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238A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5238A KR19990035238A KR1019970056993A KR19970056993A KR19990035238A KR 19990035238 A KR19990035238 A KR 19990035238A KR 1019970056993 A KR1019970056993 A KR 1019970056993A KR 19970056993 A KR19970056993 A KR 19970056993A KR 19990035238 A KR19990035238 A KR 199900352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l
- key
- automatic
- dialing
- trunk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화단말장치에서 국선 및 키폰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자동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단말장치의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질 시 통화패스를 연결한 후 상기 통화패스가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검출되는 다이얼톤의 종류에 따라 국선다이얼톤일 시 직접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검출된 다이얼톤이 키폰다이얼톤일 시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기 전화번호의 개수가 지정된갯수이상일 시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한 후 국선다이얼톤이 검출될 때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키를 누를시 그에 대응하는 번호를 국선 및 키폰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자동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나 전화기등은 최종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기억 시켜 놓은후 리다이얼키를 입력시키게 되면, 리다이얼키를 누르기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번호로 다시 일정간격으로 신속하게 다이얼링된다. 그런데 전화를 사용하다 보면 키폰전화기나 사설교환기로 국설교환기를 연결하기위해 차례로 각 시스템의 다이얼톤이 들릴때까지 대기하여 다이얼톤을 듣고 난후 다이얼링을 하게된다. 자동다이얼링시 이렇게 다이얼톤을 듣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다이얼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원터치 다이얼을 등록시킬 경우 키폰 사용환경에서는 국선 연결 특정번호(예를들어 9번 혹은 *등을 사용한다)+포즈(Pause)+전화번호를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다이얼은 스피드 다이얼, 원터치 다이얼, 리다이얼, 단축다이얼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동다이얼방법은 전화기가 키폰시스템에 연결되지 않고 국선에 직접 연결되어 있을경우에는 자동다이얼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폰시스템에 연결된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키를 누를시 국선 및 내선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폰시스템이나 국선에 연결된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키를 누를시 별도의 키조작없이 자동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의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질 시 통화패스를 연결한 후 상기 통화패스가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검출되는 다이얼톤의 종류에 따라 국선다이얼톤일 시 직접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검출된 다이얼톤이 키폰다이얼톤일 시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기 전화번호의 개수가 지정된갯수이상일 시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한 후 국선다이얼톤이 검출될 때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다이얼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CPU 10은 키입력신호를 받아 다이얼링을 제어하고, 입력된 번호를 저장한 후 자동다이얼 키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저장한 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각종 표시 제어 데이타를 발생한다. 키입력부 20은 다이이얼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데이타 발생시 상기 CPU 10으로 입력시키며, 상기 CPU 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메모리 30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 데이터 및 자동다이얼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CPU 10의 제어에 의해 다이얼번호를 억세스하거나 저장한다. 다이얼회로 40은 상기 CPU 10의 제어에 의해 해당 번호의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톤검출부 50은 공중교환망 PSTN의 라인이나 키폰시스템으로 입력되는 다이얼톤(Dial tone)을 검출하여 상기 CPU 10에 전달한다. 스피치(SPEECH) IC 22는 상기 CPU 10의 제어에 의해 통화패스를 형성하며, 팁(Tip) 및 링(Ring)단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팁(Tip) 및 링(Ring)단자로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다이얼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번호를 등록시켜 놓아야 한다. 예를들어 단축다이얼키, 스피드 다이얼키, 리다이얼키, 원터치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미리 각각 등록시켜야 한다. 이와같은 자동다이얼키에 해당 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101단계에서 CPU 10은 키입력부 20으로부터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지는가 검사한다. 여기서 자동다이얼키가 단축다이얼키 1번에 745-0084가 등록되어 있고, 단축다이얼키 2번에 키폰 내선번호 1000이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들어 101단계에서 단축다이얼키 1번이 눌러지면 102단계에서 CPU 10은 스피치회로 60을 제어하여 통화패스를 연결하고 1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CPU 10은 톤검출부 50으로부터 다이얼톤신호를 검출하고 1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4단계에서 CPU 10은 상기 검출된 다이얼톤신호가 키폰다이얼톤인가 검사하여 키폰다이얼톤이 아니고 국선다이얼톤이면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키폰다이얼톤과 국선다이얼톤은 서로 주파수가 다르게 되어 있거나 키폰다이얼톤의 경우 연속이 아닌 일정주기별로 끊어진음이 될 수 있으나 국선다이얼톤은 연속음으로 되어 있다. 상기 105단계에서 CPU 10은 국선연결모드로 진입하고 114단계로 진행하여 CPU 10은 다이얼회로 40을 제어하여 단축다이얼키 1번에 해당하는 745-0084를 다이얼번호를 송출한다. 그런후 115단계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게되면 음성통화모드로 진입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고 116단계에서 통화가 완료되는지 검사하여 통화가 완료도면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104단계에서 키폰다이얼톤이 검출되면 106단계로 진행하여 CPU 10은 키폰연결모드로 진입한 후 107단계에서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자동다이얼번호의 개수를 확인한다. 그리고 108단계에서 CPU 10은 자동다이얼 개수가 지정된 개수이상인가 검사한다. 예를들어 다이얼개수는 통상적으로 키폰인 경우 4자리를 주로 사용하고, 국선은 7자리 이상을 사용하므로 지정된 개수를 5미만이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108단계에서 지정된 개수가 예를들어 5미만인 경우 109단계로 진행하여 내부 다이얼모드로 진입한 후 110단계에서 키폰 다이얼톤을 검출하고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4단계에서 CPU 10은 다이얼회로 40을 제어하여 내선번호 예를들어 1000을 다이얼하여 115단계에서 상대방이 응답이 있을시 음성통화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108단계에서 지정된 개수가 5이상일 경우 111단계로 진행하여 외부다이얼모드로 진입하고 112단계에서 지정된 국선 연결번호 예를들어 9번이나 *키를 다이얼하여 송출한다. 그런후 113단계에서 CPU 10은 국선 다이얼톤을 검출한 후 114단계에서 상기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115단계로 진행하여 상대방이 응답이 있을시 음성통화모드로 진입한다. 이렇게 하여 통화를 수행하고 115단계에서 통화가 완료되면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질 시 키폰사용환경에서 여러번의 키조작 없이 자동으로 자동다이얼키에 대응하는 국선이나 내선으로 다이얼링하므로, 키폰사용환경에서 여러번의 키조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상기 전화단말장치의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질 시 통화패스를 연결한 후 상기 통화패스가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검출되는 다이얼톤의 종류에 따라 국선다이얼톤일 시 직접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검출된 다이얼톤이 키폰다이얼톤일 시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개수를 확인하여 상기 전화번호의 개수가 지정된갯수이상일 시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한 후 국선다이얼톤이 검출될 때 국선라인을 통해 상기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의 개수가 지정된갯수이하일 시 상기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키폰의 내선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것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상기 전화단말장치의 자동다이얼키가 눌러질 시 통화패스를 연결한 후 다이얼톤을 검출하는 과정과,상기 검출한 다이얼톤이 국선다이얼톤일 시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국선라인으로 다이얼링하는 과정과,상기 검출한 다이얼톤이 키폰다이얼톤일 시 키폰을 연결한 후 자동다이얼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확인한 자동다이얼 개수가 지정된 개수이하일 시 키폰의 내선번호로 다이얼링하는 과정과,상기 확인한 자동 다이얼개수가 지정된 개수이상일 시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과,상기 국선을 연결하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국선 다이얼톤을 검출한 후 상기 눌러진 자동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국선라인을 통해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자동다이얼키는 단축다이얼키, 리다이얼키, 스피드 다이얼키, 원터치 다이얼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6993A KR19990035238A (ko) | 1997-10-31 | 1997-10-31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6993A KR19990035238A (ko) | 1997-10-31 | 1997-10-31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238A true KR19990035238A (ko) | 1999-05-15 |
Family
ID=6604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6993A KR19990035238A (ko) | 1997-10-31 | 1997-10-31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5238A (ko) |
-
1997
- 1997-10-31 KR KR1019970056993A patent/KR199900352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75450B1 (ko) |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발신자 번호 표시방법 | |
JPH01152847A (ja) | 発信者番号通知通信網用端末 | |
GB2308522A (en) | Redialling method | |
KR20000002587A (ko) |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 |
KR19990035238A (ko) |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 |
KR0169429B1 (ko) |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자동재다이얼링 방법 | |
JPS6345946A (ja) | 通信装置 | |
KR100194456B1 (ko) | 하나의 가입자선로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 |
KR0171834B1 (ko) | 키폰시스템에서 멀티넘버플랜방법 | |
KR100455179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호출자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 |
KR100229883B1 (ko) | 키폰시스템에서 자동발신 및 음성정보 송출방법 | |
KR19980065571A (ko) |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 |
JPH10243079A (ja) |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 |
KR0171833B1 (ko) |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단축다이얼 등록방법 | |
KR100255617B1 (ko) | 자동중계시스템의내선상태확인음자동등록방법 | |
KR100242698B1 (ko) | 안내대를 이용한 착신 거부 방법 | |
KR0173561B1 (ko) |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 |
JPH0226443A (ja) | 自動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 |
KR100214649B1 (ko) | 간이 전자 교환기에서의 주변소리 청취기능 제어방법 | |
KR100268671B1 (ko) | 자동응답기에저장된전화번호에대한자동다이얼링가능한자동응답전화기 | |
JPS6359046A (ja) | 通信端末装置 | |
KR100506212B1 (ko) |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 |
KR19990001890A (ko) | 키폰시스템에서 호출자 식별정보의 전화번호로 재다이얼하는 방법 | |
KR950013136A (ko) | 키폰 시스템에서의 음성안내에 의한 내선호출장치 및 그 방법 | |
KR980013183A (ko) |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