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317U -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0317U KR19990020317U KR2019970033770U KR19970033770U KR19990020317U KR 19990020317 U KR19990020317 U KR 19990020317U KR 2019970033770 U KR2019970033770 U KR 2019970033770U KR 19970033770 U KR19970033770 U KR 19970033770U KR 19990020317 U KR19990020317 U KR 1999002031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plate
- mold base
- fixed
- mold
- injection mo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는,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관통구멍에 고정 설치판의 로케이트 링을 일치시켜 끼우기가 매우 곤란하고 번거로워 몰드 베이스의 교체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관통구멍과 일치되도록 노즐구멍을 갖는 로케이트 링이 부착되고,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한쪽 면 하부에 로케이트 링과 동축선상에 위치됨과 아울러 로케이트 링보다 큰 돌출 높이를 갖는 안내 블록이 조립되며, 고정 설치판의 한쪽 중앙에 로케이트 링이 끼워지도록 고정홈이 형성되고, 고정홈의 하부에 안내 블록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하부가 트인 안내홈이 형성되며, 안내홈은 로케이트 링과 고정홈의 중심이 일치될 때 안내 블록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가지고, 고정홈과 안내홈은 로케이트 링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고정홈의 깊이보다 얕게 하부가 트인 연결홈에 의해 연이어진다. 따라서, 안내 블록이 고정 설치판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로케이트 링이 고정홈에 정확하게 끼워져 몰드 베이스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몰드 베이스의 교체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의 몰드 베이스(mold bas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 베이스의 설치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한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몰드 베이스의 캐버티(cavity)에 용융된 성형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여 소정의 모양과 치수를 가진 물건을 제작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출성형은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사출성형에 필요한 몰드 베이스는 한쌍의 고정 및 가동 형판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사출성형기에 대한 하나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어 살펴 보면, 사출성형기(10)는 호퍼(11)로부터 공급되는 성형 재료를 가열에 의해 용융시키는 가열 실린더(12)의 끝에 융용 상태의 성형 재료를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13)이 장착되고, 가열 실린더(12)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이 설치된다. 이 가열 실린더(12)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클램프 기구(clamp unit: 15)가 설치되며, 클램프 기구(15)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과 대향되도록 가동측 금형부착판(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사출성형기(10)는 가열 실린더(12)의 가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의 성형 재료를 성형하는 몰드 베이스(2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편, 몰드 베이스(20)는 사출성형기(10)의 고정측 금형부착판(14)에 고정 설치판(21)이 설치되고, 고정 설치판(21)의 한쪽에 고정 형판(22)이 조립되며, 고정 형판(22)의 분할면에는 캐버티(23)가 형성된다. 몰드 베이스(20)는 사출성형기(10)의 클램프 기구(15)에 가동 설치판(24)이 설치되고, 가동 설치판(24)의 한쪽에 스페이스 블록(space block: 25)과 가동 형판(26)이 조립되며, 가동 형판(26)의 분할면에 코어설치구멍(27)이 형성된다. 가동 형판(26)의 코어설치구멍(27)에는 코어(28)가 설치되고, 코어(28)는 고정 형판(22)의 캐버티(23)에 맞춤되어 소망하는 사출성형품(P)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사출성형품(P)은 이젝트 기구(29)의 작동에 의해 캐버티(23)로부터 빼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가열 실린더(12)의 노즐(13)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 설치판(21)의 한쪽에 로케이트 링(locate ring: 30)이 부착되며, 로케이트 링(30)은 노즐(13)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노즐구멍(31)을 갖는다. 이때, 몰드 베이스(20)는 고정 설치판(21)과 가동 설치판(24)이 조합된 상태로 가열 실린더(12)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실린더(12)의 노즐(13)과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로케이트 링(30)의 노즐구멍(31)을 노즐(13)에 끼운 후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과 고정 설치판(21)을 체결에 의해 조립시킨다. 한편, 몰드 베이스(20)는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관계로 크레인(crane: C)의 사용에 의해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는,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에 고정 설치판(21)의 로케이트 링(30)을 일치시켜 끼우기가 매우 곤란하고 번거로운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고정 설치판(21)과 가동 설치판(24)이 맞춤되어 그 중량이 비교적 무겁운 몰드 베이스(20)를 크레인(C)에 의해 들어 올려 이동시키면서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과 로케이트 링(30)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끼우는데 상당한 작업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몰드 베이스(20)의 이동에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몰드 베이스(20)의 교체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몰드 베이스의 설치가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성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사출 성형기 12: 가열 실린더
14: 고정측 금형부착판 16: 가동측 금형부착판
20: 몰드 베이스 21: 고정 설치판
22: 고정 형판 24: 가동 설치판
26: 가동 형판 40: 로케이트 링
45: 안내 블록 50: 고정홈
51: 안내홈 52: 걸림턱
53: 연결홈 P: 사출성형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성형 재료를 용융시키는 가열 실린더의 끝에 노즐이 장착되고 가열 실린더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이 설치되며 클램프 기구의 한쪽에 가동측 금형부착판이 설치되는 사출성형기와, 고정측 금형부착판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판과 가동측 금형부착판에 설치되는 가동 설치판 사이에 고정 및 가동 형판이 조립되는 몰드 베이스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로서, 가열 실린더의 노즐이 위치되는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관통구멍과 서로 일치되도록 노즐구멍을 갖는 로케이트 링이 부착되고,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한쪽 면 하부에 로케이트 링과 동축선상에 위치됨과 아울러 로케이트 링보다 큰 돌출 높이를 갖는 안내 블록이 조립되며, 고정 설치판의 한쪽 중앙에 로케이트 링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도록 고정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고정홈의 하부에 안내 블록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하부가 트인 안내홈이 형성되며, 안내홈은 로케이트 링과 고정홈의 중심이 서로 일치될 때 안내 블록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가지고, 고정홈과 안내홈은 로케이트 링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고정홈의 깊이보다 얕게 하부가 트인 연결홈에 의해 연이어지는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사출성형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출성형기(10)는 호퍼(11)로부터 공급되는 성형 재료를 가열에 의해 용융시키는 가열 실린더(12)의 끝에 노즐(13)이 장착되고, 노즐(13)은 가열 실린더(12)에 의해 용융된 상태의 성형 재료를 분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가열 실린더(12)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이 설치되며, 이 가열 실린더(12)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클램프 기구(15)가 설치되고, 클램프 기구(15)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14)과 대향되도록 가동측 금형부착판(16)이 설치된다.
한편, 가열 실린더(12)의 가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의 성형 재료를 성형하는 몰드 베이스(20)는 사출성형기(10)의 고정측 금형부착판(14)에 고정 설치판(21)이 체결에 의해 설치되고, 고정 설치판(21)의 한쪽에 고정 형판(22)이 조립되며, 고정 형판(22)의 분할면에는 캐버티(23)가 형성된다. 몰드 베이스(20)는 사출성형기(10)의 가동측 금형설치판(16)에 가동 설치판(24)이 체결에 의해 설치되고, 가동 설치판(24)의 한쪽에 스페이스 블록(25)과 가동 형판(26)이 조립되며, 가동 형판(26)의 분할면에 코어설치구멍(27)이 형성된다. 가동 형판(26)의 코어설치구멍(27)에는 코어(28)가 설치되고, 코어(28)는 가동 설치판(24)의 이동에 의해 고정 형판(22)의 캐버티(23)에 맞춤되어 소망하는 사출성형품(P)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사출성형품(P)은 이젝트 기구(29), 예를 들어 상,하부 밀판과 이젝트 핀의 작동에 의해 캐버터(23)로부터 빼내지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 기구(13)의 작동에 의해 가동 설치판(24)을 이동시켜 고정 형판(22)의 캐버티(23)와 가동 형판(26)의 코어(28)를 맞춤시킨 상태에서, 가열 실린더(12)의 가열에 의해 용융 상태의 성형 재료를 캐버티(23)에 주입시킨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가동 설치판(24)의 이동에 의해 캐버티(23)를 열고 이젝트 기구(29)의 작동에 의해 성형된 상태의 사출성형품(P)을 캐버티(23)로부터 밀어 빼낸 다음에 이것을 고화시켜 소망하는 물건을 제작한다.
도 3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실린더(12)의 노즐(13)에는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한쪽 면에 관통구멍(14a)과 서로 일치되도록 로케이트 링(40)이 부착되고, 로케이트 링(40)은 노즐(13)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노즐구멍(41)을 갖는다.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한쪽 면 하부에는 로케이트 링(40)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대략 원기둥 형상체의 안내 블록(guide block: 45)이 조립된다. 여기에서, 안내 블록(45)의 돌출 높이는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한쪽 면을 기준으로 하여 로케이트 링(40)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몰드 베이스(20)는 고정 설치판(21)의 한쪽 중앙에 로케이트 링(40)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도록 고정홈(50)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고정홈(50)의 하부에 안내 블록(45)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하부가 트인 안내홈(51)이 형성되며, 안내홈(51)은 로케이트 링(40)의 중심과 고정홈(50)의 중심이 서로 일치될 때 안내 블록(45)이 걸리는 걸림턱(52)을 갖는다.
또한, 고정 설치판(21)의 고정홈(50)과 안내홈(51)은 하부가 트인 연결홈(53)에 의해 서로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연결홈(53)의 폭은 로케이트 링(40)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홈(50)의 깊이보다 얕게 형성된다. 그리고, 몰드 베이스(20)는 고정 설치판(21)과 가동 설치판(24)이 서로 조합된 상태로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되고, 이 몰드 베이스(20)를 사출성형기(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C)을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실린더(12)의 노즐(13)과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로 끼우면서 로케이트 링(40)의 노즐구멍(46)에 노즐(13)을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운 후에, 고정 설치판(21)과 가동 설치판(24)이 조합된 상태의 몰드 베이스(20)를 크레인(C)의 구동에 의해 들어 올린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인(C)의 구동에 의해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상방으로 몰드 베이스(2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안내 블록(45)과 고정 설치판(21)의 안내홈(51)이 동축선상에 대략 일치시킨다. 그리고, 고정설치판(21)의 안내홈(51)을 따라 안내 블록(45)이 안내되도록 몰드 베이스(20)를 하강시키게 되면, 안내 블록(45)이 안내홈(51)을 따라 안내되는 것에 의해 로케이트 링(40)이 연결홈(53)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로케이트 링(40)이 고정 설치판(21)의 연결홈(53)을 따라 안내되는 과정에서, 안내홈(51)의 걸림턱(52)에 안내 블록(45)이 걸리게 되면, 로케이트 링(40)의 중심과 고정홈(5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케이트 링(40)과 고정홈(50)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을 향하여 몰드 베이스(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로케이트 링(40)이 고정홈(50)에 정확하게 끼워지면서 몰드 베이스(20)가 사출성형기(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안내 블록(45)이 고정 설치판(21)의 안내홈(51)을 따라 안내되는 것에 의해 몰드 베이스(20)의 흔들림이나 자세의 틀어짐이 방지되면서 몰드 베이스(2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몰드 베이스(20)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몰드 베이스(20)의 교체시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에 의하면, 고정측 금형부착판의 안내 블록이 고정 설치판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로케이트 링이 고정홈에 정확하게 끼워지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몰드 베이스의 설치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몰드 베이스의 교체시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 성형 재료를 용융시키는 가열 실린더의 끝에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가열 실린더의 한쪽에 고정측 금형부착판이 설치되며 클램프 기구의 한쪽에 가동측 금형부착판이 설치되는 사출성형기와, 상기 고정측 금형부착판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판과 상기 가동측 금형부착판에 설치되는 가동 설치판 사이에 고정 및 가동 형판이 조립되는 몰드 베이스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로서,상기 가열 실린더(12)의 노즐(13)이 위치되는 상기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관통구멍(14a)과 서로 일치되도록 노즐구멍(41)을 갖는 로케이트 링(40)이 부착되고,상기 고정측 금형부착판(14)의 한쪽 면 하부에 상기 로케이트 링(40)과 동축선상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로케이트 링(40)보다 큰 돌출 높이를 갖는 안내 블록(45)이 조립되며,상기 고정 설치판(21)의 한쪽 중앙에 상기 로케이트 링(40)이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도록 고정홈(50)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상기 고정홈(50)의 하부에 상기 안내 블록(45)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하부가 트인 안내홈(51)이 형성되며,상기 안내홈(51)은 상기 로케이트 링(40)과 상기 고정홈(50)의 중심이 서로 일치될 때 상기 안내 블록(45)이 걸리도록 걸림턱(52)을 가지고,상기 고정홈(50)과 안내홈(51)은 상기 로케이트 링(40)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홈(50)의 깊이보다 얕게 하부가 트인 연결홈(53)에 의해 연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770U KR19990020317U (ko) | 1997-11-25 | 1997-11-25 |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3770U KR19990020317U (ko) | 1997-11-25 | 1997-11-25 |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0317U true KR19990020317U (ko) | 1999-06-15 |
Family
ID=6969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3770U Withdrawn KR19990020317U (ko) | 1997-11-25 | 1997-11-25 |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0317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929B1 (ko) * | 2008-02-19 | 2009-03-09 | 조한민 | 사출기 |
KR100945843B1 (ko) * | 2008-05-22 | 2010-03-08 | 삼일화학주식회사 |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
-
1997
- 1997-11-25 KR KR2019970033770U patent/KR19990020317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929B1 (ko) * | 2008-02-19 | 2009-03-09 | 조한민 | 사출기 |
KR100945843B1 (ko) * | 2008-05-22 | 2010-03-08 | 삼일화학주식회사 |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20193B2 (ja) | 射出成形用カセット金型ホルダー | |
KR100736690B1 (ko) | 다이캐스팅 금형 이젝팅 장치 | |
JPH01128811A (ja) | 成形装置の型交換機構 | |
KR19990020317U (ko) | 사출성형기의 몰드 베이스 설치 구조 | |
CN215703775U (zh) | 一种可拆卸司筒套的模具结构 | |
KR20180014025A (ko) | 사출 성형기 | |
KR101464548B1 (ko) | 게이트 자동절단 사출금형 | |
CN210415308U (zh) | 汽车保险杠多喷头快速成型注塑模具 | |
CN212707817U (zh) | 一种具有鸭嘴式潜浇口的注塑成型装置 | |
KR100232820B1 (ko) |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 |
JPH07276446A (ja) | 射出成形金型装置 | |
CN209257380U (zh) | 一种用于制造车用音箱盖板的模具 | |
US4030869A (en) | Locating ring for injection molds | |
CN217395570U (zh) | 一种提升使用强度的模具 | |
CN218519098U (zh) | 一种注塑模具 | |
JPH08258092A (ja) | 射出成形装置 | |
CN218256534U (zh) | 一种定位销高度可调节的模具 | |
KR200155571Y1 (ko) | 사출금형의 사이드게이트 절단장치 | |
JPH07205237A (ja) | 射出成形機の型締めユニット | |
CN220636273U (zh) | 一种压铸机通用的快接组件 | |
CN220073133U (zh) | 一种耳针自动弯圈字印机 | |
CN220464573U (zh) | 一种托盘注塑脱模机构 | |
CN221136754U (zh) | 一种便于扣位大而内部空间小的工件脱模的注塑模具 | |
JPH0426290B2 (ko) | ||
CN218749088U (zh) | 一种挡泥板用模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12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