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68A - 누화감소형 모듈러 아우틀렛 - Google Patents
누화감소형 모듈러 아우틀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5868A KR19990035868A KR1019980700529A KR19980700529A KR19990035868A KR 19990035868 A KR19990035868 A KR 19990035868A KR 1019980700529 A KR1019980700529 A KR 1019980700529A KR 19980700529 A KR19980700529 A KR 19980700529A KR 19990035868 A KR19990035868 A KR 19990035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nector
- door
- terminal
- contac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capacitive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누화 감소 특성을 갖는 모듈러 아우틀렛(10)은 접점 캐리어(18)상에 위치한 다수의 접점(14)을 지지하는 커넥터 하우징(12)과, 접점(14)의 일단에 다수의 와이어들을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된 단자 캡(16)을 포함한다. 상기 접점(14)들은 선택된 접점들간의 용량성 결합량을 제어하여 모듈러 아우틀렛이 카테고리 5 요건에 부합 또는 그를 능가할 수 있게 하는 적층된 전류 이송판(122, 124, 132, 146, 154, 168, 176, 178)을 포함한다. 또한, 비록 모듈러 아우틀렛 접속부(126, 134, 140, 148, 156, 162, 170, 180)들이 규격 형상에 따라 위치되더라도, 절연체 이동 접점(118, 128, 136, 142, 150, 158, 164, 172)들이 순차로 위치되어, 단자 접속시 페어 분할을 배제시킨다. 또한, 아우틀렛 도어(914)조립체는 한 쌍의 장착 아암(1126, 1128)과, 확인 아이콘(1160)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1142)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들은 도어를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모두에 유지시키도록 홈(980)내에 수용되는 내측 연장 돌기(1134)들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종래의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다.
종래의 많은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568의 T568A 또는 T568B의 배선 방법에 따라 순차화된 IDC 단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IDC 단자 순서에 따르면 트위스트 와이어 페어들중 누화 성능에 대한 불리한 효과를 갖는 와이어 페어의 꼬임을 풀어 분할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패널에 설치시 나란히 적층시킬 수 없다. 높은 아우틀렛 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한 종래의 구성은 공간 효율을 희생시키게 된다.
종래의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패널의 후방으로부터 패널 개구 내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실제 설치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패널의 전방으로부터 단자 아우틀렛을 설치하는 방식을 택하게 된다.
단자캡을 사용하는 종래의 많은 아우틀렛들의 경우는 탄자캡에 케이블을 부착시킬 수 있게 하기 전에 대규모의 케이블 준비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각 트위스트 페어는 꼬임이 풀려야만 하고, 단자캡에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전에 개개의 와이어도 신장 및 정렬되어야만 하고, 필요하다면 트리밍시켜야만 한다.
ITT 아우틀렛의 단점은 4개의 불연속 하우징 소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의 힌지 설계에는 재료 선택의 제한 및 기계적인 완전무결함의 손상과 같은 제한이 있다.
종래의 아우틀렛용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도어들은 일반적으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개방 위치에 유지되지 않고 단지 폐쇄 위치에만 유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플러그의 설치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한 손으로는 문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통신 장치 및 그와 유사한 장치에 주로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 및/또는 네트워크의 효율은 사용되는 커넥터 구성의 완전무결함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이 되는데, 이러한 커넥터 구성으로는 설비/사용자 억세스(아우틀렛(outlet) 커넥터)용의 규격 인터페이스, 통신 수단(수평 및 백본(backbone) 케이블링), 그리고 관리/분배점(크로스-커넥팅 및 패칭설비)들을 포함한다. 설비에 사용되는 전송 매체의 형태 또는 능력에 무관하게 케이블링 하부구조의 완전무결함은 서로 결합되는 개개의 소자들의 성능과 마찬가지이다.
일례로, 비규격 커넥터 또는 페어(pair)구성의 경우에는 집단 이동, 시스템 변화, 또는 기존에는 양립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추후 시스템을 보다 높은 전송율로 확장 또는 업그레이드시킴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성능을 나타내는 설치 전송 특징을 갖는 하드웨어가 접속된 설비에 적응하기 위해 작업 지역 아우틀렛들의 배선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인정할 수 있는 설계 및 전송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커넥팅 하드웨어의 경우에는 사용자 생산성의 감소, 시스템 성능의 저하 및 새로운 적용에 대한 상당한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신뢰성, 접속의 완전무결함 및 내구성 등도 중요하게 고려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전형적으로 케이블링의 수명이 10 내지 20년이기 때문이다. 전기 통신 접속 하드웨어에 대한 세부 사항 및 그의 성능을 적절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의미가 있고 접근하기 쉬운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용의 전기 통신 소자들 및 설비들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이라 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ANSI/TIA/EIA-568-A(/568) Commercial Building Telecommunications Cabling Standard 및 수요자를 전제로 한 일반적인 케이블링인 150/IEC 11801(/11801)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준에서 판단하는 전기 통신 케이블링의 특성으로는 접속 하드웨어 설계, 신뢰성 및 전송 성능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산업 분야에서는 시험 방법의 공통 집합 및 성능 요구 및 비교 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합격/불합격 기준이 확립되었다.
데이터 환경에서 접속 하드웨어 성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폭 넓은 적용 범위 및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형태에 관계되는 시험 방법 및 합격/불합격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가 비트 및 메가 헤르쯔간의 관계가 사용되는 부호화 구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산업 규격 또는 부호화 구성에 대한 참조를 제공함이 없이 전송율을 나타내는 배선 소자들에 대한 성능 요구는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제조업자 및 최종 사용자들 모두에게는 폭넓은 적용 범위에 걸쳐 성능 정보를 규격화시키데 관심이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568 및 /11801과 같이 적용 범위에 독립적인 기준들의 경우는 비트 단위보다는 헤르쯔 단위로 성능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이 정보는 특정 적용을 위한 요건이 양립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례로, IEEE, 802.3i(10BASE-T)에서의 많은 성능 요건들은 메가 헤르쯔 단위로 명시되고 있으며, 적용시에는 데이터가 10Mbps의 전송율로 전송된다 하더라도, 기준에서는 시험"주파수"(15MHz만큼 높은)로 명시된다. 트위스트 페어 커넥터들에 대해 /568 및 /11801에 정의된 전송 변수들로는 감쇄, 근단(near-end) 누화(NEXT) 및 귀환 손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수들의 채널 성능에 대한 최소 효과는 신호 잡음비(SNR)로 표현된다. 접속 하드웨어의 경우, 신호 잡음비에 대한 최대 충격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변수는 근단 누화이다.
트위스트 페이 케이블링 소자들의 여러 성능 레벨을 명시하는 산업 기준으로는 여러 가지가 확립되어 있는데, 일례로 /568 및 /11801 모두에, 그리고 기타 국내 및 지역 명세서들에는 카테고리 3, 4, 5의 케이블 및 접속 하드웨어가 명시되어 있다. 이 명세서들에 있어서, 카테고리 3 소자들에 대한 전송 요건은 16 MHz까지로 명시되어 있으며, 카테고리 4 소자들에 대한 전송 요건은 20 MHz까지로 명시되어 있으며, 카테고리 5 소자들에 대한 전송 요건은 100 MHz까지로 명시되어 있다. 카테고리 5 분류에서는 비차폐된 그리고 스크린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링에 대한 국내 및 국제 기준들에 의해 명시된 가장 엄격한 전송 요건들을 정의하고 있다.
트위스트 페어 커넥터를 주어진 성능 카테고리에 부합하게 하기 위해서는 설계 또는 의도된 사용과 무관하게 적용 가능한 모든 전송 요건들에 부합시켜야만 한다. 전송 기준에 부합시키려는 노력은 커넥터 기준들이 최악의 경우의 성능에 적용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번거롭게 된다. 일례로, 카테고리 3에 부합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페어 조합들에 대해 카테고리 5 NEXT 요건들에 부합하는 작업 지역 아우틀렛의 경우에는 단지 카테고리 3 커넥터로 분류될 수 있다(단, 적용 가능한 다른 모든 요건들에 부합하는 조건하에서).
여기서 인지해야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접속 하드웨에에 대한 전기적인 균형을 달성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는 점이다. 카테고리 5 형태의 아우틀렛 커넥터들은 현재 여러 가지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로는 AT&T Network Systems에서 제조한 Systemax SCS 카테고리 5 제품, Nothern Telecom에서 제조한 DVO Plus 및 BLX Plus, 그리고 AMP에서 제조한 카테고리 5 ACO 아우틀렛을 들 수 있다. 이 리스트는 단지 예에 불과하며 현재 시판하고 있는 카테고리 5 형태의 제품들의 전체 리스트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들의 증가하는 대역폭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카테고리 5 성능 요건들에 부합 또는 그를 능가하는 개선된 아우틀렛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AT&T Network Systems에서 제조한 Systemax SCS 카테고리 5 아우틀렛은 인쇄배선판 또는 다른 부가적인 소자들의 사용없이 요구되는 레벨의 누화 성능을 달성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선"을 사용하고 있다(Denkman 등에게 허여된 US 5,186.647). 이 제품은 수많은 기업에서 수년간 사용해 왔던 잘 알려진 리드프레임 아우틀렛 구조의 변형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방법이 완성된 조립체내의 소자들의 양 및 형태들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비용에 관련된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 면에서 제한이 있다.
다른 평형 보상 방법으로는 일례로 회로판의 인접층들상이 겹친 상태로 위치되는 트레이스들의 평행 구성내에 선택적으로 회로 트레이스들을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페어들 사이에서 유도성 균형 정정을 이루게 할 수 있도록 트레이스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은 접점 배열의 상면상에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일부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의 부분들에는 선택된 접점들이 전기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들중 일부는 Brownell에 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99,956 호에 기재되어 있다. 리드프레임이나 인쇄회로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페어들간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또다른 방법은 종래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와이어선들을 선태적으로 꼬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반복성, 비용 및 성능면에서 고유적인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 리드프레임상에 수동형 가요성 인쇄회로를 설치하는 설계의 경우에는 공명누화와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트위스트 와이어선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관성이 없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ITT Cannon에서 제조한, 누화 감소 특성을 갖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경우는 내부에 다수의 접점을 지지하는 접점 캐리어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접점들의 일단에 다수의 와이어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커버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기준 /568에 명시되어 있는 T568A 핀/페어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 R4 접점은 판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이동단자를 포함한다. T4 접점은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1 접점은 판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1 접점은 판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3 접점은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3 접점은 판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2 접점은 제 1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2 접점의 제 2 선은 R2 접점의 제 1 도선의 일측으로부터 R2 접점의 제 1 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R2 접점의 제 3 선은 R2 접점의 제 1 도선의 타측으로부터 R2 접점의 제 2 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T2 접점은 그의 제 1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2 접점의 제 2 선은 T2 접점의 제 1 도선의 일측으로부터 T2 접점의 제 1 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T2 접점의 제 3 선은 T2 접점의 제 1 도선의 타측으로부터 T2 접점의 제 2 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R4 접점의 판은 R2 접점의 제 2 판 위에 대향되게 위치되고, R1 접점의 판은 R2 접점의 제 1 판 위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그 대향판들 사이에는 유전판이 위치된다. 따라서, R2 접점과 R4 및 R1 접점들 사이에는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T1 접점의 판은 T2 접점의 제 2 판 위에 대향되게 위치되고, T3 접점의 판은 T2 접점의 제 1 판 위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그 대향판들 사이에는 유전판이 위치된다. 따라서, T2 접점과 T1 및 T3 접점들 사이에는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상기 판들이 전류의 통과는 방지하면서 신호 입력으로부터 신호 출력으로의 신호의 통과는 허용할 수 있게 신호캐리어에 접속된 분로라는 점이다. 이러한 수동형 용량성판들은 공명 누화, 그리고 신호 반사 및/또는 신호 균형의 결여로 인한 현상들과 같은 알려진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도면중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
도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로서, 도2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2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3A, 3B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도3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3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4A, 4B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완전 분해 사시도로서, 도4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상부를 도시하고, 도4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5A, 5B는 도2A, 2B의 모듈러 재킷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조립 구성내의 접점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5A는 사시도이고, 도5B는 분해도;
도6A, 6B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점 캐리어의 사시도로서, 도6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6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7A, 7B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자캡의 사시도로서, 도7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고, 도7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8A 내지 8D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서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8A는 평면도, 도8B는 저면도, 도8C는 끝면도, 도8D는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벽판에 삽입되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들의 전방사시도;
도10A 내지 10C는 도2A, 2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구성의 접점들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10A는 평면도, 도10B는 분해사시도, 도10C는 후방사시도;
도11A,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로서, 도11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11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2A, 12B는 도11A, 11B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도12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12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3A, 13B는 도11A, 11B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완전 분해 사시도로서, 도13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상부를 도시하고, 도13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4A, 14B는 도11A, 11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점캐리어의 사시도로서, 도11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고, 도11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4C는 슬롯들의 각기 다른 깊이들을 도시하는, 캐리어의 전방평면도;
도15A, 15B는 도11A, 11B의 모듈러 아우틀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자캡의 사시도로서, 도15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후방부를 도시하고, 도15B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6A,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로서, 도16A는 모듈러 아우틀렛의 상부를 도시하고, 도16B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분해도;
도17A 내지 1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도어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에 따라 벽판에 삽입된 도2A, 2B의 6개의 모듈러 아우틀렛을 도시하는 전방사시도;
도19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대한 실드의 사시도;
도20은 실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21은 실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
도22는 도21의 저면 사시도;
도23은 벽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24는 벽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 도23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25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
도27은 도26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또 다른 사시도;
도28은 도26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측면도;
도29는 도26의 모듈러 아우틀렛에 사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30은 도29의 커넥터 하우징의 또 다른 사시도;
도31은 도26의 모듈러 아우틀렛에 사용되는 도어의 사시도;
도32는 도31의 도어의 또 다른 사시도;
도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의 사시도;
도34는 도33의 모듈러 아우틀렛의 측면도;
도35는 도33의 모듈러 아우틀렛에 사용되는 도어의 사시도;
도36은 도35의 도어의 또 다른 사시도;
도37은 도33의 모듈러 아우틀렛에 사용되는 도어 홀더의 사시도;
도38은 도37의 도어 홀더의 평면도;
도39는 도37의 도어 홀더의 측면도;
도40은 도37의 도어 홀더의 끝면도.
종래 기술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기타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누화 감소 특성을 갖는 모듈러 아우틀렛에 의해 극복 또는 경감된다. 본 발명은 아우틀렛들을 나란히 밀접하게 스태킹할 수 있게 해주고, 이에 따라 아우틀렛밀도 및 공간 효율의 증대를 이룰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IDC 단자들을 순차로 배열할 수 있게 접점들이 구성되고, 이에 따라 트위스트 와이어페어들중 분할되는 것이 전혀 없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아우틀렛들은 IEC 603-7 산업-규격 패널 개구내에 설치 가능하며, 보다 폭넓은 적용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으로는 전, 후방 양 방향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은 내부에 다수의 접점을 지지하는 접점 캐리어가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접점의 일단에 다수의 와이어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캡이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례로 8-위치 또는 6-위치 모듈러 아우틀렛 개구와 같은 규격 접점 개구가 내부에 형성된 전방 패널을 포함한다. 이 전방 패널로부터는 측패널, 상측패널 그리고 하측패널이 연장되어 있다. 상측패널로 부터는 서로 협력하는 직립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보유 돌기가 형성되어 아이콘 또는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측패널에는 경사 직립부와 경사면이 형성되어, 개구까지 연장되는 패널 수용 슬롯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 패널의 후방으로부터는 탄성 패널이 하측 패널의 외형을 따라 연장된다. 이 탄성패널의 전방 단부에도 패널 수용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 캐리어는 규격 모듈러 플러그에 맞는 대체로 L형의 전방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전방 부재는 내부에 접점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들을 가지고 있다. 슬롯들은 전방 부재의 하측다리부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호형 요부내에 형성되어 있다. 접점 캐리어는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다. 상측다리부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는 단자블록부가 연장되어 있는데, 이 단자 블록부의 하부에는 접점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들은 블록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와 연결되고, 이 개구에는 그에 대응하는 접점들이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점캐리어는 또한 후방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 이 연장부는 단자캡상의 로킹 래치(locking latch)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장부는 또한 단자캡의 결합후 두 개 또는 그이상의 와이어 페어들에 보유력을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장부는 또한 단자캡의 결합후 와이어 끝지점, 즉 접속 지점에서의 이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다른 4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다.
접점들은 커넥터 하우징내에 접점 캐리어를 삽입하기에 앞서 설치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그리고 T568A 규격 핀/페어구성을 이용하는 경우, R2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단자에 접속된 한 쌍의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4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4 접점은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1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1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R3 접점은 선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3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T2 접점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에 접속된 한 쌍의 판에 선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R2 접점의 판들중 하나가 R4 접점의 판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R2 접점의 타측 판은 R1 접점의 판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일례로, Mylar™ 또는 Kapton™)이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R2 및 R4 접점사이 및 R2 및 R1 접점 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또한, T2 접점의 판들중 하나가 T1 접점의 판의 dkfo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T2 접점의 타측 판은 T3 접점의 판의 아래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일례로, Mylar™ 또는 Kapton™)이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T2 및 T1 접점사이 및 T2 및 T3 접점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접점들의 판들이 전류를 이송한다는 점이다. 특히, 절연체 이동 단자로부터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로의 또는 그 역으로의 상기 접점들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용량성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판들을 통해 이루어져야만 한다. 선택된 접점들 사이에서 조절된 양의 용량성 결합을 이루게 하는 이 방법에 따르면 모듈러 아우틀렛이 카테고리 5 요건에 부합하는 또는 그를 능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호 반사 및/또는 신호 균형의 결여에 기인하는 공명 누화의 문제점이 배제된다. 또한, 비록 아우틀렛 접속부들이 규격구성에 따라 위치되더라도 절연 변위 접점들은 순차로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접속시 페어 분할이 배제된다.
선택된 접점들사이에 조절된 양의 용량성 결합을 이루게 하는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으로, 소정의 아우틀렛 배선 방법들에 의해 야기되는 페어들 및 와이어 커넥터들간의 반응성 불균형이 상기판들 및 유전판들에 의해 보상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듈러 아우틀렛은 종래 기술의 수동형 판들의 공명 누화의 문제점을 발생시킴이 없이 상술한 카테고리 5의 요건들에 부합 또는 그 요건들을 능가할 수 있게된다. 카테고리 5의 이점들은 잘 알려진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트위스트 페어의 대역폭 제한 때문에 과거에는 차폐된 동축 또는 섬유 광케이블이 사용된 부분에 비차폐된 트위스트 페어와이어를 사용하여 상당한 비용 절감을 이룬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비록 모듈러 아우틀렛 접속부들이 규격구성, 일례로 T568A에 따라 위치되지만, 절연 변위 접속부들은 배선 접속을 개선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단자 접속부들은 순차형태로 되어 있다. 규격 T568A 핀/페어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페어 T2, R2는 순차형태로 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할되어 있고, 이에 따라 최소한 이러한 페어는 부분적으로 트위스트가 풀어져 있어야만 하고, 페어 2의 와이어 1이 페어 1의 와이어들과 교차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상기 페어들사이에 부가적인 누화가 발생하며 페어 2가 끝부분에서 임피던스의 불연속성을 나타내게 된다. 고대역폭 적용의 경우, 일레로 카테고리 5 또는 이머징(emerging) ATM 규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트위스트 와이어구성의 완전무결함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컨덕터의 트위스트 풀림을 최소화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단자구성에 따르면 접속시 페어의 분할을 배제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층 접점 구성은 케이블의 결속 및 단자 접속중에 페어 결합력 및 일관성있는 극성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결합된 접점 소자들이 신호전류 경로들과 일체로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유도성 및 용량성의 반응 균형을 제공해준다. 또한, 개개의 접점 대 접점 방식의 요구되는 결합량에 비례하는, 전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평행 경로들을 제공해준다.
단자캡은 다수의 치들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 보유 슬롯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단자 블록부를 포함한다. 단자 블록부의 전방단부로 부터는 T형의 블록이 연장되어 있고, 단자 블록부의 반대측 후방단부로 부터는 재킷 보유 블록이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개의 로킹 래치에 의해 단자캡이 접점 캐리어에 고정된다. 4개의 탄성탭에 의해 개개의 페어들이 단자캡의 개개의 슬롯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캡과 커넥터 캐리어의 결합에 앞서 케이블/단자캡 하위조립체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단자캡들을 사용하는 종래의 모듈러 아우틀렛들의 경우에는 단자캡상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한데, 이러한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각 트위스트 페어의 꼬임을 풀어야만 하고, 단자캡에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전에 개개의 와이어도 신장 및 정렬시켜야만 하고, 필요하다면 트리밍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꼬임이 풀린 모든 와이어들은 단자캡의 수용 구멍들 내에 동시에 삽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수의 모듈러 아우틀렛을 설치해야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단자캡은 케이블 준비량을 감소시켜준다. 사용자는 단순히 케이블에서 트위스트 페어들을 분리한후, 각 트위스트 페어를 대응하는 슬롯내로 삽입하면 된다. 각 트위스트 페어는 개개의 와이어들을 대응하는 슬롯들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단지 부분적인 꼬임풀음을 필요로 한다. 와이어를 제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단지 트리밍만이 필요할 것이다.
일단 단자캡의 슬롯에 와이어들이 삽입되고 그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을 지나 연장되는 와이어 부분들은 절단되게 되고, 따라서 와이어들의 끝부분은 대응하는 절연체 이동 단자들 상에 위치하게 된다. 블록들을 접점 캐리어의 채널 내로 삽입하고, 이에 따라 단자캡을 접점 캐리어상에 일렬로 정렬시키고, 절연체 이동 단자들이 절연체를 와이어들상으로 이동시켜 도전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 하방으로 밀음으로써, 와이어들의 단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집단단자접속). 바람직하게, IDC 들은 또한 단자 접속 작업을 단시간내에 함으로써 캡에 요구되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진입실드 구조를 배출실드 구조에 접속시키기 위한 단일의 연속경로를 제공하는 실드를 포함한다. 이 실드는 특히 제 2 실시예에 적합하나, 제 1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도어구조가 또한 포함되는데, 이 도어 구조는 모둘러 개구에 대한 양질의 시일(seal)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모두에 유지가능한 아우틀렛 도어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홈들내에 수용되는 내측 연장 돌기를 갖는 한 쌍의 장착 아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은 도어 아암들의 돌기들을 보유하는 위치들을 정하도록 한쌍의 홈들내에서 외측 연장 돌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홈쌍들을 갖는 도어 홀더가 사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일측 홈쌍은 도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도어 아암의 돌기들을 수용하고, 타측 홈쌍은 도어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도어 아암의 돌기들을 수용한다. 이 두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도어는 확인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누화 감소 특성을 갖는 모듈러 아우틀렛가 부호(200)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듈러 아우틀렛(200)는 내부에 다수의 접점(206)을 지지하는 접점 캐리어(204)가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20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02)에는 다수의 와이어들을 접점(206)들의 일단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커버(208)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접점(206)들은 8개의 접점(210),(212),(214),(216),(218),(220),(222),(224)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210)은 판(228)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30)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26)(즉, T568A에 따른 핀8,R4)를 포함한다. 접점(212)은 선(234)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36)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32)(즉, T568A에 따른 핀7,T4)를 포함한다. 접점(214)은 판(240)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단자(242)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38)(즉, T568A에 따른 핀5,T1)를 포함한다. 접점(216)은 판(246)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48)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44)(즉, T568A에 따른 핀4,R1)를 포함한다. 접점(218)은 선(252)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54)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50)(즉, T568A에 따른 핀2,R3)를 포함한다. 접점(220)은 판(258)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60)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56)(즉, T568A에 따른 핀1,T3)를 포함한다. 접점(222)은 선(264)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266)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62)(즉, T568A에 따른 핀6,R2)를 포함한다. 선(264)의 일측으로 부터는 선(268)이 판(270)까지 연장되어 있고, 선(264)의 타측으로 부터는 선(272)가 판(27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접점(224)는 선(278)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단자(280)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276)(즉, T568A에 따른 핀3,T2)를 포함한다. 선(278)의 일측으로 부터는 선(282)이 판(284)까지 연장되어 있고, 선(278)의 타측으로 부터는 선(286)가 판(288)까지 연장되어 있다.
접점(210)의 판(228)은 접점(222)의 판(274)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216)의 판(246)은 접점(222)의 판(270)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사이에는 유전판(287)(Mylar™ 또는 Kapton™)이 위치된다. 따라서, 접점(222)(즉, T568A에 따른 핀6,R2)와, 접점(226)(즉, T568A에 따른 핀8,R4) 및 접점(216)(즉, T568A에 따른 핀4,R1)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또한, 접점(214)의 판(240)은 접점(224)의 판(288)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220)의 판(258)은 접점(224)의 판(284)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287)이 위치된다. 따라서, 접점(224)(즉, T568A에 따른 핀3,T2)와, 접점(214)(즉, T568A에 따른 핀5,T1) 및 접점(220)(즉, T568A에 따른 핀1,T3)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상기 판들이 전류의 통과는 방지하면서 신호 입력으로부터 신호출 력으로의 신호의 통과는 허용할 수 있게 신호 캐리어에 접속된 분로라는 점이다. 이러한 수동형 용량성판들은 공명누화, 그리고 신호반사 및/또는 신호균형의 결여로 인한 현상들과 같은 알려진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접점구성은 또한 하나의 와이어페어, 일례로 T568A의 페어2를 서로 인접하지 않은 접점위치상에 접속시켜야하는 요건과, 팁 및 링형 컨덕터들의 위치 선정을 모든 페어들에 대해 일관되지 않게 해야하는 요건이 필요하다는 부가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모듈러 아우틀렛은 상기와 같은 수동형 판들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명 누화의 문제점이 없다. 도2A, 2B, 3A, 3B, 4A, 4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 감소 특성을 갖는 접점이 부호(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접점(10)은 내부에 다수의 접점(14)를 지지하는 접점 캐리어(18)이 수용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12)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2)에는 접점(14)의 일단에 다수의 와이어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캡(160이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2)은 규격의 접점개구(22)가 내부에 형성된 전방 패널(20)을 포함한다. 상기 규격 접점 개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례로 IEC 603-7 및 FCC CFR 47, part 68, subpart F에 명시된 바와 같은 8-위치 또는 6-위치 아우틀렛 개구이다. 패널(20)으로부터 후방으로는 한 쌍의 측패널(24),(26)들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패널924),(26)들은 각각 장착 구멍(28),(30)을 가지고 있다. 패널(20)로부터는 또한 후방으로 상측 패널(32)이 연장되어 있다. 상측 패널(32)에는 서로 협력하는 한 쌍의 직립부(34),(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직립부(34),(36)들은 각기 단부에 보유 돌기(38),(40)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콘 또는 인서트(43)(도8A, 8B)(후술함)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42)을 형성하고 있다. 상측 패널(32)에는 또한 경사직립부(46)와 경사면(48)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사직립부(46)와 경사면(8)은 패널 수용 슬롯(44)을 형성하고 있다. 상측 패널(32)의 반대쪽에서는 패널(20)으로부터 하측 패널(52)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이 패널(52)의 전방단부는 상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패널(52)의 후방 단부로 부터는 탄성 패널(54)이 패널(52)의 외형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패널(54)의 전방 단부에는 패널 수용 슬롯(5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슬롯(56)의 각 측부에는 경사면(58),(60)이 형성되어, 판 또는 패널로의 모듈러 아우틀렛(10)의 삽입 또는 그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준다.
접점 캐리어(18)는 규격 모듈러 아우틀렛에 맞는 대체로 L형의 전방 부재(62)를 포함하는데, 이 전방 부재(62)의 내부에는 접점(1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64)들을 가지고 있다. 슬롯(64)들은 전방 부재(62)의 하측다리부(68)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호형 요부(66)내에 그리고 전방 부재(62)의 상측 다리부(72)의 전방면에 형성된 채널(70)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측 다리부(72)의 후방면에는 제 2 채널(74)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다리부(68)의 전방 단부는 접점 캐리어(18)가 커넥터 하우징(12)내에 삽입될 때 패널(52)의 만곡된 전방단부와 협력할 수 있게 경사져 있다. 커넥터 하우징(12)의 내부에 접점 캐리어(18)를 보유시킬 수 있도록 아암(76),(78)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아암(76),(78)들은 커넥터 하우징(12)내에 접점 캐리어(18)가 후방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경사면(80)과, 보유 연부(82)를 각각 가지고 있다. 보유 연부(82)들은 측패널(24),(26)의 구멍(28)들 내에 결합, 수용된다. 다리부(72)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는 단자 블록부(84)가 연장되어 있는데, 이 단자 블록부(84)의 하부에는 접점(1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86)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블록부(84)의 하부 자체는 접점의 위치 선정을 위해 서로 다른 세 개의 높이에 형성된 세 개의 별개의 면들을 가지고 있다. 이면들은 도6B에 부호(85a),(85b),(85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면들의 각각은 요구되는 접점의 위치 선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면들은 캐리어 자체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면의 각각에 위치된 개개의 접점들에 대해 기계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점은 슬롯(64)도 또한 도6B에 도시된 면들에 대응하도록 각기 다른 세 개의 높이에 형성된 면(85a),(86b),(86c)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슬롯(86)들은 블록부(84)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88)와 연결되고, 이 개구(88)에는 그에 대응하는 접점(14)들이 통과하게 된다. 블록부(84)의 각 측부(94),)(96)에는 보유 돌기(92)를 갖는 경사면(9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부(84)와 하측 다리부(68)의 하방 연장부(100)사이에는 요부(9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부(98)에는 접점 캐리어(18)에 설치되는 접점(14)들의 부분들이 수용된다.
도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14)들은 커넥터 하우징(12)내에 접점 캐리어(18)를 삽입하기에 앞서 설치되어야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점(14)들은 8개의 접점(102),(104),(106),(108),(110),(112),(114),(116)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102)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26)에 접속된 판(122),(124)에 선(120)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18)(즉, T568A에 따른 핀6,R2)을 포함한다. 접점(104)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34)에 접속된 판(132)에 선(130)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28)(즉, T568A에 따른 핀8,R4)을 포함한다. 접점(106)은 선(138)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40)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36)(즉, T568A에 따른 핀7,T4)을 포함한다. 접점(108)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48)에 접속된 판(146)에 선(144)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42)(즉, T568A에 따른 핀5,T1)를 포함한다. 접점(110)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56)에 접속된 판(154)에 선(152)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50)(즉, T568A에 따른 핀4,R1)을 포함한다. 접점(112)은 선(160)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62)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58)(즉, T568A에 따른 핀2,R3)을 포함한다. 접점(114)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70)에 접속된 판(168)에 선(166)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64)(즉, T568A에 따른 핀1,T3)를 포함한다. 접점(116)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80)에 접속된 판(176),(178)에 선(174)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72)(즉, T568A에 따른 핀3,T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접점들은 초음파 용접, 스웨이징, 스태킹, 접착제 등등의 종래 수단에 의해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접점(102)의 판(122)이 접점(104)의 판(132)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102)의 판(124)은 접점(110)의 판(154)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182)(일례로, Mylar™ 또는 Kapton™)가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접점(102)(즉, T568A에 따른 핀6,R2)와 접점(104)(즉, T568A에 따른 핀8,R4)의 사이 및 접점(102)(즉, T568A에 따른 핀6,R2) 및 접점(110)(즉, T568A에 따른 핀4,R1)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또한, 접점(116)의 판(176)은 접점(108)의 판(146)의 아래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116)의 판(178)은 접점(114)의 판(168)의 아래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184)(일례로, Mylar™ 또는 Kapton™)가 위치된다. 따라서, 접점(116)(즉, T568A에 따른 핀3,T2)과 접점(108)(즉, T568A에 따른 핀5,T1)사이 및 접점(116)(즉, T568A에 따른 핀3,T2) 및 접점(114)(즉, T568A에 따른 핀1,T3)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판(122(,(124),(132),(146),(154),(168), (176),(178)들이 전류를 이송한다는 점이다. 특히, 절연체 이동 단자로부터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로의 또는 그 역으로의 상기 접점들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용량성 결합을 형성하는 상기 판들을 통해 이루어져야만 한다.
선택된 접점들 사이에서 조절된 양의 용량성 결합을 이루게 하는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으로, 소정의 아우틀렛 배선 방법들에 의해 야기되는 페어들 및 와이어 커넥터들간의 반응성 불균형이 상기판들 및 유전 판들에 의해 보상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듈러 아우틀렛은 종래 기술의 수동형 판들의 공명 누화의 문제점을 발생시킴이 없이 상술한 카테고리 5의 요건들에 부합 또는 그 요건들을 능가할 수 있게 된다. 카테고리 5의 이점들은 잘 알려진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트위스트 페어의 대역폭 제한 때문에 과거에는 차폐된 동축 또는 섬유 광케이블이 사용된 부분에 비차폐된 트위스트 페어와이어를 사용하여 상당한 비용 절감을 이룬다는 것이다.
도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102)은 단자(126)가 슬롯(64f)내에 위치되고, 선(120)이 슬롯(86f)내에 위치되고, 단자(118)가 개구(88f)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04)은 단자(134)가 슬롯(64h)내에 위치되고, 선(130)이 슬롯(86g)내에 위치되고, 단자(128)가 개구(88g)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06)은 단자(140)가 슬롯(64g)내에 위치되고, 선(138)이 슬롯(86h)내에 위치되고, 단자(136)가 개구(88h)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08)은 단자(148)가 슬롯(64e)내에 위치되고, 선(144)이 슬롯(86e)내에 위치되고, 단자(142)가 개구(88e)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10)은 단자(156)가 슬롯(64d)내에 위치되고, 선(152)이 슬롯(86d)내에 위치되고, 단자(150)가 개구(88d)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12)은 단자(162)가 슬롯(64d)내에 위치되고, 선(160)이 슬롯(86a)내에 위치되고, 단자(158)가 개구(88a)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14)은 단자(170)가 슬롯(64a)내에 위치되고, 선(166)이 슬롯(86b)내에 위치되고, 단자(164)가 개구(88b)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접점(116)은 단자(180)가 슬롯(64c)내에 위치되고, 선(174)이 슬롯(86c)내에 위치되고, 단자(180)가 개구(88c)를 통해 삽입되는 형태로 접점 캐리어(18)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비록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들이 규격 구성, 일례로 T568A에 따라 위치되지만, 절연체 이동 단자들은 배선 접속을 개선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순차 단자(164),(158)는 T3, R3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42),(150)는 T1, R1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72),(118)는 T2, R2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36),(128)은 T4, R4에 각기 대응한다. 규격 T568A 단자들의 경우, 와이어페어T2,R2는 순차 형태로 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할되어 있고, 이에 따라 최소한 이러한 페어는 끝부분에서 부분적으로 트위스트가 풀어져 있어야만 한다. 고대역폭 적용의 경우, 일례로 카테고리 5 또는 이머징(emerging) ATM 규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트위스트 와이어 구성의 완전무결함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컨덕터의 트위스트 풀림을 최소화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단자 구상에 따르면 접속시 페어의 분할을 배제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있다.
도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캡(16)은 다수의 치(tooth)(186)들에 의해 형성되는 일렬의 와이어 보유 슬롯(188)들을 갖는 단자 블록부(182)를 포함한다. 치(186)들은 절연체에 의해 와이어를 파지하는 내부플랜지(188)를 포함하며, 이 내부플랜지(188)는 와이어의 진입을 도모하도록 테이퍼단부(190)를 가지고 있다. 단자 블록부(182)의 전방단부로 부터는 T형 블록(192)이 연장되어 있고, 단자 블록부(182)의 반대측 후방단부로 부터는 재킷(jacket)보유 블록(194)이 연장되어 있다. 블록(194)은 접속될 케이블의 재킷을 수용하기 위한 호형 요부(196)와, 그를 통해 형성된 구멍(198),(200)을 포함한다. 접속되는 케이블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주위에서 구멍들중 하나를 통해 그리고 다른 구멍을 통해 케이블 타이(tie)(도시 안됨)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블 타이를 결합시킴으로써 단자 블록부(182)에 고정되게 된다. 일례로, T568A 기준 및 본 발명의 개선된 단자 구성에 따르면, 슬롯(184a)에는 와이어 T3이 삽입되고, 슬롯(184b)에는 와이어 R3이 삽입되고, 슬롯(184d)에는 와이어 R1이 삽입되고, 슬롯(184e)에는 와이어 T1이 삽입되고, 슬롯(184c)에는 와이어 T2가 삽입되고, 슬롯(184f)에는 와이어 R2가 삽입되고, 슬롯(184g)에는 와이어 T4가 삽입되고, 슬롯(184h)에는 와이어 R4가 삽입된다.
일단 단자캡의 슬롯에 와이어들이 삽입되고 그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슬롯을 지나 연장되는 와이어 부분들은 절단되게 되고, 따라서 와이어들의 끝부분은 대응하는 절연체 이동 단자들 상에 위치하게 된다. 블록(1920들을 접점 캐리어(18)의 채널(74)내로 삽입하고, 이에 따라 단자캡을 접점 캐리어 상에 일렬로 정렬시키고, 절연체 이동 단자들이 절연체를 와이어들상으로 이동시켜 도전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 하방으로 밀음으로써, 와이어들의 단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집단 단자 접속). 단자캡(16)은 보유면(200)들 및 그에 대응하는 경사면(202)들에 의해 접점 캐리어(18)상에 보유되는데, 이때 보유면(200)들은 접점 캐리어(18)의 표면(90),(92)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들의 상면들 상에서 커넥터 하우징(12)의 구멍(30)들 내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각 구멍(30)은 보유 돌기(92)에 의해 접점 캐리어(18)와 그리고 보유면(200)들에 의해 단자캡(16)을 보유 또는 결합시키도록 작용한다.
도8A 내지 8D에는 인서트(43)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인서트(43)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표면(344),(346)와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측부(348),(350)을 포함한다. 표면(344),(346)의 가장자리는 깎여져 있다. 인서트(43)는 커넥터 하우징(12)의 슬롯(42)내에 삽입되어, 마찰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인서트(43)는 그의 표면(344),(346)에 표시들을 형성하거나 색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표면(344)에는 컴퓨터 터미널(345)이 표시되어 있으며(도8A), 표면(346)에는 전화기(347)가 표시되어 있다(도8B). 모듈러 아우틀렛의 특정 적용에 따라 이러한 표면들 상에는 임의의 표시 심벌 또는 용어를 일체로 형성 또는 각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9에는 두 개의 모듈러 아우틀렛(10),(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벽판(356)의 대응 개구(352),(354)들에 설치되어 있다. 각 모듈러 아우틀렛의 슬롯(44),(58)들은 개구에서 벽판의 대응 연부들을 수용하고 있다.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그로의 중력 이송을 제공한다. 이 중력 이송이 이점은 잘 알려진 것으로 일례로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이용되는 Siemon 등등의 미국 특허 제 5,362,254 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10A 내지 10C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있어서, 접점(14')들은 접점(102'),(104'),(106'),(108'),(110'),(112'), (114'),(116')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102')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26')에 접속된 판(122'),(124')에 선(120')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18')(즉, T568A에 따른 핀6,R2)을 포함한다. 접점(104')은 모듈러 아우틀렛단자(134')에 접속된 판(132')에 선(130')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28')(즉, T568A에 따른 핀8,R4)을 포함한다. 접점(106')은 선(138')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단자(140')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36')(즉, T568A에 따른 핀7,T4)을 포함한다. 접점(108')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48')에 접속된 판(146')에 선(144')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42')(즉, T568A에 따른 핀5,T1)를 포함한다. 접점(110')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56')에 접속된 판(154')에 선(152')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50')(즉, T568A에 따른 핀4,R1)을 포함한다. 접점(112')은 선(160')에 의해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62')에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58')(즉, T568A에 따른 핀2,R3)을 포함한다. 접점(114')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70')에 접속된 판(168')에 선(166')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64')(즉, T568A에 따른 핀1,T3)를 포함한다. 접점(116')은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180')에 접속된 판(176'),(178')에 선(174')에 의해 접속된 절연체 이동 단자(172')(즉, T568A에 따른 핀3,T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접점(102')의 판(122')이 접점(104')의 판(132')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102')의 판(124')은 접점(110')의 판(154')의 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일례로, Mylar™ 또는 Kapton™)이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접점(102')(즉, T568A에 따른 핀6,R2)와 접점(104')(즉, T568A에 따른 핀8,R4)의 사이 및 접점(102')(즉, T568A에 따른 핀6,R2) 및 접점(110')(즉, T568A에 따른 핀4,R1)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또한, 접점(116')의 판(176')은 접점(108')의 판(146')의 아래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접점(116')의 판(178')은 접점(114')의 판(168')의 아래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 대향 접점들 사이에는 유전판(일례로, Mylar™ 또는 Kapton™)이 위치된다. 따라서, 접점(116')(즉, T568A에 따른 핀3,T2)와 접점(108')(즉, T568A에 따른 핀5,T1)사이 및 접점(116')(즉, T568A에 따른 핀3,T2) 및 접점(114')(즉, T568A에 따른 핀1,T3)사이에 용량성 결합이 유도 또는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비록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들이 규격 구성, 일례로 T568A에 따라 위치되지만, 절연체 이동 단자들은 배선 접속을 개선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순차 단자(158'),(164')은 R3, T3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50'),(142')은 R1, T1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18'), (172')은 R2, T2에 각기 대응하고, 순차 단자(128'),(136')은 R4, T4에 각기 대응한다. 규격 T568A 단자들의 경우, 와이어페어T2,R2는 순차 형태로 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할되어 있고, 이에 따라 최소한 이러한 페어는 끝부분에서 부분적으로 트위스트가 풀어져 있어야만 한다. 고대역폭 적용의 경우, 일례로 카테고리 5 또는 이머징 ATM 규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트위스트 와이어 구성의 완전무결함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컨덕터의 트위스트 풀림을 최소화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단자 구성에 따르면 단자 접속시 페어의 분할을 배제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완화시키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T-R페어들이 함께 유지될 뿐만 아니라, 입력단에서 4개의 모든 페어들에 대해 교번적인 T-R 순서가 일관되게 유지된다. 입력 순서는 R3 T3 R1 T1 R2 T2 R4 T4로 되는데, 이에 따르면 T1, T2 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 와이어들은 모두 흰색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만일 서로 인접하게 될 경우에는 설치시 혼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것은 이점인 것이 분명하다.
도11A 내지 15B에는 본 발명의 모듈러 잭(410)의 전자 소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412)은 다수의 접점(414)을 지지하는 접점 캐리어(41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418)에는 단자캡(416)이 결합되어, 접점(414)들의 일단에 다수의 와이어들을 단자 접속, 보호,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412)은 규격의 모듈러 잭 개구(422)가 내부에 형성된 전방 패널(420)을 포함한다. 패널(420)로부터 후방으로는 한 쌍의 측패널(424),(426)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데, 이 패널(424),(426)들은 각각 장착 구멍(428),(430)을 가지고 있다. 패널(420)로부터는 또한 후방으로 상측 패널(432)이 연장되어 패널(424),(426)의 상측 연부들을 연결시킨다. 패널(432)은 경사 부재(434a),(434b)를 포함하는데, 이 경사 부재들은 패널(432)의 두께를 증가시키며 단부에 한 쌍의 돌출부(436)들이 형성되어 있다. 부재(434)와 돌출부(436)들은 함께 아이콘 또는 인서트(43)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442)을 형성한다(이 아이콘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 관련된 도8A, 8B에 예시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슬롯(442)의 후방에는 패널 수용 슬롯(444)이 위치되어 있는데, 이 슬롯(444)은 단부재(434b)의 후방부, 깎임부(446)(후술할 캡(416)상에 형성된)에 의해 그리고 측패널(424),(426)들로부터 패널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우징(412)은 또한 상측 패널(432)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패널(42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패널(452)을 포함하는데, 이 패널(452)의 전방단부는 상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패널(452)의 후방단부로 부터는 탄성 패널(454)이 패널(452)의 외형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패널(454)의 전방 단부에는 패널 수용 슬롯(45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슬롯(456)은 벽패널, 판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대표적인 판이 도9에 도시됨)와 결합되게 되어 있다. 부재(454)의 전방 연부로부터 상방으로는 너브(nub)(455)가 도어(870)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또한, 부재(454)로부터 상방으로는 리브(rib)(453)이 형성되며, 이 리브(453)는 도어와 결합되어 도어를 지지한다.
도13A, 13B, 14A,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캐리어(418)는 규격 모듈러 아우틀렛에 맞는 대체로 L형의 전방 부재(462)를 포함하는데, 이 전방 부재(462)의 내부에는 접점(41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464)들을 가지고 있다. 슬롯(464)들은 전방 부재(462)의 하측 다리부(468)의 전방 단부에 그리고 전방 부재(462)의 상측 다리부(472)의 전방면에 형성된 부분 채널(470)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측 다리부(472)의 후방면에는 제 2 채널(474)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474)은 상측 연부상에 깎인 연부(471)를 가지고 있는 박스형 연장부(469)들에 의해 형성되며, 이 연장부(469)들은 또한 하우징과 캐리어(418)의 조립시 하우징(412)내의 패널 수용 슬롯(444)과 동일 공간상에 위치하는 홈(473)들을 포함한다. 하측 다리부(468)의 전방 단부는 접점 캐리어(418)가 커넥터 하우징(412)내에 삽입될 때 패널(452)의 만곡된 전방 단부와 협력할 수 있게 경사져 있다. 커넥터 하우징(412)의 내부에 접점 캐리어(418)를 보유시킬 수 있도록 아암(476),(478)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아암(476),(478)들은 커넥터 하우징(412)내에 접점 캐리어(418)가 후방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경사면(480)과, 보유 연부(482)를 각각 가지고 있다. 보유 연부(482)들은 측패널(424),(426)의 구멍(428)들 내에 결합, 수용된다. 다리부(472)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는 단자 블록부(484)가 연장되어 있는데, 이 단자 블록부(484)의 하부에는 접점(414)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롯(486)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블록부(484)의 하부 자체는 접점의 위치 선정을 위해 서로 다른 세 개의 높이에 형성된 세 개의 별개의 면들을 가지고 있다. 이면들은 도14B, 14C에 부호(485a),(485b),(485c)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면들의 각각은 요구되는 접점의 위치 선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 면들은 캐리어 자체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면의 각각에 위치된 개개의 접점들에 대해 기계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점은 슬롯(464)도 또한 도14C에 도시된 면들에 대응하도록 각기 다른 세 개의 높이에 형성된 면(485a),(486b),(486c)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슬롯(486)들은 블록부(484)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488)와 연결되고, 이 개구(488)에는 그에 대응하는 접점(414)들이 통과하게 된다. 블록부(484)의 각 측부(494),(496)에는 보유 돌기(492)를 갖는 경사면(49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부(484)와 하측 다리부(468)의 하방 연장부(500)사이에는 요부(49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부(498)에는 접점 캐리어(418)에 설치되는 접점(414)들의 부분들이 수용된다.
블록(484)의 후방으로는 케이블 트랩(cable trap)(700)이 연장되는데, 이 트랩(700)은 측벽(702)들을 포함한다. 또한, 측벽(702)들은 후술할 단자 캡을 보유 지지하도록 절단 연부(704)를 가지고 있다. 측벽(702)들 사이에 위치하는 트랩(700)의 몸체(706)는 그의 후방부 쪽으로 향해 있는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돌기(708)들을 포함한다. 이 돌기들은 단자 캡상의 탭들과 결합되어 그 탭들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이 당겨질 시 탭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또한, 돌기(710)들에 의해 와이어에 대한 보유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 돌기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의 두 페어들에 대해서만 가벼운 보유 지지 또는 스트레인 경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벼운 스트레인 경감은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부재들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은 본 실시예의 단자캡(416)의 여러 특징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708)들은 캡(416)의 탭(712)들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탭(712)들이 트위스트 페어들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친 취급시 파손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파손의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돌기(708)들은 캡(416)이 캐리어(418)에 결합될 시 상기 탭(712)들을 지지해 준다. 탭(712)자체는 캡(416)의 하면(71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벽(714)들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하면(716)의 불연속 부분들은 래치(718), 지지탭(728) 및 중앙벽(730)과 함께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732)을 형성한다. 4개의 홈(732)들의 각각은 대응하는 트위스트 페이들을 치(568)들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보유 슬롯(584)까지 통과할 수 있게 해주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치(56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쪽이 폭이 좁게 되어 있고 몸체 쪽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폭이 넓어지게 되어 있는 보유 헤드(58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각의 꼬여지지 않은 와이어에 대해 컨덕터 자체보다 넓으나 절연체의 외측 치수보다는 좁은 통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보유 효과가 제공된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각 슬롯(584)내로의 와이어의 진입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각 트위스트 페어들은 홈(732)으로부터 경사면(733)을 따라 제 2 하면(734)까지 상방으로 경사 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 2 하면(734)은 분리 돌기(736)들을 지지하며, 또한 개개의 와이어들상에 압착된 상태의 IDC들을 수용하기 위한 IDC 수용부(738)를 제공한다. 개개의 와이어들은 돌기(736)너머로 연장되기 전까지는 꼬임이 풀려 있지 않으며, 따라서 꼬이지 않은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돌기(736)들은 4개로 되어 있으며, 각 트위스트 페어당 4개의 통로들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한다. 와이어들이 꼬임이 풀린 상태에서 대응하는 슬롯들 내에 결속되면, 결과적으로 이 와이어들은 IDC 수용부(738)위에 위치하고, 이 IDC 수용부는 와이어들을 접점 캐리어(418)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요구되는 IDC들 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접점들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며,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이점이 집단 단자 접속이 와이어들의 단자 접속시키는데 필요한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도까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의 감소는 IDC들의 엇갈린 높이에 의해 이루어진다. 높이를 엇갈리게 하면 단자캡(416)을 잭(410)에 결합되게 지지하는 중에 몇 개의 와이어를 동시에 단자 접속시킬 있다.
일단 와이어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캡의 슬롯들내로 삽입되면, 슬롯을 지나 연장되는 와이어 부분들은 절단되게 되고, 따라서 와이어들의 끝부분은 대응하는 절연체 이동 단자들 상에 단자 접속된다. 블록(592)을 접점 캐리어(418)의 채널(474)내로 삽입하고, 이에 따라 단자캡(416)을 접점 캐리어(418)상에 일렬로 정렬시키고, 절연체 이동 단자들이 절연체를 와이어들상으로 이동시켜 도전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까지 하방으로 밀음으로써, 와이어들의 단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즉, 집단 단자 접속). 단자캡(416)은 래치립(lip)(740)들에 의해 접점 캐리어(418)상에 보유되는데, 상기 래치립의 래치들은 필요하다면 추후에 종래의 수단에 의해 제거시킬 수 있다.
인서트에 대한 장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18에는 6개의 모듈러 아우틀렛(10a) 내지 (10f)가 벽판(357)의 대응 개구(353),(355)들 내에 설치된(측방향 적층방식)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 모듈러 아우틀렛의 슬롯(444),(458)는 상기 개구에서 상기 벽판의 대응 연부를 수용한다. 본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 아우틀렛들은 그로의 중력 이송을 제공한다. 이 중력 이송이 이점은 잘 알려진 것으로 일례로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이용되는 Siemon 등등의 미국 특허 제 5,362,254 호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본 발명의 잭들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판의 전, 후방 모두에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비록 모듈러 아우틀렛 단자들이 규격 구성, 일례로 T568A에 따라 위치되지만, 절연체 이동 단자들은 배선 접속을 개선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아우틀렛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은 또한 모듈러 플러그 개구용의 탄성 도어로서, 도16A에는 적소에 도어(870)가 설치된 조립체 전체를 도시되어 있으며, 도16B에는 보다 면밀한 살핌을 위해 도어가 제거되어 있다.
도17A 내지 17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870)는 일측 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당김 탭(tab)(874)와,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개구 플러그(876)를 갖는 판(87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탭의 반대측에서 상기 판상에는 힌지 결합 부재(878)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 힌지 결합 부재(878)는 하우징(418)의 하측 패널과 탄성 부재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 부재(878)는 그 부재(878)를 측방향으로 가로질러 판(872)에 바로 인접하여 연장되는 폭이 좁은 밴드(880)를 포함한다. 밴드(880)는 도어(870)의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도록 작용한다. 부재(878)는 또한 밴드(880)에 연결된 쐐기(882)를 포함하는데, 이 쐐기(882)는 하측 패널(452)과 탄성 부재(454)사이에 형성된 지역과 연통하고 있다. 부재(454)상에 리브(453)를 결합시키기 위해 홈(8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재(878)를 삽입시 너브(455)와 일렬로 정렬시키기 위해 채널(883)이 제공되어 있다. 도어(870)는 변형 가능한 물질, 바람직하게는 네오프렌 물질로 구성된다. 도어는 아우틀렛이 벽판 내에 삽입된 후에만 하우징내로 삽입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어의 저항 때문에 탄성 부재(454)가 아우틀렛을 판 내로 삽입시킬 수 있게 충분히 변형할 수 없게 된다.
도19에는 실드(shield)(760)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접점 캐리어(418)로부터 발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드는 필요하다면 요구되는 연결부에 결합시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모든 잭들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이 실드는 도시하지 않은 진입 케이블 실드와 배출 케이블 실드용의 단일 연속 저 임피던스 접속을 제공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임피던스 경로는 다중 접속의 전류 이송 단점을 배제시키며, 따라서 고 임피던스 통로이다.
본 발명의 실드는 프레임(764)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핑거(finger)(762)를 포함하는데, 이 핑거들은 본 발명의 잭에 삽입될 플러그 상의 실드 접점들에 대한 접점 포인트이다. 견고한 접속을 이루게 하기 위해, 핑거의 단부(766)들은 후속 접속을 타이트하게 하도록 작용하는, 내측으로 돌출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764)은 도시되지 않은 접지 하우징에 임의로 접속되는 접지 탭(768)을 포함한다. 탭(768)은 도시되지 않은 규격 암 단자에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접지가 필요하면, 프레임(764)의 상측 연부로부터 경사 단부(772)를 갖는 직립부(770)를 연장시켜 접지 면판상에 접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단부(772)들은 잭이 캐리어(418)내에 삽입될 시 캐리어(418)상의 노치(473)에 안착되어 면판과 접촉한다.
프레임(764)의 후방 연부는 단부판(776)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부재(774)를 지지한다. 결합시 부재들(774)사이에 접점 캐리어(418)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각 부재는 두 개의 절곡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 절곡 지역(778)에서의 부재(774)들간의 간격은 넓게 되어 있으며, 후방 절곡 지역(780)에서의 간격은 프레임(764)과 대체로 동일한 칫수로 좁게 되어 있다. 판(776)은 진입 케이블 실드에 대한 접촉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도20에는 실드가 위치된 상태의 본 발명의 부분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해 상태에서는 노치(473)내에 단부(772)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면을 면밀히 살펴보면 캐리어(418)에 대한 실드(760)의 결합 상태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1 및 도22에는 아우틀렛 전체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23 내지 도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아우틀렛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직선형 아우틀렛(810)은 상술한 실시예의 접점 캐리어(418)와 단자캡(416)을 사용하나, 상술한 것들과는 다소 구조가 다른 하우징(812)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812)은 상술한 하우징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하우징(812)은 내부에 규격 모듈러 잭 개구(822)를 갖는 전방 패널(820)과, 구멍(828),(83)을 형성하고 있는 두 개의 측 패널(824),(826)를 포함하고 있다. 상측 패널(832) 및 하측 패널(852)은 전술한 실시예의 패널(412)과 구조 및 배향이 다르게 되어 있다. 도해를 명료히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모든 부품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나, 아우틀렛(810)은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반전시킨 상태로 사용한다는 것을 인지해야만 한다.
상측 패널(832)은 서로 쪽으로 경사진 경사 정지부(834A),(834B)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정지부는 패널 수용 슬롯(844)을 형성하는 대향 정지면을 가지고 있다. 슬롯(844)은 아우틀렛(810)이 중력 이송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패널(420)에 대한 슬롯(444)의 간격보다 훨씬 좁은 간격을 두고 전방 패널(820)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하측 패널(852)은 패널(452)과 유사하게 상측으로 만곡되어 전방 패널(820)과 만나게 되어 있으나, 패널(852),(820)간의 계면에 인접하여 아이콘홈(85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이콘홈은 하측 패널(852)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부재(854)상에 위치된 아이콘홈(851B)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454)와 마찬가지로, 부재(854)는 패널 수용 슬롯(856)을 가지고 잇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패널 수용 슬롯(844),(856)들이 패널과 결합되면, 아이콘홈(851A),(851B)로의 아이콘(43)의 진입에 따라 부재(854)의 휨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아우틀렛이 패널내에 로킹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는 아이콘을 제거하지 않고는 아우틀렛을 분리시킬 수 없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점은 차폐가 되어 있거나 아니되어 있거나의 여부에 따라 각 실시예에서는 산업 규격 크기의 다수의 아우틀렛들을 단일의 개구에 측방향으로 적층가능케 하는 것이 필요한지 안 필요한 지의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공간 효율이 제공되며, 그 결과 다중 아우틀렛의 벽 장착의 미적 효과가 증대되고 소정의 경우에 요구되는 높은 아우틀렛 밀도의 요건이 만족되게 된다. 벽판 개구는 요구되는 개수의 아우틀렛들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 모두는 전, 후방향 모두로부터 벽판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접속 옵션이 증대되며, 판의 후방으로부터의 접속에 관련된 공통적인 단점을 배제시키며, 단지 벽에 고착되어야 할 판을 위한 접합 박스 내로 모든 케이블이 "채워지게" 되어야 한다는 요건만이 있을 뿐이다.
도26 내지 도2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이 부호(900)로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듈러 아우틀렛(9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 및 도어의 추가를 제외하고는 도11A, 11B의 모듈러 아우틀렛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29 및 도30에는 커넥터 하우징(91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커넥터 하우징(912)은 규격의 모듈러 잭 개구(922)가 내부에 형성된 전방 패널(920)을 포함한다. 개구(922)에서 하우징(912)상에는 후술할 도어(914)가 장착되어 있다. 패널(920)로부터 후방으로는 한 쌍의 측패널(924),(926)들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패널(924),(926)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 캐리어의 보유를 위해 각각 장착 구멍(928),(930)을 가지고 있다. 패널(920)로부터는 또한 후방으로 상측 패널(932)이 연장되어 패널(924),(926)의 상측 연부들을 연결시킨다. 하우징(912)은 또한 상측 패널(932)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패널(92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패널(952)을 포함하는데, 이 패널(952)의 후방 단부로 부터는 탄성 패널(954)이 패널(952)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모듈러 잭(900)의 설치시 벽 패널, 판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대표적인 판이 도9에 도시됨)와 결합되게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912)은 또한 패널(924),(926),(952)에 의해 코너들에 형성된 홈(976),(978)을 포함한다. 각 홈(976),(978)들은 개구(980)를 가지고 있으며, 경사 하면(982)과 직립면(984)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경사 하면과 직립면 사이에는 호형면(988)이 형성되어 있다.
도31, 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914)는 제 1 단부(992)와, 제 2 단부(994)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996)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단부(99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대향 단부(998),(1100)과, 대향 측부(1102),(1104), 그리고 대향 측부(1106),(1108)을 가지고 있다. 단부(1100)와 측부(1106)로 부터는 탭(1110)(도어(914)의 개방 및 폐쇄시 사용)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단부(1100)는 부분적으로 측부(1108)너머까지 연장되어, 보유 연부(1112)를 형성하는 돌기를 제공한다. 제 2 단부(994)는 대향 측부(1114),(1116)와, 대향 단부(1118),(1120)과, 대향 측부(1122),(1124)를 가지는 직사각형 부재로 구성된다. 측부(1124)로부터는 한 쌍의 아암(1126),(1128)이 그로부터 멀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데, 각 아암은 대응하는 원통형 부재(1130),(1132)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부재(1130),(1132)의 내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반원형 돌기(1134)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재(1130),(1132)에 인접하여서는 돌기(11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는 각 아암(1126),(1128)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측부(1116)는 부분적으로 측부(1122)너머까지 연장되어 보유 연부(1138)를 형성하는 돌기를 제공한다.
중간부(996)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대향 단부(1140),(1142)과, 대향 측부(1144),(1146), 그리고 대향 측부(1148),(1150)을 가지고 있다. 단부(1142)와 측부(1146)로부터 하방으로는 저항 아암(1152),(1154)가 연장되어 있는데, 각 아암(1152),(1154)는 보유 연부(1158)를 형성하는 경사면(1156)까지 연장되어 있다. 단부(1142)의 대향 측부는 제 1 단부(992)의 대응 단부(998)와 제 2 단부(994)의 측부(1114)에 연결된다.
제 1 단부(992)의 측부(1108)와 연부(1112), 중간부(996)의 표면(1142), 그리고 측부(1122), 연부(1138)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에는 도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또는 인서트(1160)가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돌기(1134)와 도어(914)는 커넥터 하우징(912)의 개구 또는 요부(980)내에 수용되며, 부재(1130),(1132)은 홈(976),(978)에 수용되어, 하우징(912)상에 도어(914)를 보유시켜 준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돌기(990)의 측부상에서의 돌기(1136)의 위치에 따라 도어(914)의 돌기(1136)가 홈(커넥터 하우징(12)의)의 표면(988)에 지지되고, 표면(988)상의 돌기(990)는 도어(914)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 유지되게 해준다. 도어(914)가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돌기(1136)들은 돌기(990)위에 걸치게 된다. 또한, 폐쇄 위치에서는 아암(1152),(1154)의 연부(1158)들이 패널(920)의 내면과 결합하고, 이에 따라 특정 포트가 사용 중에 있지 않으면 도어(914)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켜 준다.
도33 및 도3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아우틀렛이 부호(1200)로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듈러 아우틀렛(1200)은 아이콘 대신에 도어 홀더(1202)가 삽입되어 이 도어 홀더(1202)상에 도어(1204)가 지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4의 모듈러 아우틀렛(8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어(1202)(도35, 도36)는 본 실시예의 경우 반원형으로 된 돌기(1136')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31, 도32의 도어(91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어(1202)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아이콘이 삽입된다.
도37 내지 도40에는 도어 홀더(120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어 홀더(1202)는 양단부에 V형 홈(1206)이 형성되어 있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베이스(1204)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1204)의 일측부로 부터는 상승부(1208)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상승부(1208)의 길이 방향 측부(1210)들은 베이스(1204)와 만나도록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승부(1208)의 대향 단부에는 각 홈(1206)의 꼭지점에 인접하여 요부 또는 개구(1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1208)의 4개의 코너에는 각각 코너홈(1214),(1216),(1218),(1220)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1222),(12240들은 아이콘홈(851a),(851b)(도25)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도어 홀더(1202)는 도25의 실시예에서 아이콘이 보유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유되게 된다.
도어 홀더(1202)의 개구 또는 요부(1212)내에는 도어(1202)의 돌기(1134)가 수용되며, 홈(1206)에는 부재(1130),(1132)이 수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도어(1202)의 돌기(1136')들이 상승부(1208)에 지지된다는 것이다. 도어(1202)의 돌기(1136')들은 홈(1216),(1218)내에 수용될 때 도어(1202)를 제 1 위치(일례로,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고, 홈(1214),(1220)내에 수용될 때는 도어(1202)를 제 2 위치(일례로, 폐쇄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어(1202)가 상기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돌기(1136')은 상승부(1208)의 단부면(1226),(1228)위에 걸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대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6)
- 전송 라인에 대한 전기적인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다수의 입력 단자와;상기 입력 단자에 전기 접속된 다수의 출력 단자와;최소한 제 1 및 제 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의 제 1 쌍을 서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판은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의 제 2 쌍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제 2 판 위에 그 제 2 판과의 전기 접촉 없이 위치하여 상기 전송 라인들 사이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판들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 물질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는 절연체 이동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커넥터 하우징과;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접점 캐리어와;상기 접점 캐리어 상에 위치하고 각기 서로 전기 접속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들과;최소한 제 1 및 제 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1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2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제 2 판 위에 그 제 2 판과의 전기 접촉 없이 위치하여 상기 접점들 사이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물질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는 절연체 이동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패널에 상기 전기 커넥터를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들중 하나가 연장되어 있는 탄성 패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슬롯들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패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장착시킬 수 있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어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단자들은 규격 배선 구성에 따라 접속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입력 단자들 전체는 교번하는 팁, 링 순서로 쌍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캐리어에 장착되어 와이어들을 상기 입력 단자들에 집단 단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 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캡은내부에 슬롯을 갖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입력 단자들을 수용하고, 사이사이에 와이어 보유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은 다수의 리드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커넥터 하우징과;상기 커넥터 하우징내에 위치하고, 각기 서로 전기 접속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들은 규격 배선 구성에 따라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단자들 전체는 교번하는 팁, 링 순서로 쌍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접점들이 위치하게 되어 있는 접점 캐리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는 절연체 이동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패널에 상기 전기 커넥터를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들중 하나가 연장되어 있는 탄성 패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슬롯들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패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장착시킬 수 있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어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캐리어에 장착되어 와이어들을 상기 입력 단자들에 집단 단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 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캡은내부에 슬롯을 갖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입력 단자들을 수용하고, 사이사이에 와이어 보유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은 다수의 리드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치들은 상기 슬롯들의 칫수를 제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칫수는 컨덕터보다는 크고, 상기 컨덕터 상의 절연체의 외경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패널내에 경사 중력 이송 배향 상태로 장착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a) 전방 패널을 가지고 있고, 그 전방 패널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향되는 평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롯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b) 세트로 된 입력들 및 세트로 된 출력들의 각각에 대한 장착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 가능한 접점 캐리어와;c) 와이어 분리, 배향, 보유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캐리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입력과 와이어세트간의 전기 접속을 이루게 하는 단자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30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상기 커넥터 조립체가 단일의 수평 면판 개구내에 측방으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차폐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커넥터 하우징과;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접점 캐리어와;상기 접점 캐리어 상에 위치하고 각기 서로 전기 접속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들과;최소한 제 1 및 제 2 판과;진입하는 차폐 케이블과 배출되는 차폐 케이블 사이에 연속 경로를 제공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1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2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제 2 판 위에 그 제 2 판과의 전기 접촉 없이 위치하여 상기 접점들 사이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경로는 저 임피던스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접지 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탭은 접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접지 패널에 대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전기 통신 아우틀렛에 있어서,아우틀렛 판과 결합하고, 적소에 표시 아이콘을 유지시키는 하우징과;입, 출력 단들을 갖는 다수의 접점들에 대한 장착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 가능한 접점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아우틀렛.
-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커넥터 하우징과, 그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 가능한 도어 조립체와;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접점 캐리어와;상기 접점 캐리어 위치하고 각기 서로 전기 접속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들과;최소한 제 1 및 제 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1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2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제 2 판 위에 그 제 2 판과의 전기 접촉 없이 위치하여 상기 접점들 사이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형 전기 커넥터.
- 측방향 적층형 커넥터에 있어서,a) 벽판에 형성된 산업 규격 개구내에 장착되도록 소정의 평면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슬롯들을 갖는 하우징과;b) 상기 하우징과 결합 가능하고, 진입 와이어들을 모듈러 잭 구성에 고정적으로 단자 접속시키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접점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적층형 커넥터.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는 상기 커넥터를 확인시키기 위한 아이콘 수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향 적층형 커넥터.
- 전, 후면을 갖는 패널에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a) 상기한 장착을 위해 소정의 평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롯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과;b) 세트로 된 입력들 및 세트로 된 출력들의 각각에 대한 장착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 가능한 접점 캐리어;c) 상기 입력과 와이어 세트간의 전기 접속을 이루게 하도록 상기 캐리어와 결합 가능한 단자 캡을 포함하여, 상기 패널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패널의 상기 후면으로부터 또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상기 개구에 피벗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개구에의 출입이 제공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에의 출입이 방지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에 유지되게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항에 있어서,상기 도어가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도어 홀더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도어 홀더를 수용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4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 홀더는 양단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쌍의 홈들과 제 2 쌍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승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고;상기 도어는 위치 선정 돌기와 장착 돌기들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들에 형성된 위치 선정 돌기들은 상기 제 1 쌍의 홈들 내에 수용될 시 상기 도어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제 2 쌍의 홈들 내에 수용될 시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며, 상기 장착 돌기들은 상기 도어를 상기 도어 홀더에 피벗 장착시키도록 상기 상승부의 상기 개구들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아이콘을 더욱 포함하고;상기 도어는 상기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는 그 도어로부터 연장되고,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개구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보유 연부들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탄성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한 쌍의 홈들을 가지고, 이 홈들의 각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홈내로 연장되는 돌기와,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도어는 위치 선정 돌기와 장착 돌기들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들에 형성된 위치 선정 돌기들은 상기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홈들 내에서 상기 돌기들의 일 측면 상에 보유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홈들 내에서 상기 돌기들의 타측면상에 보유되며, 상기 장착 돌기들은 상기 도어를 상기 도어 홀더에 피벗 장착시키도록 상기 홈들 내에서 상기 개구들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모듈러 아우틀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접점 캐리어와;상기 접점 캐리어 상에 지지되는 다수의 접점들과;상기 접점들의 일단에 수용된 다수의 와이어들을 단자 접속시키도록 상기 접점 캐리어와 결합 가능한 단자 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커넥터 하우징과;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접점 캐리어와;상기 접점 캐리어 상에 위치하고 각기 서로 전기 접속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들과;최소한 제 1 및 제 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1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2 판은 상기 접점들중 제 2 접점의 상기 입, 출력 단자들을 서로 접속시키며, 상기 제 1 판은 상기 제 2 판 위에 그 제 2 판과의 전기 접촉 없이 위치하여 상기 접점들 사이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물질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는 절연체 이동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패널에 상기 전기 커넥터를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5 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들중 하나가 연장되어 있는 탄성 패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상기 출력 단자들은 규격 배선 구성에 따라 접속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입력 단자들 전체는 교번하는 팁, 링 순서로 쌍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상기 접점 캐리어에 장착되어 와이어들을 상기 입력 단자들에 집단 단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 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캡은내부에 슬롯을 갖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입력 단자들을 수용하고, 사이사이에 와이어 보유 슬롯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은 다수의 리드 프레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5 항에 있어서,아이콘을 더욱 포함하고;상기 도어는 상기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5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는 그 도어로부터 연장되고,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개구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보유 연부들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탄성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8 항에 있어서,아이콘을 더욱 포함하고;상기 도어는 상기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48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는 그 도어로부터 연장되고, 도어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개구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하는 보유 연부들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탄성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채널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상기 채널 내에 수용되는 도어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홀더는베이스와,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도어의 피벗 장착을 위해 양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유지할 도어 위치를 결정하는 제 1 쌍의 홈들과 제 2 쌍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652,230 US5769647A (en) | 1995-11-22 | 1996-05-23 | Modular outlet employing a door assembly |
US8/652,230 | 1996-05-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868A true KR19990035868A (ko) | 1999-05-25 |
Family
ID=2461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0529A KR19990035868A (ko) | 1996-05-23 | 1997-04-03 | 누화감소형 모듈러 아우틀렛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2) | US5769647A (ko) |
EP (1) | EP0843907B1 (ko) |
JP (1) | JPH11509975A (ko) |
KR (1) | KR19990035868A (ko) |
CN (2) | CN1301573C (ko) |
AU (1) | AU726164B2 (ko) |
BR (1) | BR9702264A (ko) |
CA (1) | CA2227570A1 (ko) |
DE (1) | DE69735414T2 (ko) |
MX (1) | MX9800651A (ko) |
TW (1) | TW324118B (ko) |
WO (1) | WO1997044862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002B1 (ko) * | 2000-10-25 | 2003-11-17 | 이원철 | 홀더일체형 인라인 커플러 알제이45 키스톤 잭 |
KR100510041B1 (ko) * | 2002-11-21 | 2005-08-25 | 대은전자 주식회사 | 접속캡이 구비된 모듈러 잭 |
KR100537996B1 (ko) * | 1999-11-12 | 2005-12-20 | 주식회사 케이티 | 누화 억제 기능을 가진 고성능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64529B1 (en) * | 1993-03-12 | 2002-10-15 | Cekan/Cdt A/S | Connector element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
US5947772A (en) * | 1997-08-22 | 1999-09-07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 terminal block for communication connectors |
GB9807616D0 (en) * | 1998-04-08 | 1998-06-10 | Weatherley Richard | Reduction of crosstalk in data transmission system |
DE19822630C1 (de) * | 1998-05-20 | 2000-09-07 | Krone Gmbh | Anordnung von Kontaktpaaren zur Kompensation des Nahnebensprechens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
JP4067181B2 (ja) * | 1998-06-15 | 2008-03-26 |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 圧接結線用コネクタとその圧接方法 |
FR2780823B1 (fr) * | 1998-07-03 | 2000-09-22 | Financ Parka | Dispositif pour le montage d'une prise femelle, notamment d'un connecteur de telecommunication, sur un support |
US6371793B1 (en) | 1998-08-24 | 2002-04-16 | Panduit Corp. |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USRE38519E1 (en) | 1998-08-24 | 2004-05-18 | Panduit Corp. |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US5975960A (en) * | 1998-10-06 | 1999-11-02 | The Whitaker Corporation | Modular connector with capacitive plates |
GB2343558B (en) * | 1998-11-04 | 2002-10-30 | Itt Mfg Enterprises Inc | Electrical connector |
US6334792B1 (en) | 1999-01-15 | 2002-01-01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
JP2002535809A (ja) | 1999-01-15 | 2002-10-22 | エーデーシー・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通信用ジャックアセンブリー |
US6186835B1 (en) * | 1999-06-21 | 2001-02-13 | Apple Computer, Inc. | Socket connector having a flexible internal barrier to prevent incorrect insertion of smaller sized plugs |
FR2804798B1 (fr) * | 2000-02-04 | 2002-04-05 | Air Lb Internat Sa | Dispositif d'assemblage d'un boitier de connecteur et d'un capot de maintien et de protection des fils raccordes audit connecteur |
EP1128491B1 (de) * | 2000-02-21 | 2004-09-15 | Reichle & De-Massari AG |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
AUPQ717900A0 (en) * | 2000-04-28 | 2000-05-25 | Krone (Australia) Technique Pt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d contact portions |
US6350158B1 (en) * | 2000-09-19 | 2002-02-26 | Avaya Technology Corp. | Low crosstalk communication connector |
DE10057833B4 (de) | 2000-11-21 | 2006-02-02 | Ria-Btr Produktions-Gmbh | Steckverbinder für mehradrige Daten- und/oder Telekommunikations-Kabel |
US6702477B1 (en) * | 2002-09-23 | 2004-03-09 | Fci Americas Technology, Inc. | Adapter with cap for fiber optic connector |
US6814624B2 (en) | 2002-11-22 | 2004-11-09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
TWI260838B (en) * | 2002-11-29 | 2006-08-21 | Hon Hai Prec Ind Co Ltd | Modular jack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US6869297B2 (en) | 2003-01-17 | 2005-03-22 | Panduit Corp. | Connector door having overtravel stops |
TW568460U (en) * | 2003-04-11 | 2003-12-21 | Surtec Ind Inc | Signal connector device |
JP4096799B2 (ja) * | 2003-04-25 | 2008-06-04 | 松下電工株式会社 | モジュラジャック |
US6767241B1 (en) * | 2003-05-28 | 2004-07-27 | Avaya Technology Corp. | Back-end variation control cap for use with a jack module |
US6786775B1 (en) * | 2003-06-10 | 2004-09-07 | Molex Incorporated | Modular jack assembly |
US7182649B2 (en) * | 2003-12-22 | 2007-02-27 | Panduit Corp. | Inductive and capacitive coupling balancing electrical connector |
US6916209B1 (en) * | 2004-01-23 | 2005-07-12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
US7179131B2 (en) | 2004-02-12 | 2007-02-20 | Panduit Corp.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rosstalk in electrical connectors |
EP1723702B1 (en) * | 2004-03-12 | 2015-10-28 | Panduit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rosstalk in electrical connectors |
US7153168B2 (en) * | 2004-04-06 | 2006-12-26 | Panduit Corp.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compensation |
CA2464834A1 (en) * | 2004-04-19 | 2005-10-19 | Nordx/Cdt Inc. | Connector |
US7281957B2 (en) * | 2004-07-13 | 2007-10-16 | Panduit Corp. |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EP1693933A1 (de) * | 2005-02-17 | 2006-08-23 | Reichle & De-Massari AG |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übertragung über elektrische Leiter |
WO2007095533A1 (en) * | 2006-02-13 | 2007-08-23 | Panduit Corp. | Connector with crosstalk compensation |
US7740282B2 (en) * | 2006-05-05 | 2010-06-22 |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 Por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
US7448875B2 (en) * | 2006-09-08 | 2008-11-11 |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orporated | Telecommunications connectivity system and associated patch panel mounting system |
US7318754B1 (en) * | 2006-09-08 | 2008-01-15 |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orporated | Keyed modular connection system and associated adapter cable |
US7690921B2 (en) * | 2006-09-08 | 2010-04-06 | Optical Cable Corporation | Telecommunication connectivity system |
US7874878B2 (en) * | 2007-03-20 | 2011-01-25 | Panduit Corp. | Plug/jack system having PCB with lattice network |
US7744388B2 (en) * | 2007-07-10 | 2010-06-29 | Adc Gmbh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otective door element |
US7547227B1 (en) * | 2008-04-21 | 2009-06-16 |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 Adhesive laminate label for a communication connector jack and communication connector jack including same |
FR2934425B1 (fr) * | 2008-07-28 | 2021-07-30 | Legrand France | Insert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insert. |
JP2010086827A (ja) * | 2008-09-30 | 2010-04-15 | Molex Inc | 電気コネクタ |
JP5113101B2 (ja) | 2009-01-30 | 2013-01-09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電気回路の接続構造および電気回路の接続方法 |
JP5003984B2 (ja) * | 2010-06-04 | 2012-08-22 | Tdk株式会社 | モジュラジャック |
JP5044049B1 (ja) * | 2011-03-03 | 2012-10-1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TWM430057U (en) * | 2011-11-18 | 2012-05-21 | Speedtech Corp | Improve structure of the lift cover connector |
US8882519B2 (en) * | 2012-03-28 | 2014-11-11 | Tyco Electronics Uk Ltd. | Dust cap for a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
DE102012022166A1 (de) * | 2012-11-12 | 2014-05-15 |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 Verbinder und Verfahren zur Montage |
US9118134B2 (en) * | 2013-03-01 | 2015-08-25 | Panduit Corp. | RJ-45-compatible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wider distal ends |
US9246274B2 (en) * | 2013-03-15 | 2016-01-26 | Panduit Corp. | Communication connectors having crosstalk compensation networks |
DE102013225449A1 (de) | 2013-12-10 | 2015-07-16 | Continental Automotive Gmbh | Stecker |
DE102014100544A1 (de) * | 2014-01-20 | 2015-07-23 | Reichle + De-Massari Ag | Steckverbindervorrichtung |
US10151890B2 (en) | 2015-03-18 | 2018-12-11 |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 Data communication port insert configurable with indicia to customize data communication station labeling and identification |
ES2583636B1 (es) | 2015-03-20 | 2017-06-29 |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 Conector con caja de enlace separable |
ES2584540B1 (es) | 2015-03-27 | 2017-07-05 |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 Pestillo para conector de telecomunicaciones |
ES2584533B1 (es) | 2015-03-27 | 2017-08-04 | Te Connectivity Amp España, S.L.U. | Conjunto de cubierta para un conector de telecomunicaciones |
EP3387715B1 (en) | 2015-12-08 | 2021-05-12 | Panduit Corp. | Rj45 shuttered jac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
US9634433B1 (en) | 2016-04-13 | 2017-04-25 | Panduit Corp. |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
EP3497754B1 (en) * | 2016-08-15 | 2024-07-17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assembly |
WO2018044788A1 (en) * | 2016-09-02 | 2018-03-08 | R&D Circuits, Inc. | Method and structure for a 3d wire block |
CN116207543A (zh) | 2017-06-19 | 2023-06-02 |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 用于接插面板的高密度边框 |
EP3707915B1 (en) | 2017-11-10 | 2023-09-13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Telecommunications panel with grounding wire |
US11811181B2 (en) * | 2019-11-19 | 2023-11-07 | Panduit Corp. | Field terminable single pair ethernet connector with angled contacts |
CN112018553B (zh) * | 2020-09-01 | 2022-06-21 | 罗森伯格(上海)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连接器组件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32793A (en) * | 1922-10-24 | Folding bed | ||
US1440392A (en) * | 1922-01-03 | 1923-01-02 | Fairmont Gas Engine & Railway | Sliding base for belt-driven motor cars |
US3189212A (en) * | 1961-07-11 | 1965-06-15 | Bell Electric Co | Weatherproof outlet with reciprocably movable closure pivot pin |
US3757028A (en) * | 1972-09-18 | 1973-09-04 | J Schlessel | Terference printed board and similar transmission line structure for reducing in |
US4367908A (en) * | 1980-06-05 | 1983-01-11 | Akzona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coupling |
US4413469A (en) * | 1981-03-23 | 1983-11-08 | Allied Corporation | Method of making low crosstalk ribbon cable |
US4418239A (en) * | 1981-08-24 | 1983-11-29 | Oak Industries Inc. | Flexible connector with interconnection between conductive traces |
US4550964A (en) * | 1984-07-23 | 1985-11-05 | The Siemon Company | Hinged cover and label assembly for connector block |
JPS61256850A (ja) * | 1985-05-08 | 1986-11-14 | Fujitsu Ltd | 電話機の電波防止用プラグ |
US4732565A (en) * | 1985-05-28 | 1988-03-22 | Mg Company, Ltd. | Electric connector |
US4707564A (en) * | 1986-03-27 | 1987-11-17 | Gonzales Arturo E F | Message cover for electrical wall switches |
US4831497A (en) * | 1986-09-11 | 1989-05-16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duction of cross talk in interconnecting conductors |
US4784610A (en) * | 1987-02-20 | 1988-11-15 | Stuart Clifton F | Electrical connector |
US4850887A (en) * | 1988-07-07 | 1989-07-25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Electrical connector |
EP0352347A1 (de) * | 1988-07-27 | 1990-01-31 | C.A. Weidmüller GmbH & Co. | Elektrischer Verbinder |
GB2233157B (en) * | 1989-06-13 | 1992-10-21 | British Aerospace | Printed circuit board |
US5124506A (en) * | 1990-07-09 | 1992-06-23 | Amp Incorporated | Face plate with seal and cover |
AU645088B2 (en) * | 1990-08-10 | 1994-01-06 | Siemon Company, The | Panel yoke |
US5187647A (en) * | 1991-03-11 | 1993-02-16 | John Fluke Mfg. Co., Inc. | Electronic instrument keypad assembly with z-axis oriented electrical interconnect |
US5211583A (en) * | 1991-03-29 | 1993-05-18 | Yazaki Corporation | Connector |
DK0525703T3 (da) * | 1991-08-01 | 1996-02-26 | Siemens Ag | Stikforbindelse til computernet i husområde |
US5186647A (en) * | 1992-02-24 | 1993-02-16 | At&T Bell Laboratories |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
US5299956B1 (en) * | 1992-03-23 | 1995-10-24 | Superior Modular Prod Inc |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
DE4320683C2 (de) * | 1992-06-22 | 1995-11-30 | Toshiba Kawasaki Kk | Tragbares Informationsverarbeitungsgerät |
US5385479A (en) * | 1992-08-10 | 1995-01-31 | Murata Mfg. Co., Ltd. | Modular jack |
US5211566A (en) * | 1992-08-11 | 1993-05-18 | Amp Incorporated | Docking connector for disk drives |
US5295869A (en) * | 1992-12-18 | 1994-03-22 | The Siemon Company |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
US5412751A (en) * | 1993-08-31 | 1995-05-02 | The Siemon Company | Retrofittable multimedia patch management system |
US5470244A (en) * | 1993-10-05 | 1995-11-28 | Thomas & Betts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duced cross-talk |
DE4334615C1 (de) * | 1993-10-05 | 1994-09-08 | Krone Ag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GB2271678B (en) * | 1993-12-03 | 1994-10-12 | Itt Ind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5487683A (en) * | 1994-01-21 | 1996-01-30 | The Siemon Company | Snap-on cover for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block |
DE69430194T2 (de) * | 1994-07-14 | 2002-10-31 | Molex Inc., Lisle | Modularer Steckverbinder mit verringertem Übersprechen |
-
1996
- 1996-05-23 US US08/652,230 patent/US576964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4-03 CN CNB021271119A patent/CN130157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03 EP EP97917857A patent/EP084390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4-03 KR KR1019980700529A patent/KR199900358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4-03 BR BR9702264A patent/BR9702264A/pt unknown
- 1997-04-03 CA CA002227570A patent/CA2227570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4-03 CN CNB97190779XA patent/CN115986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03 MX MX9800651A patent/MX9800651A/es unknown
- 1997-04-03 AU AU26075/97A patent/AU726164B2/en not_active Ceased
- 1997-04-03 JP JP9542343A patent/JPH11509975A/ja active Pending
- 1997-04-03 DE DE69735414T patent/DE6973541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4-03 WO PCT/US1997/005599 patent/WO1997044862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7-04-22 TW TW086105219A patent/TW324118B/zh active
-
1998
- 1998-06-17 US US09/098,673 patent/US601722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7996B1 (ko) * | 1999-11-12 | 2005-12-20 | 주식회사 케이티 | 누화 억제 기능을 가진 고성능 커넥터 |
KR100406002B1 (ko) * | 2000-10-25 | 2003-11-17 | 이원철 | 홀더일체형 인라인 커플러 알제이45 키스톤 잭 |
KR100510041B1 (ko) * | 2002-11-21 | 2005-08-25 | 대은전자 주식회사 | 접속캡이 구비된 모듈러 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017229A (en) | 2000-01-25 |
EP0843907B1 (en) | 2006-03-08 |
EP0843907A4 (en) | 2001-03-07 |
CN1196836A (zh) | 1998-10-21 |
AU2607597A (en) | 1997-12-09 |
DE69735414D1 (de) | 2006-05-04 |
TW324118B (en) | 1998-01-01 |
CN1411102A (zh) | 2003-04-16 |
CN1301573C (zh) | 2007-02-21 |
JPH11509975A (ja) | 1999-08-31 |
CA2227570A1 (en) | 1997-11-27 |
US5769647A (en) | 1998-06-23 |
BR9702264A (pt) | 1999-07-20 |
WO1997044862A1 (en) | 1997-11-27 |
AU726164B2 (en) | 2000-11-02 |
EP0843907A1 (en) | 1998-05-27 |
CN1159861C (zh) | 2004-07-28 |
MX9800651A (es) | 1998-04-30 |
DE69735414T2 (de) | 2006-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35868A (ko) | 누화감소형 모듈러 아우틀렛 | |
US5791943A (en) | Reduced crosstalk modular outlet | |
RU2216079C2 (ru) | Штепсельные розетка (варианты), колодка и вилка | |
US5435752A (en) |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 |
US6592395B2 (en) |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 |
US7905015B2 (en) | Method for terminating a telecommunications cable | |
MXPA98000651A (en) | Modular output with interference reduc | |
US8267714B2 (en) |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and improved performance | |
US6371794B1 (en) | Telecommunications plug and adapter | |
US8043125B2 (en) | Wire containment cap | |
US7503810B1 (en) | Board edge termination back-end connection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jacks including such assemblies | |
US20090142968A1 (en) | Board Edge Termination Back-End Connection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Connectors Including Such Assemblies | |
EP1221184A2 (en) | Vertical and right angle modular outlets | |
CA2712846C (en) | Wire lead guide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communications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0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