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6770A - 푸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770A
KR19990036770A KR1019980041412A KR19980041412A KR19990036770A KR 19990036770 A KR19990036770 A KR 19990036770A KR 1019980041412 A KR1019980041412 A KR 1019980041412A KR 19980041412 A KR19980041412 A KR 19980041412A KR 19990036770 A KR19990036770 A KR 1999003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member
plunger
coil sp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787B1 (ko
Inventor
다쯔아끼 가와세
에이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3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6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moved alternately in opposite direc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구성의 향상 및 접점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고정접점에 분리접촉되는 가동접점부(27)를 갖는 가동접점부재(2)와, 플런저(6)의 하면과 가동접점부재(2)의 사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고, 그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상을 슬라이딩하여, 플런저(6)의 압하력을 전환구동부(55)에 의해 가동접점부재(2)상에 가하여 경사 이동시키는 캠샤프트(5)와, 가동접점부재(2)에 돌출되어, 가동접점부재(2)의 경사방향을 따라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를 가동접점부재(2)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으로 항상 가이드하는 전환가이드돌기부(24)와, 캠샤프트에 힘을 가해 자동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플런저(6)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4)과, 가동접점부재(2) 상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4)의 하단을 받치고 있는 캠체(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플런저를 눌러내려 시소형의 가동접점을 동작시키는 푸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891476 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이것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51은 상부케이스, 52는 상부케이스(51)에 상하로 움직이도록 지지된 누름버튼, 53은 누름버튼(52)의 구멍에 삽입된 캠샤프트, 54는 코일스프링, 55는 캠샤프트(53)에 끼워 맞춰져 일체화된 슬라이딩부재받침, 56은 고정접점이 형성된 웨이퍼, 57은 고정접점(56)으로부터 인출된 단자, 58은 베이스(基臺)이다.
도 13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에서는, 누름버튼(51)을 코일스프링(54)에 대항하여 누르면, 누름버튼(51) 하단의 캠과 캠샤프트(53)의 캠에 의해 캠샤프트(53)가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딩부재받침(55)도 회전하여 고정접점(56)에 대해 슬라이딩부재가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온오프 동작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에 의해 캠의 마모가 발생하고, 그 마모분(摩耗粉)에 의한 스위치 전환 등의 동작불량이 생기고 있었다. 또한, 중(中)전류를 사용했을 경우, 접점의 전환시 아크(arc)가 발생하고, 절삭분에 의한 전기적 접속불량이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구성의 향상 및 접점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는 케이스에 배치된 고정접점과,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분리접촉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압하가 자유롭도록 지지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하면과 상기 가동접점부재 사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의 상하 움직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그 하방에 형성된 전환구동부가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을 슬라이딩하고, 상기 플런저의 압하력을 상기 전환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가동접점부재를 눌러내려 경사 이동시키는 캠샤프트와,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거의 중앙 상면에 돌출되고,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경사 방향을 따라 상기 캠샤프트의 전환구동부를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으로 항상 가이드하는 전환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캠샤프트에 힘을 가해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시킴과 동시에 상기 캠샤프트를 통해 상기 플런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쳐 상기 가동접점부재가 경사 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코일스프링을 좌굴시키는 캠체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를 눌러내리면, 상기 캠샤프트도 중립위치인 채로 하강하여 상기 전환구동부가, 경사져 있는 상기 전환가이드돌기부에 의해, 솟아올라 있는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단부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캠샤프트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캠샤프트의 회전운동동작에 의해 상기 전환구동부가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을 눌러내려 상기 가동접점부재를 경사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캠체를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경사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 이동시켜 상기 코일스프링을 좌굴시켜, 상기 가동접점부재에 경사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한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비압하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압하도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압하완료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복귀도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접점이 전환된 비압하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7b는 캠샤프트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상부케이스의 평면도와 정면도,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9a, 9b, 9c, 9d, 및 9e는 플런저의 평면도와 정면도, C-C선 단면도와 우측면도, 및 D-D선 단면도이다.
도 10a, 10b, 10c, 및 10d는 캠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E-E선 단면도이다.
도 11a, 11b, 11c, 및 11d는 가동접점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F-F선 단면도이다.
도 12a, 12b, 12c, 및 12d는 웨이퍼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G-G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케이스 2 : 가동접점부재
24 : 전환가이드돌기부 27 : 가동접점부
3 : 캠체 4 : 코일스프링
5 : 캠샤프트 55 : 전환구동부
6 : 플런저 8 : 상부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비압하(非押下)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압하도중(押下途中)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압하완료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복귀도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접점이 전환된 비압하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a, 및 7b는 캠샤프트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8a, 8b, 8c, 및 8d는 상부케이스의 평면도와 정면도,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9a, 9b, 9c, 9d, 및 9e는 플런저의 평면도와 정면도, C-C선 단면도와 우측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 10a, 10b, 10c, 10d는 캠체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E-E선 단면도, 도 11a, 11b, 11c, 및 11d는 가동접점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F-F선 단면도, 도 12a, 12b, 12c, 및 12d는 웨이퍼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및 G-G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에서, 1은 하부케이스(웨이퍼), 2는 가동접점부재, 3은 캠체, 4는 코일스프링, 5는 캠샤프트, 6은 플런저, 8은 상부케이스이다.
하부케이스(1)는 도 12a∼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직유면체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가동접점부재(2), 캠체(3) 등을 수납하는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의 양쪽 내벽면 하부에는 볼록단부가 각각 돌출되고, 양쪽 볼록단부의 대향면에 세로홈이 형성되어 축받이홈 (13, 13)이 구성되어 있고, 축받이홈(13, 13)에 가동접점부재(2)의 축이 지지되어 있다. 14는 상부케이스(8)의 위치결정보스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오목부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케이스(8)의 오목부(11)의 저면에는 고정접점부가 노출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가동접점부재(2)의 자유단의 가동접점부가 분리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15는 각 고정접점부로부터 인출된 접속단자이다.
가동접점부재(2)는 합성수지를 도전단자에 몰드성형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11a∼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하면으로부터 측방으로 회전운동축부(21, 21) 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 회전운동축부(21, 21) 사이에는 오목부(11) 저면상에 맞닿아 지지되는 돌조부(22)가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2)의 중앙 상면에는 캠체(3)를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요동지지돌기(23, 23)가 돌출되어 있고, 요동지지돌기(23)의 상단은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점부재(2)의 중앙 상면의 요동지지돌기(23, 23) 사이에는 단면이 삼각형상인 전환가이드돌기부(24)가 돌출되어 있다. 이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양쪽 테이퍼면부(25a, 25b)는 가동접점부재(2)의 양쪽 자유단으로 각각 향해 있다. 따라서,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테이퍼면부(25a, 25b)에 의해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가 가동접점부재(2)의 양쪽 자유단의 일방으로 가이드된다. 양쪽 테이퍼면부(25a, 25b)로부터 가동접점부재(2)의 양쪽 자유단 방향에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27은 가동접점부재(2)의 자유단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가동접점부이다.
캠체(3)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로서, 도 10a∼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기부(31; 基部)와, 기부(31)의 상면에 돌출되고 코일스프링(4)의 하단에 끼워 넣어져 유지되는 한 쌍의 유지돌기부(32, 32)와, 기부(31)의 한 쌍의 유지돌기부(32, 32) 사이에 형성되어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가 끼워지는 장방형상의 슬릿부(33)와, 슬릿부(33)의 양측부에 형성된 단면이 원호형상인 오목부(34) 및 오목부(34)의 양단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넓어지며 연장 형성된 테이퍼부(35, 35)로 구성되는 요동지지부와, 테이퍼부(35)가 형성된 돌기부(36, 36)와, 기부(31)의 자유단 하부에 형성된 모따기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캠체(3)는 그 하면의 요동지지부의 오목부(34)를 가동접점부재(2)의 요동지지돌기(23, 23)의 상단에 올려 짜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캠체(3)는 가동접점부재(2)의 요동지지돌기(23, 23)의 상단에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캠체(3)는 테이퍼부(35)가 요동지지돌기(23)의 측면에 맞닿는 범위에서 요동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8)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있고, 도 8a∼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6)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통부(81; 筒部)와, 통부(81)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플런저(6)의 원주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돌조부(82)와, 통부(81)의 상면에 뚫려 플런저(6)의 상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개구부(83)와, 통부(81)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의 상면에 맞춰지는 플랜지부(84)와, 플랜지부(84)의 하면에 돌출된 보스(86)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8)와 하부케이스(1)로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6)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있고, 도 9a∼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8)의 개구부(83)로부터 돌출되는 원주(圓柱)형상의 조작부(61)와, 조작부(61)의 하단에 형성되어 조작부(61)보다 외경이 커서 하면이 개구된 원통부(62)와, 원통부(62)에 그 축심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부케이스(8)의 규제돌조부(82)가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홈부(63, 63)와, 원통부(62)의 내저면(內底面)을 수평면으로 하여 캠샤프트(5)를 중립위치로 지지하는 중립위치지지부(64)와, 원통부(62)의 내저면에 형성되고 캠샤프트(5)의 상단이 끼워져 요동이 자유롭도록 함과 동시에 캠샤프트(5)의 요동면을 평면상에 유지하는 캠샤프트가이드용 홈부(65)로 구성되어 있다.
캠샤프트(5)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있고, 도 7a,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6)의 캠샤프트가이드용 홈부(65)에 끼워지는 가이드판부(51)와, 플런저(6)의 중립위치지지부(64)에 압접(壓接)되어 중립위치를 유지하는 수평면부(52, 52)와, 수평면부(52, 52)의 하면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4)의 상단을 지지하는 받침부 (54, 54)와, 받침부(54)의 하방이 점차 가늘게 형성되며 또한 그 하단에 한 쌍의 테이퍼면부(55a, 55b)를 갖는 전환구동부(5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캠샤프트(5)는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및 배면을 평행으로 한 평면판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플런저(6)가 캠샤프트가이드용 홈부(65)에 끼워 넣어져 회전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다.
캠샤프트(5)는 그 가이드판부(51)가 플런저(6)의 캠샤프트가이드용 홈부(65)에 끼워지고, 수평면부(52, 52)가 중립위치지지부(64,64)의 방향으로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붙여져 있다. 따라서, 비압하시(엄밀히는 캠샤프트(5)의 비회전운동시)에는 도 1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5)는 중립위치, 즉, 수평면부(52, 52)가 중립위치지지부(64, 64)에 접한 상태로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6)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캠샤프트(5)가 아래로 움직이면,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의 전환가이드돌기부(24)에 맞닿아 가동접점부재(2)의 경사방향을 따라 캠샤프트(5)가 전환되어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상을 슬라이딩하고, 플런저(6)의 압하력(押下力)이 전환구동부(55)를 통해 가동접점부재(2)를 경사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비압하상태를 설명하면,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캠샤프트(5) 및 플런저(6)가 최상위치로 밀어 올려져 있다. 캠샤프트(5)는 수평면부(52, 52)가 중립위치지지부(64)에 접한 상태로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도 1의 캠샤프트(5)의 상태를 중립위치라고 칭하고 있다.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는 가동접점부재(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점부재(2)는 그 회전운동축부(21)를 중심으로 좌단부를 아래로 하여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부재(2)의 상면의 요동지지돌기(23, 23)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는 캠체(3)가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캠체(3)와 플런저(6) 사이에 압축 구비되어 있는 코일스프링(4)은 우측에 < 자형상으로 좌굴(座屈)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의 하단으로부터의 탄성력의 방향은 바로 아래에서 약간 좌측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은 캠체(3)를 통해 오목부(34) 및 우측의 테이퍼부(35) 등으로부터 가동접점부재(2)의 요동지지돌기(23, 23)를 좌측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고, 가동접점부재(2)에는 회전운동축부(2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가동접점부재(2)에 힘이 가해지고, 그 좌측의 가동접점부(27)와 고정접점(도시하지 않음)의 접촉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가동접점부재(2)가 좌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도면에서 우측의 테이퍼면부(25b)가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의 이동궤적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도 1의 상태에서 플런저(6)를 눌러내리면, 플런저(6)는 캠샤프트(5)를 통해 코일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동시에 캠샤프트(5)는 중립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고 슬릿부(33)를 관통하여 도 2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2의 상태는 하강한 캠샤프트(5)의 하단의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의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도면에서 우측의 테이퍼면부(25b)에 맞닿았을 때이다.
도 2의 상태에서 다시 플런저(6)를 코일스프링(4)에 대항하여 눌러내리면,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가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테이퍼면부(25b)에 가이드되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캠샤프트(5)는 그 수평면부(52)의 단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는 도 2에 나타낸 가동접점부재(2)의 솟아올라 있는 자유단부 방향으로 가동접점부재(2)의 오목부(26)상을 누르면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런저(6)를 눌러내리는 압하력이 캠샤프트(5)를 통해 가동접점부재(2)의 전환력으로서 작용된다. 그리고, 캠샤프트(5)로부터 가동접점부재(2)로 가해지고 있는 (이 경우, 시계방향의)전환력이 가동접점부재(2)에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 등에 의한 미는 힘을 상회(上回)하면, 가동접점부재(2)는 회전운동축부(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 3의 압하완료상태로 된다. 이 동작시, 요동지지돌기(23)가 우측방향으로 흔들리기 때문에 캠체(3)도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코일스프링(4)은 좌측으로 꺾여 좌굴함과 동시에 캠체(3)는 요동지지돌기(23)에 지지되어 좌측으로 경사지고, 좌측의 테이퍼부(35)가 요동지지돌기(23)의 측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오목부(26)의 모서리에 전환구동부(55)가 맞닿은 도 3의 압하완료상태로 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의 하단으로부터의 탄성력 방향은 바로 아래에서 약간 우측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은 캠체(3)를 통해 오목부(34) 및 좌측 테이퍼부(35) 등으로부터 가동접점부재(2)의 요동지지돌기(23, 23)를 우측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고, 가동접점부재(2)에는 회전운동축부(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4)이 반대방향으로 좌굴할 때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플런저(6)의 압하를 정지시키면, 플런저(6) 및 캠샤프(5)는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캠샤프트(5)는 중립위치방향으로 요동되고, 이어서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의 상면, 전환가이드돌기부(24)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그 수평면부(52, 52)가 중립위치지지부(64)에 밀어 붙여질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5)는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또, 도 5에 나타낸 비압하상태로 되어도,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이 캠체(3)를 통해 가동접점부재(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부재(2)의 우측의 가동접점부(27)와 고정접점(도시하지 않음)의 접촉은 유지되고 있다.
상기 동작의 설명에서는 가동접점부재(2)가 좌측으로 경사진 상태(도 1 참조)로부터 설명했지만, 가동접점부재(2)가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도 5 참조)에서는 전환가이드돌기부(24)의 도면에서 좌측의 테이퍼면부(25a)가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어 있고, 플런저(6)를 눌러내리면, 가동접점부재(2)는 상술한 것과 역방향으로의 동작이 행해져 도 1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부케이스(1)에 형성된 고정접점과, 하부케이스(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고정접점에 분리접촉되는 가동접점부(27)를 갖는 가동접점부재(2)와, 상하케이스(1, 8)에 압하가 자유롭도록 지지된 플런저(6)와, 플런저(6)의 하면과 가동접점부재(2) 사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플런저(6)의 상하 움직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그 하방에 설치된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상을 슬라이딩하여 플런저(6)의 압하력을 전환구동부(55)에 의해 가동접점부재(2)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가동접점부재(2)를 눌러내려 경사이동시키는 캠샤프트(5)와, 가동접점부재(2)의 거의 중앙상면에 돌출되어 가동접점부재(2)의 경사방향을 따라 캠샤프트(5)의 전환구동부(55)를 가동접점부재(2)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으로 항상 가이드하는 전환가이드돌기부(24)와, 캠샤프트(5)에 힘을 가해 중립위치로 자동복귀시킴과 동시에 캠샤프트(5)를 통하여 플런저(6)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4)과, 가동접점부재(2)상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4)의 하단을 받쳐 가동접점부재(2)가 경사진 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져 코일스프링(4)을 좌굴시키는 캠체(3)를 구비하고, 플런저(6)를 눌러내리면, 캠샤프트(5)가 중립위치인 채로 하강하여 전환구동부(55)가, 경사져 있는 전환가이드돌기부(24)에 의해, 솟아올라 있는 가동접점부재(2)의 단부측으로 가이드되어 캠샤프트(5)를 코일스프링(4)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캠샤프트(5)의 회전운동동작에 의해 전환구동부(55)가 가동접점부재(2)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을 눌러내려 가동접점부재(2)를 경사이동시키고, 동시에 캠체(3)를 가동접점부재(2)의 경사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 코일스프링(4)을 좌굴시켜, 가동접점부재(2)에 경사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했기 때문에, 부품형상의 간소화에 의해 동작기구를 안정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정접점에 분리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점부재(2)를 채용하고 또 가동접점부재(2)에는 코일스프링(4) 및 캠체(3)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모가 생기지 않고 마모분도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 접속상태도 확실하게 유지되며 특히 중전류 대응에서의 접촉불량이 없어지는 등 접점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위치 전환시 플런저(6)를 눌러내리는 힘도 캠샤프트(5)를 통해 가동접점부재(2)에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탄성력만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확실하게 전환된다. 또, 장치 전체를 크게 하지 않고 캠샤프트(5)를 비교적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은 캠에서는 마모에 의해 열화되어 동작불량이 발생했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형상의 간소화에 의해 동작기구를 안정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 고정접점에 분리접촉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점부재를 채용하고 또 가동접점부재에는 코일스프링 및 캠체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모가 생기지 않고 마모분도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접속상태도 확실하게 유지되어 특히 중전류 대응에서의 접촉불량이 없어지는 등, 접점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스위치 전환시 플런저를 눌러내리는 힘도 캠샤프트를 통해 가동접점부재에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탄성력만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확실하게 전환된다. 또한 장치 전체를 크게 하지 않고 캠샤프트를 비교적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은 캠에서는 마모에 의해 열화되어 동작불량이 발생했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케이스에 배치된 고정접점;
    상기 케이스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분리접촉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가동접점부재;
    상기 케이스에 압하가 자유롭도록 지지된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면과 상기 가동접점부재 사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의 상하 움직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그 하방에 형성된 전환구동부가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을 슬라이딩하고, 상기 플런저의 압하력을 상기 전환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가동접점부재를 눌러내려 경사이동시키는 캠샤프트;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거의 중앙 상면에 돌출되고,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경사 방향을 따라 상기 캠샤프트의 전환구동부를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으로 항상 가이드하는 전환가이드돌기부;
    상기 캠샤프트에 힘을 가하여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시킴과 동시에, 상기 캠샤프트를 통해 상기 플런저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
    상기 가동접점부재상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쳐 상기 가동접점부재가 경사 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코일스프링을 좌굴시키는 캠체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를 눌러내리면, 상기 캠샤프트가 중립위치인 채로 하강하여 상기 전환구동부가, 경사져 있는 상기 전환가이드돌기부에 의해, 솟아올라 있는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단부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캠샤프트를 상기 코일스프링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캠샤프트의 회전운동동작에 의해 상기 전환구동부가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솟아올라 있는 단부측을 눌러내려 상기 가동접점부재를 경사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캠체를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경사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 상기 코일스프링을 좌굴시켜, 상기 가동접점부재에 경사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장치.
KR1019980041412A 1997-10-06 1998-10-01 푸시스위치장치 KR100324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2800A JPH11111107A (ja) 1997-10-06 1997-10-06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97-272800 1997-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70A true KR19990036770A (ko) 1999-05-25
KR100324787B1 KR100324787B1 (ko) 2002-05-09

Family

ID=1751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412A KR100324787B1 (ko) 1997-10-06 1998-10-01 푸시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24556A (ko)
JP (1) JPH11111107A (ko)
KR (1) KR100324787B1 (ko)
CN (1) CN11079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671A (ja) 2005-09-20 2007-04-05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FR2891947B1 (fr) * 2005-10-11 2007-12-28 Legrand France Dispositif de commutation electrique du type "push-push" a moyens de guidage du bouton-poussoir
DE102005050529B3 (de) * 2005-10-21 2006-11-30 Berker Gmbh & Co. Kg Elektrischer Drucktastenschalter
JP5891355B2 (ja) * 2012-02-03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3887100A (zh) * 2012-12-20 2014-06-25 杨国基 平面全触点开关
ES2645317B1 (es) * 2016-06-02 2018-09-13 Simon, S.A.U. Interruptor eléctrico
CN107871636B (zh) * 2016-09-23 2019-05-03 施耐德电气(澳大利亚)有限公司 开关
CN108389748B (zh) * 2018-04-26 2023-11-03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可实现小型化的保护开关
CN109394487B (zh) * 2018-11-21 2021-04-06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护理设备及制造方法
CN112242264B (zh) * 2019-07-16 2025-03-07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9528A (en) * 1970-08-14 1971-11-09 Carling Electric Inc Momentary plunger switch
US4300026A (en) * 1977-12-16 1981-11-10 Nartr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US4204102A (en) * 1977-12-16 1980-05-20 Nartr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US4239659A (en) * 1978-12-15 1980-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nonionic and cationic surfactants, the cationic surfactant having a long alkyl chain of from about 20 to about 30 carbon atoms
US4736081A (en) * 1986-06-23 1988-04-05 Eaton Corporation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 pulse switch and anti-tie down control circuit using the same
US5136132A (en) * 1991-03-28 1992-08-04 Honeywell Inc. Alternate action mechanism
CN2142602Y (zh) * 1992-12-03 1993-09-22 宁波机床电器厂 按动开关
JP2596766Y2 (ja) * 1993-11-25 1999-06-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US5508485A (en) * 1994-01-21 1996-04-16 Sagami Electric Co., Ltd. Pushbutto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62C (zh) 2003-05-07
US5924556A (en) 1999-07-20
CN1213840A (zh) 1999-04-14
JPH11111107A (ja) 1999-04-23
KR100324787B1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9353B2 (ja) 回転操作型スイッチ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KR100324787B1 (ko) 푸시스위치장치
JP2573191Y2 (ja) 揺動スイツチの可動接片支持構造
JP2000276975A (ja) マイクロスイッチ
KR890001357B1 (ko) 다련(多連)스위치
US6841750B2 (en) Switch device
US5901839A (en) Switching device
US4757164A (en) Pushbutton switch
US4418254A (en) One piece operator for electric switch having pivoting and sliding contactor
US3852552A (en) Toggle switch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219354B2 (ja) 多方向入力装置
GB2110472A (en) Electric switch
JPH0646032Y2 (ja) マイクロスイツチ
JP3931505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JP2547952Y2 (ja) プッシュロッドスイッチ
JP2575447Y2 (ja) スイッチ装置
JPH1111110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2731408B2 (ja) シーソスイッチ
JP4296725B2 (ja) 押釦スイッチ
JPS6323860Y2 (ko)
JP3113496B2 (ja) 速動式スイッチ装置
JPH0928893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H09245573A (ja) 回転操作型スイッチ
JPS62229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