processing A plurality of data transmitting means which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ing record apparatuses, respectively, to wirelessly transmit driving record data from a corresponding driving record apparatus as radio signals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Dat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driving record data from a plurality of driving record apparatuse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means of the data,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plurality of driving record apparatuses received through the data receiving means. Operation that performs output processing for checking inquiry of driving status as well as storage box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of the driving record data consisting of a lock acquisition / processing it mean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상태를 검출하여 기록하였다가 출력하는 운행기록장치를 전자방식으로 구현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상태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장시간의 운행상황이 저장되도록 함과 더불어, 다양한 확인모드에 따라 운행기록데이터의 확인표시 및 프린트출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수집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메인 컴퓨터장치측으로 일정기간마다 반복적으로 무선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형 컴퓨터장치와의 유선연결에 의해서도 소망하는 운행기록데이터의 유선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implementing a driving recorder that detects and record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outputs it electronically to detec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 seconds so that the long-term driving situation is sto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ariously display and print the driving record data according to various confirmation modes, and to repeatedly transmit the collected driving record data to the main computer device at regular intervals, and at the same time, a portable computer The wired connection with the device enables the wired transmission of the desired driving record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를 구성하는 키패드와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keypad and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초기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nitial setting process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적용된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운행기록동작과 그 운행기록상태를 선택적으로 확인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vely confirming and displaying a driving recording operation and a driving recording state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ing apparatus applied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record dat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전송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processing driving record data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키패널, 4:표시부,2: key panel, 4: display,
6:컨넥터, 8:안테나 연결단자,6: connector, 8: antenna connector,
10:데이터 입출력포트, 12:프린터 출력포트,10: data input / output port, 12: printer output port,
20:입력 인터페이스, 22:제어데이터저장부,20: input interface, 22: control data storage,
24:데이터저장부, 28:제어부,24: data storage, 28: control,
30:출력 인터페이스, 32:표시구동부,30: output interface, 32: display driver,
34:RF변조부, 200:운행기록장치,34: RF modulator, 200: driving recorder,
210:차량용 프린터장치, 215:송신안테나,210: vehicle printer apparatus, 215: transmission antenna,
220:수신안테나, 225:메인 컴퓨터장치,220: receiving antenna, 225: main computer device,
230:메인 프린터장치, 235:서브 컴퓨터장치.230: main printer unit, 235: sub computer uni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해당 전자식 운행기록장치(200)의 전면에는 현재의 날짜와 시간, 차량등록번호 및 과속기준속도와 급제동 변이속도 등의 설정치의 설정 및 수정을 위한 키버튼과, 차량의 초당 운행속도 및 운행날짜, 시간, 주행거리, 과속리스트, 급제동리스트의 화면표시를 위한 선택과 그래프용지로의 출력을 위한 선택조작을 행하는 복수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패드(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키패드(2)의 설치위치 상단에는 각종 설정치의 설정 및 수정상태와, 기록된 운행상태의 선택에 의한 기능별 조회를 위한 화면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4)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the speed reference speed, and the braking are applied to the front of the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FIG. Key buttons for setting and modifying setpoints, such as shift speeds, selection for display of the vehicle's running speed and date per second, time, mileage, speed list, and braking list, and selection for output to graph paper. A keypad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executing a screen, and a screen for function-specific inquiry by selection of setting and modification states of various set values and selection of a recorded driving state at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keypad (2). The display part 4 which performs a display is provided.
또한, 동 도면에서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휴대형 컴퓨터장치로서의 서브 컴퓨터장치(235)의 데이터 입출력포트와 데이터 케이블(예컨대 RS232C 케이블)을 매개로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된 데이터 입출력포트(10)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에 비치되는 별도의 프린터기기의 데이터 입력포트와 데이터 케이블을 매개하여 결합되어 각종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린터 출력포트(12)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same figure, the front of the driving recorder 200 is coupled to a data input / output port and a data cable (for example, an RS232C cable) of a sub computer device 235 as a portable computer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input / output port 10 install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printer output for transmitting various driving record data by combining a data input port and a data cable of a separate printer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he port 12 is installed.
또,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의 후면에는 해당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배터리로부터의 직류전원과, 시동키의 조작에 따른 시동 온/오프신호 및, 차량의 운행속도의 검출에 따라 발생되는 차속검출신호를 공급받는 컨넥터(6)가 설치됨과 더불어, 해당 운행기록장치(200)에 반복적으로 기록되어 저장되는 운행기록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무선전송시키기 위해 차량에 제공되는 외부 안테나와 결합되는 안테나 연결단자(8)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driving recorder 200 detects a vehicle speed generated by detecting a DC power supply from a vehicle battery provided from the vehicle, a start on / off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ignition key, and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connector 6 receiving the signal is installed,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coupled with the external antenna provided to the vehicle to periodically transmit radio recording data repeatedly recorded and stored in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 8) is installed to exte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를 구성하는 키패드와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상기 키패드(2)는 차량의 운행기록상태를 다양하게 조회하기 위한 다수의 확인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키버튼(2A)과, 선택된 확인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는 숫자의 자릿수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거나 1초전의 속도상황을 선택하기 위한 좌측 이동키버튼(2B), 선택된 확인모드에 대응하여 선택된 자릿수의 숫자를 1씩 증가시키거나 바로 이전의 리스트를 확인표시 시키기 위한 선택을 행하는 증가 키버튼(2C), 선택된 확인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는 숫자의 자릿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1초 이후의 속도상황을 선택하기 위한 우측 이동키버튼(2D) 및, 선택된 확인모드에 따라 선택된 자릿수의 숫자를 1씩 감소시키거나 바로 이후의 리스트를 확인표시 시키기 위한 선택조작을 행하는 감소 키버튼(2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2)에서는 또 다른 기능의 추가를 위해 예비적으로 구비된 예비버튼(2F)과, 현재의 시간(제 1프로그램모드)과 날짜(제 2프로그램모드) 및 차량등록번호(제 3프로그램모드)와, 감속율(제 4프로그램모드), 과속기준속도(제 5프로그램모드)와 급제동 변이속도(제 6프로그램모드)의 설정치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키조작되는 프로그램 키버튼(2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view showing a keypad and a display un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keypad 2 selectively sets a plurality of confirmation modes for variously inquiring about the driving record state of the vehicle. Mode setting key button 2A for moving the left and left shift key button 2B for shifting the number of digi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to the left in response to the selected confirmation mode or selecting the speed situation 1 second ago An increment key button 2C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elected digits by 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firmation mode or for confirming the immediately preceding list by 2C, and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4 in response to the selected confirmation mode. Right shift key button (2D) to move the number of digits to the right or to select the speed situation after 1 second, and the number of digit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nfirmation mode And a decrement key button 2E for decrementing the number of by 1 or performing a selection operation for confirming and immediately following the list. In addition, the keypad 2 has a preliminary button 2F provided in advance for the addition of another function, the current time (first program mode) and date (second program mode), and vehicle registration number (first). 3G program mode, program key button (2G) operated by key to input or modify the set values of deceleration rate (4th program mode), overspeed reference speed (5th program mode) and rapid braking shift speed (6th program mo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모드설정 키버튼(2A)에 의해 선택가능한 확인모드는 현재시간의 표시모드를 제 1확인모드로서 지정하고, 현재날짜의 표시모드를 제 2확인모드로서 지정하며, 총 주행거리의 표시모드를 제 3확인모드로서 지정하고, 소정의 구간별 주행거리의 표시모드를 제 4확인모드로서 지정하며, 해당 차량의 과속횟수를 표시하는 모드를 제 5확인모드로서 지정하고, 차량의 급제동 횟수와 급제동 시간 및 당시의 속도, 날짜를 표시하는 모드를 제 6확인모드로서 지정하며, 차량 엔진의 온/오프 횟수와 시간을 표시하는 모드를 제 7확인모드로서 지정하고, 해당 차량의 운행속도를 표시하는 모드를 제 8확인모드로서 지정하며, 차량의 과속리스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제 9확인모드로서 지정하도록 한다.Here, the confirmation mode selectable by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designates the display mode of the current time as the first confirmation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current date as the second confirmation mode, and displays the total travel distance. The mode is designated as the third confirmation mode, the display mode of the mileage for each section is designated as the fourth confirmation mode, the mode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speeding of the vehicle is designated as the fifth confirmation mode, and the number of rapid braking times of the vehicle is specified. And a mode for displaying the braking time, the speed and the date at the time as the sixth confirmation mode, and a mode for displaying the on / off frequency and the time of the vehicle engine as the seventh confirmation mode,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vehicle. The display mode is designated as the eighth confirmation mode, and the mode for displaying the speed list of the vehicle is designated as the ninth confirmation mode.
한편, 상기 제 1확인모드의 선택에 따라 현재시간이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감소 키버튼(2D)이 키조작되면, 해당 차량에 대해 기록된 운행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차속의 속도그래프와, 운행날짜, 운행시간, 차량등록번호, 주행거리, 과속리스트, 급제동리스트 등의 전반적인 운행기록을 포함하는 운행그래프를 프린트출력시키기 위한 기능입력이 개시되도록 하게 되는 바 그 운행그래프는 예컨대 20초와 같은 수 초간격으로 자동적으로 프린트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면 프린트출력의 중지를 위한 기능입력으로서 간주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crease key button 2D is operated with the current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confirmation mode, the speed of the vehicle speed based on the driving record data recorded for the vehicle. The function input for printing and outputting the graph and the driving graph including the driving record including the driving date, the driving time,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the driving distance, the speeding list, the braking list, etc. may be start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int out at intervals of several seconds, such as seconds, and when the increment key button 2C is operated, it is regarded as a function input for stopping the printout.
그리고, 상기 제 4확인모드의 선택에 따라 소정 구간별 주행거리를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좌측 이동키버튼(2B)과 우측 이동키버튼(2D)이 동시에 키조작되면, 해당 구간별 주행거리의 데이터를 리세트시켜서 소거시키기 위한 기능입력으로서 간주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and the right navigation key button 2D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driving distan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ourth confirmation mode, The data of the mileage is reset to be regarded as a function input for erasing.
이 때, 상기 프로그램 키버튼(2G)은 운행기록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프로그램 설정치를 설정한 이후에는 예컨대 납 등과 같은 고형 매립물에 의해 완전하게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gram key button 2G is completely sealed by a solid embedded material such as lead, for example, after setting a program set value which is a reference for driving recording operation.
또한, 동 도면에서 상기 표시부(4)는 현재의 운행속도와, 확인모드의 선택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 당시의 운행속도, 엔진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3자릿수의 세그먼트소자로 이루어진 속도표시영역(4A)과,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에 의해 선택되는 제 1∼제 9확인모드에 따른 모드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1자릿수의 세그먼트소자로 이루어진 구분모드 표시영역(4B) 및, 선택된 확인모드에 대응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와 시간 및 횟수를 표시하기 위해 6자릿수의 세그먼트소자로 이루어진 숫자 표시영역(4C)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same figure, the display unit 4 is composed of three-digit segment elements for displaying the current running speed, the running speed at the time to be search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nfirmation mode,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engine. Division mode display area consisting of a single digit segment element for displaying the display area 4A and the mode number according to the first to ninth confirmation modes selected by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4B, and a numeric display area 4C made up of six digit segment elements for displaying the date, time, and number to be 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firmation mo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운행기록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20은 상기 키패드(2)의 키버튼 입력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인식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인터페이스함과 더불어, 상기 컨넥터(6)를 통해 차량의 시동장치(202)로부터 입력받은 시동 온/오프신호와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 입력받은 차속검출신호를 인식가능한 데이터의 형태로 인터페이스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riving reco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button input of the keypad 2. In addition to the interface in the form of data,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starter 202 of the vehicle via the connector 6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in the form of recognizable data Represents the input interface to interface.
또한, 참조부호 22는 차량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수집하여 기록하는데 관련된 제어처리와, 그 운행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1∼제 9확인모드에 따른 확인표시와 외부로의 데이터출력에 관련된 제어처리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제어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내고, 24는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각종 설정사항의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온/오프신호에 응답하여 시동 온/오프 횟수와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운행상태에 따라 반복적으로 저장함과 더불어, 차속검출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차량의 주행거리와 수 초단위의 차속변이,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와 과속상태 및 급제동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Further,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control process related to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driving record data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process related to the confirmation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to ninth confirmation modes and the output of data to the outside based on the driving record data. A control dat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the control program, and 24 denotes a start / on signal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data of various setting items set by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stored. In response, the data of the number of start-up / off time and time and date are repeatedly store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us, and the vehicle's mileag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n several seconds, the time and date data and the speed are in response to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Represents a data storage unit for repeatedly storing data about the state and the sudden braking state.
여기서, 상기 데이터저장부(24)는 과속이나 급제동시 그 순간에서의 운행속도와 그 이전 또는 이후의 운행속도와의 속도변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당시의 시, 분, 초의 시간데이터와 더불어 1초 단위로 차속을 검출한 차속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저장하게 된다.Here, the data storage unit 24 is one second with the time data of the hour, minute, second at the time so that the speed change state between the running speed at the moment and the previous or subsequent running speed at the time of overspeed or sudden braking The vehicle speed data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is repeatedly stored in units.
또, 참조부호 26은 해당 운행기록장치(200)의 운행상태 기록에 필요한 시간산출의 기준으로서 타이밍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밍클럭 발생수단을 나타내고, 28은 해당 운행기록장치(200)의 기능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그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에 설치된 프로그램 키버튼(2G)과 여타 키버튼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각종 설정사항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차량의 시동장치(202)로부터 공급되는 시동 온/오프신호와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 제공되는 차속검출신호에 의해 시동 온/오프상태에 관련되어 산출된 운행기록데이터와 차속검출상태에 관련되어 산출된 운행기록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기록저장시키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패드(2)의 확인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그 데이터저장부(24)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4)상에 확인표시 시키거나 프린트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처리한다.Reference numeral 26 denotes timing clock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timing clock as a reference for time calculation required for recor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and 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 function operation of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Control unit 28, the control unit 28 is a starting device 202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data of various setting items set by operation of a program key button 2G and other key buttons provided on the keypad 2; Driving record data calcul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tartup on / off state by the start on / off signal supplied from the vehicle speed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and the driving record data calculated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tate. In addition to controlling to record and store in the data storage unit 24,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ata storage unit 24 is read in response to selection of the confirmation mode of the keypad 2; To determine to display on said display unit (4) or control treated so as to be printed out.
여기서,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10)를 통한 외부의 컴퓨터장치로부터의 데이터전송 요구를 받게 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그 데이터 입출력포트(10)를 매개로 외부에 유선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8)에서는 미리 결정된 소정기간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독출하여 무선전송 시킬 수 있도록 제어처리하게 된다.When the controller 28 receives a data transfer request from an external computer device through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the controller 28 stores the driving recor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as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It is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wired to the outside through.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 performs a control process so that the driving recor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may be read out periodically and wirelessly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eriods.
그리고, 참조부호 30은 상기 제어부(28)를 통해 출력되는 운행기록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프린터 출력포트(12)를 통해 외부의 프린터장치에 출력가능한 신호의 형태로 인터페이스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32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30)를 통해 공급되는 운행기록데이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표시부(4)상에 선택된 확인모드에 따른 운행상태의 확인표시가 가능하도록 구동동작되는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form of a signal that enables driving record data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28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or output to an external printer apparatus through the printer output port 12. 32 is driven by a signal of driving record data supplied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30 so as to enable confirmation display of the driving state according to the checking mode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4; The display driver is operated.
또한, 참조부호 34는 상기 제어부(28)에 의한 일정기간 마다의 주기적인 운행기록데이터의 무선전송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24)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예컨대 219MHz 또는 447MHz의 무선RF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 연결단자(8)를 통해 차량의 안테나측으로 공급하는 RF변조부를 나타낸다.Further,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radio RF signal of, for example, 219 MHz or 447 MHz, according to the radio transmission control of the periodic driving record data for each period by the controller 28. An RF modulator for modulating and supplying the antenna to the antenna 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8 is shown.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기록의 기준으로 되는 각종의 설정사항즉, 현재의 시간과 날짜, 차량번호, 감속율, 과속 기준속도, 급제동 변이속도를 상기 키패드(2)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안테나 연결단자(8)와 연결되고서 외부로부터 무선전송받은 RF신호를 복조처리하는 RF복조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한 상태에서, 해당 차량의 운행기록상태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메인 컴퓨터장치와 그에 대한 데이터의 무선전송을 위한 무선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설정사항중에서 차량번호와 감속율을 제외한 현재의 시간 및 날짜와, 과속 기준속도, 급제동 변이속도에 대한 설정치를 수신받아 해당 차량의 운행기록에 필요한 설정사항으로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various settings that are the basis of the driving record, that is, the current time and date, vehicle number, deceleration rate, speed reference speed, sudden braking shift speed to the user input by the keypad (2) Although it is possible to set by the main, which is connected to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8) and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RF demodulation unit for demodulating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main for comprehensively managing the driving record state of the vehicle Among the settings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device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means for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the current time and date exclud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deceleration rate, and the reference values for the speed reference speed and the brake braking speed are received. It is possible to save as a setting necessary for driving record.
또한, 차량번호와 감속율의 설정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제외한 현재의 시간 및 날짜와, 과속 기준속도, 급제동 변이속도에 대한 운행기록상의 설정사항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10)에 연결하여 해당 설정사항의 데이터를 유선전송받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portable computer that stores data of the current time and date except the vehicle number and the deceleration rate setting data, and the setting data of the driving record for the overspeed reference speed and the sudden braking shift speed may be stored. 10),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d save the data of the settings by wire transmission.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운행기록에 필요한 프로그램 초기설정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ogram initial setting operation required for driving record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먼저, 단계 40에서 해당 운행기록장치(200)의 전면에 설치된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1회 키조작되면, 제어부(28)에서는 제어데이터저장부(22)의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현재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제 1프로그램모드를 모드설정하면서 표시부(4)상에 해당 프로그램모드의 초기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First, in step 40, 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riving recorder 200 is keyed once, the control unit 28 controls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data storage unit 22. On the display unit 4, the initial state of the program mode is displayed while setting the mode of the first program mode which can set the current time.
그에 따라, 상기 키패드(2)의 좌/우측 이동키버튼(2B,2D)과 증가/감소 키버튼(2C,2E)을 키조작하여 시, 분, 초단위로 현재시간이 선택된 다음에 모드설정 키버튼(2A)을 키조작하여 선택된 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8)는 그 설정된 시간을 현재시간으로서 세트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left / right movement key buttons 2B and 2D and the increase / decrease key buttons 2C and 2E of the keypad 2 are operated to select the present time in units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and then the mode setting key. When the selected time is set by keying the button 2A, the controller 28 sets the set time as the current time.
그 다음에, 단계 41에서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재차 키조작되면, 상기 제어부(28)는 현재 날짜의 설정을 위한 제 2프로그램모드에 돌입하게 되고, 그 키패드(2)의 좌/우측 이동키버튼(2B,2D)과 증가/감소 키버튼(2C,2E)과 모드설정 키버튼(2A)의 키조작에 의해 선택된 년, 월, 일 단위의 날짜를 현재의 날짜로서 세트시키게 된다.Then, 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keyed again in step 41, the control unit 28 enters the second program mode for setting the current date, and the keypad 2 The date of the year, month, and day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of the left / right navigation key buttons 2B and 2D, and the increase / decrease key buttons 2C and 2E and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as the current date. Set.
또한, 단계 42에서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재차 키조작되면, 상기 제어부(28)는 해당 차량의 차량등록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제 3프로그램모드를 설정하면서, 그 키패드(2)의 좌/우측 이동키버튼(2B,2D)과 증가/감소 키버튼(2C,2E)의 키조작에 의한 숫자의 선택과 모드설정 키버튼(2A)에 의한 설정 키조작에 의해 입력된 번호를 차량등록번호로서 세트시키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keyed again in step 42, the controller 28 sets the third program mode for setting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of the vehicle, 2) Selection of numbers by key operation of left / right movement key button 2B, 2D and increase / decrease key button 2C, 2E and number input by setting key operation by mode setting key button 2A Is stored as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in the data storage unit 24.
이어, 단계 43으로 진행하여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또 다시 키조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8)는 1Km 마다의 감속을 위한 펄스비율을 선택하는 감속율의 설정을 위한 제 4프로그램모드를 설정하게 되는 바, 상기 키패드(2)의 키조작에 의해 선택된 숫자에 의거하여 감속율을 위한 펄스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하게 된다.Subsequently, in step 43, 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keyed again, the controller 28 sets the deceleration rate for selecting a pulse rate for deceleration every 1 km. Since the fourth program mode is set, the pulse ratio for the deceleration rate is set based on the number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of the keypad 2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그 다음에, 단계 44에서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재차 키조작되면, 상기 제어부(28)는 과속 기준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 5프로그램모드로 모드절환되면서 그 키패드(2)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숫자를 과속 기준속도로서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고, 그 이후에 단계 45로 진행하여 상기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또 다시 키조작되면, 급제동으로 인정되는 1초당의 속도변화 즉, 급제동의 변이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 6프로그램모드로 모드절환되면서 그 키패드(2)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숫자를 급제동 변이속도로서 설정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Then, in step 44, 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again, the controller 28 switches the mode to the fifth program mode for setting the speed reference speed, and the keypad 2 In accordance with the key operation, the number inputted is set as an overspeed reference spe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After tha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5 where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When the key is operated again, the mode input to the sixth program mode for setting the speed change per second, i.e., the sudden braking shift speed, which is regarded as sudden braking, is inputted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of the keypad 2 as the sudden braking shift speed. It is set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그러한 제 1∼제 6프로그램모드에 따라 요구되는 설정치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단계 4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8)는 그 키패드(2)의 프로그램 키버튼(2G)이 최종적으로 키조작되면 프로그램모드를 종료하게 되고, 타인에 의한 프로그램 설정치의 부주의한 수정이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납과 같은 고형 매립물에 의해 완전히 봉합시키게 된다.After the setting of the required set values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program modes is completed, the flow advances to step 46, and the control unit 28 makes a program when the program key button 2G of the keypad 2 is finally keyed. The mode is terminated and completely sealed by a solid landfill, such as lead, to prevent inadvertent modification or tampering with program settings by other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양태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초기설정동작에 대해서는 제 1∼제 6프로그램모드에 따라 현재 시간과 날짜, 차량번호, 감속율, 과속 기준속도, 급제동 변이속도의 설정사항을 상기 키패드(2)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여 저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그 차량번호와 감속율의 설정사항을 제외한 현재 시간과 날짜, 과속 기준속도, 급제동 변이속도의 설정사항의 데이터를 해당 차량에 대한 운행기록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외부의 메인 컴퓨터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받아 저장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initial setting operation of the program required for the driving rec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program mode, the current time and date, vehicle number, deceleration rate, overspeed Although the settings of the reference speed and the sudden braking speed can be set and stored by the user input of the keypad 2, the current time and date, the speed reference speed, and the rapid braking are excluded except for the vehicle number and the deceleration rate setting.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method of wirelessly receiving and storing the data of the setting of the shift speed from an external main computer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driving records for the vehicl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프로그램 설정치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운행기록동작과 기록된 운행기록데이터에 대한 확인조회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driving recor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rmation inquiry operation on the recorded driving record data based on the program set value se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먼저, 단계 50에서 해당 운행기록장치(200)가 설치된 차량에 시동이 온되면서 시동장치(202)가 가동되면, 제어부(28)는 컨넥터(6)와 입력 인터페이스(20)를 매개하여 시동장치(202)로부터의 시동 온신호를 인가받아 엔진 온횟수와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하고서,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 공급되는 차속검출신호를 기초로 주행거리라던지 차속, 과속 및, 급제동에 관련된 횟수와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202)에 의해 시동 오프신호가 공급되면 엔진의 오프횟수와 더불어 그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First, when the starter 202 is started while the vehicle is installed in the driving recorder 200 in operation 50, the controller 28 controls the starter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6 and the input interface 20.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engine speed, time and date is received by the start on signal from the vehicle 202,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24, and the driving distance is based o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The data of the number, time, and date related to the throwing vehicle speed, the speeding, and the rapid braking are prepar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In this state, when the start-off signal is supplied by the starter 202, the data of the time and date together with the number of off-offs of the engine is cre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상기한 상태에서, 단계 51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에 의한 키조작에 의해 현재시간의 확인표시를 위한 제 1확인모드가 설정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above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1 and the control unit 2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onfirmation mode for the confirmation display of the current time is set by a key operation by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Determine whether or not.
상기 단계 51의 판단 결과,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에 대한 키조작의 결과로 제 1확인모드가 설정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가 단계 52로 진행하여 타이밍클럭발생부(26)로부터 발생되는 타이밍클럭에 의해 현재시간을 산출하여 그에 따라 표시구동부(32)를 구동시키게 되면서 표시부(4)상의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1확인모드를 나타내는 "1"의 숫자가 표시됨과 동시에 숫자표시영역(4C)상에 현재시간의 시, 분, 초의 숫자가 표시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5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onfirmation mode is set as a result of the key operation on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52 to generate a timing clock. The current time is calculated by the timing clock generated from the unit 26, and the display driver 32 is driven accordingly, and the " 1 " indicating the first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i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on the display unit 4.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number is displayed and the hour, minute and second numbers of the current time are displayed on the number display area 4C.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8)는 그 키패드(2)의 감소 키버튼(2E)이 운행그래프의 프린트출력을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면(단계 53에서 YES), 예컨대 20초와 같이 수 초단위로 산출되는 차량의 운행속도와, 주행거리, 과속리스트, 급제동리스트를 운행날짜와 운행시간 및 차량등록번호와 더불어 운행기록데이터로서 프린터 출력포트(12)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프린터장치측으로 전송하여 소정의 기록용지상에 운행그래프가 프린트출력되도록 한다(단계 54).In that state, the control unit 28 determines that the decrease key button 2E of the keypad 2 is being operated for printing of the driving graph (YES in step 53), for example, several seconds, for example, 20 seconds. The driving speed, driving distance, speeding list, and braking list calculated in units are transmitted to the printer apparatus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printer output port 12 as driving record data together with the driving date, driving time and vehicle registration number. The running graph is printed out on the predetermined recording sheet (step 54).
상기 단계 54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의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단계 55에서 YES), 상기 제어부(28)는 운행그래프의 프린트출력을 위한 운행기록데이터의 전송을 중지시켜서 프린트출력을 종료하게 된다(단계 56).If it is determined in step 54 that the increment key button 2C of the keypad 2 is being operated (YES in step 55), the controller 28 outputs the print output of the driving graph.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record data is stopped to end the printout (step 56).
한편, 상기 단계 51의 판단 결과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1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가 단계 57로 진행하여 제 2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해 키조작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51 tha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not operated for the first confirmation mode,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57 to set the second confirmation mode. Determine whether key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2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날짜의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구동부(32)를 구동시켜서 상기 표시부(4)의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2확인모드를 나타내는 "2"의 숫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현재의 날짜를 년, 월, 일 단위로 표시하게 된다(단계 5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being operated for the setting of the second confirmation mode, the display driver 32 is driven based on the data of the preset date. I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of the display unit 4, the number " 2 " representing the second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and the current dat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in units of years, months and days. Display (step 58).
하지만,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2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해 키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단계 57에서 NO) 제 3확인모드를 위한 키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59에서 YES),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지속적으로 합산되어 저장된 차량의 총 주행거리에 따른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구동부(32)를 구동시켜서 표시부(4)의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3확인모드를 나타내는 "3"의 숫자가 표시되면서 숫자 표시영역(4C)상에 총 주행거리의 숫자가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60).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operation for the third confirmation mode is performed while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not operated for setting the second confirmation mode (NO in step 57) ( YES in step 59), the display driving unit 32 is driven based on the data according to the total mileage of the vehicle which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data storage unit 24 and stored to display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of the display unit 4. The number "3" indicating the third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number of total travel distances is displayed on the number display area 4C (step 60).
반면에,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3확인모드의 모드설정을 위해 키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단계 59에서 NO), 제 4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단계 61에서 YES) 제어가 단계 62로 진행하여 0.1Km 단위로 소정 구간별 주행거리가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not being keyed for mode setting in the third confirmation mode (NO in step 59), the key operation for setting the fourth confirmation mode is performed. If so (YES in step 6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62 so that the traveling distan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in units of 0.1 k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FIG.
그 상태에서, 해당 구간별 주행거리를 소거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2)의 좌측 이동키버튼(2B)과 우측 이동키버튼(2D)이 동시에 키조작되는 경우(단계 63에서 YES), 상기 소정의 구간별 주행거리를 소거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and the right navigation key button 2D of the keypad 2 are simultaneously operated in order to erase the traveling distance for each section (YES in step 63), the predetermined sections The mileage is eliminated.
한편, 상기 단계 61의 판단 결과에서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4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 제 5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65에서 YES), 미리 설정된 과속 기준속도에 위거하여 상기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의 차속검출신호를 통해 검지된 과속상태의 횟수를 계수한 계수치 즉, 과속횟수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5확인모드를 나타내는 "5"의 숫자가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6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61 tha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not operated for the setting of the fourth confirmation mode but is operated for the fifth confirmation mode (step YES at 65), a count value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the overspeed state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in accordance with a preset speed reference speed, that is, the number of speeds is displayed numerically on the display unit 4. In addition to being displayed in the area 4C, a number of " 5 " representing the fifth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i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step 66).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의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고 있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경우에는(단계 67에서 YES)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과속상태에 대한 운행기록데이터에서 예컨대 최근 2개의 과속상태에 대한 과속속도와, 그에 대한 시간, 차량등록번호, 총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운행기록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포트(10)를 통해 차량의 프린터장치측으로 전송하여 과속리스트가 프린트출력되도록 한다(단계 68).In this state, when the control unit 28 determines that the decrease key button 2E of the keypad 2 is being operated (YES in step 67), the overspeed stat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is maintained. In the driving record data for, for example, the driving speed data indicating the speeds of two recent speeding states, tim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and total driving distance thereof are transmitted to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vehicle through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The speed list is printed out (step 68).
한편,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5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단계 65에서 NO) 급제동의 횟수를 확인하기 위한 제 6확인모드의 실행을 위해 키조작되는 경우(단계 69에서 YES), 제어가 단계 70으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급제동 변이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의 차속검출신호에 의해 검지되는 차량의 총 급제동 횟수를 예컨대 255회와 같은 한계 횟수까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6확인모드를 나타내는 "6"의 숫자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not operated for the fifth confirmation mode (NO in step 65) but for key operation for execution of the sixth confirmation mode for confirming the number of rapid braking operations. (YES in step 69),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70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rapid braking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based on a preset sudden braking shift speed, for example, such as 255 times. The number of times " 6 " representing the sixth confirmation mode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unit 4 up to the limit number of times.
그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의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면(단계 71에서 YES),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급제동상태에 관련된 운행기록데이터중에서 이전의 급제동상태에 대한 급제동시간 및 속도를 나타내는 운행기록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되도록 하는 반면(단계 72), 그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지 않고(단계 71에서 NO)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단계 73에서 YES)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로부터 이후의 급제동 시간 및 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74).In this state, when the increment key button 2C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YES in step 71), the control unit 28 stores the driving record data related to the sudden braking stat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While the driving record data indicating the sudden braking time and speed for the previous braking state is displayed i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step 72), the increment key button 2C is not keyed. (NO in step 7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crease key button 2E is being operated (YES in step 73), the data on the subsequent braking time and speed is stored from the driving recor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The display unit 4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step 74).
그 다음에, 단계 75에서 상기 키패드(2)의 좌측 이동키버튼(2B)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그 좌측 이동키버튼(2B)이 키조작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해당 표시된 당시의 급제동 시간 이전의 속도추이가 1초 단위로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단계 76), 우측 이동키버튼(2D)이 키조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77에서 YES) 해당 표시된 급제동 시간 이후의 속도추이가 1초 단위로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되도록 한다.Nex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5 that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the left shift key button 2B is operated before the sudden braking time at the time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in correspondence to the number of times of the key operation. While the speed trend can be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unit 4 in units of 1 second (step 7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shift key button 2D is operated (YES in step 77). The speed trend after the indicated sudden braking tim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unit 4 in units of 1 second.
이 때, 상기 키패드(2)의 좌측 이동키버튼(2B)과 우측 이동키버튼(2D)이 동시에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79에서 YES), 제어가 단계 80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28)는 해당 표시된 급제동시간에 대한 당시 날짜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and the right navigation key button 2D of the keypad 2 are being operated at the same time (YES in step 79), control proceeds to step 80 and the control unit 28 Causes the current date for the displayed sudden braking time to be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한편,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6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단계 69에서 YES) 제 7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경우(단계 81에서 YES), 제어가 단계 82로 진행하여 상기 시동장치(202)로부터의 시동 온/오프신호에 따라 검출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엔진의 온/오프 횟수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4)의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7확인모드를 나타내는 "7"의 숫자가 표시되고서, 속도 표시영역(4A)에 엔진의 온표시가 "ON"과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숫자 표시영역(4C)상에 엔진 온횟수를 표시한 다음에, 그 속도 표시영역(4A)에 엔진의 오프표시가 "OFF"와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숫자 표시영역(4C)에 엔진 오프횟수를 표시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8 determines tha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is not operated for the sixth confirmation mode (YES in step 69) but for the seventh confirmation mode. (YES in step 81), control proceeds to step 82 to detect the number of on / off times of the engin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according to the start on / off signal from the starter 202. The number of "7" representing the seventh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i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of the display unit 4 by reading the data, and the on display of the engine is set to "ON" in the speed display area 4A. After the number of engine ONs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in the same state, the engin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with the OFF display of the engine on the speed display area 4A. The off count is displayed.
그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의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면(단계 83에서 YES), 제어가 단계 84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엔진 온/오프상태에 관련된 운행기록데이터에서 소정 기간 이전의 엔진 온/오프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반면에,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단계 85에서 YES) 제어가 단계 86으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서 소정 기간 이후의 엔진 온/오프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되도록 한다.In that state, when the increment key button 2C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YES in step 83), control proceeds to step 84 in association with the engine on / off stat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While the data on the engine on / off time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is read out from the driving record data,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while the reduction key button 2E is operated by the key operation. If judged (YES in step 85), control proceeds to step 86 where the data storage section 24 reads out data for the engine on / off time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and displays the numerical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 To be displayed.
한편,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7확인모드의 설정을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단계 81에서 NO) 해당 차량의 운행속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 8확인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87에서 YES), 제어가 단계 88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운행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4)의 속도 표시영역(4A)상에 소정 시간 당시의 운행속도를 표시하고서 숫자 표시영역(4C)상에 그 당시의 시간을 표시함과 동시에 구분모드 표시영역(4B)상에 제 8확인모드를 나타내는 "8"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8 is configured to check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withou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being operated for setting the seventh confirmation mode (NO in step 81). 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s being operated to set the confirmation mode (YES in step 87),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88 to read data on the traveling spee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so that the display unit 4 The running speed at the time of the predetermined time is displayed on the speed display area 4A of the display, the time at that tim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and the eighth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Allows the display of the number "8".
그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의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면(단계 89에서 YES) 제어가 단계 90으로 진행하여 그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88에서 표시되던 시간에 대해 1초 단위로 이후의 운행속도가 상기 표시부(4)의 속도표시영역(4A)에 표시되는 동시에, 그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되는 시간이 1초 단위로 증가되도록 표시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rement key button 2C of the keypad 2 is being key operated (YES in step 89),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90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increment key button 2C is key operated. Then, the subsequent running speed is displayed in the speed display area 4A of the display unit 4 in units of 1 second with respect to the time displayed in the step 88, and the time displayed i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is 1 second. It will be displayed in increments.
그 반면에, 상기 키패드(2)의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경우(단계 91에서 YES), 제어가 단계 92로 진행하여 그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88에서 표시되던 시간에 대해 1초 단위로 이전의 운행속도가 속도표시영역(4A)에 표시되도록 하는 동시에 숫자 표시영역(4C)상에 표시된 시간이 1초 단위로 감소되게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crease key button 2E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YES in step 9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92 where the decrease key button 2E is key operat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vious traveling speed is displayed in the speed display area 4A in units of 1 second with respect to the time displayed in step 88, and the time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is reduced in units of 1 second. Display.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28)는 그 키패드(2)의 좌측 이동키버튼(2B)과 우측 이동키버튼(2D)이 동시에 키조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단계 93에서 YES) 해당 선택된 시간에서의 운행속도에 대한 날짜가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94).Then, if the control unit 28 determines that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and the right navigation key button 2D of the keypad 2 are keyed at the same time (YES in step 93), the controller operates at the selected time. The date for the speed can be displayed in the numerical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step 94).
한편,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키패드(2)의 모드설정 키버튼(2A)이 제 8확인모드를 위해 키조작되지 않고서(단계 87에서 NO) 과속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한 제 9확인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95에서 YES), 상기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과속상태가 기록된 운행기록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4)의 숫자 표시영역(4C)에 소정 시간의 숫자를 표시하고서 그 속도 표시영역(4A)에 해당 시간 당시의 과속도가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구분모드 표시영역(4B)에 제 9확인모드를 나타내는 "9"의 숫자가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96).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8 executes a ninth confirmation mode for checking the speed list without the mode setting key button 2A of the keypad 2 being operated for the eighth confirmation mode (NO in step 8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s being operated (YES in step 95), the speeding state stored in the data storage section 24 is determined i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of the display section 4 based on the recorded driving record data. The number of hours is displayed and the overspeed at that time is displayed in the speed display area 4A, and the number " 9 " representing the ninth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in the division mode display area 4B. (Step 96).
그 상태에서, 그 키패드(2)의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97에서 YES) 제어가 단계 98로 진행하여 그 증가 키버튼(2C)이 키조작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단계 96에서 표시되던 과속시간으로부터 이전의 과속시간과 과속도가 각각 숫자 표시영역(4C)과 속도 표시영역(4A)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반면에, 감소 키버튼(2E)이 키조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경우에는(단계 99에서 YES) 상기 단계 96에서 표시되던 과속시간으로부터 이후의 과속시간 및 과속도가 각각 숫자 표시영역(4C)과 속도 표시영역(4B)상에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rement key button 2C of the keypad 2 is being key operated (YES in step 97),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98 to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increment key button 2C is key operated. Accordingly, the previous overspeed time and overspeed from the overspeed time displayed in step 96 are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and the speed display area 4A, respectively, while the decrease key button 2E is keyed. If it is judged that (YES in step 99), the subsequent overspeed time and overspeed from the overspeed time displayed in the above step 96 are displayed on the numeric display area 4C and the speed display area 4B, respectively.
그 다음에, 상기 키패드(2)의 좌측 이동키버튼(2B)이 키조작되면(단계 101에서 YES) 제어가 단계 102로 진행하여 그 좌측 이동키버튼(2B)이 키조작되는 횟수에 대응하여 그 표시부(4)상에 표시되던 과속도의 이전 속도가 1초 단위로 변경표시되도록 하는 반면에, 우측 이동키버튼(2D)이 키조작되는 경우에는(단계 103에서 YES) 제어가 단계 104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던 과속도의 이후 속도가 1초 단위로 변경표시되도록 하게 된다.Then, when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of the keypad 2 is key operated (YES in step 101),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102 and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left navigation key button 2B is key operated. While the previous speed of the overspeed displayed on (4) is changed and displayed in units of 1 second, when the right shift key button 2D is operated (YES in step 103),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104 where After the overspee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 the speed is changed and displayed in units of 1 secon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참조부호 200은 소정의 운행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주행상태 즉, 차속과 그에 따른 과속, 급제동, 엔진 온/오프상태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검출하여 대용량의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시킴에 의해 장시간의 운행기록이 가능함과 더불어, 표시부를 통한 운행기록내용의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고, 해당 운행기록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전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운행기록장치를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record dat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 20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driving vehicle, so tha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driving record for a long time by electronically detecting the data related to the overspeed, sudden braking, engine on / off state, etc. and storing it in a large-capacity semiconductor memory. A driving record apparatus configured to enable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of driving record data.
또한, 참조부호 210은 해당 차량에 설치되고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의 프린트 출력포트(12; 도 1 참조)와 연결되어 그 운행기록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기록데이터의 운행그래프나 과속리스트 또는 급제동리스트를 프린트출력하는 차량용 프린터장치를 나타내고, 215는 해당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고서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의 안테나 연결단자(8; 도 1 참조)와 연결되어 그 운행기록장치(200)로부터 소정 주기별로 전송하기 위한 운행기록데이터를 무선전송하기 위한 송신안테나를 나타낸다.Further, reference numeral 2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print output port 12 (see FIG. 1) of the driving recorder 200 through a wired cable and provided from the driving recorder 200. A vehicle printer apparatus for printing and outputting a driving graph, a speeding list, or a braking list of the vehicle, and 215 i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8 of the driving recorder 200 (see FIG. 1). A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riving record data for transmission from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shown.
또, 참조부호 220은 상기 송신안테나(215)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상기 운행기록장치(200)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안테나를 나타내고, 225는 고 속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등의 데이터처리 및 저장매체가 내장됨과 더불어 무선데이터신호의 복조를 위한 복조장치가 내장되고서, 상기 수신안테나(220)를 통해 수신받은 운행기록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공급받아 복조처리하여 저장 및 프린트출력시키기 위한 메인 컴퓨터장치를 나타내며, 230은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225)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그 메인 컴퓨터장치(225)로부터 제공되는 운행기록데이터를 프린트출력하는 메인 프린터장치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20 denotes a reception antenna for receiving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riving recorder 200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215, and 225 denotes a high speed microprocessor and a large capacity hard disk driver. A built-in data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and a demodulation device for demodulating a wireless data signal are provided, and the driving record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antenna 220 is received at a predetermined period to be demodulated, stored and printed out. The main computer device 230 is a main printer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through a wired cable to print out the driving record data provided from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그리고, 참조부호 235는 팜컴퓨터(Palm Computer)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컴퓨터장치로 이루어져서, 예컨대 RS232C케이블과 같은 데이터 케이블을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의 데이터 입출력포트(10; 도 1 참조)와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요구에 따라 그 운행기록장치(200)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수신받아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에 저장하였다가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225)와 연결하여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도록 이루어진 서브 컴퓨터장치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235 is a portable computer device such as a palm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For example, a data cable such as an RS232C cable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see FIG. 1) of the driving recorder 200. Receive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riving recorder 200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and store it in the internal hard disk drive, and then connect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to transmit and store the stored driving record data. The sub computer device is configured.
여기서, 동 도면에 나타난 바에 다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와 송신안테나(215) 및 차량용 프린터장치(210)을 단일한 차량당으로 한정된 단일갯수만을 각각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수신안테나(220)에 수신되어 메인 컴퓨터장치(225)에 수집되는 운행기록데이터는 상기 단일의 운행기록장치(20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타의 다수 차량에 각각 설치되는 운행기록장치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까지 총망라하여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He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the transmission antenna 215 and the vehicle printer apparatus 210 are shown only a single number limited to a single vehicle, respectively, The driving record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220 and collected by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is not limited to the single driving recorder 200, but is driven from the driving recorder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Of course, the record data is included as a whol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먼저, 단계 110에서 해당 운행기록장치(200)가 설치된 차량에 시동이 온되면서 시동장치(202)가 가동되면, 제어부(28)는 컨넥터(6)와 입력 인터페이스(20)를 매개하여 시동장치(202)로부터의 시동 온신호를 인가받아 엔진 온횟수와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하고서, 차속검출장치(204)로부터 공급되는 차속검출신호를 기초로 주행거리라던지 차속, 과속 및, 급제동에 관련된 횟수와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202)에 의해 시동 오프신호가 공급되면 엔진의 오프횟수와 더불어 그 시간 및 날짜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시키게 된다(도 3 참조).First, when the starter 202 is started while the vehicle is installed in the driving recorder 200 in operation 110, the controller 28 controls the starter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6 and the input interface 20.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engine speed, time and date is received by the start on signal from the vehicle 202,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24, and the driving distance is based o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device 204. The data of the number, time, and date related to the throwing vehicle speed, the speeding, and the rapid braking are prepar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In this state, when the start-off signal is supplied by the starter 202, the data of the time and date together with the number of off-offs of the engine is cre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see FIG. 3).
그 상태에서, 단계 111로 진행하여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수집되어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에 대해 일정 주기마다 무선전송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전송시간이 경과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그 데이터전송시간이 경과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가 단계 112로 진행하여 그 데이터저장부(24)에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독출하여 RF변조부(34)에 출력함에 따라 그 운행기록데이터가 예컨대 219MHz나 447MHz의 무선RF신호로 변조된 다음에 안테나 연결단자(8)를 통해 송신안테나(215)에서 무선전송되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 and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ata transmission time set for wireless transmission at regular intervals for the collected and stored driving record data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112, where the driving record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4 is read out and output to the RF modulator 34 so that the driving record data is 219MHz or 447MHz wireless. It is modulated to an RF signal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215 through the antenna connection terminal 8.
그에 따라, 메인 컴퓨터장치(225)에서는 수신안테나(220)를 통해 수신되는 운행기록장치(220)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복조하여 그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하게 되고, 외부로부터의 프린트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운행기록데이터에 대한 운행그래프나 과속리스트 또는 급제동리스트가 메인 프린터장치(230)에 의해 프린트출력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demodulates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riving recorder 220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220 and stores it in the internal hard disk drive, and outputs a print output command from the outside. When this is input, the driving graph, the speeding list, or the rapid braking list for the corresponding driving record data is printed out by the main printer apparatus 230.
다음에, 단계 113에서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해당 운행기록데이터의 무선전송상태가 완료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무선전송이 완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가 단계 117로 진행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집되는 이후의 운행기록데이터에 대한 무선전송동작의 대기상태로 돌입하게 된다.Next, in step 113,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transmiss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record data is comple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117. It enters the standby state of the radio transmission operation for the subsequent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over time.
한편, 상기 단계 1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주기에 따른 데이터전송시간이 경과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 컴퓨터장치(235)로부터 데이터 입출력포트(10)를 통해 운행기록데이터의 유선전송요구가 발생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경우(단계 114에서 YES), 그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그 데이터저장부(24)로부터의 운행기록데이터를 독출하여 데이터 입출력포트(10)를 통해 서브 컴퓨터장치(235)측으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115).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111, the wir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driving record data is generated from the sub computer device 235 through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in a state where the data transmission ti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has not elapsed. If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114), the driving recorder 200 reads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ata storage unit 24 and transmits it to the sub computer device 235 through the data input / output port 10. (Step 115).
그 상태에서,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운행기록데이터의 유선전송이 완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유선전송이 완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가 상기 단계 117로 진행하여 상기 서브 컴퓨터장치(235)에 의한 운행기록데이터의 데이터 재전송 요구를 대기하는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the wired transmission of the driving record data is comple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d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control proceeds to the step 117 and the sub-computer apparatus 235 ), It enters a state waiting for a data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driving record data.
한편, 상기 서브 컴퓨터장치(235)는 상기 운행기록장치(200)로부터 운행기록데이터를 전송받아 그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에 저장하고서, 상기 메인 컴퓨터장치(225)와 유선연결시킴에 따라 저장된 운행기록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 computer device 235 receives the driving record data from the driving recorder 200 and stores the driving record data in a hard disk drive therein, and stores the driving record stored by wire connection with the main computer device 225. Data will be sent and stor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크게 일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상기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운행기록데이터의 저장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 형태의 데이터저장부(24)만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부에 카드삽입 포트를 형성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MP3플레이어 등에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메모리카드를 삽입하여 운행기록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시키도록 함에 의해, 해당 메모리카드를 보조저장매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the data storage unit 24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memory is used as a storage medium for the recording data, a card insertion port is formed outside thereof, so that a driving record data can be easily inserted by inserting a memory card normally employed in a digital camera or an MP3 player. In this case, the memory card can be utilized as an auxiliary storage mediu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행기록장치(200)에서는 운행기록데이터에 대해 별도의 외부 프린터장치를 통해서 프린트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서멀프린트(Thermal Print)방식의 소형 프린터장치를 해당 운행기록장치와 일체화시켜서 구성함에 의해 자체적인 프린트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printing of the driving record data through a separate external printer apparatus, a small printer apparatus of a thermal print metho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ecord apparatu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make its own print output by the integral configu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상태를 기록하는 운행기록장치가 전자식으로 운행기록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해당 차량의 운행속도를 초단위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다양하면서 대용량을 갖는 운행정보를 저장이 가능하면서 외부로의 유선 및 무선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차량의 보다 정확한 운행상태의 확인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차량의 기기점검 및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차량사고의 진상파악이 보다 더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s the driving recorder for recor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perform the driving record electronical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n seconds, and various and large capacity A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driving information with the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the more accurat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quipment of the vehicle and inevitably generated vehicle accidents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fact finding can be done more accuratel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0177A KR19990068556A (en) | 1999-06-02 | 1999-06-02 |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0177A KR19990068556A (en) | 1999-06-02 | 1999-06-02 |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8556A true KR19990068556A (en) | 1999-09-06 |
Family
ID=5477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0177A Ceased KR19990068556A (en) | 1999-06-02 | 1999-06-02 |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68556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4890A (en) * | 1999-12-08 | 2001-07-02 | 이계철 |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a vehicle-using diary based on real-time vehicle status and vehicle allocation information |
KR100436524B1 (en) * | 2001-10-12 | 2004-06-23 | 주식회사 카스포 | Preliminary Hazard Analysis Technology for Driving the Automobiles |
KR20220072372A (en) * | 2020-11-25 | 2022-06-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ailway driving data recording system for preventing railway accident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4425A (en) * | 1992-07-23 | 1994-02-18 | Nissan Diesel Motor Co Ltd | Traveling recorder for vehicle |
JPH0981820A (en) * | 1995-09-14 | 1997-03-28 | Honda Motor Co Ltd | Mileage management system |
KR19980026982U (en) * | 1996-11-13 | 1998-08-05 | 김영귀 | Electronic Tachograph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
KR19990003454A (en) * | 1997-06-25 | 1999-01-15 | 배순훈 | Automatic driving recorder and method of automobile |
KR19990033504U (en) * | 1999-04-29 | 1999-08-05 | 차성관 | Electric type running recorder for car |
-
1999
- 1999-06-02 KR KR1019990020177A patent/KR19990068556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4425A (en) * | 1992-07-23 | 1994-02-18 | Nissan Diesel Motor Co Ltd | Traveling recorder for vehicle |
JPH0981820A (en) * | 1995-09-14 | 1997-03-28 | Honda Motor Co Ltd | Mileage management system |
KR19980026982U (en) * | 1996-11-13 | 1998-08-05 | 김영귀 | Electronic Tachograph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
KR19990003454A (en) * | 1997-06-25 | 1999-01-15 | 배순훈 | Automatic driving recorder and method of automobile |
KR19990033504U (en) * | 1999-04-29 | 1999-08-05 | 차성관 | Electric type running recorder for ca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4890A (en) * | 1999-12-08 | 2001-07-02 | 이계철 |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a vehicle-using diary based on real-time vehicle status and vehicle allocation information |
KR100436524B1 (en) * | 2001-10-12 | 2004-06-23 | 주식회사 카스포 | Preliminary Hazard Analysis Technology for Driving the Automobiles |
KR20220072372A (en) * | 2020-11-25 | 2022-06-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ailway driving data recording system for preventing railway accident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50738A (en) | System for recording and analyzing vehicle trip data | |
EP2145319B1 (en) | Vehicle monitor | |
JP4511587B2 (en) | Data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remote diagnosis system | |
KR100191128B1 (en) | A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s | |
EP1251333A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ovement of a vehicle | |
EP1067484A2 (en) | Method for searching trip log of vehicle | |
JPH0651955U (en) |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 |
EP0961238A1 (en) | Data carrier system | |
JP5312078B2 (en) | Drive recorder and setting reflection method in drive recorder | |
JP2865237B2 (en) | Digital vehicle operation recording device | |
KR19990068556A (en) | Electronic Tachograph Apparatus And Tachograph Data Communication System | |
JPH1116083A (en) |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JP2011128918A (en) | Vehicular data collection apparatus | |
EP1269421B1 (en) | Vehicle related services system and methodology | |
JP2017005649A (en) | Travel information analyzer and computer program | |
JP2813615B2 (en) | How to display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 |
EP2369555B1 (en) | Temporary download | |
US7489235B2 (en) | Motor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JP5618682B2 (en) | Vehicle operation recording device, operation record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record program | |
EP0992948A1 (en) | Data carrier system | |
JP4117115B2 (en) | Temperature recording device | |
KR100231555B1 (en) | Black box of a car | |
JP2904393B2 (en) | Digital operation recorder | |
JP3194461B2 (en) |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vehicle-mounted device | |
GB2302179A (en) | Vehicle monitoring uni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1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