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5785A -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785A
KR19990035785A KR1019980700444A KR19980700444A KR19990035785A KR 19990035785 A KR19990035785 A KR 19990035785A KR 1019980700444 A KR1019980700444 A KR 1019980700444A KR 19980700444 A KR19980700444 A KR 19980700444A KR 19990035785 A KR19990035785 A KR 1999003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uct
fluid
installation
install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렘 그리피오엔
안트르쩨 보그단 바신스키
Original Assignee
쁠뤼메따 에스. 아
코닌클리케 피티티 네델란드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쁠뤼메따 에스. 아, 코닌클리케 피티티 네델란드 엔. 브이 filed Critical 쁠뤼메따 에스. 아
Publication of KR1999003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78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6) 내로 케이블(2)을 추진시키는 설치 장치(1; 1a, 1b, 1c)를 사용하여 케이블 덕트(6) 내에 케이블(2)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서 설치 장치(1; 1a, 1b, 1c)는 공기 등의 가압 유체 등의 수단으로 구동되며 덕트(6)를 통하여 이송된다. 이는 더 적은 수의 압축기(4)와 작업자를 필요로 한다. 가압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케이블(2)이 설치되는 덕트(6) 및/또는 평행한 덕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덕트 부분(예를 들면 6a)내에서, 케이블의 공급 방향( => )은 유체 이송 방향( -> )과 일치하거나 반대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설치 장치(1)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러한 방법과 장치는 유럽 특허 EP 0 292 037(참고자료 [1])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럽 특허에서는 모터 구동 휠에 의해 가해지는 추진력인 제 1 힘과 유체 드래그에 의해 가해지는 제 2 힘의 조합에 의해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또한 (소위 "탠덤 사용"이라고 칭해지는) 장거리에 걸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참고자료[1]에서 개시되어 있듯이, 각 설치 장치가 유체 가압원, 예를 들면 압축기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즉, 설치 장치만큼의 압축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불리하다. 첫째, 설치 장치는 압축기의 존재가 문제되는 장소, 예를 들면 좁은 골목이나 작은 설치 구덩이에서 사용된다. 둘째, 상당한 거리에 걸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설치 장치가 필요하며, 이와 동수의 압축기(또는 다른 유체 가압원)가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하므로, 이 방법에 따른 비용을 상승시킨다. 각 압축기는 보통 작업자를 필요로 하므로, 장거리에 걸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인건비가 상승한다. 셋째, 압축기가 일반적으로 무겁고 재배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새로운 압축기가 필요해서 압축기를 새로운 장소로 움직이는 것은 번거롭다.
예를 들면 참고자료[1]의 방법은 4개의 설치 장치가 필요하므로 케이블을 2Km의 거리에 걸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4개의 압축기가 필요하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참고자료[5]와 참고자료[6]이 있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참고자료[5]는 케이블 설치가 진행함에 따라서 덕트의 다른 공기 입구에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압축기를 재배치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비슷하게, 참고자료[6]은 압축기 공기가 연속적인 입력 포트를 통하여 덕트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것도 복수의 압축기를 사용하거나 압축기를 배치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더욱, 이들 참고자료는 예를 들면 구동 휠의 수단에 의해 두 개 이상의 설치 장치로 케이블 상에 미는 힘을 가하는 케이블 설치를 취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해 구성된 설치 장치의 수단에 의해 케이블 덕트 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을 덕트 내로 밀기 위한 구동 휠과 모터를 갖는 설치 장치의 수단에 의해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에도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배치된 제 1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배치된 제 2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 은 별도의 구동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는 일체된 구동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 에서는 하나의 덕트 부분에서 다음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서는 셔틀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과 종래기술의 다른 문제점을 경감하고 케이블을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나 다른 유체 가압원(예를 들면 가스 플라스크)이 사용될 수 없는 위치에서도 케이블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으로 케이블 덕트 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덕트의 일단에 설치 장치를 놓는 단계, 설치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유체 입구로부터 덕트를 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덕트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설치 장비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을 설치 장치의 수단에 의해 덕트를 통과시키는 단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압 또는 유압 모터 등의 케이블 추진 수단이 원격 구동될 수 있다는 통찰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덕트가 케이블만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가스나 유체 등의) 가압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도 바탕을 두고 있다. 이들을 구동하기 위해서 압축기를 따라서 설치되는 별도의, 휴대용 튜브 또는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이들이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만, 별도의 구동 튜브는 별도의 설치 단계를 구성하여 비용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실재 케이블 설치가 시작될 때 이미 배치되어 있는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저렴하고 실용적이다.
본 발명은 설치 장치를 원격, 이격점에서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존재하고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한다. 설치 장치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덕트로 유체를 통과시키면, 설치 장치를 원격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일의 공통된 유체원에 의해 복수의 설치 장치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덕트 내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입구는 다른 설치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른 설치 장치가 덕트 내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입구는 덕트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유체 입구는 덕트 부분에 만들어질 수 있다.
유체와 케이블은 별도의 덕트 또는 덕트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이 설치되는 덕트(부분)와 평행한 덕트가 구동 유체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더 많은 량의 유체가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일의 덕트만이 존재하는 등의 경우에는 유체와 케이블은 역시 동일한 덕트 또는 덕트 부분을 통과하여야 한다.
설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덕트의 시작점과 덕트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덕트 부분의 길에 따라, 단일의 설치 장치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덕트 부분을 통하여 케이블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되는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이다. 그러나, 다른 가스 (예를 들면 질소) 또는 액체(물, 기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동시에 설치 장치를 통하여 케이블 군을 공급하거나 두 개의 설치장치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최소한 두 개의 케이블을 동시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케이블" 또는 "케이블들"이란 용어는 케이블 군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군은 하나 이상의 구리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강화된 광섬유 번들 등으로 구성된다.
유체의 이송 방향으로 케이블의 공급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케이블을 진행시키기 위해서, 케이블에는 "셔틀" 또는 당기는 플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셔틀은 예를 들면 참고자료[4]에 개시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견인력을 제공한다. 반=개방된 셔틀(참고자료[4]에서와 같음) 또는 닫힌 셔틀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케이블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이 제공된 구동부, 및 덕트 내로 케이블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적 수단은 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가압 유체의 수단에 의해 구동되기 위하여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 유체의 수단에 의해 기계적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는 덕트를 통하여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참고자료
[1] EP 0 292 037 및 US 4 850 567 및 US 4 934 662
[2] EP 0 445 622 및 US 5 143 353
[3] JP 60-244 904
[4] EP 0 445 858
[5] EP 0 475 815
[6] JP 01-292 302
도 1에서 예시적이고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장치는 설치 장치(1a, 1b와 1c)는, 케이블(2), 케이블 릴(3), 압축기(4) 및 가압 튜브(5)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케이블(2)을, 부분(6a, 6b 및 6c)으로 구성되는 덕트 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2)은 설치 장치 (6a, 6b 와 6c)의 시작점에서 각각 놓이고 설치장치(1a, 1b 및 1c)의 수단에 의하여 설치된다. 제 1 설치 장치(1a)는 참고자료[1]에 개시된 장치일 수 있다. 제 2 설치 장치(1b) 및 제 3 설치 장치(1c)는 도 3 내지 6 과 관련하여 추후에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케이블(2)은 케이블 릴(3)에서 분리되어 제 1 설치 장치(1a)로 공급된다. 케이블 공급 방향(도 1 의 오른쪽 방향)은 이중 화살표( => )로 나타내며, 유체(즉, 공기) 공급 방향은 단일 화살표( -> )로 나타낸다. 제 1 설치장치(1a)는 튜브(5)의 수단에 의해 압축기(4)에서 제 1 설치 장치(1a)로 공급된 유체에 의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제 1 설치 장치(1a)는, 튜브(5)를 통하여 압축기(4)로 직접 구동된다.
가압된 유체는 물과 같은 유체나 다른 가스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이다. 압축기는 압축 컨테이너, 물 펌프 등의 적절한 다른 구동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 설치 장치(1a)는 일단, 즉 제 1 덕트 부분(6a)의 케이블 공급 단부에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설치 장치(1a)는 덕트 부분(6a)의 바로 옆에 놓일 것이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가 밀봉되는 방식으로 덕트 부분(6a)에 연결될 것이다. 또는, 만약 설치 장치가 덕트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면, 케이블을 삽입하고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과는 별도로, 덕트 부분을 사실상 밀봉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밀봉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설치 장치(1a)에서, 양 케이블(2)과 가압 유체는 덕트 부분(6a 및 6b)을 통하여 제 2 설치 장치(1b) 및 제 3 설치 장치(1c)로 공급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부분(6a, 6b 및 6c)은 명확한 도시를 위해 상당히 간략화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체 공급 방향 ( -> )은 케이블 공급 방향 ( => )과 일치한다. 이러한 경우, 유체의 유속이 케이블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유체 흐름은 보조적인 추진력(유체 드래그)을 가할 것이다. 마지막 덕트(즉, 도 1 의 부분 6c)가 열려 있는 배출구를 갖는 경우, 즉, 덕트 부분(6c)의 단부(7)가 대기로 열려 있는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설치 장치(1b 및 1c)를 구동시키기 위해 충분한 압력을 보존하기 위해서 덕트 부분(6c)의 배출구(7)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 2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은 설치 장치(1a, 1b 및 1c), 케이블(2), 케이블 릴(3), 압축기(4) 및 압력 튜브(5)도 포함한다. 시스템은 덕트 부분(6a, 6b 및 6c)으로 구성되는 덕트 내에 케이블(2)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 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케이블(2)은 릴(3)에서 분리된 뒤 제 1 설치 장치(1a)로 공급된다. 도 1 의 시스템과는 반대로, 가압 유체는 튜브(5)를 통하여 압축기(4)에서 제 2(중간) 설치 장치(1b)로 공급된다. 제 2 설치 장치(1b)에서, 유체는 덕트 부분(6a)을 통하여 왼쪽으로 케이블 상류 방향에 있는, 제 1 (왼쪽) 설치 장치(1a)를 향하여 공급된다. 유체는 덕트 부분(6b)을 통하여 케이블 하류 방향으로, 제 3 (오른쪽) 설치 장치(1c)를 향하여 공급된다. 도 2 의 구성에서, 유체는 케이블 공급 방향과 반대로 단일의 덕트 부분(즉, 덕트 부분 6a)으로 흐르고 다른 덕트 부분(즉, 덕트 부분 6c)에서는 케이블 공급 방향으로 흐른다. 이는 도 2에서 화살표( <- 와 ->로 나타내었다.) 유체의 속도가 낮게 유지되므로, 케이블의 공급 방향과 방대로 흐르는 유체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유체 드래그는 무시할 수 있다. 덕트 부분(6a)에서의 유속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설치 장치(1a)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덕트 또는 덕트 부분(6a, 6b, 6c)은 구동 설치 장치(1a, 1b, 1c)를 위한 동력 이송 수단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은 공기, 가스, 넓게는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다른 액체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는 예를 들면 압축 공기 컨테이너 또는 유체 펌프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기"는 특정한 예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액체와 가스인 다른 유체가 명시적으로 제외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일의 설치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설치 장치는, 케이블 공급 방향에 대하여, 덕트의 상류 단부에 놓일 수 있는 반면, 압축기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에 적당한)하류 단부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유체와 케이블이 동일한 덕트를 통하여 이동한다면, 유체 및 케이블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구성은 덕트를 통하여 설치 장치가 원격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 장치(1)는 케이블을 예를 들면 덕트 부분으로부터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케이블(2) 상에 구동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부(11), 및 덕트 부분으로 케이블(2)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2)를 구비한다. 상기 부분들은 튜브(15, 16, 17 및 18)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밸브(25, 26, 27 및 28)를 각각 포함한다. 튜브(16)는 열린 배출구(19)를 가지며, 이들은 밸브(26)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사용될 때, 공기는 수용부(10)에서 튜브(15, 16 및 17)를 통하여 삽입부(12)로 통과한다. 또는, 케이블 공급 방향에 공기 흐름 방향이 반대인 경우, 공기는 반대 방향으로 통과한다.
구동부(11)는 튜브(18)를 통하여 압축 공기의 수단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되는) 공압 모터를 구비한다.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케이블(2)을 추진하는 구동 휠(20)은 스프링(도 3 에 도시 안됨)의 수단이나 공압에 의하여 케이블(2) 상으로 눌려질 수 있다. 케이블(2)과의 사이에 더 좋은 접촉이 필요한 경우, 구동 휠(20)은 구동 트랙(무한 궤도)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구동부(11)가 수용부(10) 및 삽입부(12)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구동부는 가압될 필요가 없다.
케이블의 공급 방향( => 에 의해 나타냄)이 공기 공급 방향과 일치한다면, 가압 공기는 다음 설치 장치로 삽입부(12) 반대편에 있는 덕트 부분(도시 안됨)을 통하여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10)는 선행하는 덕트 부분으로부터 가압 공기를 받을 수 있다. 압축 공기의 흐름이 역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10)가 공기를 다음 덕트 부분으로 전달하면서, 삽입부(12)는 공기를 덕트 부분에서 수신한다.
밸브(25, 26, 27 및 28)는 소정의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 바람직하게는 공압으로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통과하는 케이블(2)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스위치(21)가 조작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밸브(22 및 23)(피벗 및 미끄럼 밸브로 각각 도시됨)는, 케이블이 통과하기 전에 튜브와 설치 장치가 압축되면, 공기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22)는 대기로 공기를 배출시킬 때 수용부(10)를 차단하는 "수동" 밸브, 즉 케이블(2)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위치(21)의 기능은 밸브(22)로 통합될 수 있다.
원리면에서 장치(1)는 전술한 밸브와 스위치 없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튜브 연결은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부분(10, 11 및 12)은 세로로 나뉠 수 있어 장치(1)가 열리고 케이블(2) 주위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1)는 이미 부분적으로 설치된 케이블을 더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의 실시예는 도 3 의 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4의 설치 장치(1)에서, 구동 부분(11)과 삽입부(12)는 단일 부분(13)으로 통합되어 있다. 이는 케이블이 밀리는 것보다는 당겨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반면에, 별도의 구동부는 예를 들면 구동 휠(20) 대신에 무한궤도를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통상 허용한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는 가압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구동 휠(20) 또는 등가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1)의 실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EP 0 292 037 및 미국 특허 제 4 850 569 호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에 적합하다. 도 5 의 장치는 일체된 튜브(16)(도 3의 튜브 15, 16, 17에 대응)에 의해 연결되는 삽입부(12), 구동부(11) 및 수용부(10)를 포함한다. 구동부(11)는 구동 휠(20)의 수단에 의해 케이블(2)을 추진하기 위한 공압 모터(30)를 포함한다. 구동부(11)는 케이블(2)에 대하여 구동 휠(20)을 누르기 위하여 압축 실린더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휠(29)은 구동되지 않는다.
튜브(18)는 공압 모터(30)와 압축 실린더(31)를 수용부(10)와 공압적으로 연결하여 수용부(10)의 압축 공기가 모터(30)와 실린더(31)를 구동할 수 있게 한다.
수용부(10)와 삽입부(12)를 공압적으로 연결하는 튜브(16)는 공기가 이들 부분을 통하여 이어진 덕트 부분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5 의 장치(1)에서, 공기는 튜브(16)를 통하여 구동부(11)를 바이패스하고 튜브(37) 또는 튜브(38)를 통해 유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음 덕트부(도시 안됨)로 공급된다. 튜브(18)는 물론 튜브(16)는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한 밸브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야외에서 도 5 의 장치를 사용하여 내경 27mm와 길이 1000m을 갖는 덕트 내에 직경 13mm의 케이블을 설치하는 시도를 했다. 덕트의 시작에서 참고자료[1]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사용된 반면, 덕트의 시작점에서 650m 떨어진 지점에서는 도 5 의 장치가 사용되었다. 덕트의 시작점에서 압력은 단지 4.5 bar에 불과하였음에도, 케이블은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이 시도에서 셔틀은 사용되지 않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장치(1)의 다른 실제적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소위 셔틀(견인 플러그)로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적절한 도 6 의 실시예에서, 공기는 구동부(11)를 바이패스하지 않고 장치를 통하여 직접 공급된다.
도 6 의 설치장치(1)의 실시예는 대충 도 5 의 장치(1)와 유사하다. 비슷한 부분은 대응하는 참조번호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도 6 의 실시예는 분리된 수용부를 갖지 않는다. 수용/구동부(11)와 삽입부(12)는 하나의 하우징(35)으로 일체되어 있다.
하우징(35)은 장치(1)가 케이블의 "주위에" 놓기 위해 2개의 부분으로 세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력 하에서 하우징(35)에 대하여 튜브(37 및 38)가 이동하지 않도록 수용 및 삽입 튜브(37 및 38)는 클램프(36)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수용 및 삽입 튜브(37 및 38)는 케이블을 수신하고 삽입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덕트부(도시 안됨)에서 유체를 장치(1)로 공급하고 장치(1)에서 다음 인접 덕트 부분으로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
하우징(35) 중앙에는 원통형 채널이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블(2)과 압축공기 모두가 통과할 수 있는 (부분적으로 구멍이 뚫린) 가이드 튜브(4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튜브(40)에는 구동 휠(20)과 지지 휠(29)이 케이블(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반대편 구멍(41)이 제공되어 있다. 구동부(11)의 가이드 튜브(40)에는 천공(42)이 제공되어 있으며, 튜브(40)에서 삽입부(12)에는 천공(43 및 44)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천공(42, 43 및 44)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기를 튜브(40)에서 구동부(11)와 삽입부(12)로 각각 전달한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2)에는 플랩(61)을 갖는 셔틀(50)이 제공되어 있다. 비록 더 작은 압력구배를 야기하는 반-개방 셔틀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셔틀은 튜브(40)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작업시, 셔틀(50)은 케이블이 통과하기 전에 가이드 튜브(40) 내의 구멍(41)을 통과한다(케이블 공급 방향이 이중 화살표: => 로 나타나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만약 그렇게 되면, 구동부(11)는 압축 공기로 빠르게 채워질 것이다. 압력구배에 따른 셔틀(50) 플랩(51)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튜브(40)는 상기 구멍(41)의 왼쪽으로 천공(42)을 갖는다.
셔틀(50)이 튜브(40)의 천공(43)을 통과하였기 때문에, 더 많은 공기가 삽입부(12)로 흘러 들어간다. 이 공기는 초기에는 천공(4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흘러 튜브(38)를 통하여 설치 장치(1)를 떠날 것이다. 셔틀(50)이 마지막 천공(44)에 도착해야만 챔버(12) 내에 최대 압력이 형성된다. 이 압력은 공압 모터(30)와 압력 실린더(31)를 튜브(17), 밸브(28) 및 튜브(18)를 통하여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40) 내의 천공(43 및 44)은 모터(30)와 실린더(31)를 향하여 충분한 량의 공기가 흘러갈 수 있게 커야 한다. 반면에, 천공(43 및 44)은 셔틀을 추진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상기 천공의 수단에 의하여 설치 장치를 점차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달성된다.
상기 천공 대신에, 삽입부(12)의 챔버로 공기가 흘러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단일의 구멍 또는 슬릿(도 6 에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는 셔틀이 튜브(40)에 제공되어 있는 천공(43 및 44)보다 길지 않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공기가 튜브(40)에서 천공(43 및 44)을 통하여 튜브(38)로 셔틀 "주위"에서 새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더 긴 셔틀이 이러한 누설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긴 셔틀이 덕트 내의 굽혀진 곳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셔틀은 코드 또는 유연한 막대에 의해 이격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유연하고 긴 몸체를 가질 수도 있다.
밸브(28)는 모터(30)를 끄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31)는 바람직하게는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구동 휠(20)을 케이블(2) 상으로 누른다. 반대편 지지 휠(29)은 능동적, 즉 구동되지 않고, 위치에 남아있을 수 있다. 즉, 가압 실린더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26)는 과도한 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5 의 장치에서, 모터(3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은 수용부(10)에서 얻을 수 있으며, 도 6 의 장치에서 모터(30)는 삽입부(12)에서 얻어지는 공기에 의해 구동된다.
요약해서, 본 발명은 케이블을 덕트 내로 추진하는 설치 장치를 사용하여 케이블 덕트 내(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치됨)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진력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휠 등에 의해 가해질 수 있지만 유체 드래그에 의해서 가해질 수도 있다. 설치 장치는 덕트를 통하여 이송된 공기 등의 압축 유체의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블이 장착되는 덕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평행한 덕트가 압축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의 공급 방향은 유체의 이송 방향과 일체하거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여러 가지 변경이나 추가가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 및 장치는 덕트에서 케이블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케이블(2) 상에 추진력을 가하는 기계적 수단을 구비하는 최소한 하나의 설치 장치(1a; 1b; 1c)의 수단에 의하여 케이블(2)을 덕트 부분(6a, 6b, 6c)을 포함하는 케이블 덕트 내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 설치 장치(예를 들면, 1c)를 덕트 부분(6c)의 일단에 놓은 단계;
    - 설치 장치(1c)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유체 입구(예를 들면 1a에서)로부터 덕트를 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 덕트(6)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하여 설치 장치(1c)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 설치 장치(1c)의 수단에 의하여 덕트(6)를 통하여 최소한 하나의 케이블(2)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는 다른 설치 장치(예를 들면 1a)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는 덕트(예를 들면 6a에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설치 장치(예를 들면 1b, 1c)가 덕트(6)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유체는 하나의 유체원(4)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2)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은 휠(20)과 모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와 케이블(2)은 동일한 덕트 부분( 도 1; 6b)을 통하여 동일한 방향( -> 와 => )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와 케이블은 동일한 덕트 부분(도 2; 6a)을 통하여 반대 방향( <- 와 => )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덕트(6)는 최소한 두개의 거의 평행한 덕트 부분을 포함하고, 케이블(2)이 제 1 덕트 부분을 통과하고 유체는 제 2 평행한 덕트 부분을 통과하며, 제 1 덕트 부분의 일단에 놓인 설치 장치(1)는 제 2 덕트 부분을 통하여 통과하는 유체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에는 덕트(6)를 거의 폐쇄하는 셔틀(5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에는 덕트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는 반-개방 셔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키 케이블(2)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은 구리 전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압축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의 이송 방향 ( -> )에 대한 덕트의 하류 단부(7)는 열린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의 이송 방향 ( -> )에 대한 덕트의 하류 단부(7)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닫힌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두 개의 케이블이 동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 케이블(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 케이블(2)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20, 30)이 제공된 구동부(11); 및
    - 덕트 부분(예를 들면 6a) 내에 케이블(2)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2)를 구비하는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덕트 부분(예를 들면 6b)으로부터 장치(1)를 통하여 공급된 가압 유체의 기계적 수단(20,30)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15, 16, 17, 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는 수용부(10)와 일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삽입부(12)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7 항,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장치(1)를 통하여 케이블(2)과 유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튜브(40)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40)에는 장치를 점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천공(42, 43, 44)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를 수용부(10)에서 삽입부(12)로 또는 그 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15, 16, 17)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2) 상으로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은 구동 휠(20, 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진력을 케이블(2) 상에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은 무한궤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7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수단(20)을 케이블(2)에 대하여 누르기 위하여, 케이블(2)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20, 30)과 연결된 공압 수단(31)이 더욱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2) 상에 추진력을 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20, 30)은 공압 모터(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도한 유체를 흘리기 위한 개방 배출구(19)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17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1)의 작업을 조작하기 위하여 밸브(25, 26, 27, 28)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0444A 1995-07-24 1996-07-23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19990035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2037.8 1995-07-24
EP95202037A EP0756186A1 (en) 1995-07-24 1995-07-24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cab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85A true KR19990035785A (ko) 1999-05-25

Family

ID=822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444A Withdrawn KR19990035785A (ko) 1995-07-24 1996-07-23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EP (2) EP0756186A1 (ko)
JP (1) JP3905924B2 (ko)
KR (1) KR19990035785A (ko)
CN (1) CN1094203C (ko)
AT (1) ATE198799T1 (ko)
AU (1) AU707520B2 (ko)
BG (1) BG102207A (ko)
BR (1) BR9609764A (ko)
CZ (1) CZ289441B6 (ko)
DE (1) DE69611615T2 (ko)
DK (1) DK0840901T3 (ko)
EA (1) EA000260B1 (ko)
ES (1) ES2153967T3 (ko)
GR (1) GR3035737T3 (ko)
NO (1) NO319900B1 (ko)
PL (1) PL324657A1 (ko)
PT (1) PT840901E (ko)
RO (1) RO117486B1 (ko)
SK (1) SK9298A3 (ko)
TR (1) TR199800087T1 (ko)
WO (1) WO1997004344A1 (ko)
ZA (1) ZA9662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28B1 (ko) * 2012-02-20 2012-05-08 (주) 노브컴 케이블 포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0958C2 (sv) * 2002-03-11 2003-09-16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driva fram en optofiberkabel i en rörledning
ITRM20030133A1 (it) * 2003-03-26 2004-09-27 Fibot Holding Ltd Apparecchiatura per la posa di fibre nude.
GB201306982D0 (en) 2013-04-17 2013-05-29 Wellstream Int Ltd Fibre instalaltion
SG11201600903TA (en) * 2013-08-21 2016-03-30 Daewoo Shipbuilding & Marine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line-laying robots
RS66624B1 (sr) * 2016-08-04 2025-04-30 Plumettaz Holding S A Uređaj i postupak postavljanja kabla u kanal
RU2632576C1 (ru) * 2016-09-27 2017-10-06 Геннадий Васильевич Кирюшин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ая линия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прокладки в трубе канала подземной кабельной канализации
CN111819746B (zh) * 2018-04-03 2022-08-09 普拉麦特兹控股股份公司 用于将电缆安装到具有两个末端的管道中的方法
EP3881403B1 (en) * 2018-11-13 2024-02-14 Plumettaz Holding S.A. Installation of cables in an array of ducts
CN109546582A (zh) * 2018-11-17 2019-03-29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连续油管穿线缆装置
CN112234495B (zh) * 2020-10-11 2022-04-15 国网甘肃省电力公司兰州供电公司 一种智能电力工程线缆铺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4904A (ja) 1984-05-21 1985-12-04 Fujikura Ltd 光フアイバ−ケ−ブルの引抜きまたは引入れ方法
GB2190457B (en) * 1986-05-17 1990-12-19 Stc Plc Hydraulic cable installation system
US4756510A (en) * 1986-08-11 1988-07-12 Atlantic Richfiel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fiber optic cable and the like in fluid transmission pipelines
GB8706803D0 (en) * 1987-03-23 1987-04-29 British Telecomm Optical fibre installation
NL193126B (nl) * 1987-04-28 1998-07-01 Nederland Ptt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een kabel in een kabelgeleidingsbuis.
CA1305095C (en) * 1988-03-25 1992-07-14 Kiyomi Yokoi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ng threadlike pieces through tubular products
JPH01292302A (ja) * 1988-05-19 1989-11-24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の布設方法
DE59005398D1 (de) * 1989-02-20 1994-05-26 Siemens Ag Verfahren zum Einschiessen von Kabeln in ein Rohr.
ES2042333T3 (es) 1990-02-27 1993-12-01 Koninklijke Ptt Nederland N.V. Metodo y tapon de traccion para la instalacion de un cable en un conducto para cable.
JPH03249704A (ja) 1990-02-28 1991-1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布設方法および装置
FR2666459B1 (fr) * 1990-09-05 1995-08-18 Pecot Alain Procede pour la pose en conduite de grande longueur d'un cable de telecommunication,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GB9222842D0 (en) * 1992-10-31 1992-12-16 Bicc Plc Apparatus for use in the assembly of an optical fibre transmission l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28B1 (ko) * 2012-02-20 2012-05-08 (주) 노브컴 케이블 포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19098A3 (cs) 1998-06-17
DE69611615T2 (de) 2001-05-17
NO319900B1 (no) 2005-09-26
CN1094203C (zh) 2002-11-13
AU6659496A (en) 1997-02-18
EP0840901B1 (en) 2001-01-17
AU707520B2 (en) 1999-07-15
DE69611615D1 (de) 2001-02-22
HK1015888A1 (en) 1999-10-22
BR9609764A (pt) 1999-12-21
GR3035737T3 (en) 2001-07-31
JP3905924B2 (ja) 2007-04-18
EA199800079A1 (ru) 1998-10-29
EP0756186A1 (en) 1997-01-29
CZ289441B6 (cs) 2002-01-16
ZA966234B (en) 1998-01-23
ES2153967T3 (es) 2001-03-16
SK9298A3 (en) 1998-12-02
ATE198799T1 (de) 2001-02-15
JPH11509720A (ja) 1999-08-24
PL324657A1 (en) 1998-06-08
EA000260B1 (ru) 1999-02-25
CN1192278A (zh) 1998-09-02
DK0840901T3 (da) 2001-04-17
WO1997004344A1 (en) 1997-02-06
NO980141D0 (no) 1998-01-13
PT840901E (pt) 2001-06-29
EP0840901A1 (en) 1998-05-13
TR199800087T1 (xx) 1998-04-21
BG102207A (en) 1998-08-31
MX9800709A (es) 1998-09-30
NO980141L (no) 1998-01-13
RO117486B1 (r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103A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s
KR19990035785A (ko)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522130B1 (en) Optical cable installation with cable lubricator
FI87121C (fi) Foerfarande och system foer infoerande av en kabel i ett kabelroer
EP1042696B1 (en) Method of inserting a light transmitting member into a tube
US20050200037A1 (en) Pipeline pig
CA2227781C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cables
CZ293266B6 (cs) Způsob a zařízení na odstraňování kabelů z trubic
HK1015888B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cables
MXPA98000709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stallation of cab
JP2951394B2 (ja) 長距離細径管路への光ファイバ送り込み方法
JP2662975B2 (ja) 地下管路の補修工法
JPH03144504A (ja) ケーブルの布設回収方法
JPH01255420A (ja) 地下管路の補修装置
JP2688754B2 (ja) 地下管路の補修工法
JPH0497204A (ja) 気送式光ファイバケーブル送り込み装置
JPH0318206A (ja) 線材の布設方法および布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