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8681B1 -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81B1
KR100748681B1 KR1020010039598A KR20010039598A KR100748681B1 KR 100748681 B1 KR100748681 B1 KR 100748681B1 KR 1020010039598 A KR1020010039598 A KR 1020010039598A KR 20010039598 A KR20010039598 A KR 20010039598A KR 100748681 B1 KR100748681 B1 KR 10074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ransmission
working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613A (ko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송수신 라인 쌍으로 이루어진 전송 라인으로 연결된 SDH 교환기간에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때, 전송 라인들 중 워킹 라인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되면,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의 장애 경보도 디엑트시키고, 워킹 라인 및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을 동시에 프로텍션 라인으로 전환시킨 후, 전환된 프로텍션 라인 외에 다른 송수신 라인 쌍을 워킹 라인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간에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통신할 때, 워킹 라인으로 설정된 라인의 장애 경보 디엑트 시, 양방향 절체를 통하여 새로운 워킹 라인을 설정함으로써, 운용자가 워킹 라인이 연결된 광/전 인터페이스 유닛을 실수로 탈장함으로써 발생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예방하여, 장애 경보 디엑트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장치, 광/전기(O/E) 인터페이스 유닛, 단방향 절체, 양방향 절체

Description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Uni Directional Switching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ystem}
도 1은 자동 보호 절체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SDH 전송 시스템간의 전송 라인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장애 경보가 동작할 때의 SDH 전송 시스템간의 단방향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운영자가 워킹 포트의 장애 경보를 강제로 디엑트시켰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DH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DH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이하 SDH라 표기함)전송 시스템간에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통신할 때, 워킹 라인으로 설정된 라인의 장애 경보 디엑트 시, 양방향 절체를 통하여 새로운 워킹 라인을 설정하도록 하는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광대역 정보 통신망이 등장하면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동기식 전송망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동기식 디지털 계위 방식과 동기식 옵티컬 네트웍(SONET : Synchronous Optical NETwork)방식을 근간으로 발전하게 되어 현재는 상당히 발전된 형태의 광 전송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SDH 방식을 제공하는 SDH 전송 시스템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 보호 절체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자동 보호 절체 기능이란, 송신측 네트웍 소자(Network Element)가 두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 네트웍 소자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 네트웍 소자는 두 전송로 중 상태가 더 좋은 전송로로 절체하여 그 전송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워킹(Working) 라인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전송로를 프로텍션(Protection) 라인이라 한다.
도 1은 이러한 자동 보호 절체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SDH 전송 시스템간의 전송 라인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SDH 전송 시스템(100)은 광케이블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웍 소자로 다수의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110, 120)을 구비하며, 각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110, 120)에는 송수신 포트(111,121)가 설치되어, 송신 및 수신 라인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각 라인에는 전송 상태에 따라 시그널 손실(LOS : Loss of Signal), 프레임 손실(LOF : Loss of Frame), 시그널 감쇠(signal Degraded) 등이 발생되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웍 소자, 즉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110, 120)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아 발생하는 실패(Fail)에 따라, 경보 관리자(130)는 제어부(101)와 연동하여 장애 등급을 나누고, 그 등급에 따라 장애 경보를 발생시키며, 스위칭 관리자(140)는 발생된 장애 경보 중 하위 경보가 발생된 라인을 더 전송 상태가 좋은 라인으로 판단하여, 그 라인으로 절체를 이루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러므로, 이때 데이터를 전송받는 라인은 워킹 라인이 되며, 다른 한쪽은 프로텍션 라인이 되는데, 이렇게 수신 측에서 라인을 절체하는 것을 수신 절체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애 경보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장애 경보가 계속 발생되면, 운영자가 장애 경보의 모니터링을 원하지 않는 수가 실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경보 디엑트(Deact)라 한다.
이렇게 특정 라인의 경보가 디엑트될 경우, 라인의 전송 상태가 파악되지 않 으므로, 디엑트된 라인은 프로텍션 라인이 되고, 다른 라인이 워킹 상태가 되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SDH 전송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절체 방식에는 단방향 절체(Uni Directional Protection)와 양방향 절체(Bi Directional Protection)로 구분될 수 있는데, 양방향 절체의 경우 SDH 전송 시스템간의 송수신 절체 즉, SDH 전송 시스템 상호간의 수신 절체가 모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단방향 절체는 한쪽 SDH 전송 시스템의 수신 절체만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도 2는 장애 경보가 동작할 때의 SDH 전송 시스템간의 단방향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운영자가 워킹 포트의 장애 경보를 강제로 디엑트시켰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SDH 전송 시스템(이하, 제 1 시스템이라 약칭함, 100)은 제 1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이하, 제 1 유닛이라 약칭함, 110) 및 제 2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이하, 제 2 유닛이라 약칭함, 120)을 구비하며, 각 유닛은 각각 송수신 포트(111, 121)를 구비한다.
제 1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SDH 전송 시스템(이하, 제 2 시스템이라 약칭함, 200)은 제 3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이하, 제 3 유닛이라 약칭함, 210) 및 제 4 광/전 변환 인터페이스 유닛(이하, 제 4 유닛이라 약칭함, 220)을 구비하며, 각 유닛은 각각 송수신 포트(211, 221)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유닛(110)의 송신 및 수신 포트(111)는 제 3 유닛(210)의 수신 및 송신 포트(211)에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으로 연결되며, 제 2 유닛(120)의 송신 및 수신 포트(121)는 제 4 유닛(220)의 수신 및 송신 포트(221)에 제 7 라인(303) 및 제 8 라인(304)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닛(110) 및 제 3 유닛(210)의 송수신 포트(111, 211)에 연결된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는 제 5 및 제 6 라인(301, 302)을 통하여 송수신되어야 한다.
그런데, 도 2의 경우는 제 1 시스템(100)에서 제 2 시스템(2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방향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므로, 제 1 시스템(100)의 수신 포트(111Rx, 121Rx)는 수신 절체를 수행하지 않으며, 제 2 시스템(200)의 수신 포트(211Rx, 221Rx)만이 수신 절체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이 워킹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되는 라인은 제 5 라인(301)이며, 제 6 라인은 워킹 상태로 패스만 형성되어 있고, 데이터는 전송되지 않는다.
그런데, 도 3과 같이 만약 운용자가 워킹 포트로 설정되어 있는 제 3 유닛(210)의 수신 포트(211Rx)의 장애 경보를 디엑트하면, 제 2 시스템(200)은 제 5 라인(301)의 장애 정도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제 5 라인(301)은 프로텍션 상태로 전환되고 제 8 라인(304)이 워킹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 5 라인(301)을 통하여 전송되던 데이터는 제 8 라인(304)을 통하여 제 2 시스템(200)에 전송된다.
그런데, 이로 인하여 운용자는 제 1 유닛(110)및 제 3 유닛(210)에 연결된 라인을 프로텍션 라인으로 오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6 라인(302)은 제 1 시스 템(100)의 수신 절체를 위한 라인이므로, 단방향 절체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 제 2 시스템(200)의 수신 절체 시, 제 6 라인(302)은 그 전송 패스만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고 실제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운용자는 제 6 라인(302)을 고려하지 않고, 제 1 유닛(110) 및 제 3 유닛(210)이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시스템(100) 또는 제 2 시스템(200)으로부터 제 1 유닛(110) 또는 제 3 유닛(210)을 탈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실제로 제 1 유닛(110)의 수신 포트(111Rx)와 제 3 유닛(210)의 송신 포트(211Tx)에 연결된 제 6 라인(302)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제 1 유닛(110) 또는 제 3 유닛(210)을 탈장한 결과가 되므로, 제 1 시스템(100)은 수신 라인을 잃어버리는 치명적인 하드웨어적 결함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시스템(100, 200)간의 단방향 절체를 통한 통신 시에,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던 특정 라인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 될 경우, 라인에 연결된 유닛을 운영자가 유지 보수 등을 이유로 잘못 탈장하여 시스템(100, 200)에 치명적인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SDH 전송 시스템간에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통신할 때, 워킹 라인으로 설정된 라인의 장애 경보 디엑트 시, 양방향 절체를 통하여 새로운 워킹 라인을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운용자가 워킹 라인이 연결된 광/전 인터페이스 유닛을 실수로 탈장함으로써 발생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예방하여, 장애 경보 디엑트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송수신 라인 쌍으로 이루어진 전송 라인들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제 1 SDH(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전송 시스템과, 제 2 SDH 전송 시스템이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때, 상기 전송 라인들 중 워킹 라인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되면,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의 장애 경보도 디엑트시키는 단계와, 워킹 라인 및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을 동시에 프로텍션 라인으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전환된 프로텍션 라인 외에 다른 송수신 라인 쌍을 워킹 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DH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스템(100)은, 광케이블과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웍 소자로 제 1 유닛(110) 및 제 2 유닛(120)을 구비하며, 각각의 유닛(110, 120)에는 송수신 포트(111, 121)가 설치된다.
한편, 제 1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시스템(200)은 광케이블과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웍 소자로 제 3 유닛(210) 및 제 4 유닛(220)을 구비하며, 각각의 유닛(210, 220)에는 송수신 포트(211, 22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유닛(111)의 송신 포트(111Tx) 및 수신 포트(111Rx)는 제 3 유닛(210)의 수신 포트(211Rx) 및 송신 포트(211Tx)에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으로 연결되며, 제 2 유닛(120)의 송신 포트(121Tx) 및 수신 포트(121Rx)는 제 4 유닛(220)의 수신 포트(221Rx) 및 송신 포트(221Tx)에 제 7 라인(303) 및 제 8 라인(304)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시스템(100, 200)에는 각 제어부(101, 201)와 연동하여 각각 라인의 전송 상태 또는 유닛의 상태에 따른 장애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관리자(103, 230) 및 발생된 장애 경보의 등급에 따라 양호한 라인을 판단하여 라인을 절체시키는 스위칭 관리자(140, 240)가 포함된다.
또한, 제 1 시스템(100) 및 제 2 시스템(200)은 시스템 내의 장치들의 상호 작용과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시스템 제어부(101) 및 제 2 시스템 제어부(201)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DH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앞서 도 2의 상황과 같이, 제 1 유닛(110)과 제 3 유닛(210)이 워킹 상태로 설정되어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고(단계:S1), 운용자에 의하여 제 5 라인(301)의 장애 경보가 강제 디엑트되면(단계:S2), 제 2 시스템(200)의 경보 관리자(230)는 제 5 라인(301)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됨을 알리는 디엑트 경보를 제 1 시스템(100)의 경보 관리자(130)에게 전송한다(단계:S3).
이어서, 제 1 시스템(100)의 경보 관리자(130)는 제 5 라인(301)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제 6 라인(302)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 되도록 디엑트 경보를 발생한다.
디엑트 경보가 발생되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던 제 6 라인(302)의 장애 경보도 디엑트된다(단계:S4).
따라서, 제 2 시스템(200) 스위칭 관리자(240)의 절체에 의하여 제 8 라인(304)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제 1 시스템(100) 스위칭 관리자(104)의 절체에 의하여 프로텍션 라인이던 제 7 라인(303)이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며(단계:S5), 장애 경보가 디엑트된 제 5 라인(301) 및 제 6 라인(302)은 동시에 프로텍션 라인으로 전환된다.(단계:S6)
그러므로, 제 1 유닛(110) 및 제 3 유닛(210)은 워킹 상태에서 프로텍션 상태로 동시 전환되고 제 2 유닛(120) 및 제 4 유닛(220)이 워킹 상태로 설정되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프로텍션으로 설정된 제 1 유닛(110) 및 제 3 유닛(210)을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탈장하더라도, 제 1 시스템(100)과 제 2 시스템(200)간의 송수신 라인이 제 7 라인(303)과 제 8 라인(304)으로 확보되어 있으므로,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워킹 라인으로 설정되어 있던, 제 5 라인(301)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되어 프로텍션 라인으로 전환되더라도, 송수신 쌍을 이루는 제 6 라인(302)이 제 5 라인(301)과 동시에 프로텍션 라인으로 설정되므로, 새로운 워킹 라인이 제 7 라인(303)과 제 8 라인(304)에 설정된다.
따라서, 운용자가 프로텍션 상태로 설정된 제 1 유닛(110) 또는 제 3 유닛(210)을 탈장하더라도, 제 1 시스템(100)의 수신 절체가 제 7 라인(303)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제 2 시스템(200)의 수신 절체가 제 8 라인(304)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두 시스템간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용자에 의하여 장애 경보가 디엑트되었던 제 5 라인(301)이 엑트 상태로 재 전환되면, 송수신 쌍을 이루는 제 6 라인(302)의 장애 경보도 엑트 상태로 자동적으로 재 전환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DH 전송 시스템간에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통신할 때, 워킹 라인으로 설정된 라인의 장애 경보 디엑트 시, 양방향 절체를 통하여 새로운 워킹 라인을 설정하므로써, 운용자가 워킹 라인이 연결된 광/전 인터페이스 유닛을 실수로 탈장함으로써 발생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예방하여, 장애 경보 디엑트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다수의 송수신 라인 쌍으로 이루어진 전송 라인들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제 1 SDH(SDH :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전송 시스템과, 제 2 SDH 전송 시스템이 단방향 절체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때,
    상기 전송 라인들 중 워킹 라인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Deact)되면, 상기 워킹 라인 및 상기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을 동시에 프로텍션 라인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전환된 프로텍션 라인 외에 다른 송수신 라인 쌍을 워킹 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H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 라인 전환 단계에서 상기 워킹 라인의 장애 경보가 디엑트되면, 상기 워킹 라인과 송수신 쌍을 이루는 라인의 장애 경보도 동시에 디엑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H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으로 전환된 라인의 장애 경보가 엑트(Act)로 재 전환되면, 상기 라인과 라인 쌍을 이루는 라인의 장애 경보도 동시에 엑트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H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KR1020010039598A 2001-07-03 2001-07-03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98A KR100748681B1 (ko) 2001-07-03 2001-07-03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98A KR100748681B1 (ko) 2001-07-03 2001-07-03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13A KR20030003613A (ko) 2003-01-10
KR100748681B1 true KR100748681B1 (ko) 2007-08-13

Family

ID=2771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5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681B1 (ko) 2001-07-03 2001-07-03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85B1 (ko) * 2002-09-12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 광전송장비의 채널 경로설정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7715306B2 (en) 2004-12-07 2010-05-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layer restoration method using LC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7769A (en) * 1994-03-18 1998-05-26 Fujitsu Limited Line switching control system in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5926102A (en) * 1996-11-16 1999-07-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line protection switching by using a remote defect indication signal
US5974027A (en) * 1994-02-19 1999-10-26 Gpt Limi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cluding a channel switching protection arrangement
KR20000008118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동기식 전송 시스템의 자동보호 스위칭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027A (en) * 1994-02-19 1999-10-26 Gpt Limi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cluding a channel switching protection arrangement
US5757769A (en) * 1994-03-18 1998-05-26 Fujitsu Limited Line switching control system in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5926102A (en) * 1996-11-16 1999-07-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line protection switching by using a remote defect indication signal
KR20000008118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동기식 전송 시스템의 자동보호 스위칭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13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3531A (en) Survivable network using reverse protection ring
US6414940B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unidirectional failures in a distributed restoration network
US549547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protection paths as additional working paths in switched ring network systems
US5367395A (en) Apparatus for detection and location of faults in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single optical path
JP3775859B2 (ja) 非同期(pdh)サブネットワークを含む同期(sdh)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ス・スイッチ・リング制御装置
JP2006115496A (ja) 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要素
CA2673252A1 (en) Network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switching
EP3403378B1 (en) Fault propagation in segmented protection
US20060115266A1 (en) All-optical protection signaling systems and methods i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JPH07264229A (ja) 仮想リング構成システム
US20020191242A1 (en) Failure determination i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US7110354B2 (en) Method of controlling 1+1bi-directional switching operation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EP13280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ling of failures for chained boards with SDH interfaces
KR100748681B1 (ko)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JP3459896B2 (ja) スタンバイパスアクセス装置
CN102611570A (zh) 分组传送网使用y型线缆实现端口级保护的方法
US7013059B2 (en) Methods for protecting data signals which are being transmitted via optical conductors
KR20030051913A (ko) 전송장비의 경보신호 처리 방법
US7647533B2 (en)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nd error signal processing coord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8553530B1 (en) Operating state control in redundancy protection systems
JP2000134244A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伝送装置
KR20010103894A (ko) 단일코어를 이용한 광통신망 이중화와 고장감시방법 및 그장치
US20040052311A1 (en) Controlled handling of far end at equipment failure in an msp‘unidirectional configuration
EP13110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ined operation of SDH boards
US77426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opti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