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30779A -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779A
KR19990030779A KR1019970051191A KR19970051191A KR19990030779A KR 19990030779 A KR19990030779 A KR 19990030779A KR 1019970051191 A KR1019970051191 A KR 1019970051191A KR 19970051191 A KR19970051191 A KR 19970051191A KR 19990030779 A KR19990030779 A KR 19990030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wedging member
cable
optic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072B1 (ko
Inventor
전용한
서기원
장기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5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072B1/ko
Priority to CN98124311A priority patent/CN1213783A/zh
Priority to US09/163,165 priority patent/US6104855A/en
Publication of KR1999003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G02B6/545Pulling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1Sealed pack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02B6/4404Multi-pod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용 혹은 옥외용 광케이블의 말단에 커넥터를 결합시켜 이를 배관파이프에 포설한 뒤 바로 광선로를 개통시킬 수 있는 분기된 접속자가 구비되고 내부에 인장선이 들어있는 다심 광케이블용 성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장선이 있는 광 케이블(10)의 자켓을 탈피시켜 인장선(11)과 광섬유(13)를 노출시킨 뒤 웨징부재(20)의 클램프홀(28)과 통로(22)속으로 삽입한 뒤 인장선(11)은 웨징부재(20)의 원주면에 배치된 스크류(29a)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광섬유(13)는 통로(22)를 관통한 끝단에 접속자(S)를 결합하여 웨징부재에 캡(30)을 결합하여 접속자와 광섬유(13)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성단 조립체는 배관 파이프 속으로 삽입하는 과정에 광섬유(13)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배관 파이프에 포설을 완료한 뒤 즉시 광접속자를 통해 시스템과 혹은 다른 광섬유와 광접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본 발명은 인입용 혹은 옥외용 다심 광케이블의 말단에 커넥터를 결합하고 이를 포설하는 과정에 광섬유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분기된 광 접속자가 결합된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Preconnectionized Cable)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인장선이 내장된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 보급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옥외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옥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및 옥외와 옥내사이에 설치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옥외용 케이블은 다시 공중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 및 해저에 설치되는 케이블로 구분된다. 옥내용 케이블은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즉, 천장 혹은 바닥, 벽 등에 설치하는 케이블이고,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과 옥내용 케이블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근거리 지역간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광섬유케이블 중 인입용 혹은 옥외용 광케이블에 주로 관련된 것으로, 전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옥외용 광섬유 케이블은 외부환경 즉, 자연적인 현상 즉, 바람이나 눈, 비, 충격 혹은 인장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인장선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옥내용 케리블은 주로 실내에 설치되고 단거리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케이블내에 인장선이 없는 없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인입용 케이블은 옥외용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옥내용 케이블 혹은 각 가입자의 통신시스템으로 분배시키는 과정에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수성이 우수해야 하고 외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설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인입용 혹은 옥외용 다심 광섬유 케이블은 일단 포설을 완료한 뒤 신속하게 광선로를 개통시키기 위해 커넥터 혹은 스플라이싱 혹은 융착접속등과 같은 광접속수단을 이용하여 광섬유들을 광접속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전송 및 광통신 시스템에 광섬유를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광섬유 끝단에 광 커넥터가 장착되어야 한다. 종래의 광접속방법의 일 예로서는 기계식 스플라이싱 접속방법 혹은 융착접속방법이 행해지고 있는데, 현재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 광접속작업을 할 경우 요구하는 광특성이 잘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불편한 문제가 수반된다. 특히 광섬유의 심선 수가 많은 예를 들어 36심용 광섬유를 갖는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경우, 상술한 불편함과 문제는 더욱 가중된다.
즉, 상기한 광접속작업은 대개 협소한 통신구나 배관파이프의 말단 혹은 단자함에서 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불량하여 접속작업성을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블의 포설 후 광 케이블의 말단에 광접속자 즉, 커넥터 혹은 스플라이서를 접속하여 선로를 구현할 수 있는 분기 키트가 개발되게 되었다. 상기한 분기 키트의 일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5,231,688호(출원일:1991년 10월 7일)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에 따른 분기 키트는 인입된 광 케이블의 말단의 많은 광섬유들을 분기시키는 작업에는 유용하지만 광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배관 파이프 속으로 광케이블을 삽입시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위와 같은 이유로서 상기한 분기 키트는 광케이블을 배관 파이프 속으로 포설한 뒤 파이프로부터 배출된 광케이블의 단부의 광섬유를 분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구조적으로 분기작업에 유용하도록 설계되어 배관 파이프 속으로 분기키트를 진입시키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을 포설한 뒤 신속하게 광선로를 개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인입용 혹은 옥외용 케이블의 단부에 분기된 접속자를 일체로 결합하여 광케이블을 관로에 설치한 뒤 바로 광선로를 개통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광섬유의 단부에 결합되어진 광 접속자를 구비하고, 인장선을 갖는 다심 광케이블용 성단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입용 케이블 혹은 옥외용 광케이블의 포설작업시 다심 광섬유 케이블의 각각의 광섬유의 끝단에 각각의 접속자를 일체로 결합하고, 그 접속자를 보호하는 보호 캡을 갖는 광케이블용 성단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장선이 들어 있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의 말단을 보호함과 동시에 통신구나 혹은 배관파이프속으로 광케이블을 인입시키기 위한 끌기고리를 갖는 광케이블용 성단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광케이블용 성단조립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각각의 광섬유가 관통하는 통로와, 인장선이 삽입되는 클램프홀을 구비하는 웨징부재와;
상기 웨징부재를 광섬유 케이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통로를 관통한 광섬유의 끝단에 결합되는 광접속자와;
상기 광접속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웨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빈 공간부를 구비하는 캡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의 말단은 캡에 의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관로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성단케이블이 캡이 관로의 형태에 따라 변형되면서 광섬유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웨징부재에 의해 포위된 다심 광섬유의 각각의 끝단에는 단심 혹은 다심용 광접속자가 결합된 상태로 보호되게 됨으로 광케이블을 포설할 때 접속자가 함께 배관 파이프 혹은 통신구속으로 삽입되어 광접속자를 통해 즉시 각 통신시스템들과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광접속 작업이 매우 용이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결합된 인입용 혹은 옥내용 광섬유의 성단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징부재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징부재를 광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징부재를 광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광섬유를 가이드하기 위한 웨징부재와 분리된 가이드부재의 변형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a는 루즈 타입형 광케이블에 따른 가이드부재이고, 도 4b는 슬롯타입형 광 케이블에 따른 가이드 부재이다.
도 5는 도 2a와 유사한 도면으로, 웨징부재의 대직경부의 외경과 캡의 내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호간을 연결시키는 커플러가 채용된 상태를 예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광섬유 케이블 11:인장선
13:광섬유 20:웨징부재
21:소직경부 22:통로
21a,23b:나사산 23:대직경부
24:플러그 24a:나사산
25:플랜지 27:클램프홀
28:가압부재 28a:걸림턱
30:캡 31:끌기고리
33:나사산 40:커플러
S:접속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및 도 2a는 내부에 인장선이 들어 있는 종래의 광케이블에 본 발명의 성단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내부에 인장선이 들어 있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이고, 20은 광섬유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된 웨징부재이며, 30은 웨징부재(20)를 둘러싸는 캡이다.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은 광섬유의 케이블링시 루즈튜브형 혹은 스롯형 케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단지 내부에 인장선이 들어 있는 케이블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첫째, 다심 광 섬유 케이블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둘째 광섬유(13)들의 단부에 결합된 접속자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와 차단시키는 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웨징부재(20)속으로 삽입된 광섬유(13)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배치시키기 위해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통로를 갖는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웨징부재(20)는 소직경부(21)와 대직경부(23)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직경부(21)에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되는 곳이고, 대직경부(23)에는 각각의 광섬유(13)들이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한 소직경부(21)는 광 케이블의 외경과 동일 유사한 직경을 지니고 있다. 대직경부(23)의 원주면에는 각각 나사산(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통로가 축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직경부의 중앙부에는 케이블(10)의 인장선이 삽입되는 클램프홀(27)이 축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나사산(23a)은 웨징부재(20)의 입구쪽 나사산의 외경이 작고, 그 내측의 지름이 크게 즉,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웨징부재(20)는 소직경부(21)와 대직경부(23)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5)와, 소직경부(21)와 플랜지(25)사이에는 상기한 클램프홀(27)까지 통해진 복수개의 탭구멍(29)을 구비하고 있다. 탭구멍(29)에는 스크류(29a)가 결합되게 된다.
상술한 광섬유(13) 가이드용 통로(22)는 케이블의 형태에 따라 그 구조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심 광섬유 케이블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즈튜브형 케이블인 경우 통로(22)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웨징부재(20)와 별도로 통로(22)를 구비한 플러그(24)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심광섬유 케이블(10)이 슬롯형 케이블인 경우 통로(22) 역시 슬롯형상을 갖는 플러그(24)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24)를 웨징부재(20)속으로 삽입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4)의 원주면에는 나사산(24a)을 배치하고, 웨징부재(20)의 내경에는 플러그(24)의 나사산(24a)과 맞물리는 대응 나사산을 배치한다.
대직경부(23)의 나사산(23a)에는 일측단이 막히고 내부가 빈 캡(3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캡(3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요성(Flexible)을 갖도록 알루미늄소재를 주름관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의 단부에는 그 자유단에 끌기고리(31)가 부착될 수도 있다. 주름관은 캡이 관로에 진입하는 과정에 관로의 굴곡에 따라 변형되어 관로속으로 잘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끌기고리(31)는 광케이블을 배관 파이프 속으로 진입시킬 때 웨징부재(20)를 로프 등으로 잡아당길 때 유용하다.
이상의 구성요소 중 광섬유 케이블(1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대표적인 실시예로서는 상기 크램프홀(27)속으로 삽입된 광케이블(10)의 인장선(11)의 표면을 스크류(29a)로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인장선(11)과 스크류(29a)의 끝단 사이에 가압부재(28)를 채용할 수도 있다. 가압부재(28)는 반원형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 외경이 상술한 클램프홀(27)의 내경과 유사한 직경을 지니고, 그 내경은 인장선(11)의 외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는다. 가압부재(28)의 내경에는 인장선(11)이 후퇴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배치된 걸림턱(28a)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웨징부재(20)는 스크류(29a)를 통해 클램프홀(27)에 삽입된 인장선을 통해 직접 웨징부재(20)를 고정하거나 가압부재(28)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28)는 광케이블에 그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웨징부재(20)가 광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다 더 확고히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징부재(20)의 대직경부(23)내에 다수의 통로(22)가 일체로 형성되고, 클램프홀(27)이 소직경부(21)쪽으로 연장시키고, 그 원주면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롯을 형성하고 그 내경에는 인장선이 후퇴되지 않도록 일방향성 걸림턱(28a)을 배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캡(30)은 광섬유(11)와 접속자(S)가 웨징부재(20)속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웨징부재(20)의 원주면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캡(3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금속소재로 주름관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단조립체를 관로속으로 삽입하거나 삽입되어지는 과정에 관로가 휘어진 곳을 통과할 때 그 형태가 관로의 굴곡에 따라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캡의 자유단에 끌기고리(31)를 부설할 수도 있다. 끌기고리(31)는 성단조립체를 관로에 포설할 때 성단조립체를 잡아당길 때 유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된 광 접속자가 결합된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케이블에 대한 조립예와 광섬유 케이블의 포설과정을 역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심 광섬유 케이블(10)의 단부에 웨징부재(2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광케이블(10)의 자켓을 탈피시켜 인장선(11)과 광섬유(13)을 일정길이로 노출시켜 웨징부재(20)의 소직경부(21)에 삽입한다. 노출된 인장선(11)은 클램프홀(27)속으로 삽입하여 스크류(29a)로 직접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8)를 씌워 클램프홀(27)속으로 삽입한다.
만일,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클램프홀(27)속으로 인장선(11)을 직접 삽입하면 스크류(29a)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웨징부재(20)를 광 케이블(10)의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출된 광섬유(11)들을 통로(22)속으로 삽입하여 그 단부에 접속자(S)를 조립한다. 이 경우 광섬유(13)를 통로(22)속으로 보다 손쉽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웨징부재(20)와 분리되어 통로(22)를 구비하는 플러그를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다시 말해서, 광섬유(13)를 웨징부재(20)속에 배치된 통로 속으로 삽입하는 것 보다는 웨징부재(2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출된 광섬유(13)를 플러그(24)의 통로(22)에 삽입하는 것이 작업성이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각의 광섬유 끝단에 광접속자(S) 즉, 스플라이서를 접속한 뒤 캡(30)을 웨징부재(20)의 대직경부(23)에 나사결합하여 밀폐시킨다.
아울러, 웨징부재(20)의 내부에 수납되는 광접속자(S)가 많은 경우에는 캡(30)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결국, 캡(30)의 내경이 커질 경우 웨징부재(20)의 대직경부(23)의 나사산(23a)과 캡(30)의 내경의 나사산의 직경이 차이가 생기게 됨으로 캡(30)이 결합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웨징부재(20)와 캡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과 외경에 각각 나사산이 배치된 커플러(40)를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커플러(40)의 내경은 웨징부재(20)의 나사산(23a)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경에는 캡(30)의 내경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나사산을 각각 배치한 것을 이용하면 캡(30)의 공간이 확장되더라도 성단 조립체를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와 같이 광 케이블의 단부에 성단 조립체가 조립되면 캡(30)의 끌기고리(31)에 로프나 와이어를 묶고 로프나 와이어를 배관 파이프 속으로 먼저 집어넣은 뒤 로프나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배관 파이프 속으로 다심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광케이블(10)은 캡(30)을 제거하여 광접속자(S)를 직접 시스템에 연결하거나 다른 광섬유와 연결시킴으로써 선로를 신속하게 개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된 접속자를 구비하는 광케이블용 성단 조립체는 광케이블의 포설작업 전 단계에서 광접속에 필요한 접속작업을 모두 완료한 상태로 건축물에 인입되게 됨으로 포설이 완료된 뒤 즉시 광선로를 개통시킬 수 있게 됨으로 불필요하게 광접속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통해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에 해당될 것이며, 이하에서 정의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둔다.

Claims (9)

  1. 각각의 광섬유가 관통하는 통로와, 인장선이 삽입되는 클램프홀을 구비하는 웨징부재와;
    상기 웨징부재를 광섬유 케이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통로를 관통한 광섬유의 끝단에 결합되는 광 접속자와;
    상기 광접속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웨징부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빈 공간부를 구비하는 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웨징부재의 대직경부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로와 클램프홀을 구성하고, 웨징부재의 상기 클램프홀과 통하는 복수개의 탭구멍을 형성하여 스크류를 통해 클램프홀속으로 삽입된 인장선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의 둘레에 가압부재를 중첩시켜 상기 클램프홀로 삽입하여 스크류에 의해 인장선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내경에 상기 인장선이 후퇴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일방향성 걸림턱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웨징부재의 소직경부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인장선을 수용하는 내경상에 복수개의 일방향성 걸림턱을 구비하고,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 절결된 슬롯을 구비하는 클램프홀과, 상기 클램프홀의 주위에 광섬유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로를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인장선에 웨징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 조립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플러그상에 배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웨징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징부재의 단부에 끌기 고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징부재와 캡을 조립할 때, 그 조립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 내경에는 상기 웨징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직경을 갖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외경에는 상기 캡의 내경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직경을 갖는 나사산으로 구성된 커플러로 상호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19970051191A 1997-09-30 1997-10-06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027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191A KR100276072B1 (ko) 1997-10-06 1997-10-06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CN98124311A CN1213783A (zh) 1997-09-30 1998-09-30 多纤光缆的端头组件
US09/163,165 US6104855A (en) 1997-09-30 1998-09-30 Terminal assembly for a multiple fiber optic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191A KR100276072B1 (ko) 1997-10-06 1997-10-06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79A true KR19990030779A (ko) 1999-05-06
KR100276072B1 KR100276072B1 (ko) 2001-01-15

Family

ID=4074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191A KR100276072B1 (ko) 1997-09-30 1997-10-06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62B1 (ko) * 2001-03-23 2003-05-27 엘지전선 주식회사 광성단 케이블 분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62B1 (ko) * 2001-03-23 2003-05-27 엘지전선 주식회사 광성단 케이블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072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5090C (en) Fiber optic cable having spliceless branch and method of making
JP4733115B2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CN101799574B (zh) 用于光学接头的接头保护装置
US6619697B2 (en) Y-branch splittable connector
EP2080051B1 (en) Improved hauling shroud for hauling a fibre optic cable along a conduit
JP2008501154A (ja) 別個のコネクタポートを有するテザー組立体
JP2008501153A (ja) 光ファイバ配線ケーブルの調節可能なテザー組立体
EP2457116A1 (en) Conne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urcated fibre optic cable
US20250028135A1 (en) System and deployment method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having a blowable section and a non-blowable section
KR100952825B1 (ko)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인장부재 지지장치
EP2157461A1 (en) Preassembled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assemled optical cables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100272771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성단조립체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KR100320408B1 (ko) 광케이블분기장치및그사용방법
KR100924393B1 (ko) 광섬유케이블 종단 조립용 보호 튜브
KR100362205B1 (ko) 포설용 케이블
KR100301686B1 (ko) 광케이블용성단조립체
KR200367181Y1 (ko) 가공 및 광가입자 분기 겸용 광케이블
KR100308504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20006395A (ko) 전선, 통신선용 케이블 덕트관
JP3749532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ダム
KR20000047116A (ko) 광케이블 풀링아이
JP3487972B2 (ja) 光ファイバ分岐用防水ケース
KR20000047102A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