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1816A -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816A
KR19990011816A KR1019970035062A KR19970035062A KR19990011816A KR 19990011816 A KR19990011816 A KR 19990011816A KR 1019970035062 A KR1019970035062 A KR 1019970035062A KR 19970035062 A KR19970035062 A KR 19970035062A KR 19990011816 A KR19990011816 A KR 1999001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key
message
tex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오
윤영배
하영일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정태기
Priority to KR101997003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816A/ko
Publication of KR1999001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말기의 문자편집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1에서 9의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게 하고, 상기 숫자(1-9)표시 위의 자모 문자열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상의 방향 이동키에 의해 좌,우로 순차 시프트되게 하고, 원하는 자모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때 해당 지시번호를 키패드의 번호키를 눌러 글자를 조합시키는 것으로 원하는 메시지 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은 메시지 전송키의 입력에 의해 휴대폰 서비스센터의 메시지 사서함에 저장되거나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는 CDMA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에 있다.

Description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의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휴대용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기능에는 음성 사서함 기능이 있다.
음성 사서함 기능은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한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번호에 원하는 음성메시지를 등록시킬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였으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개별 전화번호의 음성사서함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음성 사서함을 열람하는 것으로 발신자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음성메시지 사서함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방전 상태이거나 단말기 파워를 오프시켜 놓은 상태 또는 이통통신 서비스 불가능 지역이어서 이동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발신자의 메시지를 받을 수 있게 하므로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음성메시지 전송방식은 이통통신 음성 사서함 가입자가 자신의 사서함에 들어온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자신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이동통신 서비스센터 측과 접속한 후 서비스 센터 측의 음성안내에 따라 연속적인 키선택후에야 비로소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음성메시지의 전송방식은 기록이 불가능하므로 잘못하여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놓쳤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메시지 수신 시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게된다.
이와 같은 음성메시지 전달방식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문자 메시지 전송방식이 제안된바 있다.
이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은 휴대전화의 키패드 상에 마련된 0에서 9까지의 전화번호 키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편집하고, 이렇게 편집된 문자를 메시지로서 상대방의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문자 메시지 편집에 이용되어 왔던 일반적인 키패드의 자모 배열상태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수개의 자음문자 또는 모음문자를 가지고 있는 키 버튼을 선택한 후 해당키의 연속 키잉에 따라 되돌려가면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식으로 소정의 문장을 편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자편집 방식은 10개의 숫자키 버튼마다 수개의 자(모)음 문자 출력기능을 부여하고 이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장을 편집해 나아가야 하므로 그 조작성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조합편집을 통하여 원하는 단문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있도록 하는 문자전송 서비스에 적합한 간편한 문자의 편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말기의 문자편집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1에서 9의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게 하고, 상기 숫자(1-9)표시 위의 자모 문자열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상의 방향이동키에 의해 좌,우로 순차 시프트되게 하고, 원하는 자모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때 해당 지시번호를 키패드의 번호키를 눌러 글자를 조합시키는 것으로 원하는 메시지 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은 메시지 전송키의 입력에 의해 휴대폰 서비스센터의 메시지 사서함에 저장되거나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는 CDMA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편집용 키패드의 자모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휴대용단말기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문자 편집 및 송출을 위한 하드웨어의 구조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문자메시지 편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12 : 방향이동키
13 : 문자편집키 14 : 문자메시지 송출키
15 : 디스플레이 16 : 키패드
17,18 : 시프트키 20 : 마이컴
21 : 문자메시지 메모리 22 : 문자발생부
23 : RF송출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 편집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정면 구조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 본체(10)는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외에 *표키와 #표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6) 및 디스플레이(15)와 문자편집키(13)와 문자메시지 송출키(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키와 #표키는 각각 방향이동키(11,12)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적어도 문자편집에 있어 상기의 방향 이동키(11,12)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시프트키(17,18)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의 문자편집키(13)와 문자메시지 송출키(14)의 설치위치를 특정함에 있어, 도면상에서는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휴대용단말기 본체의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나 다른 기능 키에 중복시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는 표시되고 있지 않지만, 단문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편집시 문자열 등의 이동방향을 지령하는 단말기 본체 측면의 시프트키(17,18)대신 조그키를 설치하고 그의 조작에 따라 시프트키와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단말기 본체의 내부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의 문자편집장치는 상기의 방향 이동키(11,12), 문자편집키(13), 문자메시지 송출키(14)를 포함하며 각종 기능키 입력 및 숫자키 입력신호를 발생하여 마이컴 측에 전송하는 키패드부(16)와, 상기 키패드부(16)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라 문자발생부(22)에서 문자데이터를 가져와 디스플레이(15)상에 출력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 정보를 문자메시지 메모리(21)에 저장하고 상기 문자메시지 메모리(21)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키패드부(16)의 문자메시지 송출키(14)의 키 입력에 따라 RF송출부(23)를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센터로의 정보전송을 제어하는 마이컴(2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CDMA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발신용 문자편집방법의 알고리즘을 도 4a 내지 도 4c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용단말기를 콜하였을 때 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이동통신망 서비스 센터 측에서는 메시지를 남길 것인가 여부를 묻게될 것이다.
이때 메시지 전달을 선택하면 센터 측에서는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모드이면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인 센터 측에서는 해당 휴대용단말기 측으로부터의 메시지 문자입력을 기다리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단말기 소지자가 상대방에게 특정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전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 상대방과의 호 접속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 졌을 때 해당 단말기에 미리 등록한 단문 메시지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발신자는 메시지 문장을 만들기 위해 본체(10)상에 마련된키패드의 문자편집키(13)를 누르게 되면 이러한 신호는 마이컴(20)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15)상에는 자음열(또는 모음열)과 그 자모에 해당하는 번호가 나란히 출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측 또느 상단부측에 일련의 아라비아 숫자판을 인쇄하여 놓고 이들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모열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문자편집을 위한 단말기 소유자의 문자 편집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자편집키(13)의 키입력에 따른 최초 문자열의 배열형태의 설정에 있어 1부터 9(또는 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열을 따라순으로 나타나게 설정할 수도 있고순으로 나타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15)상에 자음열 또는 모음열이 나타난 상태에서 현재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자가 나타나 있으면 해당문자의 아라비아 숫자키를 눌러 해당문자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20)은 문자발생부(22)에서 문자데이터를 가져와 특정글자르 조합한 다음 그것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제어한다.
이어서 방향이동키(11또는 12)를 이용하여 자모열을 순차 시프트 시켜서 원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에 띄운다음 해당 문자의 번호를 키잉하는 것으로 임의의 단문을 편집한다.
이때 상기 방향 이동키에 의한 키입력이 있으면 어느쪽으로의 문자열 시프트인지를 마이컴이 판단하여 디스플레이상의 문자열의 이동을 결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왼쪽 방향 이동키(11)의 키 입력이면 문자열들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오른쪽 방향 이동키(12)의 키 입력이면 문자열들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편집용 문자열의 이동은 방향이동키(11,12)외에 시프트키(17,18)의 조작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상기 시프트키(17,18)를 대체하는 조그키의 조작에 의해서도 동일한 문자열 시프트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후 엔터키의 입력이 있게되면 마이컴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에 의해 지정된 문자를 선택하게 되고, 이러한 자, 모의 선택을 통하여 도 4a∼도 4c에서참고되는 바와 같이 원하는 단문을 편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편집된 단문 메시지는 키패드부(16)의 메시지 전송키(14) 입력이 있으면 문자 메시지 메모리(21)에 저장된 데이터를 RF송출부(23)를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측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용단말기에서 생성 편집시킨 문자메시지 정보는 직접 상대방측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리얼타임(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사서함에 보관되어 있다가 해당 문자메시지 사서함 소유자의 등록메시지 열람에 의해 출력(수신)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편집과정을 요약설명한 흐름도로써 이는 단말기의 마이컴에서의 실행과정을 시간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편집 키입력에 의해 문자편집모드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방향키 선택여부를 판단하여 방향키 입력이 있으면 자모열의 문자 또는 문자군을 이동시키고 방향 선택키 입력이 없으면 숫자키의 선택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숫자키 선택이 없으면 2단계를 건너뛰어 바로 문자 송출키 입력여부의 판단 단계로 들어가고, 이 단계에서 숫자키 입력이 있으면 숫자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선택하고 글자를 편집한후 상기의 문자 송출키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문자 송출키 입력이 없으면 처음단계로 돌아가서 문자의 선택 및 편집과정을 반복실행하고문자 송출키 입력이 있으면 문자 메시지의 송출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음성메시지 전송방식에서의 문제점, 즉 서비스 센터 측의 음성안내에 따라 수회의 연속적인 키선택 후에야 비로소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처럼 그 조작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메시지 내용의 일부를 놓쳤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를 단말기 측에서 편집하고 이를 상대방측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문자 메시지 사서함에 등록되게 함으로써 발신자측의 정확한 메시지의 전달을 기능하게 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특별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손쉽게 원하는 단문을 편집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문자편집 방법은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 PDA,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등의 휴대단말 장비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1. 단말기의 문자편집 선택키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부위에 일련의 아라비아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위에 자모 문자열이 배치되게 하고, 상기 숫자표시 위의 자모 문자열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상의 방향 이동키 또는 이에 상응하는 동작키의 선택에 의해 좌,우로 한 개의 문자 또는 몇 개의 문자가 순차 시프트되게 하고, 원하는 자모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때 해당 지시번호를 키패드의 번호키를 눌러 글자를 조합시키는 것으로 원하는 메시지 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편집된 문장은 메시지 전송키의 입력에 의해 휴대폰 서비스센터의 메시지 사서함에 저장되거나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편집용 문자열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된 시프트키(17,18)에 의해서도 시프트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편집용 문자열의 시프트는 단말기 본체 측면에 마련되는 조그키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KR1019970035062A 1997-07-25 1997-07-25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Ceased KR19990011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62A KR19990011816A (ko) 1997-07-25 1997-07-25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62A KR19990011816A (ko) 1997-07-25 1997-07-25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16A true KR19990011816A (ko) 1999-02-18

Family

ID=6604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062A Ceased KR19990011816A (ko) 1997-07-25 1997-07-25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81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865A (ko) * 2000-01-20 2001-08-11 황재엽 전화기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100421912B1 (ko) * 2000-12-30 2004-03-11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27197A (ko) * 2002-09-27 2004-04-01 김준모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55773B1 (ko) * 2002-10-0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100488971B1 (ko) * 2002-09-11 2005-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60076738A (ko) 2014-12-23 2016-07-01 김찬수 압착링에 의한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와 너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865A (ko) * 2000-01-20 2001-08-11 황재엽 전화기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100421912B1 (ko) * 2000-12-30 2004-03-11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88971B1 (ko) * 2002-09-11 2005-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27197A (ko) * 2002-09-27 2004-04-01 김준모 소형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55773B1 (ko) * 2002-10-0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160076738A (ko) 2014-12-23 2016-07-01 김찬수 압착링에 의한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와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394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EP097956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US5581593A (en) Combination telephone and alphanumeric entry device
US20060267931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EP122550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0013436A1 (ja) 携帯電話端末
KR19990011816A (ko) 문자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 방법
KR19980077730A (ko) 조그키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문자편집방법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3338368B2 (ja) 電話機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00024291A (ko)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9980077729A (ko)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발신을 위한 문자편집방법
JP3590540B2 (ja)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電話帳データ登録方法
KR1004263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화면 복원 방법
KR20000026870A (ko) 멀티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 방법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KR100247082B1 (ko) 전화번호 자동다이얼링장치의 사업자 식별번호보호방법
KR0181111B1 (ko) 페이저의 문자편집 방법
KR970010837B1 (ko) 전화기의 한글 저장 방법
FI87291C (fi) Foerfarande foer vaeljande av data som skall saendas i en telefonapparat samt en telefonapparat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0207105A (ja) 通信端末装置
KR200600376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