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0784A -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 Google Patents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784A
KR19990010784A KR1019970033659A KR19970033659A KR19990010784A KR 19990010784 A KR19990010784 A KR 19990010784A KR 1019970033659 A KR1019970033659 A KR 1019970033659A KR 19970033659 A KR19970033659 A KR 19970033659A KR 19990010784 A KR19990010784 A KR 1999001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astening
stud bolt
center
round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3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784A/ko
Publication of KR1999001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78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트볼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환봉의 좌우 양측에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12)가 형성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육각형의 지지면(12a)을 형성하여,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상기 제1부품(30)의 체결홈과 제2부품(40)의 체결홈 및 환봉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1)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면(12a)에 스패너와 같은 작업도구를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작업공정이 저감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본 발명은 각종 부품과 부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스터트볼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부품과 부품을 연결하는 스터트볼트의 지지부에 육각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부품과 부품을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터트볼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터트볼트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환봉의 좌우 양측에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스터트볼트임)
이러한 종래 스터트볼트구조는 제1부품과 제2부품을 연결시, 환봉의 지지부(12)에 육각너트(20)를 체결시키고, 제1부품(30)에 형성된 체결홈과 제2부품(40)에 형성된 체결홈의 중심과 체결부(11)의 중심을 일치시키며, 작업도구를 이용해 육각너트(20)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이 체결부(11)에 각각 체결되며 연결되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터트볼트구조는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1차적으로 환봉의 중앙 지지부(12)에 외측면이 육각으로 형성된 육각너트(20)를 작업도구를 사용해 체결시키고, 상기 지지부(12)에 체결된 육각너트(20)를 이용해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1)가 제1부품(30)의 체결홈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일측으로 회전시켜야 함으로서, 상기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공구를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작업성이 증가하여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좌우 양측에 각각의 체결부가 형성된 환봉의 지지부 중앙에 육각형의 지지면을 형성하여, 제1부품과 제2부품을 연결시, 상기 제1부품의 체결홈과 제2부품의 체결홈 및 환봉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면에 스패너와 같은 작업도구를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작업공정이 저감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터트볼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터트볼트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터트볼트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터트볼트 11 : 체결부
12 : 지지부 12a : 지지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터트볼트구조도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환봉의 좌우 양측에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육각형의 지지면(12a)이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스터트볼트임)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상기 제1부품(30)의 체결홈과 제2부품(40)의 체결홈 및 환봉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1)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12)에 형성된 육각형의 지지면(12a)에 스패너와 같은 작업도구를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상기 제1부품(30)의 체결홈과 제2부품(40)의 체결홈 및 환봉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11)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면(12a)에 스패너와 같은 작업도구를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작업공정이 저감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 양측에 각각의 체결부가 형성된 환봉의 지지부 중앙에 육각형의 지지면을 형성하여, 제1부품과 제2부품을 연결시, 상기 제1부품의 체결홈과 제2부품의 체결홈 및 환봉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의 중심을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면에 스패너와 같은 작업도구를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을 연결시 별도의 작업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작업공정이 저감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환봉의 좌우 양측에 제1부품(30)과 제2부품(40)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지지부(12)가 형성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육각형의 지지면(1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트볼트구조.
KR1019970033659A 1997-07-18 1997-07-18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Withdrawn KR19990010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659A KR19990010784A (ko) 1997-07-18 1997-07-18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659A KR19990010784A (ko) 1997-07-18 1997-07-18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784A true KR19990010784A (ko) 1999-02-18

Family

ID=6603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659A Withdrawn KR19990010784A (ko) 1997-07-18 1997-07-18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68B1 (ko) * 2009-04-30 2009-10-2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근가 설치용 유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68B1 (ko) * 2009-04-30 2009-10-2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근가 설치용 유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6641Y2 (ja) パイプ式モジユラワイパ装置のパイプ締結構造
CA2290323A1 (en) Multi-socket wrench
KR19990010784A (ko) 스터트볼트(Stud bolt)구조
KR19980064370U (ko) 차량의 서스펜션 로어 암 조립체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KR0122247Y1 (ko) 알루미늄 차체 패널에의 용접 부착용 너트
JPH10220279A (ja) エンジン構造
KR970045806A (ko) 볼트의 머리구조
KR200152002Y1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용 너트
KR0139005Y1 (ko) 차량용 발전기 장착구조
JP2666473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マウント構造
KR200272838Y1 (ko) 원형 머리부를 갖는 볼트 및 너트조립체
KR200309465Y1 (ko) 체결볼트
KR0116402Y1 (ko)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는 보울트
JP2000160676A (ja) トラス用十字型プレート継手
KR0122209Y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축의 결합구조
KR900008202Y1 (ko) 냉장고용 손잡이
KR19990029435U (ko) 보일러의 전면판넬 조립구조
JP2003083317A (ja) スプリングワッシャー付き角度座金
KR19980062562A (ko) 육각붙이 스터드 볼트
KR19980055201A (ko) 어시스트 핸들취부구조
KR20000055840A (ko) 일자형의 홈을 갖는 볼트
KR20010017571A (ko) 스크류
KR19980062112A (ko) 자동차의 휀더판넬과 휠가이드 고정구조
KR19980046836A (ko)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된 너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