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8311A -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311A
KR19990068311A KR1019990010155A KR19990010155A KR19990068311A KR 19990068311 A KR19990068311 A KR 19990068311A KR 1019990010155 A KR1019990010155 A KR 1019990010155A KR 19990010155 A KR19990010155 A KR 19990010155A KR 19990068311 A KR19990068311 A KR 1999006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 cap
fastener
coll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307B1 (ko
Inventor
유무관
Original Assignee
유무관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관,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filed Critical 유무관
Priority to KR101999001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홀(122)을 포함하는 제 1바디(110)와, 제 1바디(110)의 외측에 제 1바디(1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드캡(140)과, 상기 접속홀(1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접속핀(222)을 포함하는 제 2바디(210)와, 일측이 제 2바디(210)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 1바디(110)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캡(140)의 이동위치에 따라 제 1바디(110)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분리가 허용되는 체결부재(240)로 이루어진 콘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을 포함한 전기적신호를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넥터는 전기적신호의 접속 즉, 전자기기와 케이블들의 접속 또는 이들 상호간의 접속 등에 이용된다. 대표적인 사용 예로는 안테나선의 접속 및 통신기기 등의 접속이 있다.
이러한 콘넥터는 주로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암컨넥터 및 숫컨넥터로 구성되며, 결합후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결합력을 요구하게 되며, 분해 조립작업이 간편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콘넥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암콘넥터(20) 및 숫콘넥터(2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암콘넥터(10)는 주연 일측에 숫나사(11a)가 형성되어 있는 제 1바디(11)와, 이 제 1바디(11)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 1절연체(12)를 포함한다. 제 1절연체(12)의 내측에는 접속홀(13a)이 형성된 제 1접속부재(13)가 축삽되어 있다.
그리고, 숫컨넥터(20)는 제 2바디(21)와, 이 제2바디(21)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 2절연체(22)를 포함한다. 제 2절연체(22)의 내측에는 상기 접속홀(13a)에 삽입되는 접속핀(23a)을 갖는 제 1접속부재(23)가 축삽되어 있다. 상기 접속핀(23a)은 제 2절연체(22)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바디(21)의 외주연에는 원통형의 커플링캡(2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커플링캡(24)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바디(11)의 숫나사(11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4a)가 형성된다. 커플링캡(24)은 제 2바디(21)에 지지되는 멈춤링(25)에 의해 제 2바디(21)에 대해 회전은 허용되며 축방향 이동은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콘넥터는 암콘넥터(10)와 숫콘넥터(20)를 동축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속핀(23a)을 접속홀(13a)에 삽입함과 동시에 커플링캡(24)을 회전시켜 제 1바디(11)의 숫나사(11a)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 1과 같은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콘넥터는 커플링캡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암수 콘넥터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이하, 열거하는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분해조립이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분해 결합시 커플링캡(24)을 수회 회전시켜야만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특히, 견고한 조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공구를 이용하여 커플링캡(24)을 조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시에는 공구의 삽입이 어려운 것 등 더욱 작업성이 떨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둘째, 기기의 진동 및 기간경과에 따라 커플링캡의 조임 상태가 풀어져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나사 결합부는 특성상 진동에 의해 조임상태가 느슨해지게 되므로 접속핀(23a)이 접속홀(13a)에 안정하게 결합되지 못하게 되므로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서 암수 콘넥터가 분리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해조립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나사결합부의 풀림으로 인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분리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 1조립체 110: 제 1바디
112: 걸림홈 114: 경사면
116: 스토퍼 120: 제 1접속부재
122: 접속홀 130: 제 1절연체
140: 슬라이드캡 142: 고정구
144: 체결구 150: 스프링
200: 제 1조립체 210: 제 2바디
220: 제 2접속부재 222: 접속핀
230: 제 2절연체 240: 체결부재
242: 콜렛부 244: 슬릿
246: 걸림턱 248: 경사면
249: 확장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홀을 포함하는 제 1바디와, 제 1바디의 외측에 제 1바디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드캡과, 상기 접속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접속핀을 포함하는 제 2바디와, 일측이 제 2바디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 1바디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캡의 이동위치에 따라 제 1바디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분리가 허용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콘넥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바디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이 제 2바디와 제 2절연체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슬릿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확장이 가능한 콜렛부를 형성하고, 콜렛부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캡의 내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고정구와 체결구가 고정되고, 제 1바디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구와 체결구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토퍼가 돌출 구성되어 슬라이드캡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며, 고정구와 스토퍼사이에는 슬라이드캡이 항시 폐쇄위치에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개재된다.
상기 걸림홈의 일측에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콜렛부의 걸림턱 일측에는 걸림홈의 경사면과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여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력에 대해 콜렛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제 1바디와 체결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토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호 분리 또는 결합되는 제 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로 구성된다. 제 1조립체(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제 1바디(110)의 내측에 접속홀(122)을 갖는 제 1접속부재(120)가 내장되어 있다. 이 제 1접속부재(120)와 제 1바디(110)의 사이에는 제 1접속부재(120)의 절연을 이루는 제 1절연체(13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 1바디(110)의 외측에는 제 1바디(1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슬라이드캡(140)이 제공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캡(140)의 내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고정구(142)와 체결구(144)가 고정되고, 제 1바디(11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구(142)와 체결구(144)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토퍼(116)가 돌출 구성되어 슬라이드캡(140)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며, 고정구(142)와 스토퍼(116)사이에는 슬라이드캡(140)이 항시 폐쇄위치에 있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0)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조립체(200)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제 2바디(210)의 내측에 접속홀(122)을 갖는 제 2접속부재(220)가 내장되어 있다. 이 제 2접속부재(220)와 제 2바디(210)의 사이에는 제 2접속부재(220)의 절연을 이루는 제 2절연체(230)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일측이 제 2바디(210)에 고정되며 타측에 제 1바디(1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12)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캡(140)의 이동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분리가 허용되는 체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240)는 일측이 제 2바디(210)와 제 2절연체(230)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슬릿(242)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확장이 가능한 콜렛부(244)를 형성하고, 콜렛부(244)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112)에 결합되는 걸림턱(246)이 형성된다.
상기 콜렛부(244)의 선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부(249)가 형성되어 슬라이드캡(140)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확장부(249)가 고정구(142)의 내주면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확장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112)의 일측에는 경사면(114)을 형성하고, 상기 콜렛부(244)의 걸림턱(246)일측에는 걸림홈(112)의 경사면(114)과 대응하도록 경사면(248)을 형성하여 제 1조립체(100)와 제 2조립체(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력에 대해 콜렛부(244)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제 1바디(110)와 체결부재(240)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토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조립체(100)를 제 2조립체(200)와 동축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속홀(122)과 접속핀이 결합되도록 제 1조립체(100)를 제 2조립체(200)를 향해 밀면, 걸림턱(246)이 제 1바디(110)의 외경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진입하고, 일정깊이 진입하게 되면 콜렛부(244)의 선단이 고정구(142)와 간섭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조립체(100)를 더 밀면, 스프링(150)이 압축되며 고정구(142)가 콜렛부(244)의 선단에 의해 밀리게 된다. 이때 고정구(142)가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캡(140)이 함께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콜렛부(244)는 계속 전진하고 걸림홈(112)에 도달하면 콜렛부(244)의 탄성복원하며 걸림턱(246)이 걸림홈(112)에 삽입되고, 동시에 콜렛부(244)에 의해 후퇴하던 고정구 및 슬라이드캡(140)은 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3에 도시되어 있는데, 고정구(142)가 복귀되면 콜렛부(244)는 고정구(142)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확장이 제한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 즉, 고정구(142)에 의해 콜렛부(244)의 반경방향 확장에 제한된 상태에서는 제 1바디(110)를 잡아당기어도 콜렛부(244)는 제 1바디(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분리시에는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캡(140)을 후퇴시키면, 슬라이드캡(140)이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며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142)는 콜렛부(244)의 외주연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콜렛부(244)의 확장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캡(140)을 더 잡아당기면, 걸림홈(112)과 걸림턱(246)의 대향하는 경사면(114)(248)에서 축방향 힘에 대한 반경방향 분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콜렛부(24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걸림홈(112)에서 이탈되어 진다. 이러한 상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 4의 상태에서 슬라이드캡(140)을 더 후퇴시키면 콜렛부(244)는 제 1바디(1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며 탄성 복원하며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분리가 완료된다. 이때 물론 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캡(140)과 제 1바디(110)의 상대 위치도 원래상태로 복귀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는 제1바디에 고정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가능한 콜렛부를 갖는 체결부재와 제 2바디의 일단에 상기 콜렛부와 결합되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제 1바디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드캡에 의해 콜렛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을 제한하거나 허용토록 함으로써 제 1바디와 제 2바디의 접속 및 분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텃치에 의해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른 조립후 별도의 조립용 공구가 필요치 않으며, 특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결합 후 분리될 우려가 없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접속홀(122)을 포함하는 제 1바디(110)와,
    제 1바디(110)의 외측에 제 1바디(1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드캡(140)과,
    상기 접속홀(1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접속핀(222)을 포함하는 제 2바디(210)와,
    일측이 제 2바디(210)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 1바디(110)의 선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캡(140)의 이동위치에 따라 제 1바디(110)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분리가 허용되는 체결부재(240)로 이루어진 콘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디(110)의 일측에는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40)는 일측이 제 2바디(210)와 제 2절연체(230)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에 축방방향으로 형성되는 수개의 슬릿(242)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확장이 가능한 콜렛부(244)를 형성하고, 콜렛부(244)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홈(112)에 결합되는 걸림턱(2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캡(140)의 내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고정구(142)와 체결구(144)가 고정되고, 제 1바디(11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구(142)와 체결구(144)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토퍼(116)가 돌출 구성되어 슬라이드캡(140)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허용되며, 고정구(142)와 스토퍼(116)사이에는 슬라이드캡(140)이 항시 폐쇄위치에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50)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12)의 일측에는 경사면(114)을 형성하고, 상기 콜렛부(244)의 걸림턱(246)일측에는 걸림홈(112)의 경사면(114)과 대응하도록 경사면(248)을 형성하여 제 1조립체(100)와 제 2조립체(20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력에 대해 콜렛부(244)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제 1바디(110)와 체결부재(240)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990010155A 1999-03-19 1999-03-19 콘넥터 KR10033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55A KR100332307B1 (ko) 1999-03-19 1999-03-19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155A KR100332307B1 (ko) 1999-03-19 1999-03-19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311A true KR19990068311A (ko) 1999-09-06
KR100332307B1 KR100332307B1 (ko) 2002-04-12

Family

ID=3747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155A KR100332307B1 (ko) 1999-03-19 1999-03-19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00B1 (ko) * 2002-08-23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KR100646756B1 (ko) * 2006-02-06 2006-11-23 (주)애드컴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0978778B1 (ko) * 2008-05-14 2010-08-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콘넥터
KR200487182Y1 (ko) * 2017-04-19 2018-08-17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커넥터
EP3888197A4 (en) * 2018-11-28 2022-08-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Locking rf coaxial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445B1 (ko) 2007-05-15 2012-03-23 주식회사 텔콘 어댑터
KR101782909B1 (ko) * 2016-03-29 2017-09-29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이중 락킹 동축콘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95Y1 (ko) * 1989-12-15 1992-10-17 니시 니혼 덴센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connector)
KR950009350U (ko) * 1993-09-20 1995-04-19 김경기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00B1 (ko) * 2002-08-23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크 방전 저감용 콘넥터
KR100646756B1 (ko) * 2006-02-06 2006-11-23 (주)애드컴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0978778B1 (ko) * 2008-05-14 2010-08-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콘넥터
KR200487182Y1 (ko) * 2017-04-19 2018-08-17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커넥터
EP3888197A4 (en) * 2018-11-28 2022-08-0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Locking rf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307B1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778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weather seal
EP044973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RE43832E1 (en) Constant force coaxial cable connector
US7575459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and optical cables
US7070447B1 (en) Compact compression connector for spiral corrugated coaxial cable
US10396511B2 (en) Corrugated cable co-axial connector
US6309258B1 (en) Single pole cable connector
KR20070104433A (ko) 커넥터용 변환 어댑터 및 커넥터
JPH07235349A (ja) スナップ止めにより係止する超小型の同軸コネクター
JP2009517819A (ja) 同軸プッシュプル差込式コネクタ
KR100332307B1 (ko) 콘넥터
CN107482360A (zh) 连接器
JP6727530B1 (ja) 接続具
US10218122B1 (en) Circular connector and method of retaining components
CN206490269U (zh) 单元公头射频同轴连接器
CN217036096U (zh) 深水勘探用连接器
US4673234A (en) Connector/adapter assembly for flexible conduit or electrical cable
JP3361861B2 (ja) 蛇腹管用接続装置
CN110815109B (zh) 多节万向工具
JPH01312214A (ja) 複数の拡張栓を備えたマガジン
KR200309127Y1 (ko) 파이프의 연결구 조립체
KR930003266Y1 (ko) 유체 접속구의 소켓
JP7163131B2 (ja) 接続プラグ
JPH0334068Y2 (ko)
GB2267608A (en) An electrical connector as well as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214

Appeal identifier: 2001101003616

Request date: 20011025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2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3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11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