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2098A -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098A
KR19990062098A KR1019970082406A KR19970082406A KR19990062098A KR 19990062098 A KR19990062098 A KR 19990062098A KR 1019970082406 A KR1019970082406 A KR 1019970082406A KR 19970082406 A KR19970082406 A KR 19970082406A KR 19990062098 A KR19990062098 A KR 19990062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control
spindle
spindle motor
feed shaf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길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8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2098A/ko
Publication of KR1999006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09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제로 포인트로 오조작되는 경우 자동으로 절삭이송축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가공불량 및 공구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치제어부(10)에 의해 키입력부(12)로부터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는 제 1단계(S10)와, 가공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2단계(S20)와, 스핀들 모터(18)를 구동하는 제 3단계(S30)와,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절삭이송하는 제 4단계(S4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단계(S5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18)를 정지시키는 제 6단계(S6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18)를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S4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7단계(S70)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S60)에 이어서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S5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8단계(S80)를 수행토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본 발명은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제로 포인트로 오조작되는 경우 자동으로 절삭이송축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가공불량 및 공구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제어부(10)의 입출력포트에 영상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1),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2), 주조작반(30), 스핀들모터 구동부(14),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가 각각 접속되어 있었으며, 이 스핀들모터 구동부(14) 및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에는 스핀들 모터(18) 및 이송축 서보모터(20)(21)(22)가 각각 접속되어 속도제어 및 위치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상기 주조작부(30)는 로우터리 형태의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 사이클 스타트 스위치(SW1) 및 피이드 홀드 스위치(SW2)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장치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에서 수치제어부(10)는 키입력부(12)로부터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키입력부(12)로부터 절삭이송지령이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재검색하게 되는 한편, 그 것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 S2에서 수치제어부(10)는 가공에 필요한 가공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저장부로부터 로드하여 절삭사이클을 시작하게 되며, 단계 S3에 이르러서는 이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들 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가 출력되면서 이 구동신호가 스핀들모터 구동부(14)로 입력되면서 스핀들 모터(18)가 회전된다.
다음에 단계 S4에서는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기 위한 위치제어신호가 출력되면서 이 위치제어신호가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입력되면서 이송축 서보모터(20)(21)(22)가 구동되어 정상적인 절삭이 행해지게 된다.
이후에 수치제어부(10)는 단계 S5에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를 통하여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으면서 검색하게 되며, 그 검색결과가 0인 경우에는 단계 S6에서와 같이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에 정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스핀들 모터(18)는 이 스핀들모터 구동부(14)에 의해 정지되며, 그 검색결과가 0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7에서와 같이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에 소정속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스핀들 모터(18)는 이 스핀들모터 구동부(14)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수치제어부(10)는 단계 S6 및 단계 S7의 명령을 수행한 후에 단계 S4로 명령수행을 되돌리게 되며, 수치제어부(10)는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에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정상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의한 공작물 가공중에 작업자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를 오조작하여 제로 포인트에 위치시키게 되면, 도2에 나타낸 단계 S6에서와 같이 주축이 정지한 상태에서도 단계 S4에서와 같은 절삭이송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공불량 및 공구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축이 정지된 경우 절삭이송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하여 가공불량 및 공구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치제어부에 의해 키입력부로부터 수치제어부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는 제 1단계와, 가공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2단계와, 스핀들 모터를 구동하는 제 3단계와,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절삭이송하는 제 4단계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단계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 6단계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를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7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 이어서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8단계를 수행토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수치제어공작기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구성도,
도 2 는 종래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순서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순서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수치제어부 14 : 스핀들모터 구동부
11 : 디스플레이부 15,16,17 :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
12 : 키입력부 18 : 스핀들 모터
13 :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 20,21,22 : 이송축 서보모터
30 : 주조작부 SW1 : 사이클 스타트 스위치
SW2 : 피이드 홀드 스위치
즉 본 발명은 수치제어부에 의해 키입력부로부터 수치제어부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키입력부로부터 절삭이송지령이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재검색하는 한편, 그 것을 만족하는 경우 명령수행을 다음 단계로 넘기는 제 1단계와, 가공에 필요한 가공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저장부로부터 상기 수치제어부로 로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스핀들모터 구동부로 출력하여 이 구동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 3단계와,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로 이송축 서보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를 구동하여 절삭이송하는 제 4단계와, 수치제어부의 입력포트를 통하여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면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단계와, 상기의 단계로부터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에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 6단계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에 소정속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를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7단계로 구성된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 이어서 수치제어부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8단계를 포함하여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단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수치제어공작기계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순서를 보이는 플로우 차트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제어부(10)에 의해 키입력부(12)로부터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키입력부(12)로부터 절삭이송지령이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재검색하는 한편, 그 것을 만족하는 경우 명령수행을 다음 단계로 넘기는 제 1단계(S10)와, 가공에 필요한 가공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저장부로부터 상기 수치제어부(10)로 로드하는 제 2단계(S20)와, 상기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들 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스핀들모터 구동부(14)로 출력하여 이 구동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18)를 회전시키는 제 3단계(S30)와,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여 절삭이송하는 제 4단계(S40)와,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를 통하여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면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단계(S50)와, 상기의 단계로부터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에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18)를 정지시키는 제 6단계(S6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에 소정속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18)를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S4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7단계(S70)로 구성된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S60)에 이어서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S5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8단계(S80)를 포함하여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제어부(10)가 키입력부(12)로부터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를 통해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때 키입력부(12)로부터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절삭이송지령이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재검색하는 한편, 작업자로부터 키입력부(12)를 통해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지는 경우에는 명령수행을 다음 단계로 넘기게 된다. (제 1단계 S10)
이후에 수치제어부(10)는 가공에 필요한 가공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저장부로부터 수치제어부(10)로 로드한 다음, (제 2단계 S20)
출력포트를 통해서는 스핀들 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스핀들모터 구동부(14)로 출력하여 이 구동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18)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 3단계 S30)
또 다른 출력포트를 통해서는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기 위한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구동하게 된다. (제 4단계 S40)
또한, 이 수치제어부(10)는 입력포트를 통하여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면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제 5단계 S50)
이때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해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가 제로 포인트(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위치)에 위치된 경우 수치제어부(10)에 의해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이 검출되면서 이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를 정지하는 정지신호가 출력되면서 스핀들 모터(18)가 정지된 다음, (제 6단계 S60)
수치제어부(10)는 상기 제 6단계(S60)에 이어서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S50)로 명령수행을 넘기게 된다. (제 8단계 S80)
즉,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해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13)가 제로 포인트에 맞추어진 경우 수치제어부(10)는 제 6단계(S60)에서 주축을 정지시킨 다음 제 8단계(S80)에서 절삭이송도 정지되도록하여 가공불량 및 공구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치제어부(10)는 제 5단계(S50)에서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스핀드모터 구동부(14)에 소정속도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18)를 정상적으로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S4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어를 수행하여 정상적인 절삭가공을 계속하게 된다. (제 7단계 S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해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제로 포인트(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위치)에 맞추어진 경우 수치제어부를 통해 주축을 정지시킨 다음 절삭이송도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공불량 및 공구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치제어부(10)에 의해 키입력부(12)로부터 수치제어부(10)의 입력포트로 절삭이송지령이 내려졌는가의 여부를 검색하는 제 1단계(S10)와, 가공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2단계(S20)와, 스핀들 모터(18)를 구동하는 제 3단계(S30)와,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위치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절삭이송하는 제 4단계(S4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단계(S5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18)를 정지시키는 제 6단계(S60)와, 주축속도 오버라이드 배율이 0%인 경우 스핀들 모터(18)를 회전시킨 다음 제 4단계(S4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7단계(S70)를 수행하며,
    상기 제 6단계(S60)에 이어서 수치제어부(10)의 출력포트를 통해 이송축 서보모터 구동부(15)(16)(17)로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이송축 서보모터(20)(21)(22)를 정지시킨 후 제 5단계(S50)로 명령수행을 넘기는 제 8단계(S8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KR1019970082406A 1997-12-31 1997-12-31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Withdrawn KR19990062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06A KR19990062098A (ko) 1997-12-31 1997-12-31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06A KR19990062098A (ko) 1997-12-31 1997-12-31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098A true KR19990062098A (ko) 1999-07-26

Family

ID=6618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406A Withdrawn KR19990062098A (ko) 1997-12-31 1997-12-31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2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76B1 (ko) 2005-12-29 2007-04-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는 터렛 서보 제어장치 및방법
KR101496583B1 (ko) * 2013-11-28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축 이송 자동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76B1 (ko) 2005-12-29 2007-04-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는 터렛 서보 제어장치 및방법
KR101496583B1 (ko) * 2013-11-28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축 이송 자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560A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ith an emergency origin returning function
KR19980023986A (ko) 수치제어장치 및 수치제어장치의 주축모터 가감속 제어방법
JPS6332586B2 (ko)
KR930010589B1 (ko) 절삭공구의 정지 제어장치
US4714999A (en) Numerical control method
EP0230471B1 (en) Manual operation system for machine controlled by numerical control unit
JPH01246045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加工座標系の設定制御方法
JPS62237504A (ja) 数値制御装置
JP4947534B2 (ja) 工作機械及び工作機械を操作する方法
JPH07136906A (ja) 数値制御装置
JPS59201747A (ja) 数値制御方式
KR19990062098A (ko) 수치제어공작기계의 이송축 제어방법
EP1394642B1 (en) Multi-system numerical control device
JP4859467B2 (ja) 2主軸対向旋盤の再起動方法
JPH11202926A (ja) 数値制御における送り速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4839817A (en) Numerically controlled apparatus including shunting controller
JPH0288139A (ja) 工具交換装置
JP3180805B2 (ja) 数値制御工作機械
JP4261708B2 (ja) Nc加工装置
KR910009240B1 (ko) 수치제어장치
JPH10143229A (ja) 工作機械制御装置
JPH06738A (ja) 工具交換方法
JP2001138136A (ja) ネジ切り加工制御装置
JPH11212617A (ja) 複数の加工プログラムの制御装置
WO2023166559A9 (ja) 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19991118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