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8204A - 차량용 보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04A
KR19990008204A KR1019970707729A KR19970707729A KR19990008204A KR 19990008204 A KR19990008204 A KR 19990008204A KR 1019970707729 A KR1019970707729 A KR 1019970707729A KR 19970707729 A KR19970707729 A KR 19970707729A KR 19990008204 A KR19990008204 A KR 1999000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vehicle
heater
hous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다카시
다케나카겐지
모리히데후미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치세이
도요다지도숏키세사쿠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치세이, 도요다지도숏키세사쿠쇼(주) filed Critical 이소가이치세이
Publication of KR1999000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viscous fluid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2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한정된 탑재 스페이스에 탑재될 필요성과,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필요성을 만족하면서, 한쪽의 보기와 다른 쪽의 보기를 독립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문에, 한쪽의 보기로서의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와, 다른 쪽의 보기로서의 비스카스 히터(VH)를 상호 동력 전달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기
차량에는, 엔진 등의 동력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외에, 워터 펌프, 아이들러,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 펌프, 교류 발전기, 에어 컨디셔너용 압축기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하여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보기(補機)도 탑재되어 있다. 이것들의 보기는 풀리 또는 전자 클러치가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벨트에 의해 접속되어 동력 장치에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기는, 한정된 스페이스의 동력 장치 룸 내중, 그 동력 장치 주위에 한정된 탑재 스페이스로 그 동력 장치에 고정됨으로써 탑재되어 있다.
종래, 이렇게 해서 한정된 탑재 스페이스에 탑재하여야 할 필요성과, 개별의 풀리 등을 생략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필요성으로써, 워터 펌프와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를 탠덤 형식으로 결합한 한쌍의 보기가 알려지고 있다. 이 한쌍의 보기로 구성되는 차량용 보기에서는, 하우징 및 구동축이 공통화되어 있고, 그 구동축에 단일의 풀리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풀리가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벨트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각각이 동력 장치에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보기에서는, 구동축이 공통화됨으로써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한 것, 하우징 및 구동축의 공통화에 의해 착탈 불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보기와 다른 쪽의 보기를 독립하여 취급할 수 없다.
즉,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쪽의 보기만이 상시 필요하며, 다른 쪽의 보기가 소망에 의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대처할 수 없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가령 한쪽의 보기가 고장나서, 그 수리 또는 교환을 요하는 경우, 다른 쪽의 보기도 동시에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된 탑재 스페이스에 탑재될 필요성과,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필요성을 만족하면서, 한쪽의 보기와 다른 쪽의 보기를 독립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엔진 주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의 종단면도.
도 4는 제 3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의 종단면도.
청구항 제 1 항의 차량용 보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해당 차량의 동력 장치에 대하여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탠덤 형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보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보기와 상기 다른 쪽의 보기와는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쪽의 보기와 다른 쪽의 보기가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의 풀리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 점수의 삭감이 가능하고, 염가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제 1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쪽의 보기와 다른 쪽의 보기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독립하여 취급할 수 있다.
즉, 제 1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쪽의 보기에서 다른 쪽의 보기를 빼면, 한쪽의 보기만이 항상 필요하여, 다른 쪽의 보기가 소망에 의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가령 한쪽의 보기가 고장나서, 그 수리 또는 교환을 요하는 경우, 한쪽의 보기에서 다른 쪽의 보기를 빼면, 다른 쪽의 보기를 동시에 분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다.
청구항 제 2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에 있어서의 동력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은 그 하우징에 은폐되고, 다른 쪽의 보기에 있어서의 해당 동력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은 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양 해당 구동축은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쪽의 보기의 구동축이 그 하우징에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보기로부터 다른 쪽의 보기가 빠진 상태로 한쪽 보기의 구동축이 구동되어 있어도, 그 구동축이 이물등을 끌어 넣지 않는다. 그리고, 한쪽의 보기에 다른 쪽의 보기를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는, 양자를 축방향으로 인접할 뿐 양 구동축이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기 때문에, 부착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제 3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의 하우징과 다른 쪽의 보기의 하우징과는, 상호 결합 가능한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양자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호 결합 가능한 플랜지를 접촉하여,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하면, 한쪽의 보기에 다른 쪽의 보기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성에 우수하다. 반대로, 볼트 등을 빼어, 양자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플랜지를 이탈하면, 한쪽의 보기로부터 다른 쪽의 보기를 빼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교환성에 우수하다.
청구항 제 4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서, 다른 쪽의 보기는, 발열실 및 해당 발열실에 인접하는 부워터 재킷이 형성된 히터 하우징과, 해당히터 하우징에 베어링 장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승되는 히터 구동축과, 해당 발열실내에서 해당 히터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형상의 로터를 가지며, 해당 로터의 회전에 의해 해당 발열실내의 벽면과 해당 로터의 외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점성유체를 발열시키어 해당 부워터 재킷내의 상기 순환수에 열교환하는 비스카스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풀리등에 의해 한쪽의 보기의 구동축이 동력 장치에서 구동되면, 그 한쪽의 보기가 기능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보기로서의 비스카스 히터에 있어서, 로터가 발열실내에서 회전된다. 이 때문에, 점성유체가 발열실의 벽면과 로터의 외면과의 사이로 전단에 의해 발열한다. 이 점성유체의 발열은 비스카스 히터의 부워터 재킷내를 순환하는 순환수로 열 교환된다. 이렇게 해서, 차실의 난방이 동력 장치의 발열뿐만 아니라, 비스카스 히터의 발열에 의해서도 위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냉지 등에 있어서, 동력 장치의 시동시에 충분히 차실을 난방할 수 있다.
또한, 제 4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다른 쪽의 보기로서의 비스카스 히터에 있어서의 발열실내에서 회동하는 로터가 평판형상이기 때문에, 비스카스 히터가 얇은 형이며, 동력 장치 주위의 체적이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4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동력 장치 룸내에 있어서 그다지 탑재 스페이스를 요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제 5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서, 한쪽의 보기가 아이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이들러인 한쪽의 보기는, 동력 장치의 하우징에 대하여 요동등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과, 이 아암에 베어링 장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쪽 보기의 구동축으로서의 아이들러축과, 이 아이들러축에 고정되는 아이들러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을 동력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하고, 이 브래킷에 비틀림 코일 용수철을 통해 아암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이들러는,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도 하고, 다른 보기의 풀리등에 걸어맞추는 벨트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도 하여, 토오크를 안정시키는 것 등을 그 기능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이들러의 체격은 거의 아이들러 풀리가 차지하고, 아이들러 부근에 비교적 탑재 스페이스가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보기를 아이들러로 한 제 5항의 차량용 보기는, 다른 쪽의 보기의 하우징을 동력 장치의 하우징에 대하여 요동등 가능하게 설치하면, 무엇보다도 동력 장치 룸내의 탑재성이 좋다.
청구항 제 6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서, 한쪽의 보기가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의 차량용 보기로서는,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다른 쪽의 보기의 베어링 장치의 윤활에 제공하는 것으로, 다른 쪽의 보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차량용 보기에서, 한쪽의 보기가 교류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류 발전기인 한쪽의 보기는, 통상, 배터리에의 충전성을 고려하여, 풀리의 회전 속도가 크랭크 샤프트 풀리의 2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보기를 교류 발전기로 한 제 7 항의 차량용 보기는, 다른 쪽의 보기의 구동축이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다른 쪽의 보기를 기능시킬 수 있다.
이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보기로서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있다.
즉,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로서, 엔진(16: 도 2참조)의 하우징에는 브래킷(1)이 고정되어 있고, 이 브래킷(1)에는 시트 메탈(2)에 유지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3)을 통해,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의 하우징인 아암(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4)은, 그 베어링부와 브래킷(1)의 축부분과의 사이에 베어링 장치(5)가 장비되어 있는 동시에, 브래킷(1)의 축부분 전단에 평베어링(6)을 통해 정지 기구(7)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용수철(3)의 비틀림 힘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아암(4)의 일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보스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4a)내에는 베어링 장치(8)를 통해 아이들러축(9)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4a)의 전단에서 돌출하는 아이들러축(9)의 전단에는 아이들러 풀리(14)가 볼트(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아이들러 풀리(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 풀리(17)에 의해, 에어 컨디셔너용 전자 클러치(18), 파워 스티어링풀리(19), 워터 펌프 풀리(20) 및 교류 발전기 풀리(21)와 동시에 벨트(22)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4)의 보스부(4a)의 후단측에는 플랜지(4b)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스플라인(9a)이 형성된 아이들러축(9)의 후단은 플랜지(4b) 내에 은폐되어 있다.
한편, 비스카스 히터(VH)로서, 앞 부분 하우징(48), 뒷 부분 플레이트(49) 및 뒷 부분 하우징 본체(51)로 구성되는 히터 하우징이 뒷 부분 플레이트(49)와 뒷 부분 하우징 본체(51)와의 사이에 캐스케이트(50)를 통해, 각각 적층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의 관통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뒷 부분 플레이트(49)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케이스(49a)를 중앙 영역에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 뒷 부분 플레이트(49)의 전단면의 중앙 영역에는 제 1 오목부(49b)가 오목하게 설치되고, 제 1 오목부(49b)에는 케이스(49a)내에 연장하는 제 2 오목부(49c)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 부분 하우징(48)의 후단면에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는 뒷 부분 플레이트(49)의 평탄한 전단면과 동시에 발열실(5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뒷 부분 플레이트(49)의 후단면과 뒷 부분 하우징 본체(51)의 내면이 발열실(55)의 뒷 부분에 인접하는 부워터 재킷(WJ2)을 형성하고 있다. 뒷 부분 하우징 본체(51)의 외주측에는 입수 포트(56) 및 도시하지 않은 홍수 포트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입수 포트(56)와 홍수 포트와는 부워터 재킷(WJ2)에 연결되고 있다. 이 부워터 재킷(WJ2)은, 엔진(16: 도 2 참조)의 실린더 블록 등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주워터 재킷과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라디에이터 및 히터 코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9a)의 제 2 오목부(49c) 내에는 가압 용수철(52)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전단 위치가 규제된 철계통 재료로 구성되는 스풀(53)이 활주 가능하게 수납되고, 제 2 오목부(49c)의 후단에는 솔레노이드(54)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스풀(53)의 전방에는 발열실(55)의 중앙 영역과 연결되는 제어실(5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54)는 탑승자의 제어 스위치 ON·OFF 등에 의해 여자·소자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 부분 하우징(48)내에는 축밀봉 장치(57) 및 베어링 장치(5)8를 통해 히터 구동축(5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히터 구동축(59)의 후단에는 발열실(55)내에서 회전 가능한 평판 형상의 로터(60)가 압입되어 있다. 로터(60)의 중앙 영역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연결 구멍(60a)이 설치되고, 발열실(55)의 벽면과 로터(6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는 점성유체로서의 실리콘 오일이 개재되어 있다. 앞 부분 하우징(48)의 전단측에는 플랜지(48a)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스플라인(59a)이 형성된 히터 구동축(59)의 전단은 플랜지(48a)에서 돌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와 비스카스 히터(VH)를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플랜지(4b)와 플랜지(48a)를 접촉하고, 볼트(11) 및 너트(12)에 의해 체결하면, 아이들러축(9)의 외측 스플라인(9a)과 히터 구동축(59)의 내측 스플라인(59a)이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어,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 비스카스 히터(VH)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성에 우수하다. 또한, 스플라인 결합 이외에도, 키등을 사용한 착탈 가능하면서 동력 전달 가능한 다른 결합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 비스카스 히터(VH)를 부착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 있어서, 아이들러 풀리(14)에 의해 아이들러축(9)이 엔진(16)으로 구동되면서, 아암(4)이 비틀림 코일 용수철(3)의 비틀림 힘에 의해 요동하는 것으로 벨트(22)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도 하고, 에어 컨디셔너용 전자 클러치(18) 등에 걸어맞추는 벨트(22)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도 하고, 토오크를 안정시키는 등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비스카스 히터(VH)에 있어서, 로터(60)가 발열실(55)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실리콘 오일이 발열실(55)의 벽면과 로터(60)의 외측면의 사이로 전단에 의해 발열한다. 이 실리콘 오일의 발열은 비스카스 히터(VH)의 부워터 재킷(WJ2) 내를 순환하는 순환수로 열 교환된다. 이렇게 해서, 차실의 난방이 엔진(16)의 발열뿐만 아니라, 비스카스 히터(VH)의 발열에 의해서도 위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한냉지등에 있어서, 엔진(16)의 시동시에 충분히 차실을 난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에 의해 솔레노이드(54)를 여자하면, 스풀(53)이 가압 용수철(52)에 저항하여 제어실(55a)의 내부 용적을 확대하기 때문에, 발열실(55)내의 실리콘 오일은 와이센 베르크 효과에 의해 제어실(55a)내로 회수된다. 그동안, 로터(60)의 전단면측에 있는 실리콘 오일은 연결 구멍(60a)을 거쳐서 제어실(55a)에 이르기 쉽다. 이렇게 해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비스카스 히터(VH)의 발열 능력을 축소하고, 지나친 난방을 방지하기도 하고, 라디에이터에 의한 순환수의 냉각 나아가서는 엔진(16)의 냉각을 손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의 후방에 있는 탑재 스페이스에 비스카스 히터(VH)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비스카스 히터(VH)에 있어서의 발열실(55)내에서 회전하는 로터(60)가 평판형상이기 때문에, 비스카스 히터(VH)가 얇은 형이다. 이 때문에,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엔진(16) 주위의 체격이 그다지 커지지 않고, 무엇보다도 엔진 룸내의 탑재성이 좋다.
반대로, 볼트(11) 및 너트(12)를 빼어,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의 플랜지(4b)와 비스카스 히터(VH)의 플랜지(48a)를 이탈하면, 아이들러축(9)의 외측 스플라인(9a)과 히터 구동축(59)의 내측 스플라인(59a)과의 스플라인 결합이 풀어지고,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서 비스카스 히터(VH)를 뺄수 있기 때문에, 부착성에 우수하다.
상기의 경우,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만이 상시 필요하며, 비스카스 히터(VH)가 소망에 의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이것은, 한냉지용에 비스카스 히터(VH)를 옵션으로서 설정하는 한편, 비스카스 히터(VH)의 옵션을 우선 필요로 하지 않는 온난지용과 동시에, 차량을 통일한 설계에 의해 생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차량의 기능업과 비용 절감과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가령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가 고장나서, 그 수리 또는 교환을 요하는 경우,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서 비스카스 히터(VH)를 빼면, 비스카스 히터(VH)를 동시에 분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용이하다.
이렇게 해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와 비스카스 히터(VH)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독립하여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에서 비스카스 히터(VH)가 빠진 상태에서 아이들러축(9)이 구동되어 있어도, 아이들러축(9)이 플랜지(4b)내에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아이들러축(9)이 이물등을 끌어 넣지 않는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와 비스카스 히터(VH)가 상호 동력 전달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아이들러 풀리(14)를 겸용하여 개별의 풀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차량용 보기는, 부품 점수의 삭감이 가능하고, 염가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한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오토 텐셔너 아이들러(ID)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보기로서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있다.
즉,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로서, 앞 부분 하우징(40)에 플레이트(41)가 체결되고, 앞 부분 하우징(40) 및 플레이트(41) 내에서는 한쌍의 플레이트(42)에 협지되어 펌프실(43a)을 갖는 캠링(43)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앞 부분 하우징(40)에 관설된 축 구멍에는 평베어링(44) 및 축밀봉 장치(45)를 통해 펌프 구동축(46)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펌프 구동축(46)의 전단에는 파워 스티어링 풀리(19: 도 2 참조)가 고정되고, 펌프 구동축(46)의 후단 부근과 플레이트(41)의 사이에는 축밀봉 장치(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 구동축(46)에는 펌프실(43a)내에서 회전 가능한 베인 로터(47)가 고정되고, 베인 로터(47)에는 다수매의 베인(47a)이 방사 방향으로 돌출·인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41)의 후단측으로는 플랜지(41a)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스플라인(46a)이 형성된 펌프 구동축(46)의 후단은 플랜지(41a)내에 은폐되어 있다.
다른 쪽의 비스카스 히터(VH)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종류의 것이다.
그리고,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와 비스카스 히터(VH)를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플랜지(41a)와 플랜지(48a)를 접촉하고, 볼트(11) 및 너트(12)에 의해 체결하면, 펌프 구동축(46)의 외측 스플라인(46a)과 히터 구동축(59)의 내측 스플라인(59a)이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어,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에 비스카스 히터(VH)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에 비스카스 히터(VH)를 부착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에 있어서, 파워스티어링(19)에 의해 펌프 구동축(46)이 엔진으로 구동되면, 캠링(43)의 펌프실(43a)내에서 베인 로터(47)가 회전하기 때문에, 펌프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동시에 비스카스 히터(VH)의 히터 구동축(59)도 구동되기 때문에, 로터(60)가 발열실(55)내에서 회전되어, 한냉지등에 있어서, 엔진 시동시에 충분히 차실 및 엔진(16)을 난방할 수 있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의 작동유가 축밀봉 장치(59)를 거쳐서 미세량만 비스카스 히터(VH)의 베어링 장치(58)에 이르기 쉽기 때문에, 그 작동유로 베어링 장치(58)의 윤활을 행할 수 있고, 비스카스 히터(VH)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같다.
또한, 한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PP)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의 차량용 보기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보기로서 교류 발전기(AL)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있다.
즉, 교류 발전기(AL)로서, 앞 부분 하우징(60)에 제 1 중앙부 하우징(61)이 체결되어, 앞 부분 하우징(60) 및 제 1 중앙부 하우징(61)내에는 스테이터 코어(62)가 고정되고, 스테이터 코어(62)에는 스테이터 코일(63)이 감겨지고 있다. 스테이터 코일(63)은 정류기(71) 및 전압 조정기(7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앞 부분 하우징(60) 및 제 1 중앙부 하우징(61)에는, 베어링 장치(64, 65)를 통해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이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의 전단에는 교류 발전기 풀리(21: 도 2 참조)가 고정되고,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의 후단은 후술하는 제 2 중앙부 하우징(67)내로 돌출되고 있다. 이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에는 로터 코어(68)가 고정되고, 로터 코어(68)에는 브러시(69)등에 의해 도통 가능한 계자 코일(68a)이 보빈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중앙부 하우징(61)에는 제 2 중앙부 하우징(67)이 체결되고, 제 2 중앙부 하우징(67)의 후단측에는 플랜지(67a)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스플라인(66a)이 형성된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의 후단은 플랜지(67a)내에 은폐되어 있다.
다른 쪽의 비스카스 히터(VH)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종류의 것이다.
그리고,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교류 발전기(AL)와 비스카스 히터(VH)를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플랜지(67a)와 플랜지(48a)를 접촉하고, 볼트(11) 및 너트(12)에 의해 체결하면,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의 외측 스플라인(66a)과 히터 구동축(59)의 내측 스플라인(59a)이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어, 교류 발전기(AL)에 비스카스 히터(VH)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교류 발전기(AL)에 비스카스 히터(VH)를 부착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교류 발전기 풀리(21)에 의해 교류 발전기(AL)의 교류 발전기 구동축(66)이 엔진(16)으로 구동되면, 스테이터 코일(63)내에서 계자 코일(71)을 갖는 폴 코어(68)가 회전하기 때문에, 발전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동시에 비스카스 히터(VH)의 히터 구동축(59)도 구동되기 때문에, 로터(60)가 발열실(55)내에서 회전되어, 한냉지등에 있어서, 엔진 시동시에 충분히 차실 및 엔진(16)을 난방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량용 보기로서는, 히터 구동축(59)이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난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른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예와 같다.
또한, 한쪽의 보기로서 비스카스 히터(VH)를 채용하고, 다른 쪽의 보기로서 교류 발전기(AL)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이외에, 에어 컨디셔너용 압축기, 슈퍼챠쟈 등을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보기로 하여, 비스카스 히터(VH)를 다른 쪽 또는 한쪽의 보기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차량에 탑재되어, 해당 차량의 동력 장치에 대하여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탬덤형식으로 결합된 한쌍의 보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보기와 상기 다른 쪽의 보기와는 상호 동력 전달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에 있어서의 동력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은 그 하우징에 은폐되고, 다른 쪽의 보기에 있어서의 해당 동력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은 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양 해당 구동축은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의 하우징과 다른 쪽의 보기의 하우징과는, 상호 결합 가능한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쪽의 보기는, 발열실 및 해당 발열실에 인접하는 부워터 재킷이 형성된 히터 하우징과, 해당 히터 하우징에 베어링 장치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승되는 히터 구동축과, 해당 발열실내에서 해당 히터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형상의 로터를 가지며, 해당 로터의 회전에 의해 해당 발열실내의 벽면과 해당 로터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점성유체를 발열시키어 해당 부워터 재킷 내의 상기 순환수로 열 교환하는 비스카스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는 아이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는 파워 스티어링용 유압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의 보기는 교류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기.
KR1019970707729A 1996-03-01 1997-02-24 차량용 보기 Ceased KR19990008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4395 1996-03-01
JP8044395A JPH09240309A (ja) 1996-03-01 1996-03-01 車両用補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04A true KR19990008204A (ko) 1999-01-25

Family

ID=1269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29A Ceased KR19990008204A (ko) 1996-03-01 1997-02-24 차량용 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64262A (ko)
EP (1) EP0825055B1 (ko)
JP (1) JPH09240309A (ko)
KR (1) KR19990008204A (ko)
CA (1) CA2220074A1 (ko)
DE (1) DE69721908T2 (ko)
TW (1) TW367294B (ko)
WO (1) WO1997031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14B1 (ko) 2007-05-28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터펌프 풀리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2408A1 (de) * 2000-08-30 2002-03-21 Porsche Ag Brennkraftmaschine mit Nebenaggregaten
KR102451890B1 (ko) 2017-10-24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트리플 풀리 벨트 오토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11981201B2 (en) * 2019-12-18 2024-05-14 TSI Products, Inc. Accessory rotary driv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995A (en) * 1971-10-01 1973-04-24 Avco Corp Accessory arrangement for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0111813U (ko) * 1974-02-21 1975-09-11
JPS5814112Y2 (ja) * 1978-03-27 1983-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用オイルポンプ駆動装置
US4285329A (en) * 1978-12-26 1981-08-25 Moline George A Friction heat generator
JPS625386Y2 (ko) * 1980-12-29 1987-02-06
JPS57144131A (en) * 1981-02-28 1982-09-06 Nippon Soken Inc Driving of auxiliary machines for vehicle
US4514155A (en) * 1981-05-11 1985-04-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tary vane pump with packing means for the housing components
FR2505996A1 (fr) * 1981-05-13 1982-11-19 Rivet Raymond Dispositif pour la production de chaleur par friction
JPS5814036U (ja) * 1981-07-20 1983-01-28 三菱農機株式会社 動力伝動機構における連結装置
JPS5944947A (ja) * 1982-09-03 1984-03-13 Nippon Denso Co Ltd 偏心型真空ポンプ付発電機
DE3426654A1 (de) * 1983-07-22 1985-02-07 Valeo, Paris Anordnung von hilfsaggregaten bei kraftfahrzeugen mit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EP0135790A3 (en) * 1983-09-29 1986-12-03 Canadian Fram Limited Accessory drive control mechanism
GB2205611B (en) * 1987-06-09 1991-08-21 Austin Rover Group A pump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S6444229U (ko) * 1987-09-11 1989-03-16
GB2239704A (en) * 1990-01-05 1991-07-10 Ford Motor Co Power absorption device
JP3276009B2 (ja) * 1991-07-02 2002-04-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空調装置
JPH0655928A (ja) * 1992-08-06 1994-03-0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両用空調装置
DE4415031C1 (de) * 1994-04-29 1995-05-11 Daimler Benz Ag Hydrodynamische Einrichtung als Heizgenerator für ein Kraftfahrzeug
JP3254990B2 (ja) * 1995-11-13 2002-02-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暖房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14B1 (ko) 2007-05-28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터펌프 풀리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0074A1 (en) 1997-09-04
EP0825055A1 (en) 1998-02-25
DE69721908T2 (de) 2004-03-11
JPH09240309A (ja) 1997-09-16
DE69721908D1 (de) 2003-06-18
EP0825055A4 (en) 1999-01-13
TW367294B (en) 1999-08-21
WO1997031796A1 (fr) 1997-09-04
EP0825055B1 (en) 2003-05-14
US6164262A (en)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777A (en) Transmission lubrication and motor cooling system
US5573184A (en) He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EP0793031B1 (en) A device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EP1910695A1 (en) Coolant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21928B2 (en) Motor vehicle drive arrangement
CA2190068C (en) Automobile heating system
JP4124596B2 (ja) 水冷型遠隔操作ファン駆動組立体及びその冷却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US5617817A (en) Fan drive with a fluid-friction clutch
US6055946A (en) Crankshaft-mounted cooling fan with power takeoff capability
US6019693A (en) Method for mounting two auxiliary machines to automobil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BR102017005771A2 (pt) Arrangement of auxiliary aggregat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100645A (ja) 車両用暖房装置
KR19990008204A (ko) 차량용 보기
US1102203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for a car
US4987985A (en) Automotive fan drive train assembly having a hydraulic coupler and a viscous clutch
US5066266A (en)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vehicle having motor shaft parallel to auxiliary shaft which drives a fluid coupling through a planetary gear reduction
US7490707B2 (en) Magnetorheological fan coupling
JP3879706B2 (ja) 車両の駆動装置及び車両
JP4069950B2 (ja) 車両の駆動装置及び車両
JPH0658158A (ja) 機械式過給機
JPH0666154A (ja)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CN220522664U (zh) 全地形车
JPS606600Y2 (ja) エンジン冷却系用流体継手装置
JPH0541237Y2 (ko)
JPS62388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