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50312A -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312A
KR19990050312A KR1019970069399A KR19970069399A KR19990050312A KR 19990050312 A KR19990050312 A KR 19990050312A KR 1019970069399 A KR1019970069399 A KR 1019970069399A KR 19970069399 A KR19970069399 A KR 19970069399A KR 19990050312 A KR19990050312 A KR 1999005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seat
lower frame
cush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0312A/ko
Publication of KR1999005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12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쿠션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여 탑승자에게 알맞은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지지바가 고정되고, 하단 양측에 시트가 승객룸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하부프레임과, 양측에 착석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날개편이 고정되고, 하단 부분에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64)에 의하여 각모서리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되는 쿠션플레이트(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STRUCTURE OF SEAT FRAME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쿠션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여 탑승자에게 알맞은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2차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차의 시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시트는 받침부와 등받이부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는 받침부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받침부와 등받이부의 사이에는 등받이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가 설치되어진다. 등받이부의 상단에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플레이트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시트의 받침부에 삽입되는 하부프레임(10)이 구비되어지고, 시트의 등받이부에 삽입되는 상부프레임(12)이 구비되어진다. 상부프레임(12)은 하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다. 하부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지지바(14)가 고정되어지고, 하부프레임(10)의 하단 양측에는 시트가 승객룸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6)이 고정되어진다. 상부프레임(12)의 양측에 급회전시 착석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날개편(18)이 고정되어지고, 상부프레임(12)의 하단 부분에는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브라켓(20)이 고정되어진다. 날개편(18) 및 브라켓(20)은 용접에 의하여 상부프레임(12)에 고정되어진다. 하부프레임(10)에 스폿용접에 의하여 밀착고정되는 쿠션플레이트(22)가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프레임(24)이 시트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음으로 시트를 예정된 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을 이용하여 시트를 예정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었지만, 이러한 시트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가 시트에 장시간 착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쿠션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탑승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없었으며, 특히 장시간 착석할 경우 피로가 쌓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쿠션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여 탑승자에게 알맞은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 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플레이트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보 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사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하부프레임 52 : 상부프레임
54 : 지지바 56 : 가이드레일
58 : 날개편 60 : 브라켓
62 : 쿠션플레이트 64 : 스프링
66 : 시트 프레임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과 타측에 지지바가 고정되고, 하단 양측에 시트가 승객룸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하부프레임과, 양측에 착석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날개편이 고정되고, 하단 부분에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하여 각모서리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에 고정되는 쿠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시트의 받침부에 삽입되는 하부프레임(50)이 구비되고, 시트의 등받이부에 삽입되는 상부프레임(52)이 구비된다. 상부프레임(52)은 하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부프레임(50)의 일측과 타측에 지지바(54)가 고정되고, 하부프레임(50)의 하단 양측에는 시트가 승객룸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56)이 고정된다. 상부프레임(52)의 양측에 급회전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날개편(58)이 고정되고, 상부프레임(52)의 하단 부분에는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브라켓(60)이 고정된다. 날개편(58) 및 브라켓(60)은 용접에 의하여 상부프레임(52)에 고정된다.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가 구비되고, 이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는 스프링(64)에 의하여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트 프레임에 쿠션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의 각모서리 부분에 스프링(64)의 일측을 연결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프링(64)의 타측을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시킨다.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가 스프링(64)에 의하여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되면,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상부프레임(52)을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부프레임(52)이 하부프레임(5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 날개편(58)과 브라켓(60)을 상부프레임(52)에 밀착고정시킴과 동시에 가이드레일(56)을 하부프레임(50)의 하단에 밀착고정시킨다. 날개편(58)과 브라켓(60) 및 가이드레일(56)이 하부프레임(50)과 상부프레임(52)에 고정됨에 있었서는 스폿용접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가 스프링(64)에 의하여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착석자가 안락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쿠션플레이트가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안락한 상태로 착석할 없었으며 동시에 장시간 착석할 경우 피로가 쌓여 안전운행을 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스프링(64)에 의하여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62)가 하부프레임(5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탑승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은 스프링에 의하여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쿠션플레이트가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탑승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과 타측에 지지바가 고정되고, 하단 양측에 시트가 승객룸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하부프레임과, 양측에 착석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날개편이 고정되고, 하단 부분에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프링(64)에 의하여 각모서리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50)의 타측에 고정된 지지바(54)에 고정되는 쿠션플레이트(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프레임.
KR1019970069399A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90050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99A KR19990050312A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99A KR19990050312A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12A true KR19990050312A (ko) 1999-07-05

Family

ID=6609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399A KR19990050312A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03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50B1 (ko) * 2020-09-17 2021-01-06 주식회사 카인드아크코리아 캠핑카용 2열시트 겸용 침대의 쿠션 부재 받침판 완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50B1 (ko) * 2020-09-17 2021-01-06 주식회사 카인드아크코리아 캠핑카용 2열시트 겸용 침대의 쿠션 부재 받침판 완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3378A1 (en) Impact absorption block for vehicle seatback assembly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JPH06135271A (ja)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リヤシート
KR19990025381U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90025379U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H06135273A (ja)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リヤシート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JPH0236753Y2 (ko)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100189563B1 (ko) 자동차의 뒷좌석 헤드레스트
KR960008991Y1 (ko)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199900418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JPS6136030A (ja) 自動車用シ−ト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200141071Y1 (ko) 허리 받침장치를 구비한 시트
KR19980048791U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22542U (ko) 탑승자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리어시트
KR19990029101U (ko) 자동차용 시트 팔걸이 높이 조절장치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