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429A - 신규한 "비파열" 지효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미소구 - Google Patents
신규한 "비파열" 지효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미소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703429A KR19980703429A KR1019970706833A KR19970706833A KR19980703429A KR 19980703429 A KR19980703429 A KR 19980703429A KR 1019970706833 A KR1019970706833 A KR 1019970706833A KR 19970706833 A KR19970706833 A KR 19970706833A KR 19980703429 A KR19980703429 A KR 19980703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capsules
- release
- microcapsule
- glycolide
- lact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7)
- 캡핑되지 않은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와 말단 차단된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의 혼합물과 활성제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활성제를 1 내지 100일간에 걸쳐 분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하게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 조절된 마이크로캡슐 약제학적 제형.
-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가, 캡핑되지 않은 형태와 차단된 형태가 100/0 내지 1/99의 비율로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제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차단되고 말단 차단된 중합체의 공중합체(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L/G) 비율이 52/48 내지 48/52인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차단되고 말단 차단된 중합체의 공중합체 L/G 비율이 90/10 내지 40/60인 마이크로캡슐.
- 제3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2,000 내지 60,000 달톤(dalton)인 마이크로캡슐.
- 제1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활성제가 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인 마이크로캡슐.
- 제6항에 있어서, 폴리펩타이드가 1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량 1563의 히스타틴인 마이크로캡슐.
- 제7항에 있어서, 히스타틴이, L/G가 48/52 내지 52/48이고 분자량이 15,000 미만인, 비차단되고 말단 차단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100/0 혼합물에 의해 수성 생리학적 환경내에서 1 내지 35일에 걸쳐 완전히 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7항에 있어서, 히스타틴이, L/G가 48/52 내지 52/48이고 분자량이 28,000 내지 40,000 미만인, 비차단되고 말단 차단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100/0 혼합물에 의해 수성 생리학적 환경내에서 18 내지 40일에 걸쳐 완전히 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7항에 있어서, L/G 비가 48/52 내지 52/48이고 분자량 범위가 10,000 내지 40,000달톤인 캡핑되지 않은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와 말단 캡핑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의 0/100 혼합물에 의한 수성 생리학적 환경에서의 28일 내지 70일에 걸친 히스타틴의 방출 용량이 9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7항에 있어서, L/G가 75/25이고 분자량이 15,000달톤 미만인 캡핑되지 않은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와 말단 캡핑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의 0/100 혼합물에 대한 수성 생리학적 환경에서의 56 내지 100일에 걸친 히스타틴의 방출 용량이 80%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쇄 길이가 분자량이 1,500 내지 3,000달톤인 아미노산 11 내지 24개이고 구조가 다음과 같은 히스타틴 동족체를 갖는 마이크로캡슐.
- 제6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활성제가 분자량이 1182이고 구조가 다음과 같은, 아세테이트 형태인 데카펩타이드인 폴리펩타이드 류티나이징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인 마이크로캡슐.p-E H W S Y G L R P G
- 제6항에 있어서,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0달톤인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속도 및 기간의 방출 프로파일이 캡핑되지 않은 미소구체와 캡핑된 미소구체를 다양한 양으로 칵테일로서 혼합함으로써 성취되는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속도 및 기간의 방출 프로파일이 캡핑되지 않은 중합체와 캡핑된 중합체를 동일한 미소구체 속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성취되는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획된 폴리펩타이드가 CFA/I, CFA/II, CS1, CS3, CS6 및 CS17과 같은 엔테로독소성 이. 콜라이(ETEC) 및 기타 ETEC 관련 엔테로독소에 대한 임의의 백신인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획된 폴리펩티드가 장독소 생성 이. 콜라이(ETEC)에 대한 면역을 위한, 분자량 범위가 약 800 내지 5000달톤인 펩타이드 항원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제제가,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0달톤인 수용성 호르몬 약물, 항생제, 항종양제, 항소염제, 해열제, 진통제, 항해소제, 거담제, 진정제, 근육 완화제, 항간질발작제, 항궤양제, 항우울증제, 항알레르기약, 강심제, 항부정맥약, 혈관확장약, 항고혈압제, 이뇨제, 항응고제 및 마취방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가 오일상 중에서 약 1 내지 50%(w/w)로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제의 농도 범위가 0.1 내지 약 60%(w/w)인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상 대 오일상의 비가 약 1/4 내지 1/40(v/v)인 마이크로캡슐.
- 생분해 가능한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를 캡핑되지 않은 형태로 메틸렌 글로라이드 속에 용해시키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제제 또는 활성 코어를 물 속에 용해시키는 단계,수성층을 중합체 용액에 가하고 유화시켜 내부에 유중수(w/o) 유화제를 제공하는 단계,수중유(o/w) 유화제를 함유하는 용매 포화 수성상 속에서 w/o 유화액을 안정화시키는 단계,w/o 유화액을 수중유 유화제를 함유하는 외부 수성층에 가하여 3성분 유화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수중유중수(w/o/w) 유화액을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하여 용매를 제공하는 단계와, 경화된 마이크로캡슐을 물로 세정하고 이를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제제의 파열 유리되어 유지되며 프로그래밍 가능한 방출성이 특징인 조절된 방출성 마이크로캡슐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
-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말단 캡핑된 형태로 용해시키고, 생분해적 활성제 또는 활성 코어를 물에 용해시키고; 수성층을 중합체 용액에 가하고 유화시켜 내부 유중수 에멀젼을 제공하고; 수중유(o/w) 유화제를 포함하는 용매-포화 수용액에서 w/o 에멀젼을 안정화시키고; w/o 에멀젼을 수중유 유화제를 포함하는 외부 수성 층에 가하여 4원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생성된 수유중수(w/o/w)를 중분한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경화된 마이크로캡슐을 물로 세정한 다음; 경화된 마이크로캡슐을 동결건조시킴을 포함하는, 파열되지 않고 유지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방출성이 특징인 조절된 방출성 마이크로캡슐 제형의 제조방법.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용매 포화된 외부 수성 상이 내부 w/o 에멀젼을 유화시킨 다음, 외부 수성 층을 가하여 0.05 내지 500㎛의 협소한 크기 분포 범위의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약 0 내지 4℃의 저온이 내부 w/o 에멀젼의 제조 동안에 제공되고, 약 4 내지 20℃의 저온이 w/o/w 에멀젼의 제조 동안에 제공되어 안정한 에멀젼 및 고캡슐화 효율을 제공하는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캡핑되지 않고 말단 캡핑된 중합체를 사용하여 래그 상을 사용하지 않고 연속 및 지속된 방법으로 활성 코어의 방출을 제공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엔트랩핑된 폴리펩타이드가 낮은 pH에서 활성이고, LHRH, 아드레노크로티코프로픽 호르몬, 외피 성장 인자, 칼시토닌 방출된 폴리펩타이드가 생활성인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스타틴과 같은 엔트랩핑된 펩타이드가 낮은 pH에서 비활성이고, 무기 염의 pH 안정화제를 내부 수성 상에 가함으로써 방출된 펩타이드의 생활성이 유지되는 마이크로캡슐.
- 제6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스타민과 같은 포획된 폴리펩타이드가 낮은 pH에서 불활성인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트윈(Tween) 80, 트윈 60 및 트윈 20]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플루로닉스(Pluronics)]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내부 수성 상에 가하여 방출된 폴리펩타이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시키는 마이크로캡슐.
- 제29항에 있어서, 내부 수성 상에 pH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산성 pH 민감성 폴리펩타이드를 성공적으로 캡슐화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pH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위약 소구체를 폴리펩타이드 함유 소구체와 함께 투여하여 용액을 마이크로캡슐 주변의 pH로 유지시키고 방출된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존시킨 마이크로캡슐.
- 제30항에 있어서, 내부 수성 상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산성 pH 민감성 폴리펩타이드를 성공적으로 캡슐화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위약 소구체를 폴리펩타이드 함유 소구체와 함께 투여하여 방출된 펩타이드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존시킨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완전히 가용화되어 투여 부위에 잔여 중합체가 전혀 잔류하지 않는 동시에 포획제가 완전히 방출되는, 캡핑 또는 비캡핑 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 제1항 내지 제10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을 근육내 투여 및 경피 투여와 같은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사람에게 투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을 국부적 경로를 통해 사람에게 투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을 경구적 경로를 통해 사람에게 투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을 경비, 경피, 직장 및 질내 투여 경로를 통해 사람에게 투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59097396A | 1996-01-24 | 1996-01-24 | |
US8/590,973 | 1996-01-24 | ||
US08/590973 | 1996-01-24 | ||
PCT/US1996/019440 WO1997026869A1 (en) | 1996-01-24 | 1996-11-18 | Novel 'burst-free' sustained release poly-(lactide/glycolide) microspher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703429A true KR19980703429A (ko) | 1998-11-05 |
KR100511215B1 KR100511215B1 (ko) | 2006-05-09 |
Family
ID=3949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6833A KR100511215B1 (ko) | 1996-01-24 | 1996-11-18 | 신규한비-일시방출형서방성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마이크로캡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1215B1 (ko) |
BR (1) | BRPI9607752B8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56572A1 (ko) * | 2014-04-07 | 2015-10-15 | 에스케이케미칼(주) |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316101T2 (de) * | 1992-08-07 | 1998-10-22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Herstellung von Mikrokapseln, die wasserlösliche Arzneimittel enthalten |
-
1996
- 1996-11-18 KR KR1019970706833A patent/KR1005112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11-18 BR BRPI9607752A patent/BRPI9607752B8/pt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56572A1 (ko) * | 2014-04-07 | 2015-10-15 | 에스케이케미칼(주) |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1215B1 (ko) | 2006-05-09 |
MX9707310A (es) | 1998-06-30 |
BRPI9607752B8 (pt) | 2019-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91445C (zh) | 新型的“非突发的”持续释放聚(丙交酯/乙交酯)的微球 | |
EP0166596B1 (en) | Biodegradable amphipathic copolymers | |
CA2193203C (en) | Polymer microparticles for drug delivery | |
US5916597A (en) | Composition and method using solid-phase particles for sustained in vivo release of a biologically active agent | |
US6455074B1 (en) | Methods for fabricating polymer-based controlled release devices | |
O'Donnell et al. | Preparation of microspheres by the 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 |
EP0302582B2 (en) |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920007831B1 (ko) | 지효성(持효性)미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 |
CN1527698B (zh) | 控释可生物降解的凝胶基质 | |
US7160551B2 (en) | Injectable system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 |
CN1060851A (zh) | 缓释制剂及其聚合物 | |
JPH01216918A (ja) | 生理活性物質含有ポリ乳酸系微小球およびその製造法 | |
US5635216A (en) | Microparticle compositions containing peptid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
WO2000040259A1 (en) | Prolonged release microsphere encapsulating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nalogu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JPS62201816A (ja) |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 |
Ogawa | Injectable microcapsules prepared with biodegradable poly (α-hydroxy) acids for prolonged release of drugs | |
US7033608B1 (en) | “Burst-free” sustained release poly-(lactide/glycolide) microspheres | |
CA1098443A (en) | Absorbable p-dioxanone polymer-drug compositions | |
KR100511215B1 (ko) | 신규한비-일시방출형서방성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마이크로캡슐 | |
US20080176785A1 (en) |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 |
JPH04124127A (ja) | マイクロカプセル型徐放性製剤及びその製造法 | |
JP2002234833A (ja) | 徐放型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 |
CA2216371C (en) | Novel "burst-free" sustained release poly-(lactide/glycolide) microspheres | |
NO175135B (no) | Frossen, vandig dispersjon for farmasöytisk eller veterinærmedisinsk bruk som bær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7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4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4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531 Appeal identifier: 2004101006281 Request date: 20041230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5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