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2966U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966U
KR19990002966U KR2019970016558U KR19970016558U KR19990002966U KR 19990002966 U KR19990002966 U KR 19990002966U KR 2019970016558 U KR2019970016558 U KR 2019970016558U KR 19970016558 U KR19970016558 U KR 19970016558U KR 19990002966 U KR19990002966 U KR 199900029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tray
battery
electric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형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966U/ko
Publication of KR19990002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66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1) 상부에 놓여지는 밧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트레이(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의 측면에 다수개의 강성보강용 비드(3)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2)와 플로어패널(1)의 접합면에 보강부재(4)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한 플로어패널에 비드가 형성된 밧데리트레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또한 상기 트레이와 플로어패널과의 접합부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자동차에 사용할 수 있도록 플로어패널의 강성을 보강시킨 차량의 플로오패널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그 운행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전기를 사용하는 차량으로 차체 내부에는 이러한 전기의 공급을 위한 밧데리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밧데리는 자동차의 각종 전장품들을 작동하게 하는 전원으로 이동되고 또한 그 운행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전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의 공급을 위한 밧데리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으로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요건으로서, 밧데리의 수명이 절대적으로 길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해결되어야 하겠지만 현재사용되고 있는 밧데리는 그 수명 및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이러한 조건을 해결시키기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밧데리의 크기와 갯수를 늘려서 밧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밧데리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차체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어 차량 무게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밧데리를 차체에 적재하기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패널이나 부품은 기존 엔진으로 운행하는 차량과는 다른 형상과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밧데리가 장착되는 종래의 플로어패널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101)의 바닥면에 밧데리(도시되지 않음)가 놓여질 수 있도록 수용홈(102)이 성형되고, 이 수용홈(102)에 놓여진 밧데리를 상자형상의 트레이(103)로 덮어 상기 패널(101)과 결합시킴으로써, 내부의 밧데리를 보호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는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수용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바싸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아니라 밧데리를 덮어 보호하는 트레이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 적절한 보호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구조강성이 우수하여 밧데리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로어패널의 상부에 놓여지는 밧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측면에 다수개의 강성보강용 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와 플로어패널의 접합면에 보강부재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트레이 자체에 비드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적으로 강성을 유지하여 밧데리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밧데리트레이와 플로어패널과는 별도의 보강부재가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또한 강도가 보강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로어패널 2 : 밧데리트레이
3 : 비드 4 : 보강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1)에는 다수개의 밧데리(도시되지 않음)가 놓여지게 되고, 상기 밧데리는 별도의 밧데리트레(2)이라는 부재에 의해 덮어씌워져서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밧데리를 보호하기 위한 플로어패널과 밧데리트레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플로어패널(1)의 상부에 놓여지는 밧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트레이(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의 측면에 다수개의 강성보강용 비드(3)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2)와 플로어패널(1)의 접합면에 보강부재(4)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밧데리 트레이(2) 자체에 비드(3)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적으로 강성을 유지하여 밧데리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밧데리트레이(2)와 플로어패널(1)과는 별도의 보강부재(4)가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또한 강도가 보강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4)는 ┛형상으로 되어 각각의 측면은 일측은 플로어패널(1)의 바닥면에 접하고, 타측면은 밧데리트레이(2)의 측면에 접하여 용접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밧데리트레이의 설치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플로어패널의 바닥면에 밧데리를 수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형을 하지 않더라도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한 플로어패널에 비드가 형성된 밧데리트레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또한 상기 트레이와 플로어패널과의 접합부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1) 상부에 놓여지는 밧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트레이(2)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의 측면에 다수개의 강성보강용 비드(3)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2)와 플로어패널(1)의 접합면에 보강부재(4)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2019970016558U 1997-06-30 1997-06-30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Abandoned KR199900029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58U KR19990002966U (ko) 1997-06-30 1997-06-30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58U KR19990002966U (ko) 1997-06-30 1997-06-30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66U true KR19990002966U (ko) 1999-01-25

Family

ID=6968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58U Abandoned KR19990002966U (ko) 1997-06-30 1997-06-30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9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43B1 (ko) * 2010-01-07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치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43B1 (ko) * 2010-01-07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치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62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EP2528134B1 (en) Battery case for vehicle
KR101143314B1 (ko)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KR101345638B1 (ko) 전기자동차용 하이브리드 배터리 모듈 커버
KR102407864B1 (ko)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KR10248115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JP2014065490A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KR102182194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조립 유닛
KR102586066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CN213734568U (zh) 电池包的上盖以及具有其的车辆
KR19990002966U (ko) 전기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WO2019065390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KR0121488Y1 (ko) 배터리 고정구
US12322823B2 (en) Structurally reinforced enclosure covers for traction battery packs
KR102262964B1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US20250192281A1 (en) Thermal barrier shields for use within traction battery packs
KR10211139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체결장치
KR20250099986A (ko) 배터리 팩 세트 및 배터리 팩 세트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20210120217A (ko) 차량용 배터리 모듈
KR20000011629U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트레이
KR19980035396U (ko) 전기자동차용 센터크로스 멤버구조
KR19990038015A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설치되는 배터리
KR19980036604A (ko)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마운팅 구조
KR19980027985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19980053656U (ko) 솔라카 전장품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U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C19021R01D

Patent event date: 19990701

Comment text: [Abandonment of Procedure such as Patent, etc.]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