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22559U -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의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의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559U
KR19990022559U KR2019990004456U KR19990004456U KR19990022559U KR 19990022559 U KR19990022559 U KR 19990022559U KR 2019990004456 U KR2019990004456 U KR 2019990004456U KR 19990004456 U KR19990004456 U KR 19990004456U KR 19990022559 U KR19990022559 U KR 19990022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upport
support member
mounting member
bol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3224Y1 (ko
Inventor
석창환
Original Assignee
석창환
파이오니아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창환, 파이오니아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창환
Priority to KR2019990004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2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터널(Tunnel)의 내벽면이나 천정의 경사면과 같은 경사진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우에 그 벽면의 경사도에 따라 트레이지지부재의 상하각도를 간편하면서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터널 등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마운팅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날개편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트레이를 받쳐주는 트레이지지부재와, 상기 날개편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지지부재의 후단 윗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제 1볼트와, 상기 마운팅부재의 상단과 트레이지지부재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마운팅부재에 결합된 트레이지지부재가 아랫쪽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회동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설치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트레이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암나사공과,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설치면상의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트레이지지부재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터널의 내벽이나 경사진 천정과 같이 경사진 벽면에 브래킷이 설치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간단하게 각도조절볼트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트레이지지부재의 설치각도가 조정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CABLE TRAY BRACKET}
본 고안은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Tunnel)의 내벽면이나 천정의 경사면과 같은 경사진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우에 그 벽면의 경사도에 따라 트레이지지부재의 상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터널의 벽면이나 대형 빌딩의 천정가장자리에는 시설내부의 각종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종류,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선된다.
이와 같이 벽면을 따라 수평상태로 배선되는 케이블들은 설치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체 무게 때문에 아랫쪽으로 늘어지는 데, 이와 같은 늘어짐현상을 방지하고, 케이블이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에서 배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트레이가 마련되고, 케이블이 배선되는 벽면에는 상기 케이블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장치가 동일선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터널 등의 벽면이나 경사진 천정과 같은 경사진 벽면에 설치되는 브래킷장치(10)는 터널 등의 벽면과 접하는 설치면(12)에 적어도 2개의 체결공(14)이 형성되고, 그 설치면(12)의 양측단으로부터 앞쪽으로는 윗부분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사선의 안내장공(16)이 형성되고, 아랫부분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18)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날개편(20)이 대칭되게 절곡된 형태의 마운팅부재(22)와,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날개편(20)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트레이(30)를 받쳐주는 트레이지지부재(40)와, 상기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을 통하여 끼워지며,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 윗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제 1볼트(50)와, 상기 날개편(20)상의 관통공(18)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제 1볼트(50)에 걸려 있는 트레이지지부재(40)의 하단을 받쳐주는 제 2볼트(6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브래킷장치(10)에서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설치면(12)상의 체결공(14)은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은 벽면과 가까운 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는 앞쪽 끝부분으로부터 뒤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그 종단면 구조가 'ㄷ'형을 이룬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뒤쪽 끝부분은 수직판(42)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그 수직판(4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1볼트(50)에 끼워져 걸리는 만곡진 형태의 걸림홈(44)이 형성된다.
또,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상면에는 케이블트레이(30)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볼트(50)와 제 2볼트(60)는 적어도 양쪽 날개편(20)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로 이루어지며,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과 관통공(18)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는 반대쪽에서 너트(52) 및 와셔(54)에 의하여 나사결합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가 예각을 이루는 경사진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이 윗쪽으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운팅부재(22)의 설치면(12)이 수평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진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설치면(12)의 윗쪽에 형성된 체결공(14)을 통하여 앵커볼트를 박으면 마운팅부재(22)가 벽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날개편(20)의 윗부분에 형성된 안내장공(16)을 통하여 제 1볼트(50)를 끼우고 반대쪽 날개편(20)의 바깥쪽에서 너트(52)를 결합한다.
또, 날개편(20)의 아랫부분에 형성된 관통공(18)을 통하여 제 2볼트(60)를 끼우고 반대쪽 날개편(20)의 바깥쪽에서 너트(5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 1볼트(50)와 제 2볼트(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을 막아주고 있는 수직판(4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44)을 제 1볼트(50)에 걸면 트레이지지부재(40)가 마운팅부재(22)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 1볼트(50)를 안내장공(16)에 따라 이동시키면 트레이지지부재(40)의 설치각도가 일정한 범위내에서 가변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너트(52)를 조이면 그 각도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에서 트레이지지부재(40)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제 1볼트(50)가 안내장공(16)의 뒤쪽에 위치되어야만 하고, 트레이지지부재(4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제 1볼트(50)를 안내장공(16)의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데, 이 경우 일일이 제 1볼트(50)를 고정시켜주고 있는 너트(52)를 풀고 제 1볼트(50)를 안내장공(16)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다시 너트를 조여야 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터널(Tunnel)의 내벽면이나 천정의 경사면과 같은 경사진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경우에 그 벽면의 경사도에 따라 트레이지지부재의 상하각도를 간편하면서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가 예각을 이루는 경사진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및 트레이지지부재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 : 안내장공 18 : 관통공
22 : 마운팅부재 30 : 케이블트레이
40 : 트레이지지부재 50 : 제 1볼트
60 : 제 2볼트 70 : 회동방지부재
110 : 각도조절볼트 120 : 장공
130 : 암나사공.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터널 등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마운팅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날개편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트레이를 받쳐주는 트레이지지부재와, 상기 날개편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지지부재의 후단 윗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제 1볼트와, 상기 마운팅부재의 상단과 트레이지지부재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마운팅부재에 결합된 트레이지지부재가 아랫쪽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회동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설치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트레이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암나사공과,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마운팅부재를 구성하는 설치면상의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트레이지지부재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100)는 터널 내벽 등의 경사진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마운팅부재(22)와,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날개편(20)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트레이(30)를 받쳐주는 트레이지지부재(40)와, 상기 마운팅부재(22)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트레이지지부재(40)의 상단 뒷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제 1볼트(50)와, 상기 마운팅부재(22)의 상단과 트레이지지부재(40)의 상단 뒷부분사이에 결합되어 트레이지지부재(40)가 아랫쪽으로 쳐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회동방지부재(70) 및 트레이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110)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며, 경사진 벽면과 접하는 설치면(12)의 상부에는 앵커볼트가 끼워지는 체결공(14)이,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공(120)이 형성된다.
또, 그 설치면(12)의 양측단으로부터 앞쪽으로는 소정 형상의 날개편(20)이 대칭되게 절곡형성된다.
상기 설치면(12)의 상단부 중앙에는 양측면에 축공(72)이 형성되고, 앞쪽이 개구된 'ㄷ'형의 축받이(74)가 세워져 설치된다.
또, 상기 축받이(74)상의 축공(72)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핀(80)이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52)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각 날개편(20)의 상부에는 벽면으로부터 가까운쪽에서 먼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일정한 길이의 안내장공(16)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는 앞쪽 끝부분으로부터 뒤쪽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이 개방된 'ㄱ'형을 이룬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뒤쪽 끝부분은 수직판(42)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그 수직판(4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1볼트(50)에 끼워져 걸리는 만곡진 형태의 걸림홈(44)이 형성되고, 수직판의 하부에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암나사공(130)이 형성된다.
또,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상면에는 케이블트레이(30)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46)이 형성되고, 그 후단의 상면에는 '凹'형태의 걸림편(90)이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제 1볼트(50)는 적어도 양쪽 날개편(20)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로 이루어지며,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는 반대쪽에서 와셔(54)를 매개로 너트(52)에 의하여 나사결합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110)는 트레이지지부재(40)의 설치각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별도의 너트(52)를 매개로 하여 상기 암나사공(13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회동방지부재(70)는 트레이지지부재(40)의 길이에 맞추어 임의의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한쪽 끝부분에는 체결핀(80)이 끼워지는 고리부(76)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부분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너트(52)가 결합되는 나사부(78)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및 트레이지지부재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100)에서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날개편(20)상의 안내장공(16)이 윗쪽으로 오도록 한 상태에서 그 설치면(12)을 경사진 벽면에 밀착시키고, 설치면(12)의 윗쪽에 형성된 체결공(14)을 통하여 앵커볼트를 체결하면 마운팅부재(22)가 예각을 이루는 경사진 벽면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날개편(20)의 윗부분에 형성된 안내장공(16)을 통하여 제 1볼트(50)를 끼우고 반대쪽 날개편(20)의 바깥쪽에서 와셔(54) 및 너트(5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 1볼트(50)가 양쪽 날개편(20)사이를 가로질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을 막아주고 있는 수직판(4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44)을 제 1볼트(50)에 걸면 트레이지지부재(40)가 마운팅부재(22)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볼트(110)를 수직판(42)상의 암나사공(130)에 너트(52)를 매개로 하여 나사결합하고, 그 내측단이 된 상태에서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설치면(12)상의 장공(120)을 통하여 끼워져 벽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트레이지지부재(4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각도조절볼트(11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각도조절볼트(110)가 벽면쪽으로 직선이동됨에 따라 트레이지지부재(40)는 윗쪽으로 회동된다.
또, 상기 각도조절볼트(11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각도조절볼트(110)가 벽면의 반대쪽으로 직선이동됨에 따라 트레이지지부재(40)는 아랫쪽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지지부재(40)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회동시켜 원하는 각도에 맞추고 제 1볼트(50)에 체결된 너트(52)를 조이면 각도조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한쪽 끝부분이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설치면(12)상에 결합된 회동방지부재(70)의 앞부분을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에 설치된 '凹'형태의 걸림편(90)에 끼운 다음, 걸림편(90)의 앞쪽으로 돌출된 회동방지부재(70)의 선단부에 와셔(54)와 너트(52)를 결합하고 조인다.
이와 같이 회동방지부재(7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트레이지지부재(4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회동방지부재(70)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트레이지지부재(40)가 아랫쪽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터널의 내벽이나 경사진 천정과 같이 경사진 벽면에 브래킷이 설치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간단하게 각도조절볼트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트레이지지부재의 설치각도가 조정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1)

  1. 터널 등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마운팅부재(22)와,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날개편(20)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트레이(30)를 받쳐주는 트레이지지부재(40)와, 상기 날개편(20)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 윗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제 1볼트(50)와, 상기 마운팅부재(22)의 상단과 트레이지지부재(40)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마운팅부재(22)에 결합된 트레이지지부재(40)가 아랫쪽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회동방지부재(70)로 이루어지는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설치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공(120)과;
    상기 트레이지지부재(40)를 구성하는 수직판(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암나사공(130)과;
    상기 암나사공(130)에 나사결합되고 마운팅부재(22)를 구성하는 설치면(12)상의 장공(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트레이지지부재(4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의 각도조절장치.
KR2019990004456U 1999-03-19 1999-03-19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KR200283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56U KR200283224Y1 (ko) 1999-03-19 1999-03-19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56U KR200283224Y1 (ko) 1999-03-19 1999-03-19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559U true KR19990022559U (ko) 1999-07-05
KR200283224Y1 KR200283224Y1 (ko) 2002-07-26

Family

ID=5475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456U KR200283224Y1 (ko) 1999-03-19 1999-03-19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2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05Y1 (ko) * 2012-06-20 2013-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지지장치
CN109281708A (zh) * 2018-11-15 2019-01-29 河南安诺尼机械设备有限公司 隧道系统及其托架
CN111884147A (zh) * 2020-08-19 2020-11-03 大航有能电气有限公司 一种可调整角度的插接箱用操作架及其使用方法
KR102349404B1 (ko) * 2021-05-07 2022-01-12 (주)이룸이앤씨 지중 배전용 케이블 적층장치
KR102611323B1 (ko) * 2022-12-30 2023-12-07 특허법인 해안 내진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시공방법
CN117996661A (zh) * 2024-04-07 2024-05-07 山东瑞能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活动组装的街码走线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05Y1 (ko) * 2012-06-20 2013-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지지장치
CN109281708A (zh) * 2018-11-15 2019-01-29 河南安诺尼机械设备有限公司 隧道系统及其托架
CN111884147A (zh) * 2020-08-19 2020-11-03 大航有能电气有限公司 一种可调整角度的插接箱用操作架及其使用方法
KR102349404B1 (ko) * 2021-05-07 2022-01-12 (주)이룸이앤씨 지중 배전용 케이블 적층장치
KR102611323B1 (ko) * 2022-12-30 2023-12-07 특허법인 해안 내진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시공방법
CN117996661A (zh) * 2024-04-07 2024-05-07 山东瑞能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活动组装的街码走线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224Y1 (ko) 200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248B1 (en) Cable rack mounted cable puller and installation system
US7665699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for a horizontal support
US7014154B2 (en) LCD monitor stand
KR10213370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US6101675A (en) Pivoting and telescoping curtain dual-rod bracket for bay windows
US4805863A (en) Brace and shelf support assembly
JPS62110201A (ja) スポツトライトの取付装置
US4104829A (en) Roller and hanger assembly for by-pass doors
KR200283224Y1 (ko)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
KR200266527Y1 (ko)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
KR19990022561U (ko)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의길이조절장치
KR200273502Y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장치
KR19990022558U (ko)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장치
KR10072831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88504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FI93282C (fi) Laite johtokanavan irrotettavaa kytkemistä varten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KR102218395B1 (ko)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활차
US6318698B1 (en) Suspension device for an object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JP3722184B2 (ja) 軒裏板の支持構造
KR19990014355U (ko) 커텐걸이장치
JPH08165765A (ja) 軒樋吊り具
KR200179863Y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의 지지장치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01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08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7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