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4084A - 먼지 필터 주머니 - Google Patents

먼지 필터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84A
KR19990014084A KR1019980029591A KR19980029591A KR19990014084A KR 19990014084 A KR19990014084 A KR 19990014084A KR 1019980029591 A KR1019980029591 A KR 1019980029591A KR 19980029591 A KR19980029591 A KR 19980029591A KR 19990014084 A KR19990014084 A KR 1999001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filter bag
bag according
dust
pa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164B1 (ko
Inventor
울리히 프로이덴베르크
Original Assignee
요아힘 호른
칼 프로이덴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아힘 호른, 칼 프로이덴베르크 filed Critical 요아힘 호른
Publication of KR1999001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dry state, e.g. thermo-activatable agents in solid or molten state, and heat being applied subsequentl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3The layers being joined by hydro-entang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81The layers being joined by glu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8Dust bag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2Vacuum cleane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층(2)과 함께 적층된 섬유 층으로 이루어진 먼지 필터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섬유 층(4, 5)은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지며 종이 층(2)의 순수한 가스 측면(3)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먼지 필터 주머니
본 발명은 종이 층과 함께 적층된 섬유 층으로 이루어진 먼지 필터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 주머니에는 여러 가지 요구가 제기된다. 한가지 목표는 높은 필터 작용, 즉 높은 분리율을 얻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필터 다공이 충분히 작아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먼지 필터 주머니의 필터 다공이 막히지 않아야만, 예컨대 진공 청소기의 높은 흡입력이 유지되고 일정 충전량에 이르기 전에 먼지 필터 주머니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먼지 필터 주머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만, 설치하는 동안 또는 충전된 상태에서 찢어지지 않는다. 보다 많은 폴딩 공정에 의해 주머니를 제조하기 위해서도 적합한 강도가 필요하다.
다공성 부직포 및 필터 종이로 이루어진 먼지 필터 주머니는 유럽 특허 공개 제 0 635 297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2층의 먼지 필터 주머니로 가공된다. 부직포로는 먼지 필터 주머니의 내부면을 덮으며 먼지 필터 주머니를 강화시키는 멜트 블로운-스펀 본드(melt blown-spun bond) 부직포가 사용된다. 그러나, 강화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다른 먼지 필터 주머니는 유럽 특허 제 0 388 479 B1호에 공지되어 있다. 거기에 공지된 먼지 필터 주머니는 외부에 놓인 필터 종이 및 내부에 놓인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부직포는 스펀 본드 부직포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유입면에 배치된다. 스펀 본드 부직포의 필라멘트는 열가소성 상태에서 필터 종이상에 직접 놓여 이것과 결합될 수 있다.
스펀 본드 부직포는 마찬가지로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공지된 먼지 필터 주머니의 단점은 물, 또는 정화될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그밖의 액체의 흡입시 필터 종이 외부층이 젖어 그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먼지 필터 주머니의 먼지 흡입시 또는 분리시 그것이 찢어지거나 주변이 오염될 위험이 있다. 가장 미세한 입자와 관련한 필터 작용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먼지 필터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3층의 먼지 필터 주머니의 단면도.
도 2는 용융된 중합체 영역을 가진, 섬유층으로 형성된 먼지 필터 주머니 외부면의 평면도.
도 3은 용융된 중합체 영역에서 도 2에 따른 3층의 먼지 필터 주머니의 단면도.
도 4는 다수의 폴딩을 가진 3층의 먼지 필터 주머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입 측면 2: 종이 층
3: 순수한 공기 측면 4: 스펀 본드 부직포
5: 멜트-블로운 부직포 6, 7: 사이 공간
8: 표면 구조물 9: 중합체 영역
10: 띠 12: 먼지 필터 주머니
13: 폴딩
본 발명에서는 섬유 층이 합성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지고 종이 층의 순수한 가스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종이 층의 강도 저하가 더 이상 먼지 필터 주머니의 손상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먼지 필터 주머니의 내부에서 종이 층이 찢어지는 경우에도 먼지 입자가 먼지 필터 주머니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놓인 섬유층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미세 먼지와 관련한 필터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해 섬유가 정전기적으로 하전될 수 있다.
순수한 가스 측면상에 배치된,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층에 부가해서, 경우에 따라 먼지 공기 측면상에 합성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부가의 섬유층이 제공되어 특정한 특성을 부가로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먼지 필터 주머니의 원가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에서 순수한 공기 측면에만 합성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이 적어도 고유의 강도를 가진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종이 층의 완전한 파괴시에도 먼지 필터 주머니가 충분히 안정하고 필터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우에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먼지로 채워진 먼지 필터 주머니의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부직포는 상호 접착에 의해 및/또는 그것을 형성하는 섬유 및/또는 드레드를 꼬아 합침에 의해 습기에 안정하도록 강화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용융된 중합체 영역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에 의해 부가로 강화되고 종이 층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합체 영역이 창문형으로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특히 중합체 영역이 띠형태로 형성되면, 부직포에 개선된 강도를 제공하는 강화 구역이 주어진다.
중합체 영역은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먼지 챔버를 형성하도록 분포될 수 있다. 종이는 그것의 종이 결합으로 인해 먼지 필터 주머니의 사용 동안 그것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에 대해 강성을 가지며 휘어지지 않는 반면, 순수한 가스 측면에서는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사이 영역에서 섬유층의 탄성 변형이 나타난다. 이것은 가장 미세한 먼지가 수집될 수 있는 먼지 챔버를 형성시킨다. 특히, 알레르기 발생 감소와 관련해서 이러한 디자인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합체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내로 침투할 수 있고, 종이 층내에서 그것은 섬유 구조를 부가로 강화시킨다. 이로 인해, 종이 결합의 약한 구조물이 긍정적으로 변한다. 중합체 영역에 의해 종이 층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개선된다.
다른 측면상에서는 수분 흡수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폴딩의 형성을 위해 바람직한 종이 층의 사용이 유지될 수 있다. 종이 층에 의해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순수한 섬유 층에 대한 먼지 필터 주머니의 폴딩 가능성이 주어진다. 폴딩 가능성은 에지 영역에서 용융된 중합체 영역의 긴밀한 패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중합체 영역을 형성하는 띠는 연결되지 않게 형성되고, 서로 변위된다. 즉,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먼지 필터 주머니는 섬유층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특히 상기 층들이 상이한 기능을 해야할 때 바람직하다.
특히, 순수한 가스 측면을 향한 섬유 층은 스펀 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펀 본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마모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다. 이것은 먼지 필터 주머니가 제조, 설치 또는 작동 동안 거친 표면과 접촉되는 경우에 중요하다.
또한, 종이 층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섬유 층이 제공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층에서 특히 가장 미세한 먼지와 관련해서 개선된 필터 특성이 얻어짐으로써, 먼지 필터 주머니의 사용 범위가 확대된다.
섬유층 총량이 5 내지 50g/㎡ 일때 마이크로 섬유 층이 5g/㎡ 내지 40g/㎡(ISO 536)의 중량을 가지면, 매우 양호한 청소 효과와 먼지 필터 주머니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얻어진다.
종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20g/㎡ 내지 100g/㎡s(ISO 536)의 중량을 갖는다.
완성된 제품의 통기성은 200Pa의 차압에서 100 내지 300 l/㎡(DIN 53887)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필터 주머니가 도시된다. 먼지 필터 주머니는 먼지 가스 측면 또는 흡입 측면(1)을 향한 종이 층(2)으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진 스펀 본드 부직포(4)로 형성된 중합체 재료의 섬유 층은 순수한 공기 측면(3)을 향한다.
종이 층(2)과 스펀 본드 부직포(4) 사이에는 열가소성 섬유의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5)로 이루어진 중합체 재료의 섬유층이 놓인다.
종이 층(2)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는 서로 느슨하게 놓이므로, 사이 공간(6)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스펀 본드 부직포(4)가 멜트-블로운 부직포(5)에 느슨하게 놓이므로, 부분 영역에 사이 공간(7)이 생긴다.
스펀 본드 부직포(4)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이것이 점용접에 의해 국부적으로 이격된 장소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표면 구조물(8)이 존재한다.
도 2에는 먼지 필터 주머니의 순수한 가스측 표면이 도시된다. 띠(10) 형태의 용융된 중합체 영역(9)이 나타난다. 띠(10)는 서로 변위되어 배치되고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띠(10)는 서로 임의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와플 또는 벌집 패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챔버가 횡방향 결합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필터 표면이 최상으로 이용되고 개별 챔버내에서 압력 피크가 피해진다. 띠 구조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서로 이격된 개별 용접 구역의 연속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띠(10)는 먼지 포켓(11), (11')을 제한한다. 상기 먼지 포켓(11), (11')은 중합체 영역(9) 및 띠(10)의 통일성 없는 구조로 인해 서로 연결된다.
먼지 포켓(11)이 서로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하나의 챔버의 다공이 막힌 후에, 인접한 챔버의 다공이 이용될 수 있으면, 먼지 포켓(11)으로부터 인접한 먼지 포켓(11')으로 재료 교환도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강도를 증가시키며 동시에 먼지 포켓을 제한하기 위해, 띠 또는 다른 중합체 영역의 배치의 상이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3은 중합체 영역(9) 또는 띠(10)의 영역의 단면도이다. 중합체 영역(9)은 초음파 캘린더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의 열가소성 재료는 예정된 장소에서 용융되며 높은 압력 하에서 종이 층(2)에 결합된다. 종이는 충분한 필터 특성을 갖는다면, 그 종류는 중요하지 않다.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의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한다. 중합체 영역(9)에서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의 특성이 캘린더링에 의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영역은 더 이상 필터 작용을 하지 않거나 미미하게 필터 작용을 한다.
중합체 영역(9) 사이에서 먼지 포켓(11)은 사이 공간(6)으로 형성된다. 먼지 포켓(11)은 종이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5)내에 직접 저장될 수 없는 미세 먼지를 수집한다. 마모에 민감한 멜트-블로운 부직포(5)을 보호하기 위해, 보다 높은 강도 및 비교적 낮은 필터 작용을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4)가 사용된다. 스펀 본드 부직포(4)는 멜트-블로운 부직포(5)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습윤시 필터 작용을 현저히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먼지 필터 주머니(12)에 현저히 개선된 인열 강도를 준다. 특히, 먼지 필터 주머니(12)의 종이 층(2)이 찢어지고 그것의 필터 작용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종이 층(2)이 습윤 후에 사용되는 동안 필터 작용의 현저한 저하 없이 다시 건조해 질 수 있다.
도 4에는 다수의 폴딩(13)을 가진 3층의 먼지 필터 주머니가 도시된다. 종이 층(2),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가 서로 삽입되지 않고, 표면 재료로부터, 공통의 폴딩에 의해 먼지 필터 주머니(12)로 변형된다.
종이 층(2),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의 결합은 중합체 영역(9)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지 공기 측면을 향한 종이 층(2)에 의해 제한되며 그 결과 종이 층(2)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내로 유체가 이르면, 스펀 본드 부직포(4)가 먼지 필터 주머니(12)를 확실하게 결합시킨다.
필터 특성 및 강도 특성이 충분하다면, 스펀 본드 부직포(4)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5)의 자리에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단일 부직포가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필터 주머니는 물의 흡입시 필터 종이 외부층의 강도 저하로 인해 찢어질 위험이 없으며, 가장 미세한 입자와 관련한 필터 작용도 충분하다.

Claims (86)

  1. 종이 층(2)과 함께 적층된 섬유 층으로 이루어진 먼지 필터 주머니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합성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지고 종이 층(2)의 순수한 가스 측면(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 제 1항에 있어서, 섬유가 정전기적으로 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적어도 고유의 강도를 가진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상호 접착에 의해 및/또는 그것을 형성하는 섬유 및/또는 드레드를 꼬아 합침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 제 3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상호 접착에 의해 및/또는 그것을 형성하는 섬유 및/또는 드레드를 꼬아 합침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 제 1항,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용융된 중합체 영역(9)을 포함하고 중합체 영역(9)에 의해 부가로 강화되며 종이 층(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 제 3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용융된 중합체 영역(9)을 포함하고 중합체 영역(9)에 의해 부가로 강화되며 종이 층(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 제 4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용융된 중합체 영역(9)을 포함하고 중합체 영역(9)에 의해 부가로 강화되며 종이 층(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9. 제 6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창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0.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창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1. 제 7항,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띠형태로 형성되거나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2. 제 6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띠형태로 형성되거나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3. 제 10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띠형태로 형성되거나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4. 제 7항, 8항, 9항,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먼지 챔버(11)를 형성하도록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5. 제 6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먼지 챔버(11)를 형성하도록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6. 제 10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먼지 챔버(11)를 형성하도록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7. 제 11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벌집 또는 와플 패턴의 먼지 챔버(11)를 형성하도록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8. 제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19. 제 6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0. 제 10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1. 제 11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2. 제 14항에 있어서, 중합체 영역(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층(2)내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3. 제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19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4. 제 6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5. 제 10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6. 제 11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7. 제 14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8. 제 18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의 내습성 및/또는 인열 강도가 중합체 영역(9)에 의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29. 제 1항, 2항, 5항,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19항 내지 22항, 24항 내지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0. 제 3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1. 제 4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2. 제 6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3. 제 10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4. 제 11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5. 제 14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6. 제 18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7. 제 23항에 있어서, 섬유 층(4, 5)이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8. 제 29항에 있어서, 순수한 가스 측면(3)을 향한 층(4)이 스펀 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39. 제 30항 내지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수한 가스 측면(3)을 향한 층(4)이 스펀 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0. 제 29항에 있어서, 종이 층(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섬유 층(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1. 제 30항 내지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 층(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섬유 층(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2. 제 39항에 있어서, 종이 층(2)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섬유 층(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3. 제 40항 또는 4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섬유 층(5)이 5 내지 4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4. 제 4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섬유 층(5)이 5 내지 4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5. 제 1항, 2항, 5항,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19항 내지 22항, 24항 내지 28항, 30항 내지 38항, 40항, 42항 및 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6. 제 3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7. 제 4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8. 제 6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49. 제 10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0. 제 11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1. 제 14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2. 제 18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3. 제 23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4. 제 29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5. 제 39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6. 제 41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7. 제 43항에 있어서, 섬유층(4, 5)이 5g/㎡ 내지 50g/㎡의 총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8. 제 1항, 2항, 5항,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19항 내지 22항, 24항 내지 28항, 30항 내지 38항, 40항, 42항, 44항, 46항 내지 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59. 제 3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0. 제 4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1. 제 6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2. 제 10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3. 제 11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4. 제 14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5. 제 18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6. 제 23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7. 제 29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8. 제 39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69. 제 41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0. 제 43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1. 제 45항에 있어서, 종이 층(2)이 20g/㎡ 내지 100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2. 제 1항, 2항, 5항, 7항 내지 9항, 12항, 13항, 15항 내지 17항, 19항 내지 22항, 24항 내지 28항, 30항 내지 38항, 40항, 42항, 44항, 46항 내지 57항, 59항 내지 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3. 제 3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4. 제 4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5. 제 6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6. 제 10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7. 제 11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8. 제 14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79. 제 18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0. 제 23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1. 제 29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2. 제 39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3. 제 41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4. 제 43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5. 제 45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86. 제 58항에 있어서, 먼지 필터 주머니가 진공 청소기 주머니(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필터 주머니.
KR1019980029591A 1997-07-24 1998-07-23 먼지필터백 KR100283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1860.6 1997-07-24
DE19731860A DE19731860C1 (de) 1997-07-24 1997-07-24 Staubfilterbeu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84A true KR19990014084A (ko) 1999-02-25
KR100283164B1 KR100283164B1 (ko) 2001-03-02

Family

ID=783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591A KR100283164B1 (ko) 1997-07-24 1998-07-23 먼지필터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45595A (ko)
EP (1) EP0893151B1 (ko)
JP (1) JP3020479B2 (ko)
KR (1) KR100283164B1 (ko)
CN (1) CN1073874C (ko)
AR (1) AR009890A1 (ko)
BR (1) BR9802591A (ko)
DE (1) DE19731860C1 (ko)
ES (1) ES218604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1860C1 (de) * 1997-07-24 1999-01-28 Freudenberg Carl Fa Staubfilterbeutel
EP1258277B1 (en) * 1998-05-11 2003-11-05 Airflo Europe N.V. Vacuum cleaner bag
US6183536B1 (en) 1998-05-11 2001-02-06 Airflo Europe, N.V. Enhanced performance vacuum cleaner bag and method of operation
EP0960645B1 (en) * 1998-05-11 2003-08-27 Airflo Europe N.V. Vacuum cleaner bag or filter, and method of filtering a gas
DE19832611C2 (de) * 1998-07-21 2002-03-21 Freudenberg Carl Kg Staubfilterbeutel
DE29821528U1 (de) * 1998-12-02 1999-02-11 Neu Kaliß Spezialpapier GmbH, 19294 Neu Kaliß Filterbeutel
US6156086A (en) * 1999-03-22 2000-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 media vacuum filter bag
DE19919809C2 (de) * 1999-04-30 2003-02-06 Fibermark Gessner Gmbh & Co Staubfilterbeutel, enthaltend Nanofaservlies
US6372004B1 (en) * 1999-07-08 2002-04-16 Airflo Europe N.V. High efficiency depth filter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DE10013315C2 (de) * 2000-03-17 2002-06-06 Freudenberg Carl Kg Plissiertes Filter aus einem mehrlagigen Filtermedium
DE10045217A1 (de) * 2000-09-13 2002-03-28 Bosch Gmbh Robert Flüssigkeitsfilter
ES2208481T3 (es) * 2001-03-02 2004-06-16 Airflo Europe N.V. Filtro de material compuest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10120223B4 (de) 2001-04-24 2005-08-25 Carl Freudenberg Kg Mehrlagiger Luftfilter und dessen Verwendung
DK174694B1 (da) * 2001-05-21 2003-09-15 Coloplast As Stomipose med et dække af porøst materiale
DE20109800U1 (de) 2001-06-12 2001-08-23 Schaber, Michael, 71126 Gäufelden Filter und Ansaugluftverteilung für mobile stationäre Lackier- und Beschichtungsanlagen und Luftverteilung von Zuluftanlagen
DE20110838U1 (de) 2001-06-30 2001-08-23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32427 Minden Staub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US20030145566A1 (en) * 2002-02-04 2003-08-07 Parks David P. Disposable filtration bag
US20040092185A1 (en) * 2002-11-13 2004-05-13 Grafe Timothy H. Wipe material with nanofiber layer
DE20219771U1 (de) 2002-12-20 2003-03-13 Arwed Löseke Papierverarbeitung und Druckerei GmbH, 31135 Hildesheim Staubfilterbeutel für Staubsaugergeräte
DE10348375B4 (de) * 2003-10-17 2006-05-04 Eurofilters N.V. Filterbeu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787561B1 (de) * 2005-11-22 2013-04-17 Eurofilters Holding N.V. Staubsaugerfilterbeutel mit Verschlussvorrichtung
AU2006321204A1 (en) * 2005-12-01 2007-06-07 Roger William Gemmell Filter element
DE102005059214B4 (de) * 2005-12-12 2007-10-25 Eurofilters N.V. 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05060032A1 (de) * 2005-12-15 2007-06-21 Eurofilters N.V. Filterbeu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4873693B2 (ja) * 2006-03-31 2012-02-08 東レ・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成型フィルター
DE102009050447A1 (de) 2009-10-23 2011-04-28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material
DE102011086104A1 (de) 2011-11-10 2013-05-16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material
DE102012100431A1 (de) * 2012-01-19 2013-07-25 Miele & Cie. Kg Mehrlagiges Filtermaterial für einen Staubsaugerbeutel
CN103211555B (zh) * 2012-01-19 2016-02-03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具有耐高温过滤系统的吸尘器
US9642508B1 (en) * 2012-04-16 2017-05-09 Billy Goat Indutries, Inc. Debris-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llecting debris
AT512806B1 (de) * 2012-04-23 2014-01-15 Bsw Machinery Handels Gmbh Gewebe für die Herstellung von Säcken
US10265653B2 (en) 2014-02-28 2019-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ration medium including polymeric netting of ribbons and strands
CN104941341B (zh) * 2015-06-19 2017-01-18 苏州佳亿达电器有限公司 吸尘器用可降解尘袋
CN105342526A (zh) * 2015-10-15 2016-02-24 苏州市民康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干湿两用尘袋
PL3884833T3 (pl) 2016-05-09 2024-11-25 Aktiebolaget Electrolux Pojemnik na kurz do odkurzacza
US20240284969A1 (en) * 2020-06-22 2024-08-29 Malan Dimopoulos Smoking tip
US12029377B2 (en) 2021-07-08 2024-07-09 ZHF Group, LLC Vacuum ba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35297C (de) * 1933-12-24 1936-09-16 I G Farbenindustrie Akt G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loeslichen, sauren, esterartigen Kondensationsprodukten
DE2127708A1 (de) * 1970-06-20 1971-12-23 FISPA ApA, Turin (Italien) Mehrstoffluftfiltermaten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116648A (en) * 1976-10-27 1978-09-26 Aktiebolaget Electrolux Multi-layer filter dust bag for a vacuum cleaner
US4164400A (en) * 1976-12-21 1979-08-14 Scott/Chatham Company Filters
US4257791A (en) * 1976-12-21 1981-03-24 Lydall, Inc. Filter
JPS5567314A (en) * 1978-11-16 1980-05-21 Toray Ind Inc High capacity nonwoven fabric filter
EP0060677A1 (en) * 1981-03-13 1982-09-22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Composite filter media
US4589894A (en) * 1984-04-11 1986-05-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Disposable filter for a vacuum cleaner
US4976858A (en) * 1987-08-12 1990-12-11 Toyo Roki Seizo Kabushiki Kaisha Multi-layer filter medium
JPH0734624B2 (ja) * 1987-09-21 1995-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圧−無効電力制御装置
DE3812849C3 (de) * 1988-04-18 1996-03-21 Gessner & Co Gmbh Staubfilterbeutel,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4917942A (en) * 1988-12-22 1990-04-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woven filter material
US5080702A (en) * 1990-02-15 1992-01-14 Home Care Industries, Inc. Disposable two-ply filter
FR2659364B1 (fr) * 1990-03-08 1994-10-28 Bollore Technologies Procede de preparation de papier pour sachets filtres, appareil pour la mise en óoeuvre du procede et produit obtenu.
US5244703A (en) * 1991-03-22 1993-09-14 Home Care Industries, Inc. Vacuum cleaner bag
US5437910A (en) * 1993-07-21 1995-08-01 Steinbeis Gessner Gmbh Multi-ply filter lasminate/composite for manufacturing vacuum cleaner filter bags
US5647881A (en) * 1995-04-20 1997-07-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ock resistant high efficiency vacuum cleaner filter bag
DE19606718A1 (de) * 1996-02-23 1997-08-28 Vorwerk Co Interholding Mehrlagige Filtertüte
US5667562A (en) * 1996-04-19 1997-09-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punbond vacuum cleaner webs
DE19731860C1 (de) * 1997-07-24 1999-01-28 Freudenberg Carl Fa Staubfilterbeu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6042T3 (es) 2003-05-01
CN1208666A (zh) 1999-02-24
JP3020479B2 (ja) 2000-03-15
DE19731860C1 (de) 1999-01-28
EP0893151A2 (de) 1999-01-27
EP0893151B1 (de) 2002-11-27
AR009890A1 (es) 2000-05-03
CN1073874C (zh) 2001-10-31
BR9802591A (pt) 2000-12-05
KR100283164B1 (ko) 2001-03-02
EP0893151A3 (de) 1999-09-01
JPH1199107A (ja) 1999-04-13
US6045595A (en) 200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164B1 (ko) 먼지필터백
CA2276647C (en) Dust filter bag
US5080702A (en) Disposable two-ply filter
US8236078B2 (en) Filter bag
EP1278431B1 (en) Improved face mask structure
US6387141B1 (en) Depth air filter having fibers intertwined by liquid-jetting
US5244703A (en) Vacuum cleaner bag
PL194345B1 (pl) Jednorazowy worek do odkurzacza zawierający filtrdo usuwania cząstek unoszonych w gazie
JPH07506274A (ja) ダストバッグ及びダストバッグの製法
WO2008053741A1 (fr) Filtres à air à rigidité élevée
US10080474B2 (en) Vacuum cleaner filter bag
EP1258277A1 (en) Vacuum cleaner bag
JP4357720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袋およびそれを備えてなる電気掃除機
KR100491827B1 (ko) 전기소제기용 집진대
CN100379482C (zh) 用于过滤器和过滤介质的非织造布层
RU2661469C1 (ru) Мешок для пылесоса
JPS6356811B2 (ko)
JPH0630869A (ja) 電気掃除機用の使い捨て紙袋フィルター
JP2554259Y2 (ja) 濾過布
WO2004112560A1 (ja) 電気掃除機用集塵フィルタ
JP2009195845A (ja) フィルター用不織布
JPH08299724A (ja) 水切り濾過用不織布
JPH06270361A (ja) 水切り袋
MXPA99008604A (en) Air filter
CZ11744U1 (cs) Filtr z netkané textilie pro vysavač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