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2566A - 감소된 작물 손상을 위해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과산화물 표백제로의 세탁물 예비처리 - Google Patents

감소된 작물 손상을 위해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과산화물 표백제로의 세탁물 예비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566A
KR19980702566A KR1019970705972A KR19970705972A KR19980702566A KR 19980702566 A KR19980702566 A KR 19980702566A KR 1019970705972 A KR1019970705972 A KR 1019970705972A KR 19970705972 A KR19970705972 A KR 19970705972A KR 19980702566 A KR19980702566 A KR 1998070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abric
manganese
weight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610B1 (ko
Inventor
두카 발레리오 델
존 스코트 파크
다리오 라피사르다
베리 스토다트
마리나 트라니
타헤르 이큐발 유사프
Original Assignee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Publication of KR1998070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6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3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1Phosphonates, phosphinates or phosphon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having mixed oxyalkylene groups; Polyalkoxylated fatty alcohols or polyalkoxylated alkylaryl alcohols with mixed oxyalkylele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직물을 예비처리하므로써 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이 감소되는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소된 직물 손상을 위해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과산화물 표백제로의 세탁물 예비처리
과산호 표백제 함유 조성물은 세제, 세탁물 첨가제 또는 심지어 세탁물 예비처리제로서 세탁 사용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지고 있다.
사실, 윤활유, 커피, 홍차, 풀, 진흙/점토 함유 오물등을 제거하기에 특히 어려운 덮힌 얼룩/오물의 제거를 증대시키기 위해 세탁물 예비처리시 상기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에 연관된 단점은 상기 조성물이 예비처리 적용물에 사용될때, 즉 직물에 바로 적용되어 상기 직물을 세척하기 전에 장시간동안 상기 직물상에서 작용할때 직물을 손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로 직물을 예비처리할때, 특히 상기 직물을 세척하기 전에 상기 조성물이 장시간동안 상기 직물과 접촉하게 되는 적용물에서 개선된 직물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소 표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직물을 예비처리할때, 직물의 표면상에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과 같은 금속이온의 존재가 직물 섬유의 인장력의 손실을 일으켜 직물 손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직물의 표면, 특히 셀룰로오스 섬유상에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과 같은 금속이온의 존재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소 표백제의 라디칼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따라서, 라디칼 반응은 자유 라디칼의 생성으로 직물의 표면상에서 발생하고, 이것은 인장력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표면 라디칼 반응이 예비처리 환경에서 조절되므로써 직물에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것은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하기 위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을 배합하므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더욱 특히,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중에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하기 위한 화합물, 바람직하게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폰산(DTPMP),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HEDP), 에틸렌디아민 N,N'-디숙신산(EDDS),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DTPA), 프로필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PDTA),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HPNO) 또는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디옥시드의 사용이 이러한 조성물로 예비처리된 직물상의 손상을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세탁 예비처리 적용중에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하기 위한 화합물등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의 사용과 관련된 잇점은 색 손실이 또한 감소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잇점은 표백가능한 얼룩 뿐만 아니라 윤활성 얼룩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세탁 성능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이 또한 세제 또는 세제 첨가제로서 다른 세탁 적용 또는 심지어 경질의 표면 클리닝 적용과 같은 세탁 예비처리제 적용과는 별도로 다른 적용에 사용될때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한 양태어서,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디옥시드,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HEDP)과 같은 킬레이트화제 및/또는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와 같은 3개의 분자의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각각 착화되는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 공여 그룹을 갖는 킬레이트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또한 장시간 저장에 따라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직물을 예비처리하기에 적합한 산성 액체 조성물을 배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은 당해 기술에서 광범위하게 기술되고 있다. EP-A-제 629691 호는 실리콘 화합물, 및 임의의 성부능로서 과산화수소 또는 그의 수용성 공급원, 및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정제의 유제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킬레이트화제는 단지 S,S-에틸렌 디아미노 디숙신산이다(실시예 참조). EP-A-제 629691 호의 조성물에 대한 예비처리 적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직물(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이 감소된다)을 예비처리 하기 위한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은 어디에도 개시되지 않는다.
EP-A-제 629690 호는 테테프탈레이트계 중합체, 및 임의의 성분으로서 과산화수소 또는 그의 수용성 공급원, 및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화제의 유제를 개시한다. 개시된 킬레이트화제는 단지 S,S-에틸렌 디아미노 디숙신산이다(실시예 참조). EP-A-제 629690 호의 조성물에 대한 예비처리 적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직물(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이 감소된다)을 예비처리하기 위한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은 어디에도 개시되지 않는다.
EP-B-제 209 228 호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 공급원, 아미노 폴리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 및 라디칼 스캐빈저(scavenger)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폰산이 특별히 개시되어 있다. 또한 EP-B-제 209 228 호는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이 예비스포터(prespotter)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이 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오염된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상기 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로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직물상에 그의 순수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고, 상기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상기 조성물이 상기 직물상에서 건조됨이 없이 상기 직물과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 프로필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디옥시드,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염된 직물의 예비처리, 예비처리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 및 예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염된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상기 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직물의 인장력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데 사용될때 직물 손상을 야기하는 인장력 손실이 감소되는 것을 밝히는 것에 의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에서, 본원에서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오염된 지물을 예비처리하는이란 액체 조성물을 오염된 직물상에 순수형태로 적용하고, 상기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상기 직물상에 작용하게 두는 것으로 이해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의 사용은, 심지어 상기 조성물이 상기 직물을 세척하기전에 장시간(예, 24시간)에 걸쳐 예비처리되도록 직물상에 남겨지고, 상기 직물이 고함량의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에 의해 오염되도라도 직물 표면상에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의 존재에 의해 야기되는 인장력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직물의 인장력 손실은 본원의 하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력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직물을 절단될때까지 신장시킴으로써 주어진 직물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Kg으로 표시되는 힘은 직물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최대 인장 응력이고, 응력-변형 인스트론(INSTRON) 기계로 측정될 수 있다. 인장력 손실이란 참고로 취해진 직물, 즉 예비처리되지 않은 직물의 인장력과 본 발명에 따라 예비처리된 후에 동일한 직물의 인장력을 비교할때의 차이점으로 이해된다. 0의 인장력 손실은 직물 손상이 관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잇점은 색 손상이 또한 감소된다는 것이다. 사실,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로 오염된 착색 직물을 예비처리할때 관찰되는 색 변화 또는/및 탈색은, 심지어 상기 조성물이 상기 직물을 세척하기전에 장시간에 걸쳐 직물상에 남겨지더라도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기 위한 임의의 이러한 화합물없이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할때 관찰되는 색 변화 및/또는 탈색과 비교할 때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직물의 세척되기 전에 오염된 착색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직물의 색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직물 인장력 손실 감소 및/또는 직물 색 손상 감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전달되는 표백 성능이나 오염 제거 성능에 절충없이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로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방법은 직물상에 그의 순수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고, 상기 직물이 세척되기전에 상기 조성물이 상기 직물상에서 건조됨이 없이 상기 조성물을 상기 직물과 접촉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1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 1분 내지 1시간 및 더욱 바람직하게 5분 내지 30분동안 상기 직물로 접촉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직물이 별도로 제거하기에 비교적 어려운 덮힌 얼룩/오염으로 오염될때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스폰지 또는 브러쉬에 의해 또는 간단히 각각 서로에 대한 직물의 2부분을 마찰시켜 다소 강하게 마찰 및/또는 브러쉬될 수 있다. 세척이란 물로 직물을 간단히 헹구는 것으로 본원에서 이해되고, 또는 상기 직물은 세탁기 또는 간단히 손으로 하나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조성물로 세척될 수 있다.
그의 순수형태란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이 임의의 희석을 수행함이 없이 예비처리된 직물상에 적용되는, 즉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액체 조성물은 직물상에서 건조상태로 남겨져서는 않된다. 사실, 수증기 증발은 직물의 표면상에 자유 라디칼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연쇄반응의 속소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자가 산화반응(auto-oxidation reaction)은 액체 조성물이 직물상에 건조상태로 남겨질때 수증기의 증발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상기 자가 산화반응은 셀룰로오스의 분해에 기여할 수 있는 퍼옥시-라디칼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직물의 건조를 위해 액체 조성물을 분리시키지 않는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잇점, 즉 액체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로 직물을 예비처리할때 인장력 손실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필수 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과산소 표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과산소 표백제는 과산화수소 또는 그의 수용성 공급원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과산화수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공급원은 상기 화합물이 물과 접촉할때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과산화물의 수용성 공급원은 과탄산염, 과규산염, 단일과황산염과 같은 과황산염, 과붕산염, 및 디퍼옥시도데칸디오산(DPDA), 과프탈산 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과산소산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본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상기 과산소 표백제의 전체 조성물의 0.9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15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3 내지 10중량%이다. 사실, 과산소 표백제, 바람직하게 과산화수소의 존재는 세탁 적용에 특히 현저한 강한 클리닝 잇점을 제공한다.
두번째 필수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본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의 0.005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1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한다.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상기 화합물은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다.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이러한 화합물은 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 아미노 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 다작용성으로 치환된 방향족 킬레이트화제 또는 피리딘의 폴리카복실산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는 에티드론산,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HEDP) 및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 뿐만 아니라 아미노 안킬렌 폴리(알킬렌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아미노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알칼리 금속-에탄 1-하이드록시 디포스포네이트, 니트릴로 트리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메틸렌 포스포네이트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그들의 산형태나 그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산 작용기상에서 다른 양이온의 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는 상표명 DEQUEST@으로 몬산토로부터 시판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는 디에티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포네이트,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HEDP) 및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N,N-옥시드이다.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및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는 양성자화 및 산화에 특히 저항성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및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산성 액체 조성물의 적용물을 위해 특히 적합하므로써 직물 안전성이 개선된다. 사실,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및/또는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는 상기 킬레이트화제가 없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할때, 또는 상기 킬레이트화제 대신에 다른 킬레이트화제(예,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폰산)가 없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할때 개선된 화학적 안전정성으로 액체 산성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을 배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산성 액체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중에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및/또는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의 사용이고,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즉 상기 표백제의 분해속도는 상기 조성물의 장기간 저장에 따라 감소된다.
다작용성으로 치환된 방향족 킬레이트화제는 또한 본원의 조성물에 유용할 수 있다. 코노(Connor)등에게 1974년 5월 2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12,044 호를 참조한다. 산성 형태중에 바람직한 화합물의 형태는 1,2-디하이드록시-3,5-디설포벤젠과 같은 디하이드록시설포벤젠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생분해가능한 킬레이트화제는 에틸렌 디아민 N,N'-디숙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또는 그의 치환 암모늄염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에틸렌디아민 N,N'-디숙신산, 특히 (S,S) 이성질체는 하트만(Hartman) 및 페킨스(Perkins)에게 1987년 11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04,233 호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다. 에틸렌디아민 N,N'-디숙신산은 예를 들면, 팔머 리서치 래보러토리(Palmer Research Laboratories)로부터 상표명 ssEDDS@로 시판가능하다.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유용한 이러한 카복실레이트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테이트,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토아세테이트(DTPA), N-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트리아세테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프로프리오네이트,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헥사아세테이트, 에탄올디글리신, 프로필렌 다이민 테트라아세트산(PDTA) 및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를 그들의 산형태 또는 그들의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염 형태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은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DTPA), 프로필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PDTA)(예, 상표명 Trilon FS@로 BASF로부터 시판가능하다) 및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피리딘의 적합한 폴리카복실산은 디피콜린산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디피콜린산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다른 화합물과 혼합되어 사용된다. 사실, 디피콜린산은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액체 조성물중에서 본원의 다른 킬레이트화제의 상부에 가해진다.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본원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른 킬레이트화제는 3분자의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각각 착화되는 금속이온과 착체(3:1, 킬레이트화제:금속 이온 화학양론)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공여그룹을 갖는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금속이온의 배위 구를 차지함으로써 촉매적으로 불활성으로 만든다.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양성자화 및/또는 산화에 특히 저항성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기 위한 화합물로서 산성 액체 조성물중에서 사용하기 위해 특히 적합함으로써 직물 안전성이 개선된다. 사실,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 공여그룹을 갖는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상기 킬레이트화제가 없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할때 또는 상기 킬레이트화제 대신에 다른 킬레이트화제(예, 디에틸렌 트리아민 멘타 메틸렌 포스폰산)를 갖는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할때 개선된 화학적 안전성으로 산성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을 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산성 액체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중에서 3분자의 상기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각각 착화되는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이온 배위 구중에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 공여그룹을 갖는 킬레이트화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은 개선되고, 즉 상기 표백제의 분해속도는 상기 조성물의 장기간의 저장에 의거하여 감소된다.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공여 그룹을 갖는 상기 킬레이트화제는 하기의 그룹들중의 하나에 바로 인접한 하나이상의 이온화된 카복실레이트를 갖는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한다: 이온화되지 않은 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또는 N-옥시드기. 본원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은 말론산,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는 상표명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로 피리온 케미(Pyrion Chemie)(독일)로부터 시판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프로필렌 다이민 테트라아세트산(PDTA),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포네이트(DTPMP),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HEDP), 에틸렌디아민 N,N'-디숙신산(EDDS),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HPNO), 및/또는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은 예비처리된 직물중에 실질적으로 인장력 손실을 제공하지 않는다. 즉 상기 직물상에 상기 조성물의 장시간 접촉(예, 24시간)에도 직물 저항성은 감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추가로 본원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프리필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PDTA),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N,N-옥시드,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하기의 설명은 그 자체로 청구된 본 발명의 조성물,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직물상에 적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수성 액체 클리닝 조성물이다. 상기 수성 조성물은 1 내지 9, 바람직하게 2 내지 6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5의 pH를 갖는다. 조성물의 pH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 또는 알칼리화제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또한 라디칼 스캐빈저, 계면활성제, 구조제, 안정화제, 다른 킬레이트화제, 오염 현탁제, 염료 이동제, 용매, 광택제, 향료, 산화방지제, 발포 억제제 및 염료와 같이 다양한 임의적인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바람직하게 임의적인 성분은 라디칼 스캐빈저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하디칼 스캐빈저는 잘 공지된 치환된 모노 및 디하이드록시 벤젠 및 그들의 유사체, 알킬 및 아릴 카복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라디칼 스캐빈저는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하이드로퀴논, 디-테르트-부틸 하이드로퀴논, 모노-테트르-부틸 하이드로퀴논, 테르트-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 벤조산, 톨루산, 카테콜, t-부틸 카테콜, 벤질아민, 상표명 토파놀(Topanol) CA@ex ICI로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뿐만 아니라 n-프로필-갈레이트를 포함한다. 라디칼 스캐빈저가 사용될때, 전형적으로 전체 조성물의 0.001 내지 2중량% 및 바람직하게 0.0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극성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당개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하기에 기술된 임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 및/또는 본원에서 하기에 기술된 임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의 전체 조성물 또는 그의 혼합물의 50중량%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크게 바람직한 임의의 성분으로서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한다. 표백제 활성화제는 본원에서 과산을 형성하기 위해 과산화수소와 반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형성된 과산은 활성화된 표백제를 구성한다. 소수성 표백제 활성제는 본원에서 실질적인 것은 아니고, 물과 안정하게 혼화가능한 활성제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는 11이하의 HLB를 갖는다. 이러한 적합한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는 전형적으로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또는 무수물의 부류에 속한다. 이로운 표백제 활성화제의 특정 군은 EP 제 624 154 호에 기술되어 있고, 상기 군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세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ATC)이다. ATC는 실질적으로 시트르산 및 알콜로 분해되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친화하는 기타 잇점을 갖는다. 또한, ATC는 본원의 조성물중에 양호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가지며 효과적인 표백 활성제이다. 결국, 조성물에 양호한 증강력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원의 조성물은 상기 표백제 활성제의 전체 조성물 또는 그의 혼합물의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2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3 내지 7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이 또한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할때, 상기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의 수성 유제로서, 또는 물, 과산소 표백제 및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친수성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중의 상기 액체 소수성 표백제의 미세유제로서 상기 조성물을 배합하기 위한 안정성 목적으로 본원에서 크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이 추가로 상기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하고, 수성 유제로서 배합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상기 과산소 표백제 함유 유제는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유화시키기 위해 둘이상의 다른 계면활성제, 즉 9이하의 HLB를 갖는 하나이상의 소수성 계면활성제 및 10이상의 HLB를 갖는 하나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유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사실, 안정한 유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두개의 다른 계면활성제는 다른 HLB 값(친수성 친지방성 평형값)을 가져야 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두개의 계면활성제의 HLB의 값의 차이는 1이상, 바람직하게 3이상이다. 즉, 물에서 둘이상의 계면활성제와 다른 HLB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안정한 유제, 즉 50℃에서 2주 이상동안 방치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개별층으로 분리되지 않는 유제가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제는 상기 친수성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전체 조성물의 2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40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8 내지 3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제는 상기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전체 유제 또는 그의 혼합물의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3중량%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 5중량% 이상, 및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전체 유체 또는 그의 혼합물의 0.1중량%이상, 바람직하게 3중량%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 6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은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기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9 이하, 바람직하게 9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8 미만의 HLB를 갖고,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10 이상, 바람직하게 1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2 이상의 HLB를 갖는다. 사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윤활유 절단 특성을 갖는다; 즉 그들은 소수성 오염 제거에 기여하는 용매 효과를 갖는다. 소수성 계면활성제가 직물상에서 소수성 광택제의 담체로서 작용하므로써 광택제는 세척의 시작이후에 직물 표면과 가장 근접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지방알콜, 바람직하게 지방알콜 에톡실레이트 및/또는 프로폭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사실, 크게 다양한 이러한 알콕실화 지방알콜은 매우 다른 HLB 값(친수성 친지방성 평형값)을 갖는 시판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콕실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필수적으로 지방알콜의 쇄길이, 알콕실화의 성질 및 알콕실화도에 의존한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낮은 정도의 알콕실화 및 단쇄 지방알콜을 갖는 경향이 있는 반면,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낮은 정도의 알콕실화 및 장쇄 지방알콜을 갖는 경향이 있다. 계면활성제 목록은 개별적인 HLB 값과 함께 다수의 계면활성제를 기술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화학적 방법은 바라는 비율로 알킬렌 옥시드와 상응하는 알콜의 축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당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고, 당해 기술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지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알콕실화 알콕은 다양한 공급자로부터 시판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람직한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9 이하의 HLB를 갖고, 화학식 RO-(C2H4O)n(C3H6O)mH(여기서, R은 C6내지 C22알킬쇄 또는 C6내지 C28알킬 벤젠쇄이고, n+m은 0.5 내지 5이고, n은 0 내지 5이고, m은 0 내지 5이고, 바람직하게 n+m은 0.5 내지 4이고, n 및 m은 0 내지 4이다)에 따른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R쇄는 C8내지 C22알킬쇄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바놀(Dobanol)@91-2.5(HLB= 8.1; R은 C9및 C11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2.5이고, m은 0이다) 또는 루텐솔(Lutensol)@T03(HLB= 8; R은 C13및 C15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3이고, m은 0이다), 또는 테르기톨(Tergitol)@25L3(HLB= 7.7; R은 C12내지 C15알킬쇄 길이의 범위이고, n은 3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23-3(HLB= 8.1; R은 C12및 C13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3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23-2(HLB= 6.2; R은 C12및 C13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2이고, m은 0이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원에서 바람직한 것은 도바놀(Dobanol)@23-3, 도바놀(Dobanol)@23-2, 루텐솔(Lutensol)@T0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도바놀(Dobanol)@계면활성제는 셀(SHELL)로부터 시판가능하다. 이들 루텐솔(Lutensol)@계면활성제는 BASF로부터 시판가능하고, 이들 테르기톨(Tergitol)@계면활성제는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로부터 시판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다른 적합한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알콕실화 계면활성제이다. 실례는 도바놀(Dobanol)@23(HLB3)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람직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0이상의 HLB를 갖고, 화학식 RO-(C2H4O)n(C3H6O)mH(여기서, R은 C6내지 C22알킬쇄 또는 C6내지 C28알킬 벤젠쇄이고, n+m은 5 내지 11이고, n은 0 내지 11이고, m은 0 내지 11이고, 바람직하게 n+m은 6 내지 10이고, n 및 m은 0 내지 10이다)에 따른다. 이러한 기재에서 n 및 m은 에톡실화/프로폭실화의 평균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R쇄는 C8내지 C22알킬쇄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바놀(Dobanol)@23-6.5(HLB= 11.9; R은 C12및 C13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6.5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25-7(HLB= 12; R은 C12및 C15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7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45-7(HLB= 11.6; R은 C14및 C15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7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91-5(HLB= 11.6; R은 C9및 C11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5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91-6(HLB= 12.5; R은 C9및 C11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6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91-8(HLB= 13.7; R은 C9및 C11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8이고, m은 0이다), 또는 도바놀(Dobanol)@91-10(HLB= 14.2; R은 C9및 C11알킬쇄의 혼합물이고, n은 10이고, m은 0이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것은 도바놀(Dobanol)@91-10, 도바놀(Dobanol)@45-7, 도바놀(Dobanol)@23-6.5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도바놀(Dobanol)@계면활성제는 셀(SHELL)로부터 시판가능하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는 별도로, 다른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본원에서 하기에 기술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제는 또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전체유제의 중량화된 평균 HLB 값을 상당히 바꾸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유제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유제가 표백제 활성화제로서 아세틸 트리에틸 스트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절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바놀(Dobanol)@23-2와 같이 HLB 6을 갖는 소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도바놀(Dobanol)@91-10과 같이 HLB 15를 갖는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것이다. 다른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바놀(Dobanol)@23-6.5(HLB 약 12) 및 도바놀(Dobanol)@23(HLB 6 이하) 또는 도바놀(Dobanol)@45-7(HLB= 11.6) 및 루텐솔(Lutensol)@T03(HLB= 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산소 표백제 함유 조성물이 상기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하고, 미세유제로서 배합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과산소 표백제 함유 미세유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친수성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소수성 활성화제를 안정하게 혼입하기 위한 주요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면활성제가 소수성 활성화제와는 다른 HLB 값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모든 상기 계면활성제가 소수성 활성화제와 동일한 HLB 값을 가지면 연속적인 단일상이 형성되므로써 표백제/표백제 활성화제 시스템의 화학적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표백제 활성화제의 것과 1.0 HLB 이상의 유니트, 바람직하게 2.0으로 다른 HLB값을 갖는다.
본원의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OSO3M(여기서, R은 바람직하게 C10-C24하이드로카빌이고, 바람직하게 C10-C20알킬 성분을 갖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C12-C18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M은 H 또는 양이온(예, 알칼리 금속 양이온(예, 나트륨, 칼륨, 리튬) 또는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예, 메틸-, 디메틸-, 및 트리메틸 암모늄 양이온 및 4급 암모늄 양이온,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 암모늄 및 디메틸 피페리디늄 양이온 및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알킬아민으로부터 유도된 4급 암모늄 양이온등))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C12-C16의 알킬쇄는 낮은 세척온도(예, 약 50℃ 미만)에 대해 바람직하고, C16-C18알킬쇄는 높은 세척온도(예, 약 50℃ 이상)에 대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RO(A)mSO3M의 수용성 염 또는 산이고, 여기서 R은 미치환된 C10-C24알킬 또는 C10-C24알킬성분을 갖는 하이드록시알킬기, 바람직하게 C12-C20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더욱 바람직하게 C12-C18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A는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 유니트이고, m은 0이상이고, 전형적으로 약 0.5 내지 약 6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 이고, M은 H 또는 예를 들면 금속이온(예, 나트륨, 칼륨, 리튬, 칼슘, 마그네슘등),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일 수 있는 양이온이다. 알킬 에톡실화 설페이트 뿐만 아니라 알킬 프로폭실화 설페이트가 본원에서 고찰된다.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의 특정실례는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디메틸 피페리디늄과 같은 4급 암모늄 양이온 및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알킬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양이온등을 포함한다. 실례의 계면활성제는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1.0)설페이트, C12-C18E(1.0)M,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2.25) 설페이트, C12-C18E(2.25)M,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3.0) 설페이트, C12-C18E(3.0) 및 C12-C18알킬 폴리에톡실레이트(4.0) 설페이트, C12-C18E(4.0)M(여기서, M은 나트륨 및 칼륨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선택된다)이다.
세척제 용도로 유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원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비누염(예, 나트륨, 칼륨, 암모늄 및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과 같은 치환된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C9-C20선형 알킬벤젠설포네이트, C8-C22일급 또는 이급 알칸설포네이트, C8-C24올레핀설포네이트, 알킬리 토금속 시트레이트의 열분해 생성물의 설폰화에 의해 제조된 설폰하 폴리카복실산(예, 영국 특허 제 1,082,179 호), C8-C24알킬폴리글리콜에테르설페이트(10몰 이하의 산화에틸렌을 함유함), C14-C16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와 같은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아실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지방 올레일 글리세롤 설페이트, 알킬 페놀 에틸렌 옥시드 에테르 설페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와 같은 이세티오네이트, N-아실 타우레이트, 알킬 숙신아메이트 및 설포숙시네이트, 설폭숙시네이트의 모노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된 C12-C18모노에스테르), 설폭숙시네이트의 디에스테르(특히 포화 및 불포화된 C6-C14디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설페이트와 같은 알킬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하기 기술된 비이온성 비설페이트 화합물) 분지된 일급 알킬 설페이트, 화학식 RO(CH2CH2O)kCH2COO-M+(여기서, R은 C8-C22알킬이고, k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가용성 염형성 양이온이다)과 같은 알킬 폴리에톡시 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로진, 수소화 로진과 같은 수지산 및 수소화 수지산이 또한 적합하고, 수지산 및 수소화 수지산은 톨유에 존재하거나, 이로부터 유도된다. 추가의 실례는 문헌[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Vol. I and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서 주어진다. 광범위한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또한 일반적으로 1975년 12월 30일자로 로글린(Laughli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678 호에 제 23열 58째줄에서 제 29열, 제 23째줄에 걸쳐 기술된다(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원의 미세유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원에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이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미세유제의 바람직한 제조는 물과 계면활성제를 예비혼합하고, 계속하여 과산화수소 및 상기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를 비롯한 나머지 성분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첨가의 순서에 상관없이, 성분의 혼합동안에, 미세유제는 비교적 높은 교반 에너지, 바람직하게 750rpm에서 30분, 가장 바람직하게 1,000rpm에서 30분하에서 교반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조성물이 미세유제로서 배합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불투명체 및 염료의 부재하에서 거시적으로 투명하다. 원심분리 시험에서, 본원의 상기 미세유제는 6,000RPM에서 15분후에 상 분리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시적 시험에서, 상기 미세유제는 매트릭스중에 소적의 분산으로 나타났다. 매트릭스는 본원에서 이미 기술된 친수성 매트릭스이고, 소적은 액체 소수성 표백제 활성화제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입자는 전형적으로 3 미크론 직경이하의 크기를 가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또한 크게 바람직한 임의적 성분으로서 2-알킬 알칸올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이 발포체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은 6 내지 16개, 바람직하게 8 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및 말단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고,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 2 내지 8개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쇄에 의해 α위치에서 치환되는 알킬쇄를 갖는 2-알킬 알칸올이다. 이러한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들면, 이소폴(Isofol)@12(2-부틸 옥탄올) 또는 이소폴(Isofol)@16(2-헥실 데칸올)과 같이 이소폴(Isofol)@시리즈로 시판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2-알킬 알칸올을 0.05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1.5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0.1 내지 0.8중량%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의 바람직한 적용물이 세탁물 예비처리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또한 세제 또는 세제 촉진제 뿐만 아니라 목욕탕 또는 부척의 가정용 클리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질 표면 클리너로서 사용될때, 이러한 조성물은 헹구기가 쉽고, 깨끗해진 표면상에 양효한 광택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될 것이다.
A) 실험 데이타
기술된 비율의 기술된 성분을 혼합하여 하기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다른 규정이 없는 한 중량%).
[표1]
조성물 I은 단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고,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이 없다. 조성물 II 내지 VI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것이지만, 그들은 과산화수소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기 시험을 실행하였다:
인장력 시험방법을 상기에서 이미 기술된 조성물에 대해 실행하였다. 시험방법을 금속 오염된 직물상에서 실행하였다.
면의 g당 50ppm의 구리 농도를 갖는 면 리본(크기 12.5 x 5㎠)을 본 발명에 따라 예비처리하였다. 사실, 본원에서 이미 기술된 2ml의 각각의 액체 조성물로 면 리본을 예비처리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물로 헹구기 전에 24시간동안 리본과 접촉시켰다. 그 후에, 상기 리본을 절단될때까지 신장시켜 직물 즉, 면 리본상의 손상을 평가하였다. 리본을 절단시키는데 필요한 힘, 즉 최대 인장 응력을 응력-변형 인스트론 기계로 습윤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면 리본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힘이 낮을 수록, 직물상에 발생하는 손상은 더욱 심각하다. 결과에 대한 양호한 신뢰도(표준 편차= 2÷5Kg)은 각각의 시험에 대한 5회 반복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시험된 다른 조성물에 대한 상기 언급된 인장력 손실은 %로 표시되고, 참고로서 취해진 주어진 직물, 즉 예비처리되지 않은 직물의 인장력과 상기 직물이 본원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예비처리되어진후 측정된 동일한 직물의 인장력을 비교하여 얻는다.
상기 결과는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이 없는 것을 제외한 동일한 조성물(조성물 I)의 사용과 비교할때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액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예기치 않은 안전 개선점, 즉 인장력 손실의 감소를 명백하게 나타낸다. 사실, 긴 접촉시간 즉, 24시간 및 상기 직물의 표면상에 구리의 고농도, 즉 면직물의 g당 50ppm의 구리의 존재하에서도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 직물을 예비처리할때 관측되는 인장력 손실이 실질적으로 없다(조성물 Ⅱ 내지 Ⅵ 참조).
B) 실시예
기술된 비율의 기술된 성분을 혼합하여 하기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다른 규정이 없는 한 중량%).
[표2]
[표3]
실시예 1 내지 ⅩⅢ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직물을 세척하기 전에 24시간동안 상기 직물상에 조성물을 작용시킬때라도 실질적으로 처리된 직물의 인장력 손실이 없이 조성물 Ⅰ 내지 ⅩⅢ로 본 발명에 따라 예비처리 공정이 실행되었다.
내용 없슴.

Claims (15)

  1. 오염된 직물을 세척하기 전에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므로써 오염된 직물중의 인장력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의 용도.
  2.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로 오염된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조성물을 그의 순수형태로 직물상에 적용시키고, 상기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상기 조성물이 상기 직물상에서 건조되지 않고 상기 직물가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상기 화합물이 포스포네이트 킬레이트화제, 아미노 카복실레이트 킬레이트화제, 다작용성으로 치환된 방향족 킬레이트화제, 피리딘의 폴리카복실산, 3분자의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각각 착화되는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치 할 수 있는 2개의 전자 공여그룹을 갖는 킬레이트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또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이 에틸렌 디아민, N,N'-디숙신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또는 그의 치환체 암모늄 염,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아세트산,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 또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폰산,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또는 프로필렌 테트라아세트산,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N,N'-옥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용도 또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조성물이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의 0.005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1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소 표백제가 과산화수소 또는 그의 수용성 공급원, 바람직하게 과산화수소인 용도 또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 과산소 표백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15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50중량% 이하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9.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로서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 프로필렌 다이민 테트라아세트산, 2-하이드록시피리딘-N-옥시드, 에틸렌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N,N'-옥시드,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소 표백제가 과산화수소 또는 그의 수용성 공급원, 바람직하게 과산화수소이고, 상기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 과산화물 표백제를 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 2 내지 15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005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1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0.5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수성이고, 1 내지 9, 바람직하게 2 내지 6 및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5의 pH를 갖는 조성물.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전체 조성물의 50중량% 이하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오염된 착색 직물이 세척되기 전에 오염된 착색 직물을 예비처리하므로써 상기 직물의 색 손상이 감소되는 과산소 표백제 및 구리 및/또는 철 및/또는 망간을 킬레이트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제 1 항에 따르는 액체 조성물의 용도.
  15. 과산소 표백제를 포함하는 액체 산성 조성물중에 3개의 킬레이트화제 및/또는 에틸렌 디니트릴로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N,N'-옥시드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탄 디포스폰산에 의해 각각 착화되는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이온 배위 구에서 인접한 배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2개의 전자 공여그룹을 가짐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이 개선되는 킬레이트화제의 용도.
KR1019970705972A 1995-02-28 1996-02-20 과산소 표백제 및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및 이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49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870018.9 1995-02-28
EP95870018 199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566A true KR19980702566A (ko) 1998-07-15
KR100249610B1 KR100249610B1 (ko) 2000-03-15

Family

ID=822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9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9610B1 (ko) 1995-02-28 1996-02-20 과산소 표백제 및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및 이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EP (1) EP0812348B1 (ko)
JP (1) JPH11502549A (ko)
KR (1) KR100249610B1 (ko)
CN (1) CN1176656A (ko)
AT (1) ATE230042T1 (ko)
AU (1) AU711340B2 (ko)
BR (1) BR9607400A (ko)
CA (1) CA2213633C (ko)
CZ (1) CZ270297A3 (ko)
DE (1) DE69625471T2 (ko)
ES (1) ES2185764T3 (ko)
FI (1) FI973517L (ko)
HU (1) HUP9800073A2 (ko)
NO (1) NO973910L (ko)
PL (1) PL322021A1 (ko)
SK (1) SK115597A3 (ko)
TR (1) TR199700867T1 (ko)
WO (1) WO1996026999A1 (ko)
ZA (1) ZA961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24117T3 (es) * 1995-07-05 2005-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tratamiento para el lavado de ropa con seguridad mejorada para los tejidos y colores.
GB2311541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Oxygen-releasing bleach composition
GB2311542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Percarbonate bleach composition
GB2311537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Rinse composition for dishwashers
GB2311536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Dishwashing and laundry detergents
GB2311535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s
GB2311538A (en) * 1996-03-29 1997-10-01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s
ES2183929T3 (es) * 1996-10-31 2003-04-01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liquidas acuosas blanquantes y procedimiento de pretratamiento.
US6242407B1 (en) * 1996-11-22 2001-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bleaching compositions
US5968884A (en) * 1997-04-07 1999-10-19 Basf Corporation Concentrated built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a biodegradable chelant
US6692536B1 (en) 1997-11-24 2004-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crystal growth inhibitor to reduce fabric abrasion
EP0924292B1 (en) * 1997-11-24 2005-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crystal growth inhibitor to reduce fabric abrasion
EP0918088A1 (en) * 1997-11-24 1999-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crystal growth inhibitor to reduce fabric abrasion
GB2333772A (en) * 1998-01-31 1999-08-04 Procter & Gamble Complexing agents (eg 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for use in selectively complexing copper, iron, zinc, nickel and cobalt in the presence of calcium
US6204233B1 (en) * 1998-10-07 2001-03-20 Ecolab Inc Laundry pre-treatment or pre-spotting compositions used to improve aqueous laundry processing
AU777434B2 (en) * 1999-09-01 2004-10-14 Unilever Plc Method of pretreating and bleaching stained fabrics
JP3857082B2 (ja) * 2001-07-24 2006-12-13 花王株式会社 衣料用洗濯前処理剤組成物
US6767881B1 (en) 2003-03-19 2004-07-27 Ecolab, Inc. Cleaning concentrate
JP5401034B2 (ja) * 2007-12-19 2014-01-29 ライオン株式会社 漂白助剤、および該漂白助剤を含有する漂白助剤粒子
DE102008023014A1 (de) 2008-05-09 2009-11-12 Henkel Ag & Co. Kgaa Wäßriges Textilbehandlungsmittel
JP5544716B2 (ja) * 2009-01-13 2014-07-09 栗田工業株式会社 鉄鋼製造工程における循環冷却水の洗浄方法
EP2334776B1 (en) * 2009-09-15 2012-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 of chelants
KR101828418B1 (ko) 2009-10-30 2018-02-12 아크조 노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동물 사료 내 금속 보충제의 용도
WO2012019688A2 (de) * 2010-07-27 2012-02-16 Clariant International Ltd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wasserstoffperoxid oder wasserstoffperoxid freisetzende substanzen
CH703870B1 (de) * 2010-09-29 2014-11-28 Genossenschaft Coop Desinfizierende Reinigungszusammensetzung.
US8841247B2 (en) * 2011-08-15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pyridinol-N-oxide compositions
CN103290670A (zh) * 2013-05-16 2013-09-11 辽宁腾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漂后热能去除纯棉针织物残留氧的方法
US10060073B2 (en) * 2013-05-23 2018-08-28 Washing Systems, Llc Method of laundering industrial garments
PL224478B1 (pl) 2013-06-03 2016-12-30 Eko Styl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apreturowania tkanin w procesie ich prani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6639A (en) * 1960-05-31 1963-05-22 Courtauld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cellulosic fabrics
JPS599662B2 (ja) * 1980-08-18 1984-03-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繊維織物の糊抜方法
DE3218889A1 (de) * 1982-05-19 1983-11-24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entschlichten und bleichen von textilmaterial aus cellulosefasern
FR2545854B1 (fr) * 1983-05-10 1985-07-26 Ugine Kuhlmann Procede de blanchiment des textiles en presence de particules de fer ou de metaux ferreux
DE3346578A1 (de) * 1983-12-23 1985-07-18 Sandoz-Patent-GmbH, 7850 Lörrach Mittel und verfahren zum einbadigen einstufigen alkalischen vorbehandeln von cellulosehaltigen textilmaterialien
EP0209228B2 (en) * 1985-06-17 1999-06-09 The Clorox Company Stabilized liquid hydrogen peroxide bleach compositions
US4900468A (en) * 1985-06-17 1990-02-13 The Clorox Company Stabilized liquid hydrogen peroxide bleach compositions
JP2602563B2 (ja) * 1989-12-15 1997-04-23 花王株式会社 液体酸素系漂白剤組成物
GB9027429D0 (en) * 1990-12-18 1991-02-06 Kodak Ltd Effluent treatment
US5362412A (en) * 1991-04-17 1994-11-08 Hampshire Chemical Corp. Biodegradable bleach stabilizers for detergents
GB9216408D0 (en) * 1992-08-01 1992-09-16 Procter & Gamble Stabilized bleaching compositions
JP2819487B2 (ja) * 1992-10-05 1998-10-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用処理組成物及び処理方法
EP0629690B1 (en) * 1993-06-09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aqueous emulsions of nonionic surfactants
DE69321711T2 (de) * 1993-06-09 1999-06-10 The Procter & Gamble Co., Cincinnati, Ohio Stabile wässrige nichtionische Tensideemulsionen
GB2294707A (en) * 1994-11-05 1996-05-08 Procter & Gamble Bleach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5764T3 (es) 2003-05-01
DE69625471D1 (de) 2003-01-30
JPH11502549A (ja) 1999-03-02
CZ270297A3 (cs) 1998-01-14
ATE230042T1 (de) 2003-01-15
TR199700867T1 (xx) 1998-01-21
SK115597A3 (en) 1998-06-03
CA2213633C (en) 2002-01-22
NO973910D0 (no) 1997-08-26
EP0812348B1 (en) 2002-12-18
EP0812348A4 (en) 2000-04-12
PL322021A1 (en) 1998-01-05
FI973517A0 (fi) 1997-08-27
MX9706537A (es) 1997-11-29
FI973517L (fi) 1997-10-27
AU711340B2 (en) 1999-10-14
CN1176656A (zh) 1998-03-18
KR100249610B1 (ko) 2000-03-15
NO973910L (no) 1997-08-26
BR9607400A (pt) 1998-06-30
ZA961586B (en) 1996-09-06
EP0812348A1 (en) 1997-12-17
AU4988296A (en) 1996-09-18
CA2213633A1 (en) 1996-09-06
WO1996026999A1 (en) 1996-09-06
DE69625471T2 (de) 2003-11-06
HUP9800073A2 (hu) 199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610B1 (ko) 과산소 표백제 및 철, 구리 또는 망간에 대한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액체 조성물,및 이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예비처리하는 방법
US5929012A (en) Laundry pretreatment with peroxide bleaches containing chelators for iron, copper or manganese for reduced fabric damage
RU2156281C2 (ru)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тканей,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этой композицией, компонент для улучшения пятноудаляющ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и физической стабильности композиции
EP0752469B1 (en) Laundry pre-treatment with improved fabric/colour safety
EP0844302B1 (en) Laundry bleaching compositions
US6001794A (en) Laundry pretreatment peroxygen bleach with radical scavenger giving improved fabric/color safety
AU707493B2 (en) Peroxygen bleach-containing prespotting compositions with polyamine stabilizers providing improved fabric/color safety
KR19990071834A (ko) 분무형 분배기에 포장된 액체 표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브릭의 전처리 방법
US6071870A (en) Bleaching compositions which contain a peroxygen bleach, a hydrophobic bleach activator, and a long chain alkyl sarcosinate
EP0790297A1 (en) Bleaching compositions
US6242407B1 (en) Laundry bleaching compositions
US6069123A (en) Peroxygen bleach-containing prespotting compositions with polyamine stabilizers providing improved fabric/color safety
RU2173336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обработка в процессе стирки перекисными отбеливателями, содержащими хелатообразующие агенты для железа, меди или марганца для снижения повреждения тканей
EP1129165A1 (en) Processes of soaking fabrics
MXPA97006537A (en) Pre-treatment for laundry with peroxide whiteners containing chlatators for fierro, copper and manganese for damage to reduced fabrics
AU3383397A (en) Laundry bleaching with improved safety to fabrics
AU6395596A (en) Bleaching compositions
CA2246380A1 (en) Bleaching compositions
CN1194662A (zh) 具有提供改进的纤维/颜色安全性的多胺稳定剂的含过氧漂白剂预先去斑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0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