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021A - Keyboard switch - Google Patents
Keyboard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2021A KR19990012021A KR1019970035288A KR19970035288A KR19990012021A KR 19990012021 A KR19990012021 A KR 19990012021A KR 1019970035288 A KR1019970035288 A KR 1019970035288A KR 19970035288 A KR19970035288 A KR 19970035288A KR 19990012021 A KR19990012021 A KR 19990012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cap
- slot
- pressing board
- horizontal axis
- eng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요소로 구성되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요소는 서로 교호적으로 맞물리고, 그 상단부에서 키캡(keycap)을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요소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대응되는 프레싱 보드가 제공되어 있다. 그 외부 가장자리에는 제한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응되는 돌출축 및 슬롯이 제공되어 있다. 키캡이 제한된 운동으로 인하여, 어느 위치에서 눌려지는 경우에, 키캡은 매우 균형 및 안정된 상태에서, 키캡의 전기 접촉을 유발할 수 있는 최단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며, 키캡이 릴리즈되는 때에는, 키시트(keyseat)내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 고무에 의하여 그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element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lternately and support a keycap at an upper end thereof. Corresponding pressing boards are provided at the inn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respectively. Its outer edges are provided with corresponding protruding axes and slots to allow for limited movement. Due to the limited movement of the keycaps, when pressed in any position, the keycaps are moved down by the shortest distance that can cause electrical contact of the keycaps in a very balanced and stable state, and when the keycaps are released, the keysea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ubber mounted in the cyli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보드 스위치, 특히, 제 1 요소의 돌출 축 및 제 2 요소의 슬롯을 작동시키는 대응 프레싱 보드를 구비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두개의 요소는 키시트(keyseat) 와 키캡(keycap)사이에 위치하고 교호적으로 맞물린다. 이러한 키보드 스위치는 키캡의 안정되고 균형있는 하향운동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switch, in particular a switch having a corresponding pressing board for actuating the protruding axis of the first element and the slot of the second element. These two elements are located between the keyseat and the keycap and alternately engage. These keyboard switches provide a stable and balanced downward movement of the keycaps.
종래의 키보드 스위치에는, 신축가능하게 전기접촉을 일으킬수 있도록 키캡의 내측연단으로부터 뻗어있는 원통형 로드가 있다. 구조상의 제약 때문에, 저부시트(bottom seat)와 원통형 로드 사이의 접촉표면이 작은 경우에는, 캡이 쉽게 기울어지고 따라서 캡이 안정되지 못한다. 그 결과, 키캡의 균형을 위하여 더 넓은 접촉표면이 필요하게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는 더 얇은 소형 컴퓨터가 더욱더 필요하게 된다. 접촉표면 및 캡의 이동거리의 증가는 키보드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소형 컴퓨터의 요건에 따르지 못하게 된다. 그 이외에, 하향운동의 안정성도 개선되지 못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키캡의 하향운동을 단축시키므로서, 키보드 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하지 않을 수 없다.Conventional keyboard switches have a cylindrical rod that extends from the inner edge of the keycap to allow for flexible electrical contact. Due to structural constraints, whe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ottom seat and the cylindrical rod is small, the cap is inclined easily and thus the cap is not stable. As a result, a wider contact surface is needed to balance the keycaps. However, users will increasingly need thinner, smaller computers. Increasing the travel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cap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keyboard. This does not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small computers.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downward motion will not be improve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keyboard switch while shorten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keycap.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키캡의 하부이동을 더 작고 더 짧게 하기 위하여, 키캡의 저단부에, 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 A, B가 캡 C와 시트 D를 지지하기 위하여 양자 사이에 사용된다. 프레임 A, B는 피벗(pivot) F에서 상호 연결되어있다. 프레임 A, B가 움질일 때, 프레임 A, B의 단부가 미끄러지게 하기 위하여, 캡 C에는 간격 H가, 시트 D에는 간격G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캡 C가 아래쪽으로 내려눌리는 경우에, 그 저부에서 전기 접촉이 있기 까지의 캡 C의 하향운동 거리는 단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캡이 그의 다른 위치에서 눌리는 경우, 캡 이 기울어져서, 경사진 하향운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키의 전기적 접촉도 빈약하게 된다.In another prior art, in order to make the lower movement of the keycap smaller and shorter, at the lower end of the keycap,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cap is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a pair of frames A, B are used between both to support the cap C and the sheet D. FIG. Frames A and B are interconnected at pivot F. When the frames A and B move, the caps C are provided with a gap H and the seats D with a gap G so that the ends of the frames A and B slide. When the cap C is pushed down, the downward movement distance of the cap C until there is electrical contact at the bottom thereof is shortened. However, in this prior art, when the cap is pressed in its other position, the cap is tilted, resulting in an inclined downward motion. Thus,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keys is also poor.
도 8에서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한 쌍의 사각형 프레임 A, B가 키시트 D에 선회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의 상부에는 슬라이드키 E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키 E는 키캡을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를 얻게된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슬라이드 키 E는 미끄럼 운동을 안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프레임 A, B의 구조로 인하여, 키캡이 그 측면이나 모서리에서 눌리는 경우에는 불균형한 하향운동이 일어난다.In yet another prior art shown in FIG. 8, a pair of rectangular frames A, B are pivotally positioned on the keysheet D. FIG. The slide key 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lide key E is used to support the keycap. You get one switch like this. In this prior art, the slide key E is used to stabilize the sliding motion. However, due to the structure of frames A and B, an unbalanced downward motion occurs when the keycap is pressed at its side or corner.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및 제 2 요소로 구성된 개량된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요소가 서로 교호적으로 맞물리고, 각 요소가 서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대응 프레싱판(pressing plate)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키캡의 안정되고 균형있는 하향운동이 제공되는, 개량된 키보드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keyboard switch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element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alternately engage each other, and a corresponding pressing plate for operating each element to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keyboard switch, which provides a stable and balanced downward movement of the keycap.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키캡의 안정되고 균형있는 하향운동이 키 스위치의 전기접촉을 유발하고, 키 스위치의 불량한 전기접촉을 방지하는, 개량된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keyboard switch wherein the stable and balanced downward movement of the keycaps causes electrical contact of the key switch and prevents poor electrical contact of the key switch.
본 발명의 본질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 스위치의 분해조립 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키캡이 아래쪽으로 내려눌리기 전의 키보도 스위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bod switch before the keycap is pushed down.
도 4는 키캡이 아래쪽으로 내려눌리고, 탄성 고무패드가 전기 접촉을 일으킨 후의 키보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board switch after the keycap is pushed down and the elastic pad is in electrical contact.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분해조립 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키보드 스위치의 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또다른 키보드 스위치의 분해조립도이다.8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keyboard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보드 스위치 10은, 키보드 시트 11상에 위치하고, 서로 교호적으로 맞물리는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으로 구성되고, 키캡 12는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keyboard switch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element 20 and a second element 30, which are located on the keyboard sheet 11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lternately, and the keycap 12 is the first element 20 and It is supported on top of the second element 30.
키시트 11에는, 제 1 요소 20의 선회축 23 및 제 2 요소 30의 선회축 33과 맞물릴 수 있도록, 시트 1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고정용 슬롯 13이 포함되어 있다. 키시트 11의 중앙에는, 전기접촉의 탄성 고무패드 16(도 3 및 도 4에 도시)를 배치하기 위한 슬롯 14가 제공되어 있다.The keysheet 11 includes a fixing slot 13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seat 11 so as to engage with the pivot axis 23 of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pivot axis 33 of the second element 30. In the center of the keysheet 11, there is provided a slot 14 for placing the elastic rubber pad 16 (shown in FIGS. 3 and 4) in electrical contact.
키캡 12는, 제 1 요소 20의 수평축 26 및 제 2 요소 30의 수평축 35과 맞물리게하기 위하여, 캡 12의 네 모서리의 내부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제공된 고정용 슬롯 15를 포함한다. 제 1 요소 20과 제 2 요소 30이 고정용 슬롯 15 및 고정용 슬롯 13과 맞물려 있는 때에는, 요소 20, 30이 안정되고 균형있는 운동을 하게 된다(도 2에 도시) 이러한 구조는 캡 12를 그 상부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The keycap 12 comprises a fixing slot 15 provided substantially at the inner edges of the four corners of the cap 12 for engaging the horizontal axis 26 of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horizontal axis 35 of the second element 30. When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second element 30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slot 15 and the fastening slot 13, the elements 20, 30 have a stable and balanced movement (shown in FIG. 2). Strong support at the top.
제 1 요소 20는 실질적으로 개방된 C자 형태의 몸체 21로 이루어진다. 몸체 21은 두 개의 돌출연장부 22가 있는 두 개의 개방단부를 가진다. 연장부 22의 단부에는 시트 11의 고정용슬롯 13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패벗 패드 23이 제공되어 있다. 몸체 21의 단부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제 2 요소 30의 돌출축 33에 알맞은 리세스 24가 제공되어 있다. 몸체 21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원추형의 프레싱 보드 25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제 2 요소 30의 프레싱 보드 34와 대응되어 있다. 몸체 21의 외부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캡 12의 고정용슬롯 15와 맞물리게 하기 위한 수평축 26이 제공되어 있다.The first element 20 consists of a substantially open C-shaped body 21. Body 21 has two open ends with two protruding extensions 22. At the end of the extension 22 is provided a pad pad 23 for engaging the fixing slot 13 of the seat 11. At the inner edge of the end of the body 21, a recess 24 is provided which is adapted to the projecting axis 33 of the second element 30. At the inner edge of the body 21 a conical pressing board 25 is provide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ssing board 34 of the second element 30. At the center of the outer edge of the body 21, a horizontal axis 26 is provided for engaging the fixing slot 15 of the cap 12.
제 2 요소 30의 구조는 제 1 요소 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제 2 요소 30은 개방된 C자 형태의 몸체 31로 이루어진다. 몸체 31은 시트 11의 고정용슬롯 13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두 개의 선회단부 32가 있는 두 개의 개방단부를 가진다. 몸체 31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축 33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제 1 요소 20의 두 개의 슬롯 24에 대응되어 있다. 내부 가장자리 중앙부분에는, 프레싱 보드 3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제 1 요소의 프레싱 보드 25와 대응되어 있다. 몸체 3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캡 12의 고정용슬롯 15와 맞물리게 하기 위한 수평축 335가 제공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ment 30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first element 20. The second element 30 consists of an open C-shaped body 31. The body 31 has two open ends with two pivoting ends 32 for engaging the fixing slot 13 of the seat 11. At the inner edge of the body 31, a projection axis 33 is provided, which corresponds to two slots 24 of the first element 20. In the center of the inner edge, a pressing board 34 is provide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ssing board 25 of the first element. At the outer edge of the body 31, a horizontal axis 335 is provided for engaging the fixing slot 15 of the cap 12.
제 2 요소 30의 폭은 제 1 요소 20의 폭보다 더 작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 요소 30의 몸체 31은 제 1 요소 20의 C자형 몸체 21에 의해 제공된 공간내에 놓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요소의 프레싱 보드 25는 제 2 요소 30의 프레싱 보드 34에 맞대어 눌려지고, 제 2 요소 30의 돌출축 33은, 상호 제한된 상태가 제 1 및 제 2 요소 20, 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압착조건(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을 만들어 낸다.The width of the second element 3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lement 20. In the engaged state, the body 31 of the second element 30 lies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C-shaped body 21 of the first element 20.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board 25 of the first element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board 34 of the second element 30 and the protruding axis 33 of the second element 30 has a mutually limited st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20, 30. This creates a crimping condition (as shown in FIG. 2) that can be formed in the substrat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12의 어느 위치가 눌려지는 경우에는,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의 상호 제한 작용으로 인하여, 캡 12의 수직운동은 안정되고 균형이 잘 잡힌 운동이 되어 있다. 즉, 캡 12가 중앙으로 눌려지는 경우에는, 두 개의 수평축 26과 35가 균형있게 눌려진다는 사실에 의하여,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가 안정되고 균형있게 아래로 이동하며, 프레싱 보드 34는 탄성 고무패드 16을 압박하여 전기접점과 연결된다. 압력이 가하여지는 위치가 키캡 12의 횡측면이거나 한 모서리인 경우에는, 수평축 26이 눌려지기 때문에, 프레싱 보드 25가 제 2 요소 30의 프레싱 보드 34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은 안정되고 잘 균형잡인 상태로 아래로 이돌할 수 있다. 압착단부에 의하여 수평축 35이 돌출축 33을 움직이게 하고, 제 1 요소 20의 슬롯 24이 트리거 되면,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도 안정되고 균형있게 하향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키캡 12은 결코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2 to 4, when the position of the cap 12 is presse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p 12 is stable and well balanced due to the mutual restriction action of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second element 30. It is exercised. That is, when the cap 12 is pressed to the center,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second element 30 are moved down stably and in a balanced manner by the fact that the two horizontal axes 26 and 35 are pressed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pressing board 34 The elastic rubber pad 16 is pressed to connect with the electrical contact. If the position under pressure is the transverse side or one corner of the keycap 12, since the horizontal axis 26 is pressed, the pressing board 25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board 34 of the second element 30, and thus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second element. The 30 can settle down in a stable and well balanced state. Since the crimped end causes the horizontal axis 35 to move the protruding axis 33 and the slot 24 of the first element 20 is triggered, the first cap 20 and the second element 30 are also stable and balanced downward movement, so the keycap 12 never It does not tilt to one side.
키캡 12가 릴리스되는 때에는, 키 시트 11의 슬롯 14내에 있는 탄성 고무패드 16이 제 1 요소 20 및 제 2 요소 30을 위로 들어 올리고, 따라서 키캡 12는 안정되게 원위치로 복귀한다.When the keycap 12 is released, the elastic rubber pad 16 in the slot 14 of the key sheet 11 lifts up the first element 20 and the second element 30, so that the keycap 12 returns stably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제 1 및 제 2 요소는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In Fig. 5,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of the rectangle do not affect their func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스위치 40에는 수평슬롯 42 및 슬롯 44를 구비하는 키 시트 41가 포함되어 있다. 슬롯 44의 가장자리에는 차단판(blocking late) 43이 제공되어 있다. 슬롯 42와 44는 각각 제 1 요소 50의 수평축 52 및 제 2 요소 60의 수평축 62과 맞물린다.As shown in FIG. 5, the keyboard switch 40 includes a key sheet 41 having a horizontal slot 42 and a slot 44. Blocking late 43 is provided at the edge of slot 44. Slots 42 and 44 mesh with the horizontal axis 52 of the first element 50 and the horizontal axis 62 of the second element 60, respectively.
제 1 요소 50은, 키 시트 41의 슬롯 44와 맞물릴 수 있도록, 그 저단부에 수평축 52이 제공되어 있는 사각형 몸체 51로 이루어진다. 차단판 43은 수평축 52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어 있다. 몸체 51의 상단부에는 키캡의 고정용 슬롯(도시없음)과 맞물리는 수평축 53이 제공되어 있다. 몸체 51의 두 횡측면에는, 제 2 요소 60의 돌출축 64에 적합한 슬롯 54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수평축 53의 상단부에는, 제 2 요소 60의 보드 65를 압박하기 위하여, 돌출된 프레싱 보드 55가 제공되어 있다.The first element 50 consists of a rectangular body 51 provided at its lower end with a horizontal axis 52 so as to engage with the slot 44 of the key sheet 41. The blocking plate 43 is used to position the horizontal axis 52. The upper end of the body 51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axis 53 which engages with a fixing slot (not shown) of the keycap. On the two transverse sides of the body 51, slots 54 are respectively provided which are suitable for the projecting axis 64 of the second element 60. At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axis 53, a projecting pressing board 55 is provided for pressing the board 65 of the second element 60.
제 2 요소 6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제 1 요소 50의 구조와 유사하다. 제 2 요소 60에는 사각형 몸체 61가 있다. 몸체 61의 저단부에는, 키시트 41에 제공된 수평 고정용슬롯 42과 맞물리는 수평축 62가 제공되어 있다. 몸체 61의 상단부에는, 키캡내의 고정용 슬롯과 맞물리는 수평축 63이 제공되어 있다. 몸체 61의 두 횡측면에는, 외부로 돌출한 축 64가 제공되어 있다. 축 64는 제 1 요소 50의 슬롯 54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수평축 62의 기저단부에는, 제 1 요소 50의 슬롯 54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수평축 62의 기저단부에는, 제 1 요소 50의 보드 55의 저단부를 차단(block)하기 위하여 돌출된 프레싱 보드 65가 제공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ment 60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element 50. The second element 60 has a rectangular body 61.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61 is provided a horizontal axis 62 which engages with the horizontal fixing slot 42 provided in the keysheet 41.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61, a horizontal axis 63 is provided which engages with the fixing slot in the keycap. The two transverse sides of the body 61 are provided with an outwardly projecting axis 64. The axis 64 is adapted to slot 54 of the first element 50. The base end of the horizontal axis 62 is adapted to the slot 54 of the first element 50. At the base end of the horizontal axis 62, there is provided a pressing board 65 which protrudes in order to block the bottom end of the board 55 of the first element 50.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제 2 요소 60의 몸체 61의 폭은 제 1 요소 50의 몸체 51의 폭보다는 약간 더 작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 요소 60의 몸체 61은 제 1 요소 50의 몸체 51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요소 50의 프레싱 보드 55는 제 2 요소 60의 보드 65에 맞대어 눌리고, 몸체 61의 횡측면에 있는 돌출축 64는 몸체 51의 슬롯 54내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제 1 요소 50 및 제 2 요소 60은 상호연결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키캡이 눌리는 때에, 안정되고 균형있는 하향운동이 제공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body 61 of the second element 6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51 of the first element 50. In the engaged state, the body 61 of the second element 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51 of the first element 50. Thus, the pressing board 55 of the first element 50 is pressed against the board 65 of the second element 60, and since the protruding axis 64 on the transverse side of the body 61 fits into the slot 54 of the body 51, the first element 50 and the second Element 60 is interconnected. This provides a stable and balanced downward motion when the keycap is pressed.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요소로 구성되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요소는 서로 교호적으로 맞물리고 그들의 상부 단부에서 키캡(keycap)을 지지한다. 제 1 및 제 2 요소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대응되는 프레싱 보드가 제공되어 있다. 그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한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응되는 돌출된 축 및 슬롯이 제공되어 있다. 키캡이 어느 위치에서 내려눌리는 경우에는, 제한된 이동에 의하여, 키캡은 우수한 균형과 안정된 상태에서, 키캡의 전기 접촉을 유발하기 위한 최소의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할 것이며, 제 1 및 제 2 요소의 구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쉽게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요소의 파손이 있는 경우에 는 용이하게 새로운 요소를 신속히 대체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element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engage alternately with each other and support a keycap at their upper end. Corresponding pressing boards are provided at the inn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respectively. Its outer edges are provided with corresponding protruding axes and slots to allow for limited movement. If the keycap is pushed down in any position, by limited movement, the keycap will move down by a minimum distance to cause electrical contact of the keycap, with good balance and stability,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it can be assembled very conveniently and easily without being damaged easily. Thus, in the event of element breakage, new elements can be quickly replac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에 의하여서만 제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288A KR100306849B1 (en) | 1997-07-26 | 1997-07-26 | Keyboard Switch Actua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288A KR100306849B1 (en) | 1997-07-26 | 1997-07-26 | Keyboard Switch Actuato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2021A true KR19990012021A (en) | 1999-02-25 |
KR100306849B1 KR100306849B1 (en) | 2001-11-30 |
Family
ID=6604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52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6849B1 (en) | 1997-07-26 | 1997-07-26 | Keyboard Switch Actua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0684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2764A (en) * | 2003-03-20 | 2004-09-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key support structure for keyboard |
KR101311388B1 (en) * | 2012-03-29 | 2013-09-25 | 주식회사 비티씨씨큐 | Key ass'y and keyboard having scissors type hing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367513B (en) * | 1992-06-11 | 1999-08-21 | Alps Electric Co Ltd | Key switch |
-
1997
- 1997-07-26 KR KR1019970035288A patent/KR1003068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2764A (en) * | 2003-03-20 | 2004-09-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key support structure for keyboard |
KR101311388B1 (en) * | 2012-03-29 | 2013-09-25 | 주식회사 비티씨씨큐 | Key ass'y and keyboard having scissors type hing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06849B1 (en) | 200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57297A (en) | Computer keyboard key switch | |
JP3968873B2 (en) | Pushbutton switch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 |
JP2577359Y2 (en) | Key switch device | |
US5772008A (en) | Keyboard switch actuator assembly including keycap and scissors type linkage | |
JP2861684B2 (en) | Key switch device | |
JP2003197058A (en) | Key switch device and keyboard device | |
US5012055A (en) | Spring loaded push-button switch having predictable switching time despite varying spring characteristics | |
US6545238B2 (en) | Key device with a scissors mechanism | |
KR100306849B1 (en) | Keyboard Switch Actuator Assembly | |
US6864449B2 (en) | Keyswitch having bending links | |
US5747758A (en) | Keyboard arrangement | |
JPH0824017B2 (en) | switch | |
JP3655449B2 (en) | keyboard | |
TWI703601B (en) | Magnetic key switch | |
JP3063410B2 (en) | Key switch device | |
JP3280358B2 (en) | Key switch | |
JP3352680B2 (en) | Key switch device | |
JP3151662B2 (en) | Key structure on keyboard | |
KR200222485Y1 (en) | Switch for kryboard | |
CN1126018C (en) | Keyboard switch | |
JPH0451386Y2 (en) | ||
JP2962357B2 (en) | Key switch device | |
JP3234827B2 (en) | Key switch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key switch | |
JP3295072B2 (en) | Key switch device | |
JP3318320B2 (en) | Key switc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1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7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