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879A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61879A KR19990061879A KR1019970082172A KR19970082172A KR19990061879A KR 19990061879 A KR19990061879 A KR 19990061879A KR 1019970082172 A KR1019970082172 A KR 1019970082172A KR 19970082172 A KR19970082172 A KR 19970082172A KR 19990061879 A KR19990061879 A KR 19990061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switching
- exchange unit
- unit
- mai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사설교환기를 접속하여 구성되는 사설교환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링크로 신속히 절체함으로써 교환유닛간 링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설교환시스템은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메세지 링크의 이중화가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교환유닛간 4개의 링크를 첫 번째 링크의 16개 타임슬롯에 의해 시스템 정보가 송수신되므로 첫 번째 링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원격 교환유닛은 주 교환유닛의 통제를 받을 수 없게되어 다른 교환유닛과의 통화로 설정을 할 수 없는 단독 기능만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링크로 신속히 절체하여 교환유닛 사이의 메세지 전송경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므로 교환유닛간 링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사설교환기를 접속하여 구성되는 사설교환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링크로 신속히 절체함으로써 교환유닛간 링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환유닛을 접속하여 사설교환망을 구성하는 경우 각 교환유닛을 상호 접속하는 링크가 정상적이어야 만이 원활히 통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다수의 교환유닛을 접속하는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 교환유닛(10)과 원격 교환유닛(20)을 다수의 링크를 통해 상호 접속함으로써 교환망을 구성하였는데, 각 링크당 30채널이 스위칭 타임슬롯으로 할당되어 있다. 주 교환유닛(10)은 가입자 상태 감지로부터 호 발생, 정보분석 및 메세지 발행을 담당하는 주처리기(MPM)와, 시스템의 클럭을 담당하는 클럭발생기(CLK)와, 교환유닛간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스위치(GSM)와, 주처리기(MPU)에서 발생된 메세지를 각 교환유닛측에 64Kbps로 전송하고 원격 교환유닛으로 부터의 메세지를 수신하는 교환유닛 인터페이스(EUIU)와,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과의 스위칭 타임슬롯을 제공하는 E1급 CCS모드 방식의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격 교환유닛(20)은 주 교환유닛(10)과의 스위칭 타임슬롯을 제공하는 E1급 CCS모드 방식의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와, 주 교환유닛(10)과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스위치(DSMA)와, 주 교환유닛(10)에서 발생된 상황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하는 지역 주처리기(MPM)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주 교환유닛(10)과 원격 교환유닛(20) 사이에 접속된 전송선로는 다중화기(30a, 30b)를 통해 연결된다.
주 교환유닛(10)에 실장되는 교환유닛 인터페이스(EUIU)는 각 4개의 부교환유닛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각 부교환유닛 사이의 통화로 설정을 위해서 256개의 타임슬롯을 각 교환유닛에 할당하여 시스템을 운영한다. 256개의 타임슬롯은 8개의 하이웨이를 의미하며, 이때 주 교환유닛(10)과 부교환유닛 사이의 메세지 송수신은 첫 번째 하이웨이의 16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64Kbps의 전송속도를 각 교환유닛당 확보한다.
부교환유닛이 장거리로 설치 운영될때는 다중화기(30a, 30b)와 같은 전송장비를 이용하여 수 Km의 전송로를 확보해야 하며, 기존의 하이웨이를 전송로상에 실어주기 위해 E1신호로 변환하는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 기능의 회로보드를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 쉘프와 원격 교환유닛에 각각 실장하여 전송장비와 연결해서 구성할 수 있다.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는 교환유닛 인터페이스(EUIU)로부터 4개의 하이웨이(128개 타임슬롯)를 받아 4개의 E1신호로 변환하는데, 주 교환유닛(10)과 원격 교환유닛(20)과의 운영 메세지를 운영 메세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E1은 CCS모드로 사용해야 한다.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는 4개의 링크로부터 8Khz를 추출하여 클럭발생기(CLK)에서 시스템 동기를 맞추어 원격 교환유닛의 클럭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사설교환시스템은 주 교환유닛(10)과 원격 교환유닛(20) 사이에 메세지 링크의 이중화가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교환유닛간 4개의 링크를 첫 번째 링크의 16개 타임슬롯에 의해 시스템 정보가 송수신되므로 첫 번째 링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원격 교환유닛(20)은 주 교환유닛(10)의 통제를 받을 수 없게되어 다른 교환유닛과의 통화로 설정을 할 수 없는 단독 기능만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링크로 신속히 절체함으로써 교환유닛간 링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에 있어서, 제1교환유닛과 제2교환유닛 사이의 링크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링크의 고장을 보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소정링크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제2교환유닛에게 링크상태 메세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발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제2교환유닛으로부터 수신한 링크상태 메세지를 분석하여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제1교환유닛이 링크 절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교환유닛측에 링크 절체를 통보하는 메세지를 발행하고. 상기 제2교환유닛이 그에 대하여 링크 절체를 수행하겠다는 응답메세지를 발행하여 상기 제1교환유닛측에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제2교환유닛에 대한 링크 절체를 수행한후 링크상태를 감시하여 링크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사설교환망에서의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의 접속관계를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절체를 위한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서의 링크 절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에서의 링크 복원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 교환유닛 20 : 원격 교환유닛
MEUI :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
REUI :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
41 : 하이웨이 인터페이스 42 : E1링크회로
43 : 링크 변환기 44 : 링크상태 점검기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에 하이웨이 인터페이스(41), E1링크회로(42), 링크변환기(43) 및 링크상태 점검기(44)를 구비하여 이루어 지는데, 하이웨이 인터페이스(41)는 시스템 하이웨이를 정합하고, E1링크회로(42)는 하이웨이 신호를 E1 신호로 변환하고, 링크상태 점검기(44)는 E1링크회로(42)를 초기화하고 링크상태를 점검하며, 링크 변환기(43)는 4개의 링크에 대한 절체를 담당한다.
도2의 구성에서,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의 시스템 운영 메세지와 스위칭 타임슬롯을 위해 128개 타임슬롯인 4개의 하이웨이를 할당하고, 4개의 E1링크를 통해 30채널 × 4 = 120 타임슬롯을 할당한다. 이때,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의 메세지 송수신은 링크0의 16개 타임슬롯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나머지 3개 링크의 메세지 송수신은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의 링크상태 관련 메세지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다.
링크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3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E1링크회로(42)는 링크상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링크의 고장을 링크상태 점검기(44)에게 보고하는데, 이때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는 링크0 고장 메세지를 주 교환유닛(10)의 주처리기(MPM)에게 보고한다(스텝 S1). 주 교환유닛(10)은 원격 교환유닛(20)과의 메세지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었으므로 다른 교환유닛과의 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으며 링크가 복구될 때 까지는 장애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장애상태를 신속히 복구하기 위해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는 링크1의 16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원격 교환유닛(20)의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에게 원격 교환유닛의 링크상태 메세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발행한다(스텝 S2). 그때, 링크1을 사용할 수 없다면 다음 링크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원격 교환유닛(20)측에 링크상태 메세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발행한다. 그리하여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로부터 수신한 링크상태 메세지를 분석하여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스텝 S3). 이때, 링크 절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측에 링크 절체를 통보하는 메세지를 발행하고,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는 그에 대하여 링크 절체를 수행하겠다는 응답메세지를 발행하여 주 교환유닛(10)측에 전송한다(스텝 S4). 이에따라,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는 링크변환기(43)를 통해 링크 절체를 수행하고(스텝 S5),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의 링크 절체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E1링크회로(42)에 의해 링크0의 복구가 감지될 것이고 링크상태 점검기(44)는 도4의 흐름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주 교환유닛(10)의 주처리기(MPM)은 원격 교환유닛(20)의 링크 복구를 인지하여 원격 교환유닛(20)과 다른 교환유닛의 호설정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후,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는 최종 링크상태를 갱신하여(스텝 S6) 물리적 링크와 논리적 링크의 관계를 통해 실질적인 장애 링크를 보고하여 유지보수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에서 도3의 동작이 먼저 발생하여,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에서 링크0 고장이 감지되고 링크0의 송,수신 모두가 고장 발생되는 경우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가 도3의 동작 수행을 조정하며,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MEUI)에서 링크의 고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에서만 수신 링크가 고장이므로 도3의 동작을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REUI)가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주 교환유닛(10)과 원격 교환유닛(20)의 E1링크 관리를 위해 주 교환유닛 인터페이스와 원격 교환유닛 인터페이스내에 링크상태 점검기(44)와 링크 변환기(43)를 두어 처리함으로써 메인링크 장애시 사용 가능한 링크를 메인링크로 신속히 절체하여 주어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간의 메세지 전송 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주 교환유닛과 원격 교환유닛 사이에 접속되는 링크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링크로 신속히 절체하여 교환유닛 사이의 메세지 전송경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므로 교환유닛간 링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에 있어서,제1교환유닛과 제2교환유닛 사이의 링크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링크의 고장을 보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소정링크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제2교환유닛에게 링크상태 메세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발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제2교환유닛으로부터 수신한 링크상태 메세지를 분석하여 링크 절체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제1교환유닛이 링크 절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교환유닛측에 링크 절체를 통보하는 메세지를 발행하고. 상기 제2교환유닛이 그에 대하여 링크 절체를 수행하겠다는 응답메세지를 발행하여 상기 제1교환유닛측에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교환유닛이 제2교환유닛에 대한 링크 절체를 수행한후 링크상태를 감시하여 링크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2172A KR19990061879A (ko) | 1997-12-31 | 1997-12-31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82172A KR19990061879A (ko) | 1997-12-31 | 1997-12-31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1879A true KR19990061879A (ko) | 1999-07-26 |
Family
ID=6618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82172A KR19990061879A (ko) | 1997-12-31 | 1997-12-31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6187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460B1 (ko) * | 1999-08-09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브이5.2 프로토콜로 연결된 장비간의 링크장애 처리방법 |
KR100584371B1 (ko) * | 2000-02-07 | 2006-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동기전송모드 사설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기반에서의 라우팅 링크 업, 다운 제어 방법 |
-
1997
- 1997-12-31 KR KR1019970082172A patent/KR199900618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0460B1 (ko) * | 1999-08-09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브이5.2 프로토콜로 연결된 장비간의 링크장애 처리방법 |
KR100584371B1 (ko) * | 2000-02-07 | 2006-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동기전송모드 사설 네트워크 노드 인터페이스기반에서의 라우팅 링크 업, 다운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26688A (en) | Telecommunication alarm method and system | |
US6163595A (en) | Way finding with an interactive faceplate | |
US6304346B1 (en) | Fault restoration control method and it's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 |
US6407984B2 (en) | Line failure notifying apparatus for terminal apparatus | |
JPH0693664B2 (ja) | 予備ネットワーク切換装置における警報発令方法 | |
US6400477B1 (en) | Optical cross-connect (OXC) network connectivity | |
KR19990061879A (ko) |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 |
US5828978A (en) | Line restoration detection for security systems | |
US6341158B1 (en) | Telephony Test Technique | |
KR100285958B1 (ko) |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 |
US4037054A (en) |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PCM couplers | |
JP2637299B2 (ja) | 通信システムの外部監視装置 | |
JPH08251216A (ja) | データ伝送装置 | |
KR100321441B1 (ko) | 교환기의 중계선 감시 기능 수행 방법 | |
KR100225532B1 (ko)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 |
KR19980075969A (ko) | 아이피시(ipc)경로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장치 | |
KR19980039222A (ko) | Stm-16 중계선 정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장 검출방법 | |
JP2867865B2 (ja) | 予備回線切替制御方式 | |
KR100211889B1 (ko) |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 |
KR100748681B1 (ko) |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 |
JPH1065696A (ja) | 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障害通知方法 | |
JP2664925B2 (ja) | 回線切替方式 | |
KR100202990B1 (ko) |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경보 판별 장치 | |
JPH1041908A (ja) | デジタル伝送装置 | |
KR890004747B1 (ko) | 원격 교환장치의 rlu 고장진단 복구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