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2170A -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170A
KR19980702170A KR1019970705565A KR19970705565A KR19980702170A KR 19980702170 A KR19980702170 A KR 19980702170A KR 1019970705565 A KR1019970705565 A KR 1019970705565A KR 19970705565 A KR19970705565 A KR 19970705565A KR 19980702170 A KR19980702170 A KR 1998070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data
communication network
curren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랜시스 비비안 브레메
Original Assignee
에버세드 마이클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세드 마이클,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에버세드 마이클
Publication of KR1998070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4Query formulation, input preparation, or trans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3Generating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via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43)를 구축하는 방법 및 장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는 중간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처리되고,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41)는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최종 데이터베이스(43)을 발생하기 위해 처리되며, 최종 데이터베이스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직접 도출되는 경우보다 중간 데이터베이스(43)를 발생하고, 이로부터 최종 데이터베이스(43)를 도출하는 것이 수고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을 결정하고, 네트워크 성분의 성능을 감시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관리 기능은 연관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네트워크와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된다.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시리얼 넘버, 모델 및 제조 정보, 그리고 설비 장애를 수리할 책임을 가진 사람 또는 조직에 대한 세부내용과 같은 특정 아이템에 대한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일부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즉시 수리 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되어 있는 다른 정보는 네트워크 구성 결정이 행해질 때 사용되는 설비의 성능에 관한 정보이다.
현재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될 때,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와 호환되는 시스템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데이터베이스가 많은 설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수천개의 회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처음부터 새로운 네트워크 관리시스템과 호환되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어왔다. 이와 같이 하는 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리는데, 2개의 통상적인 통신회로를 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데는 약 2시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처음부터 새로운 호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없이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자의 실현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제 2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가지는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컴퓨터시스템의 메모리에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1 구조와는 다르게 정렬된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하는 단계;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구조화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되지 않는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함으로써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재구성하거나 다른 소스(source)로부터 데이터를 조립하는 것보다는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선택에 의해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처리 수고가 덜 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새로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대부분의 복잡성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하는 것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일단 중간 데이터베이스가 도출되면 새로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필요한 형태의 새로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가 변화하면, 이 변화에 응하여 선택 및/또는 구성 단계를 변경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것은 중간 데이터베이스가 도출되는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이런 도출이 본 발명의 가장 복잡한 부분이기 때문에 상당한 작업량이 절감된다.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는 현재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과는 별개인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수동으로 구성하는 요원에 의해 접속되는 컴퓨터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성되는 구조는 물리적인 구조 보다는 논리적인 구조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구조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객체에 대한 정보는 객체가 예시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예시된다는 것은 객체가 저장된 정보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된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상기 제 1 구조와는 다르게 정렬된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수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구조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구성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를 들어가며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일루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과 도 4는 상기 장치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설명적인 흐름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중간 데이터베이스 준비에 사용된 모델,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된 데이터구조의 개략도 및
도 10 내지 도 14는 설명적인 흐름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는 Sun Sparc 체계에 따른 2개의 워크스테이션(1, 2), 예를 들면 선 마이크로시스템사의 워크스테이션과 통신네트워크(3)를 포함한다. 이들 워크스테이션(1, 2)은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고, 하나의 동일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파일 서버와 함께 네트워크 연결된다.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메모리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많은 단말에 걸쳐서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스테이션(1)은 정상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버스에 의해 연결된 중앙처리기(21), 메모리(22) 및 입출력 포트(23)를 포함한다.
메모리(2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도시되지 않음)의 형태이고, 이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기 명령(33)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를 저장한다. 처리기 명령(33)은 디스크상의 기억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기계 코드 항목들을 포함한다. 중앙처리기(21)는 처리기 명령(33)에 따라 동작하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는 네트워크(3)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워크스테이션(1)은 네트워크(3)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자로서 동작한다. 네트워크(3)에 관한 정보는 전송경로(4)를 따라 입출력 포트(23)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수신된다. 명령들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동일한 경로를 경유하여 네트워크(3)에 전송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네트워크(3)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전송경로(4)를 따라 네트워크(3)에 명령을 전송한다. 이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구성 명령을 포함할 것이다.
워크스테이션(2)은 명목상으로는 워크스테이션(1)과 동일하지만, 청므과는 다른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된다. 워크스테이션(2)의 하드웨어 성분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데이터베이스(41)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40), 처리기 명령 메모리(42)와 최종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할당된 메모리(43)를 갖는다. 메모리(40)는 또한 규칙 데이터베이스(4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규칙 데이터베이스(44)는 초기에는 비어있지만, 이후의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규칙 입력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당국이 네트워크 관리를 워크스테이션(1)으로부터 워크스테이션(2)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네트워크(3)를 관리하는 워크스테이션(2)에 있어서 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데이터베이스는 그것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호화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워크스테이션(2)에 의해 동작되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은 ServiceView라 불리고, 영국 런던 뉴게이트 스트리트 81에 주소를 둔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처리기 명령 메모리(42)에 저장된다. ServiceView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이며,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실생활 객체, 즉 네트워크(3)의 성분들은 속성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객체들에 의해 모델링된다. 이런 데이터베이스는 대응하는 실생활 객체의 속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이런 데이터는 객체들이 데이터로부터 예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호환 데이터베이스로 구조화된다.
워크스테이션(1)의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는 ServiceView 프로그램과 호환되지 않고, 워크스테이션(2)에 의해 직접 이용될 수 없다. 그러나, 현재의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새로운 호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처리기 명령 메모리(42)는 상기한 ServiceView 프로그램에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구를 저장한다. 이런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구는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로부터 새로운 호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구의 동작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는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초기 단계, 단계(49)는 네트워크 당국이 2개의 규칙 세트를 입력하는 것이다. 제 1 규칙 세트는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에 적용되는 반면에, 제 2 규칙 세트는 발생된 중간 데이터베이스(42)에 적용될 것이다.
네트워크 당국에 의한 제 1 규칙 세트 입력은 후에 입력되는 모델의 클래스에 관한 것이다. 이 규칙들은 각 클래스로부터 어떻게 객체가 형성되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모델의 클래스로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 2 규칙 세트는 중간 데이터베이스(42)와 최종 데이터베이스(43) 사이의 관계가 완전히 일정하고, 이러한 규칙들은 후속하는 데이터베이스 변환 동작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빈도로 변경될 것이다. 제 1 규칙 세트가 후속하는 단계에서 발생된 모델의 클래스에 입력된 후에 규칙들을 재정의하는 옵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워크스테이션(2)에서 적절한 명령을 입력하는 네트워크 당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 단계는 도 5의 단계(50)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중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객체 계층구조를 모델링한다(단계(50a).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델링(modelling)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워크스테이션(2)의 스크린상에 윤곽만의 객체 계층구조를 모델링한다. 이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는 일련의 계층적으로 연결된 노드들을 스크린상에 도시할 수 있다. 이런 노드들은 후에 객체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모델의 클래스들을 나타낸다.
다음에 제 2 워크스테이션(2)의 처리기(21)는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에 제 1 규칙 세트를 적용한다(단계(53)). 이 결과로 데이터의 관련 아이템들이 복사되고, 중간 데이터베이스(41)를 객체, 이들의 속성 및 값들로 채우는데 사용된다. 다음에 중간 데이터베이스는 단계(5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상에 저장된다.
다음에 제 2 워크스테이션(2)의 처리기(21)는 단계(5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간 데이터베이스(41)에 제 2 규칙 세트를 적용한다. 이것은 메모리(43)의 호환되는 최종 데이터베이스로 추출된 데이터를 구조화한다. 다음에 최종 데이터베이스는 단계(5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상에 다운로드된다.
다음에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구가 종료되고(단계(58)), 네트워크 당국은 네트워크(3)를 관리하기 위해 ServiceView를 샐행한다(단계(59)).
이때 워크스테이션(1)은 네트워크(3)로부터 접속이 끊기거나 다른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이제 객체 계층구조(단계(50a))의 모델링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네트워크 당국은 모델링 프로그램을 초기화할 것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당국은 워크스테이션의 연관된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한 모델을 워크스테이션(2)의 스크린상에 도시할 수 있다. 도 6은 이런 표시를 개략적인 형태로 보여준다.
모델링 프로그램은 그 모델의 한 노드와 그 노드에 매달린 다른 노드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옵션을 갖는다. 따라서 NETWORK라 표시된 제 1 또는 루트(root) 노드(100)가 형성되고, 이 노드에 노드(101, 102 및 103)가 매달린다. 각 노드는 객체의 한 클래스를 나타낸다. 노드(101)는 클래스 1에 포함되는 객체를 나타낸다. 노드(102)는 클래스 2에 포함되는 객체를 나타낸다. 노드(103)는 클래스 3에 포함되는 객체를 나타낸다. 각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서브노드(sub-node)를 가지는 슈퍼노드(super-node)로서 도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스 1은 3개의 서브노드(104, 105, 106)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클래스 2는 서브노드(107, 108, 109)를 가지는 것으로, 그리고 클래스 3은 3개의 서브노드(110, 111, 112)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가 모델링될 때, 네트워크 당국은 각 클래스에 제 1 규칙 세트로부터의 규칙들을 입력한다. 이런 규칙들은 규칙 데이터베이스(44)로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노드(101)이 도시될 때, 네트워크 당국은 그 클래스, 즉 클래스 1의 객체에 포함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규칙을 입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브노드들도 또한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규칙들을 갖고 있다. 이런 규칙들은 ITEMSPEC1 내지 ITEMSPEC9라 한다. 이런 규칙들은 또한 서브 규칙들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모델링된 계층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루트 노드(100)는 두 개의 서브노드, CIRCUIT라 표시된 제 1 노드(101)와 EQUIPMENT라 표시된 제 2 노드(102)를 갖는 네트워크라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CIRCUIT(101)와 EQUIPMENT(102)의 서브노드(104, 107)는 아이템 지정 규칙 ITEMSPEC1=EQ*와 ITEMSPEC4=EQ*를 입력한다. 이런 규칙들은 EQ로 시작하는 문자열과 일치할 것이고, * 문자는 EQ뒤에 이어지는 모든 텍스트를 의미한다.
여기서 모델은 네트워크(3)를 포함하는 객체의 클래스와 서브클래스와 동일한 노드와 서브노드를 보여준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7에는 5개의 노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클래스내에 포함되는 5개 이상의 매우 많은 수의 객체가 존재할 것이다. 즉, 클래스에 기록된 규칙에 따르면 현재의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 데이터는 대개 클래스당 하나 이상의 객체를 발생할 것이다.
단계(49)에서 입력되어 저장된 제 1 규칙 세트의 형태는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규칙들을 적용하는 후속 단계(53)과 중간 데이터베이스(41)에 객체를 설정하는 단계(54)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 단계(49)와 단계(53) 내지 단계(56)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적용되는 규칙들은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특성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의존할 것이다. 네트워크 당국은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되는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의 데이터베이스(3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레코드로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레코드들은 카드 파일의 방식으로 정렬되고, 각 레코드는 카드의 한 레코드이다. 도 8에는 단지 4개의 레코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시된 것 이상의 레코드가 존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후술되는 일련의 책임자 레코드(73, 74)를 포함한다.
각 레코드(61, 62, 63 및 64)는 동일한 형식으로서, 9개의 데이터 필드(65 내지 72)를 갖는다.
데이터필드(65)는 레코드에 라벨을 붙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레코드(61)의 경우에 이 라벨은 RECORD 1이다. 다른 레코드(62, 63 및 64)는 연속적으로 라벨이 붙은 RECORD 2, RECORD 3, RECORD 4일 것이다.
데이터필드(66, 69, 71 및 72)는 다만 현재의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와 관련한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새로운 객체지향 최종 데이터베이스(43)를 구축하는데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데이터는 ZZZ, PQRST, XXX 및 YYY와 같은 형태로 표시된다.
데이터필드(67)는 그 레코드와 관련된 네트워크(3)의 특정 성분에 대한 라벨을 포함한다. RECORD 1에 있어서 이것은 네트워크(3)상의 한 회로인 CCT123이다.
데이터필드(68)는 성분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이 항목은 회로가 고우워(GOWER) 거리의 설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LOC = GOWER이다.
데이터필드(70)는 그 레코드와 관련된 설비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그 설비는 EQ1의 형태이다.
도 9는 RECORD 2를 도시하고 있고, RECORD 1과 동일한 형태인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데이터필드는 RECORD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면 부호가 붙어 있다. 그러나, 데이터필드는 다르며, 이 경우에 설비는 EQ2의 형태이고, 설비의 라벨은 CCT234이며, 레코드에는 라벨 RECORD 2가 붙어 있다. 데이터필드(68)는 항목 LOC = GOWER를 갖기 때문에 위치는 다시 고우워 거리이다. 나머지 데이터필드(66, 69, 71 및 72)는 RECORD 1과 동일한 항목을 가진다.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는 또한 일련의 책임자 레코드(73, 74)를 포함한다. 이런 레코드들은 설비 아이템에 관한 정보, 특히 설비를 유지할 책임이 있는 개인 또는 조직의 이름을 저장한다.
각 레코드(73, 74)는 설비 형태에 대한 기술어를 포함하는 설비 형태 데이터필드(75)를 갖는다. 레코드(73)의 경우에, 기술어는 형태 1의 설비를 의미하는 EQ1이다. 레코드(74)의 경우에는 형태 2의 설비를 의미하는 EQ2이다.
책임자 데이터필드(76)가 또한 각각의 레코드(73, 74)에 제공된다. 이것은 특정 형태의 설비를 유지할 책임이 있는 사람의 이름을 포함한다. 레코드(73)에 대하여 데이터필드(76)는 성명 F. JONES, 레코드(74)에 대하여 데이터필드(76)는 성명 S. SMITH를 포함한다. 따라서 형태 EQ1인 설비의 유지를 위하여 F. JONES가 접촉되고, 형태 EQ2의 설비에 대하여 S. SMITH가 접촉되어야 한다.
스크린 지시 메시지가 워크스테이션(2)의 가상표시장치(VDU)에 표시되고, 다음에 네트워크 당국은 레코드(61, 62, 63 및 64)와 책임자 레코드(73, 74)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규칙 세트를 입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런 규칙들은 모델 노드에 입력된다.
요약상, 본 실시예는 2개의 데이터 파일, 회로 레코드를 포함하는 것과 책임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파일들은 아래 표와 같은 형태로 제시된다.
파일 1 데이터필드 67 데이터필드 68 데이터필드 70
레코드 61 CCT123 LOC = GOWER EQ1
레코드 62 CCT234 LOC = GOWER EQ2
레코드 63 CCT345 LOC = IPSWICH EQ1
레코드 64 CCT456 LOC = GLASGOW EQ2
파일 2 데이터필드 75 데이터필드 76
레코드 73 EQ1 F. JONES
레코드 74 EQ2 S. SMITH
이러한 구조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네트워크 당국은 2개의 규칙 세트를 형식화한다.
이런 규칙들은 요구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중간 데이터베이스(41)로서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구체화한다.
제 1 규칙 세트를 상세히 기술하기 전에 일반적인 개요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설명도를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규칙으로 구체화된 첫 번째 과정은 객체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1의 데이터를 통한 제 1 패스(pass)이다. 제 1 패스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상자(110)에 의해 표시된 일치 판단 단계이다. 이 일치 판단 단계는 모델의 객체 템플릿(template)의 한 패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중 한 레코드의 데이터필드내의 한 문자열을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필드(70)가 검사된다.
다음 단계는 일치 및 객체 템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인지를 고려하는 것으로서, 상자(111)로 나타난다. 이런 경우라면, 객체명은 데이터필드(70)에 저장된 문자열로 세트되고, 이것은 상자(112)로 나타난다.
일치 및 객체 템플릿이 클래스 EQUIPMENT가 아니면, 상자(1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들이 클래스 CIRCUIT인지를 고려한다.
일치 및 객체 템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객체명은 상자(1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필드(67)에 저장된 문자열로 세트된다.
상자(112, 113)에 나타난 것 이후의 단계는 새로운 객체가 관련되어 있는지, 즉 객체가 이전 레코드의 처리 이후에 형성되지 않았는지를 고려한다. 이 단계는 상자(114)로 나타난다.
객체가 새로운 객체이면, 이는 상자(1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객체의 형성 또는 객체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판단한 이후의 단계는 상자(116)에 나타난 절차와 객체에 데이터를 내장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다른 레코드가 존재하면, 상자(110)에 의해 나타난 일치 판단 단계로부터 상기한 과정이 반복된다.
내장 절차는 레코드로부터 몇 개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초기 단계에 형성된 객체에 저장한다.
이 절차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형성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이고, 이는 도 11의 상자(120)에 나타나 있다.
객체는 이때 상자(1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객체가 클래스 CIRCUIT인지를 발견하기 위해 검사된다.
객체가 클래스 CIRCUIT이면, 상자(1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필드(67)내의 문자열이 추출된다. 이때 추출된 문자열은 상자(1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에 기억장소로서 저장된다.
객체가 클래스 CIRCUIT가 아니면, 상자(121)에 나타난 단계 이후의 단계는 객체가 클래스 EQUIPMENT인지에 대한 질의이다. 이 단계는 상자(126)에 나타나 있다.
객체가 클래스 EQUIPMENT이면, 다음 단계는 데이터필드(70)내 문자열을 추출하는 것이고, 이는 상자(127)에 나타나 있다. 이 문자열은 이때 상자(1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에 기억장소의 이름으로 저장된다.
이 절차는 상자(125), 상자(128) 및 상자(126)(객체가 클래스 EQUIPMENT가 아니면)에 나타난 단계 이후에 종료한다.
따라서 파일 1의 레코드의 처리가 끝난 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2의 레코드를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일 2의 레코드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제 1 단계는 상자(1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 템플릿에 대하여 일치하는 것을 찾기 위해 첫 번째 레코드의 데이터필드(75)내의 문자열을 검사하는 것이다. 일치 및 템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이 질의는 상자(131)에 나타나 있다-객체명은 상자(1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자열로 세트된다.
다음 단계는 상자(1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이름의 객체가 이미 존재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그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자(1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자(1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번째 내장 절차가 구현된다.
상자(1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일 2의 다음 레코드가 이때 얻어진다. 이 단계는 또한 일치가 클래스 EQUIPMENT가 아닌 경우에 단계(131)에 대한 다음 단계이다.
이후 다음 레코드는 이전과 같이 처리된다.
내장(2) 절차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절차의 첫 번째 중요한 단계는 상자(1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인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상자(14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필드(76)의 문자열이 추출된다.
추출된 문자열은 이때 상자(142)에 객체의 RESPONSIBLE 데이터필드에 이름으로서 저장된다. 이 절차는 종료되고, 단계(136)가 뒤따른다.
제 1 규칙 세트, 즉 세트 1은 다음과 같다.
1. 시작{패스 1- 객체 형성 및 원시 데이터 추출}
2. 데이터 파일 1의 각 레코드에 대하여 {회로 레코드}
3. 시작
4. 모델내 모든 객체 탬플릿의 패턴에 대하여 데이터필드(70)의 문자열 일치
5. 일치 및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객체명을 데이터필드(70)의 문자열로 세트
6. 일치 및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CIRCUIT이면 객체명을 데이터필드(67)의 문자열로 세트
7. 이 탬플릿에 대하여 이 이름을 갖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객체 형성
8. 현재의 또는 새로 형성된 객체 선택
9.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CIRCUIT이면 데이터필드(67)에서 문자열을 추출하고 선택된 객체의 이름 CCT로 저장
10.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데이터필드(68)에서 문자열을 추출하고, 선택된 객체의 이름 LOC로 저장
11.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데이터필드(70)에서 문자열을 추출하고, 선택된 객체의 이름 TYPE으로 저장
12. 종료 {데이터 파일 1의 레코드}
13. 데이터 파일 2의 각 레코드에 대하여 {책임자}
14. 시작
15. 모델내 모든 객체 탬플릿의 패턴에 대하여 데이터필드(75)의 문자열 일치
16. 일치 및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객체명을 데이터필드(75)의 문자열로 세트
17. 이 탬플릿에 대하여 이 이름을 가지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객체 형성
18. 현재의 또는 새로 형성된 객체 선택
19.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데이터필드(76)의 문자열을 추출하고, 선택된 객체에 RESPONSIBLE 이름으로 저장
20. 종료 {데이터 파일 2의 레코드}
21. 종료 {패스 1}
22. 시작 {패스 2- 속성값 형성}
23. 패스 1에서 형성된 각각의 객체에 대하여
24. 각 속성 규칙에 대하여 단계(9)와 단계(10)에서 저장된 이름을 가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속성값 형성
25. 종료 {패스 2}
상기 규칙에 있어서, 는 데이터베이스의 서로 다른 형태에 맞추기 위해 규칙들이 적용되기 전에 네트워크 당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규칙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모델의 각 객체 탬플릿(클래스)은 그것과 연관된 많은 부분(부칙(sub-rule))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규칙을 갖는다.
규칙의 라인 1은 중간 데이터베이스(41)에 객체를 형성하고, 그 객체들의 값과 속성들을 형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34)를 통한 제 1 패스를 시작한다.
라인 2는 파일 1의 모든 레코드, 즉 레코드(61-64)가 검사되도록 한다.
라인 3은 레코드(61-64)의 각각에 대하여 처리를 시작하고, 이 절차는 라인 3 내지 라인 12를 포함한다. 이 절차는 라인 2에 의해 반복된다.
라인 4는 모델내 모든 객체 탬플릿의 한 패턴에 대하여 각 레코드의 데이터필드(70)내 문자열을 검사하는 것과 연관된다. 이 패턴은 모델내에 셋업된 클래스의 ITEMSPEC 규칙에 의해 규정된 것이다. 이런 방식에 있어서 규칙들은 탬플릿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래스 CIRCUIT와 설비에 대한 ITEMSPEC는 EQ*이고, 이것은 EQ로 시작하는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과 일치한다.
라인 5 내지 라인 8은 새로운 객체의 형성이나 현 객체의 응용과 연관된다. 형성된 객체는 레코드에서 검사된 필드에 따라 이름이 부여된다. 이 이름은 부칙에 따라 세트된 특정 데이터필드의 문자열에 따라 세트된다. 객체가 새로운 객체, 즉 부칙에 따라 세트된 데이터필드의 이름을 갖는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이름의 객체가 라인 7에서 형성된다.
필요한 객체를 형성한 후, 다음 단계는 객체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는 후에 데이터가 참조되도록 하는 이름을 가지고 저장된다. 이름이 부여된 데이터는 변수로 불린다. 라인 9와 라인 10은 클래스 CIRCUIT내의 객체에 대하여 이런 동작을 실행한다.
라인 9에 의해 데이터필드(67)에서 찾은 문자열이 추출되고, 선택된 객체에 이름 CCT를 가지고 저장된다. 라인 10에 의해 데이터필드(68)에서 찾은 문자열이 선택된 객체에 이름 LOC를 가지고 저장된다. 라인 11은 클래스 EQUIPMENT의 객체에 대하여 선택된 객체에 이름 TYPE를 가지고 저장되는 데이터필드(70)로부터 추출된 문자열로 이런 동작을 실행한다.
라인 11이 종료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변수를 갖는 6개의 객체가 형성되었다.
객체 클래스 변수
CCT123 CIRCUIT CCTLOC CCT123GOWER
CCT234 CIRCUIT CCTLOC CCT234GOWER
CCT345 CIRCUIT CCTLOC CCT345IPSWICH
CCT456 CIRCUIT CCTLOC CCT456GLASGOW
EQ1 EQUIPMENT TYPE EQ1
EQ2 EQUIPMENT TYPE EQ2
라인 12는 데이터파일 1의 레코드에 대한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마지막 문장이다.
라인 13은 다음 규칙들이 데이터파일 2의 모든 레코드, 즉 모든 책임자 레코드에 대하여 적용되도록 한다.
라인 14는 데이터파일 2의 레코드에 적용된 규칙에 대한 시작 문장이다. 라인 15는 적용되는 첫 번째 규칙을 갖는다. 데이터파일 2내 각 레코드의 데이터필드(75)의 문자열은 모델의 모든 객체 탬플릿의 패턴에 대하여 일치된다.
일치가 존재하고,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객체명은 데이터필드(75)의 문자열로 세트된다(라인 16). 그렇게 이름이 부여된 객체가 새로운 객체이면, 객체가 형성된다(라인 17).
다음으로 객체가 선택되고, 이 객체 탬플릿이 클래스 EQUIPMENT이면, 데이터필드(75)에 저장된 문자열은 선택된 객체에 책임을 갖는 이름을 가지고 저장된다(라인 18 및 라인 19).
다음으로 데이터파일 2의 처리가 종료되고(라인 20),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패스 1이 종료된다(라인 21).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런 특정 예에 있어서, 라인 5 및 라인 7의 적용에 의해 객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라인 17의 적용에 의해 형성되는 객체는 없다. 클래스 CIRCUIT의 객체는 라인 19가 다만 객체가 클래스 EQUIPMENT인 경우에 하나의 변수를 설정하기 때문에 어떤 다른 변수를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클래스 EQUIPMENT의 객체는 객체 EQ1에 대하여 F. JONES, 객체 EQ2에 대하여 S. SMITH인 변수 RESPONSIBLE의 값을 발생할 것이다. 패스 1의 종료시에 객체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객체 클래스 변수
CCT123 CIRCUIT CCTLOC CCT123GOWER
CCT234 CIRCUIT CCTLOC CCT234GOWER
CCT345 CIRCUIT CCTLOC CCT345IPSWICH
CCT456 CIRCUIT CCTLOC CCT456GLASGOW
EQ1 EQUIPMENT TYPERESPONSIBLE EQ1F. JONES
EQ2 EQUIPMENT TYPERESPONSIBLE EQ2S. SMITH
라인 22 내지 라인 25는 패스 2에 대한 규칙들을 포함하고, 객체에 대한 속성값의 형성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패스 1에서 형성된다. 라인 22는 제 1 패스에 대한 시작 문장이다. 라인 23은 뒤를 잇는 규칙들이 패스 1에서 형성된 각각의 객체에 적용되도록 하는 FOR 문장이다. 라인 24는 라인 9 및 라인 10 이후에 저장된 이름이 부여된 데이터(변수)로부터 속성값을 형성하기 위하여 속성 규칙을 적용한다. 각각의 객체 클래스 또는 탬플릿은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자신의 속성 목록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속성값을 발생하기 위한 속성 부칙이 존재한다. 이런 속성 부칙은 네트워크 당국에 의해 고안되어 설정되고, 속성값을 형성하기 위해 이 변수들이 조작되고 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속성 부칙을 적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객체를 제공한다:
객체 속성
CCT123 IDSERIAL CCT123/GOWER1
CCT234 IDSERIAL CCT234/GOWER2
CCT345 IDSERIAL CCT345/IPSWICH3
CCT456 IDSERIAL CCT456/GLASGOW4
EQ1 TYPEPERSON EQ1F. JONES
EQ2 TYPEPERSON EQ2S. SMITH
따라서 중간 데이터베이스(41)는 객체 속성으로 내장된다.
다음 단계는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종 데이터베이스(43)를 추출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또는 백 엔드(back end)로 구체화된 다른 규칙 세트를 적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최종 데이터베이스(43)는 2차원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조화된다. 이용된 특정 시스템은 오라클사의 ORACLE(T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다만 한 형태의 데이터 구조, 즉 테이블이 존재한다. 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데이터의 테이블을 부분 집합화 또는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처리가 테이블에 적용되도록 허용한다. 데이터의 테이블에 대하여 실행가능한 동작 형태에 대한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오라클사에서 출판된 L. Ellison의 Introduction to SQL에 관심을 가지기 바랍니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원시 객체를 재구성(예시)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사용한다.
이후 테이블이 중간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발생되는 방식에 대한 개요를 도 14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상자(15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상자(15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객체의 속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상자(15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요한 보조 데이터는 이때 발생된다.
다음으로 상자(15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블이 최종 데이터베이스와 거기에 입력된 데이터로 셋업된다.
다음 객체가 중간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선택되고(상자(154)), 이전과 같이 처리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테이블은 중간 데이터베이스(41)로부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된다.
26. 시작 {객체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표현으로 변환}
27.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각 객체에 대하여
28. 객체의 각 속성에 대하여
29. 속성 추출
30. 규칙을 사용하여 값이 입력되는 테이블 또는 테이블들을 결정
31. 규칙을 사용하여 필요하다면 실제 값을 변환
32. 규칙을 사용하여 객체의 속성을 재구성하기 위해 테이블에 입력되는데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발생
33. 적절한 테이블(들)에 값과 보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SQL 명령을 발생
34. 종료 {객체의 속성}
35. 규칙을 사용하여 객체를 재구성하기 위해 테이블에 입력되는데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발생
36. 적절한 테이블(들)에 보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SQL 명령을 발생
37. 종료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38. 종료
라인 30, 라인 31 및 라인 35에서 언급된 규칙들은 규칙 메모리(44)에 텍스트 파일로서 저장된 규칙들이다. 이런 규칙들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명령 세트를 발생하기 위하여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적용된다. SQL 명령은 최종 데이터베이스(43)에 적절한 값을 발생하기 위하여 ORACLE(TM)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다. 이런 명령들은 최종 데이터베이스(43)의 바람직한 형태의 데이터 구조에 의존할 것이다.

Claims (21)

  1.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1 구조와는 다르게 정렬된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 1 구조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구조화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갖는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통신네트워크 구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조와는 다른 제 3 구조에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는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특정 아이템 또는 형태의 데이터 발생에 대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이런 발생을 검색한 후에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객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객체의 형성 단계 이후에
    특정 아이템 또는 형태의 데이터 발생에 대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이런 발생을 검색한 후에 그 아이템 또는 관련 아이템의 데이터를 복사하고,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대응하는 객체로 이것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그 아이템 또는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따른 그 아이템의 데이터와 연관된 아이템에 따라 이름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항에 종속될 때,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속성은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4 항에 종속될 때, SQL 명령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적절한 데이터 구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0.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1 구조와는 다르게 정렬된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베이스를 도출하는 수단;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수단; 및
    제 1 구조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구조화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갖는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제 1 구조에 따라 정렬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구조와는 다른 제 3 구조에 따라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 수단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수단은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 수단은 한 데이터 형태의 특정 아이템의 발생에 대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런 발생을 검색한 후에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객체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수단은 특정 아이템 또는 형태의 데이터의 발생에 대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런 발생을 검색한 후에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그 아이템 또는 연관된 아이템의 데이터를 복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 수단은 중간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의 한 아이템 또는 아이템들에 따라서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계형 구조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SQL 명령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지시하는 프로세서 지시 수단.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제 10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제 18 항에 따른 프로세서, 제 19 항에 따른 프로세서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를 받은 프로세서에 의해 발생된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21. 제 20 항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통신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KR1019970705565A 1995-02-13 1996-02-13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KR19980702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300878 1995-02-13
EP95300878.6 1995-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70A true KR19980702170A (ko) 1998-07-15

Family

ID=822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65A KR19980702170A (ko) 1995-02-13 1996-02-13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03035A (ko)
EP (1) EP0809831B1 (ko)
JP (1) JPH11502041A (ko)
KR (1) KR19980702170A (ko)
CN (1) CN1173933A (ko)
CA (1) CA2211592A1 (ko)
DE (1) DE69602827T2 (ko)
FI (1) FI973305L (ko)
NO (1) NO973694L (ko)
WO (1) WO1996025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3582D0 (en) 1996-02-20 1996-04-17 Hewlett Packard Co Method of accessing service resource items that are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578044B1 (en) * 1997-11-17 2003-06-10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typesafe attribute matching
KR100204917B1 (ko) * 1997-05-17 1999-06-15 윤종용 디지탈 무선 이동 통신을 위한 에이치엘알 시스템의 데이타베이스 변경을 위한 방법
US6134560A (en) * 1997-12-16 2000-10-17 Kliebhan; Daniel F.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telephone switching office databases
US6272496B1 (en) 1998-04-02 2001-08-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private branch exchange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324547B1 (en) * 1998-04-02 2001-11-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intelligent network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453032B1 (en) 1998-04-02 2002-09-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dialing plan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243712B1 (en) 1998-04-02 2001-06-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operator services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6169994B1 (en) * 1998-04-02 2001-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hardware equipment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108669A (en) * 1998-04-02 2000-08-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odifying databases derived from a database warehouse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6055227A (en) * 1998-04-02 2000-04-2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network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301477B1 (en) * 1998-04-02 2001-10-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reating and modifying similar and dissimilar databases for use in GSM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317748B1 (en) * 1998-05-08 2001-11-13 Microsoft Corporation Management information to object mapping and correlator
DE19825331B4 (de) * 1998-06-05 2005-02-24 T-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Analyse von Daten in Telekommunikationsanlagen
US6684216B1 (en) * 1999-09-29 2004-01-27 Katherine A. Duliba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input, analysis, and output capability for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US6671696B1 (en) * 2001-08-20 2003-12-30 Pardalis Software, Inc. Informational object authoring and distribution system
US7949668B2 (en) * 2001-08-20 2011-05-24 Pardalis, Inc. Common point authoring system for the complex sharing of hierarchically authored data objects in a distribution chain
WO2003023735A2 (en) * 2001-09-07 2003-03-20 Truetel 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system service logic data model
US7240068B2 (en) * 2002-09-06 2007-07-03 Truetel Communications, Inc. Service logic execution environment (SLEE) that is running on a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services and that is compliant with a telecommunications computing standard for SLEES
AU2002951909A0 (en) * 2002-10-04 2002-10-24 Tenix Industries Pty Limited A method of adaptively interfacing with data repository
AU2003260168B2 (en) * 2002-10-04 2005-07-07 Tenix Investments Pty Ltd Data quality & integrity engine
AU2002951910A0 (en) * 2002-10-04 2002-10-24 Tenix Industries Pty Limited Data quality and integrity engine
GB0306610D0 (en) * 2003-03-21 2003-04-30 British Telecomm Conversion of structured information
US20050027564A1 (en) * 2003-06-18 2005-02-03 Yantis David Brook Term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healthcare and other use
US8238538B2 (en) 2009-05-28 2012-08-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tateful home phone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759A (en) * 1985-08-29 1990-03-1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Hierarchical database conversion with conditional write
US5119465A (en) * 1989-06-19 1992-06-0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ystem for selectively converting plurality of source data structures through corresponding source intermediate structures, and target intermediate structures into selected target structure
US5210870A (en) * 1990-03-27 1993-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Database sort and merge apparatus with multiple memory arrays having alternating access
US5446885A (en) * 1992-05-15 1995-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ent drive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ith rule-based applications structure stored in a relational database
US5611076A (en) * 1994-09-21 1997-03-11 Micro Data Base Systems, Inc. Multi-model database management system engine for databases having complex data mod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2041A (ja) 1999-02-16
MX9706023A (es) 1997-11-29
FI973305A0 (fi) 1997-08-12
AU4671196A (en) 1996-09-04
CN1173933A (zh) 1998-02-18
CA2211592A1 (en) 1996-08-22
FI973305L (fi) 1997-08-12
EP0809831B1 (en) 1999-06-09
DE69602827D1 (de) 1999-07-15
EP0809831A1 (en) 1997-12-03
US6003035A (en) 1999-12-14
WO1996025715A1 (en) 1996-08-22
AU689701B2 (en) 1998-04-02
NO973694L (no) 1997-10-10
NO973694D0 (no) 1997-08-12
DE69602827T2 (de)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170A (ko) 통신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US53157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objects in data models
US5909688A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5897636A (en) Distributed object computer system with hierarchical name space versioning
US5581755A (en) Method for maintaining a history of system data and processes for an enterprise
US201000050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US7668888B2 (en) Converting object structures for search engines
KR100529661B1 (ko) 오브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JPH0855019A (ja) 視覚的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7707211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1306372A (ja) 文書管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EP0601254A1 (en) Method for allowing the access of a database by an application program
JPH0567155A (ja) 情報検索装置
AU689701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database
JP2002259503A (ja) 生産管理システム、生産管理方法、その生産管理方法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生産管理情報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生産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生産管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EP19492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JPH06214768A (ja) プログラム部品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自動生成方法
MXPA9700602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database
KR0175579B1 (ko) 객체지향 sdl 설계명세서의 버전 관리방법
JP2003186670A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コンポーネントの自動生成装置,自動生成方法及び自動生成プログラム
JP2000122855A (ja) データ名称付与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US200200658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JPH04220768A (ja) テキスト変換方法
Edwards et al. Abstracting the logical processing life cycle for entities using the RECAST method
KR100501904B1 (ko)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복제화 및 동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