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81370A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370A
KR19980081370A KR1019980013191A KR19980013191A KR19980081370A KR 19980081370 A KR19980081370 A KR 19980081370A KR 1019980013191 A KR1019980013191 A KR 1019980013191A KR 19980013191 A KR19980013191 A KR 19980013191A KR 19980081370 A KR19980081370 A KR 1998008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terminal
network
coordination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타케야마다케시
기타오미츠루
모리구치겐이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오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오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주)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오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8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을 구비한다.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 및 이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로 부터 나오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요소의 타입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조정 요소와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요구 신호를 대응시키므로써,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조정 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될때, 조정 요구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본 발명은 제어 터미널, 네트워크 터미널 및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 터미널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네트워크 터미널에 접속되어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텔레비젼, 비디오 플레이어, 공기 조절기등을 각각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장치를 조정하는것이 상당히 복잡하게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원격 제어기로 다수의 불특정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이 시스템을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이 결합되므로써, 네트워크 터미널은 제어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제공한다. 이 제어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제어 터미널측상에 설정된다.
이와같은 시스템은 예를들어 일본 공개 공보 제 8-140167 및 8-149576호에 서술되어 있다. 상술된 공보를 따르면, 다수의 명령 및 이 명령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가 네트워크 터미널에 기억된다.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로 전송된다. 제어 터미널은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조정 버튼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므로써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사용자는 이들 아이콘을 참조하여 조정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르므로써 선택된 조정 버튼에 대응하는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 터미널에서 네트워크 터미널로 전송한다.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터미널은 명령을 실행하고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1은 종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며, 제어 터미널(11)은 선택 장치(111), 전송 데이타 발생기(112), 전송기(113), 표시 장치(114), 제어 코드 테이블 RAM(115), 표시 제어기(116),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17), 수신기(118) 및 표시 폰트 RAM(119)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터미널(12)은 수신기(121),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22), 제어 코드 테이블 RAM(123),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124), 전송기(125), 전송 데이타 발생기(126) 및 표시 폰트 ROM(127)를 구비한다.
도2는 네트워크 터미널(12)를 구비하는 비디오 장치(21)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명령 및 이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 각각은 적외선 신호로서 네트워크 터미널(12)에서 제어 터미널(11)로 전송되므로써, 제어 정보는 제어 터미널(11)로 다운로딩된다. 제어 터미널(11)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14)상에 5개의 아이콘(즉, 재감기, 역방향 재생, 정지, 재생 및 빨리감기)을 표시한다. 선택 장치(111)는 다수의 조정 버튼을 구비한다. 조정 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따라서, 비디오 장치(21)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11)상에 설정된다. 예를들어, 재감기를 표시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정 버튼이 눌려질때, 재감기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는 제어 터미널(11)에서 네트워크 터미널(12)로 전송된다. 재감기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터미널(12)은 명령을 실행하고 비디오 플레이어(21)가 재감도록 명령한다.
이하에, 상술된 동작이 상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네트워크 터미널(12)에서, 네트워크(12)를 제어하는 명령은 제어 코드 테이블 RAM(123)에 기억된다. 이들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표시 폰트 ROM(127)에 기억된다. 도3은 명령 및 이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예를 도시하는 테이블(31)이다. 각 명령 및 이 명령에 대응하는 각 아이콘은 조정 정보를 형성한다.
네트워크 터미널(12)의 전송 데이타 발생기(126)는 제어 테이블 ROM(123)으로 부터 명령 뿐만아니라 표시 폰트 ROM(127)으로 부터 이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불러오므로써, 명령과 아이콘의 결합에 의한 조정 정보를 형성한다. 조정 정보는 전송기(125)에 제공된다. 전송기(125)는 제어 터미널(11)에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터미널(11)의 수신기(118)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조정 정보를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17)에 제공한다.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17)은 조정 정보를 분석하고 명령을 제어 코드 테이블 RAM(115)에 기억시키고 명령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 폰트 RAM(119)에 기억시킨다.
표시 RAM(119)에 기억된 아이콘은 표시 제어기(116)에 의해 판독 출력되고 표시 장치(114)에 의해 표시된다. 이 방식으로, 아이콘들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되므로써 사용자는 선택 장치(111)의 조정 버튼의 기능을 알수 있다.
조정 버튼들중 하나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졌을때, 전송 데이타 발생기(112)는 제어 코드 테이블 RAM(115)를 참조하여 눌려진 조정 버튼에 대응하는 명령을 불러온다. 예를들어, 도2에 도시된 재감기를 표시하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정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때, 전송 데이타 발생기(112)는 도3에 도시된 명령을 제어 코드 테이블(115)로 부터 불러와서 명령을 표시하는 신호를 전송기(113)에서 네트워크 터미널(12)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터미널(12)의 수신기(121)는 명령(3)을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명령(3)을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22)에 제공한다. 수신된 데이타 분석기(122)는 명령(3)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124)가 소망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124)는 명령(3)을 실행하여 비디오 플레이어(21)가 재감기 하도록 명령한다.
상술된 방법으로,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12)에서 제어 터미널(11)로 전송되므로써 네트워큰 터미널(12)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제어 터미널(11)에 설정된다.
다수의 불특정 네트워크 터미널이 사용될때 조차,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네트워크 터미널이 제어 터미널과 결합될때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로 제공되는 조정 정보를 토대로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각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서 설정된다. 제어 터미널에 조정 환경을 등록하므로써,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은 하나의 제어 터미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은 다음 문제를 갖는다.
종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서, 조정 버트, 예를들어 모든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파워 버튼은 명령 및 이 명령의 아이콘의 조합을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로 전송하므로써 설정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버튼은 모든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없다.
명령 및 아이콘이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로 모든 조정 버튼에 대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된 정보양이 크게되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긴시간을 요한다. 예를들어, 하나의 아이콘이 16×16 비트맵으로 표현될때, 전체 256 비트가 전송되는데 필요로된다. 네트워크 터미널로 부터 제어 터미널로 적외선 신호에 의해 정보 전송율이 초당 200비트일대, 1초이상의 전송 시간이 각 아이콘에 대해서 필요로된다.
종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을 따르면, 유사한 기능을 명령하는 복수의 상관 조정 버튼, 예를들어 볼륨 업 및 볼륨 다운을 명령하는 한쌍의 볼륨 버튼을 집중적으로 배열하는 기능이 없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한쌍의 볼륨 버튼은 편리한 위치에 집중적으로 배열될 수 없다.
종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을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이 하나의 제어 터미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지라도, 이들 터미널으로 집중적으로 제어될 수 없다. 예를들어, 하나의 장치가 네트워크 터미널에 의해 실현될때, 네트워크 각각은 제어 터미널 각각에 의해 원격 제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따르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을 구비한다.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 및 이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로 부터 나오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요소의 타입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조정 요소와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요구 신호를 대응시키므로써,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조정 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될때, 조정 요구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을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컴포넌트의 소정 조정 요소는 소정의 네트워크 동작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물리적인 조정 버튼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한 실시예를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표시부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한 실시예를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조정 요소 그룹에 속하는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제어 터미널은 조정 요소 그룹의 조정 요소를 집중적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한 실시예를 따르면,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을 포함하며, 이 터미널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간에서 기능 정보를 교환하므로써 실현될 수 있는 장치를 식별하며, 제어 터미널에 기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타입을 표시하는 정보 및 이 조종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며,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의 수신시에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제어 터미널은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구비하는 제어 터미널에 의해 제어된다.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 및 이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제어 터미널의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소정의 조정 요소는 네트워크 터미널의 소정 동작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한 실시예를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조정 요소 그룹에 속하는 조정 요소를 구비하고 제어 터미널은 조정 요소 그룹의 조정 요소를 집중적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은 복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들간에서 기능 정보를 교환하므로써 실현되며, 기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 및 이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제어 터미널로 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터미널에 의해 제어되어 제공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형태를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부와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 메모리부에 기억된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여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투 웨이 통신부, 상기 투 웨이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조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제어 터미널은 조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을 수행하여 제공된다. 상기 제어 터미널은 네트워크 터미널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된 조정 요소의 형태를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조정 요소와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된 조정 요구 신호와 일치하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설정하며, 상기 조정 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때, 상기 조정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중 소정의 조정 요소는 네트워크 터미널의 소정 동작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물리적 조정 버튼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표시부에 표시된 조정 버튼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는 조정 요소 그룹에 속한 조정 요소와 상기 조정 요소 그룹의 조정 요소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제어 터미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터미널은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제어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조정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하는 투 웨이 통신부, 투 웨이 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조정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된 조정 요소 형태를 선택하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된 조정 요구 신호와 선택된 조정 요소에 대응하며, 그에 의해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설정하며, 상기 조정 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때, 상기 조정 요구 신호를 투 웨이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와,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따라 기능 정보를 교환하므로써 실현된 응용을 확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가지며, 상기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와 상기 기능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표시하는 제어 터미널 조정 정보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구 신호의 수신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제어 터미널은 상기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조정 정보에 의해 표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조정 환경은 기능용으로 의도되어 조정되며, 상기 조정 요구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터미널에 의해 제어된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이 제공된다.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따라 기능 정보를 교환하므로써 실현된 응용을 확인하고, 상기 기능과 조정 요구 신호를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표시하는 제어 터미널 조정 정보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구 신호의 수신시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된 발명은 다음의 장점을 가진다. 즉, (1)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까지 전송된 조정 정보의 양이 감소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며, (2)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조정 성분이 이미 사용 가능 조정 환경으로 제어 터미널을 제공하도록 제어 터미널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며, (3) 사용 가능 조정 환경으로 제어 터미널을 제공하도록 관련된 조정 요소가 그룹으로서 제어 터미널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고, (4)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의해 제공된 응용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에 숙련된 당업자에게 나타난다.
도1은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 터미널을 가지는 비디오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대응하는 명령과 아이콘의 예를 보여주는 테이블.
도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 터미널의 외부 표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7a는 텔레비젼 터미널용 도6의 제어 터미널의 조정 환경의 도시도.
도7b는 비디오 터미널용 도6의 제어 터미널의 조정 환경의 도시도.
도7c는 영상 수신기 터미널용 도6의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의 도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성분의 형태를 보여주는 데이터 테이블.
도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텔레비젼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7a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비디오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7b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영상 수신기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7c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제어 터미널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어 터미널상에서 설정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14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표시 스크린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17은 종래 시스템의 다수의 표시 스크린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터미널에 따라 교환된 기능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
도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21a 내지 21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표시 스크린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터미널에 따라 교환된 기능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
도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비디오 플레이어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21a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비디오 플레이어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21b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21c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 : 제어 터미널 43 : 네트워크 터미널
400 :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400 : 표시 장치
413 : 선택 장치 431 : 투 웨이 통신 장치
432 : 정보 메모리 장치 434 :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예를들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은 제어 터미널(41)와 네트워크 터미널(43)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기술된다.
도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응용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4a를 참고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은 제어 터미널(41), 네트워크 터미널(43), 네트워크(42)를 구비한다. 상기 네트워크(42)는 제어 터미널(41) 및 텔레비젼 터미널(43-1)(도5)중 각각의 하나사이의 접속부, 비디오 터미널(43-2)(도5), 영상 수신기 터미널(설정 상부 박스)(43-3)(도5)를 제공한다. 상기 텔레비젼(43-1),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는 하나의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원격적으로 제어된 네트워크 터미널(43)이다. 도4a에 도시된 네트워크 터미널(43)는 텔레비젼 터미널(43-1), 비디오 터미널(43-2),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중 하나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의 유일한 공통 성분이 도시되어 있다.
제5도를 참고로 하면, 제어 터미널(41)와 텔레비젼 터미널(43-1)중 각각 하나 사이에 접속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42)와,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가 도시되어 있다.
도4a로 돌아가,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표시 장치(411), 정보 메모리 장치(412), 선택 장치(413), 중앙 처리 장치(후에 CPU로 불림)(414) 및 투 웨이 통신 장치(415)를 구비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는 투 웨이 통신 장치(431), 정보 메모리 장치(432), CPU(433) 및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434)를 구비한다.
상기 네트워크(42)는 제어 터미널(41)와 네트워크 터미널(43)사이의 투 웨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외선 네트워크이다.
도6은 제어 터미널(41)의 표시를 도시하는 계획도이다. 도6을 참고로,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전원 버튼(62), 메뉴 버튼(63), 표시 장치(411)의 표시 패널(64), 가변 버튼(65,66,67,68), 조그 다이얼(69), 선택 버튼(610), 삭제 버튼(611) 및 교차형 버튼(612)을 구비한다. 상기 위에서 기술된 버튼은 선택 장치(413)에 포함된다.
상기 전원 버튼(62)은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의 각각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터미널(43)를 턴온, 턴오프한다.
상기 메뉴 버튼(63)은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의 각각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터미널(43)의 각각에 대한 메뉴를 호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변 버튼들(65,66,67,68)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을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 각각에 유일한 기능을 할당한다. 가변 버튼(65,66,67,68)의 상기 기능은 표시 패널(64)상에서 표시된다. 한편, 상기 표시 패널(64)은 가변 버튼(65,66,67,68)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텍스트를 표시하며, 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에 대해 유일한 기능을 표시한다.
상기 조그 다이얼(69)은 원격적으로 제어되는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는 서로 스위치된다.
상기 선택 버튼(610) 및 삭제 버튼(611)은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버튼(610)과 삭제 버튼(611)은 선택 메뉴를 삭제하기 위해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교차형 버튼(612)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교차형 버튼(612)은 상기 네트워크(43-1),(43-2),(43-3)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메뉴상에 커셔를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원 버튼(62), 메뉴 버튼(63), 선택 버튼(610), 삭제 버튼(611) 및 교차형 버튼(612)는 네트워크 터미널(43-1),(43-2),(43-3)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들 버튼 각각은 고정된 위치와 기능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제어 터미널(41)를 쉽게 조정한다.
도7a,7b,7c는 텔레비젼 터미널(43-1),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용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을 도시한다.
도7a는 텔레비젼 터미널(43-1)용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을 도시한다. 도7a를 참고로, 텍스트 TV는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나타나며 텔레비젼 터미널(43-1)가 선택되는 것을 표시한다. 전원 버튼(62)은 공통 동작 버튼으로서 유효하다. 상기 가변 버튼(65,66,67,68)은 명령들 채널업, 채널 다운, 볼륨업, 볼륨 다운으로 할당된다. 각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들은 가변 버튼들(65,66,67,68)에 대응하도록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도7b는 비디오 터미널(43-2)에 대한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을 도시한다. 도7b를 참고로 하여, 텍스트 VTR는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상에서 나타나며, 상기 비디오 터미널(43-2)가 선택되는 것을 표시한다. 전원 버튼(62)이 공통 동작 버튼으로서 유효하므로, 상기 가변 버튼(65,66,67,68)은 명령, 되감기 재생 정지 빨리 감기으로 할당된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들은 상기 가변 버튼(65,66,67,68)에 대응하도록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도7c는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에 대한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을 도시한다. 도7c를 참고로 하면, 텍스트 STB는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서 나타나며,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가 선택되는 것을 표시한다. 상기 전원 버튼(62), 메뉴 버튼(63), 선택 버튼(610), 삭제 버튼(611), 교차형 버튼(612)은 공통 동작 버튼으로서 유효하다. 상기 2 개의 가변 버튼(65,66)은 명령 채널 업 및 채널 다운으로 할당된다. 각각의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들은 가변 버튼들(65,66)에 대응하도록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상기 기술된 조정 환경에서, 제어될 선택된 네트워크 터미널(43)를 표시하는 텍스트는 항상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는 네트워크 터미널(43)이 현재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그 다이얼(69)을 회전시키므로서, 제어된 네트워크 터미널(43)는 텔레비젼 터미널(43-1), 비디오 터미널(43-2),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에 따라 스위치된다. 반면 선택된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대응하는 조정 환경은 양호하게 스위치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 터미널(41)에서 위에서 기술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대한 조정 환경은 앞서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가 네트워크(42)에 접속될 때, 즉, 적외선 네트워크, 조정 환경을 규정하는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43)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전송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등록한다.
후에,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등록하는 처리가 자세히 기술된다.
도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통신 프로토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도4b에 도시된 챠트에 의해 표시된 방법으로 적외선 네트워크(42)를 통해 네트워크 터미널(43) 각각에 폴링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제어 터미널(41)의 CPU(414)는 투 웨이 통신 장치(415)를 통해 적외선 네트워크(42)에 폴링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터미널(43) 각각은 투 웨이 통신 장치(431)를 통해 폴링 신호를 수신하여 폴링 신호를 CPU(433)에 입력한다. 폴링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네트워크 터미널(43)의 CPU(433)는 대응 네트워크 터미널(43)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발생하며, 그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적외선 네트워크(42)에 전송한다.
위에 기술된 방법으로,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는 제어 터미널(41)에 전송한다. 네트워크 터미널(43) 각각은 소정의 응답 지연 시간을 가진다. 상기 응답 신호는 폴링 신호를 수신한 후에 각각의 소정의 응답 지연 시간으로 각 네트워크 터미널(43)로부터 전송된다. 따라서, 각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사이의 경쟁이 억제된다.
상기 제어 터미널(41)의 투 웨이 통신 장치(415)는 네트워크 터미널(43) 각각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응답 신호가 CPU(414)에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상기 CPU(414)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각 식별 신호를 인식하며 상기 정보 메모리 장치(412)내에 식별 번호를 기억한다. 상기 CPU(414)는 정보 메모리 장치(412)에 이전에 기억된 식별 번호로 상기 식별 번호를 대조한다. 따라서, 새롭게 등록된 네트워크 터미널(43)는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인식되며, 새롭게 등록된 네트워크 터미널(43)용 식별 번호는 제어 터미널(41)에 기억된다.
따라서, 실예의 경우가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 터미널(43-3)의 식별 번호가 제어 터미널(41)에 이미 기억되고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가 제어 터미널(41)에서 새롭게 등록되는 곳에서 기술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터미널(43-2)와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의 식별 번호가 이점에서 제어 터미널(41)에 이미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 터미널(43-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41)에 이미 등록된다. 한편,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되지 않는다.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다음과 같이 등록된다.
상기 제어 터미널(41)의 CPU(414)는 상기 텐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신호 요구 조정 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조정 정보 요구 신호를 투 웨이 통신 장치(415)를 통해 텔레비젼 터미널(43-1)에 전송한다.
상기 조정 정보 요구 신호는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CPU(433)에 입력되며, 반면 상기 CPU(433)는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조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명령을 정보 메모리 장치(432)에 출력한다. 이에 응답하여, 정보 메모리 장치(432)는 CPU(433)에 이전에 기억된 조정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CPU(433)는 조정 정보를 투 웨이 통신 장치(431)를 통해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와 함께 제어 터미널(41)에 전송한다.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로부터의 조정 정보는 투 웨이 통신 장치(415)를 통해 제어 터미널(41)의 CPU(414)에 입력하며, 반면 상기 CPU(414)는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며 정보 메모리 장치(412)에 조정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조정 정보가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조정 정보는 이점에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다.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조정 환경이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되므로,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텔레비젼 터미널(43-1)로부터 출력될 조정 정보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CPU(414)는 정보 메모리 장치(412)로부터 적당한 조정 환경을 전달하며, 그에 따라 조정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준비하기 위해 분석된다.
상기 CPU(414)는 표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표시 장치(411)를 안내하며, 상기 조정 환경의 소정 표시가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 터미널(41)의 소정 버튼들은 조정 버튼으로서 작용하는데 유효하다.
예로, 도7a에 도시된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의 경우에, 넥스트 TV는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되며, 전원 버튼(62) 및 가변 버튼(65,66,67,68)은 유효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은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이때 형성된다.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 각각이 제어 터미널(41)로 등록된 후에,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들(43-1),(43-2),(43-3)은 상기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원격적으로 제어되도록 조그 다이얼(69)을 회전시키므로서 선택된다.
예로, 텔레비젼 터미널(43-1)가 조그 다이얼(69)을 조정하므로서 선택될 때, 상기 CPU(414)는 정보 메모리 장치(412)로부터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조정 정보를 전달하며, 그에 따라 조정 정보를 분석하여 텔레비젼 터미널(43-1)용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장치(413)의 버튼을 처리할 때, 상기 선택 장치(413)는 처리된 버튼에 대응하는 조정 요구 신호를 CPU(414)에 출력한다. 상기 CPU(414)는 조정 요구 신호를 투 웨이 통신 장치(415)를 통해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42)에 전송한다.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는 투 웨이 통신 장치(431)를 통해 조정 요구 신호와 식별 번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들은 그때 CPU(433)에 입력된다. 상기 CPU(433)는 식별 번호가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그때 조정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434)에 출력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 제어기(434)는 조정 요구 신호에 의해 표시된 동작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터미널(41)의 버튼을 조정하므로써 요구된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소정 동작이 수행된다.
후에, 조정 정보의 특정 포맷, CPU(414)에 의한 조정 정보를 분석하는 처리 및 조정 요구 신호의 특정 포맷이 기술된다.
전에 기술된 바와같이,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 따른 조정 정보는 명령과 아이콘의 셋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모든 네트워크 터미널에 의해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조정 버튼들은 모든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 항상 같은 방법으로 배열되지 않는다. 더구나, 채널 업, 채널 다운, 불륨 업, 볼륨 다운과 같은 빈번하게 사용된 아이콘과 텍스트가 사용될지라도, 같은 아이콘과 텍스트는 여러번 전송될 필요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비효과적인 시스템이 된다. 한편, 채널 업, 채널 다움, 볼륨 업, 볼륨 다운과 같은 아이콘과 텍스트에 대해서도, 상기 아이콘의 형태들은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과 상이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터미널(41)의 조정 환경은 앞선 형태로 한정된 다수의 조정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전송된 조정 정보들은 상기 조정 성분을 확인하는 번호와 조정 성분과 첨가의 정보 형태를 확인하는 식별 번호를 가진다.
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성분의 형태가 기술된다. 상기 조정 성분의 형태들은 조정 성분의 기본 형태를 표시한다. 상기 조정 버튼들과 표시 내용 모두는 조정 성분의 한가지 형태에 속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성분의 형태를 보여주는 데이터 테이블(81)이다.
도8을 참고로 하면, 조정 성분 형태인 버튼 그룹은 다수의 저차 조정 성분의 그룹이다. 첨가 정보로서, 상기 버튼 그룹은 텍스트와 아이콘을 가지며, 조정 성분의 식별 번호들은 상기 그룹에 속한다. 상기 조정 성분의 식별 번호는 조정 성분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모든 조정 성분에 할당된다.
조정 성분의 형태인 전원 버튼은 첨가의 정보를 갖지 않는 전원 버튼(62)이다.
조정 성분 형태인 파라미터 버튼은 첨가의 정보로서 텍스트 및/또는 아이콘을 갖는 가변 버튼(65,66) 또는 가변 버튼(67,68)의 셋이다.
조정 성분 형태인 메뉴 버튼은 첨가의 정보를 갖지 않는 메뉴 버튼(63)이다.
조정 성분 형태인 단순 버튼 각각은 대응 기능을 할당된 가변 버튼(65,66,67,68)이다. 상기 단순 버튼은 첨가적 정보로서 대응 기능을 표시하는 텍스트 및/또는 아이콘을 가진다.
조정 성분 형태인 선택 버튼은 첨가의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선택 버튼(610)이다.
조정 성분 형태인 삭제는 첨가 정보를 갖지 않는 단지 삭제 버튼(611)에 공급한다.
조정 성분 형태인 이동 버튼은 첨가 정보를 갖지 않는 교차형 버튼(612)이다.
네트워크 터미널(43)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전송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정보는 도 8 에 도시된 적어도 한 부분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식별 번호와, 조정 성분 형태, 첨가 정보를 포함하는 조정 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가진다. 네트워크 터미널(43)로부터 전송된 조정 정보를 표시하므로서, 네트워크 터미널(43)을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41)에 설정된다.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섀스템(100)에서, 매 버튼에 대한 아이콘들은 제어 터미널에 전송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의 양은 첨가 정보없는 조정 정보로 인해 감소된다. 더구나,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43)에 공통인 조정 성분 각각은 이미 한정되고 제어 터미널(41)중 하나의 조정 버튼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안정하게 조정된 조정 환경이 실현된다.
예로, 전원 버튼(62)의 경우에, 조정 버튼으로서 아이콘에 전송될 필요성이 없으며 그에 따라 전원 버튼(62)은 제어 터미널(41)상에 고정적으로 준비된다. 더구나, 상기 전원 버튼(62)이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따라 공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어 터미널(41)를 조정하기가 용이해진다.
후에, 도7a,7b,7c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텔레비젼 터미널(43-1),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조정 정보의 내용이 기술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텐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 7a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92)를 도시하는 프로그램이다. 도9는 또한 조정 정보(92)에 의해 표시된 조정 요소(91)를 도시한다.
조정 정보(92)에서, 식별 번호(1)로 주어진 상기 조정 성분 형태인 버튼 그룹은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주 버튼 그룹이다. 상기 버튼 그룹은 상기 표시 장치(411)의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된 첨가의 정보로서 텍스트 TV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그룹은 첨가 정보로서 상기 그룹에 속한 저차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2,3,4)를 포함한다.
식별 번호(2)로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전원 버튼은 전원 버튼(62)을 표시하며 첨가 어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식별 번호(3)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파라미터 버튼은 채널 업, 채널 다운을 명령하는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파라미터 버튼은 첨가 정보로서 텍스트 CH를 포함한다. 위쪽으로 지적한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은 파라미터 버튼의 첨가 정보에 앞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다. 상기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은 도7a에 도시처럼 텍스트 CH로 표시된다. 아이콘 아래의 가변 버튼(65,66)은 채널 업 및 채널 다운을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식별 번호(4)로 주어진 조정 성분 셩태인 파라미터 버튼은 볼륨 업과 볼륨 다운을 명령하는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파라미터 버튼은 첨가 정보로서 텍스트 볼륨을 포함한다. 위쪽으로 지적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들은 파라미터 버튼의 첨가 정보에 앞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다.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화살표 아이콘은 도7a에 도시처럼 텍스트 볼륨으로 표시된다. 아이콘 밑의 가변 버튼(67,68)은 볼륨 업 및 볼륨 다운을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비디오 터미널(43-2)를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도7b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10는 또한 조정 정보(102)에 의해 표시된 조정 성분(101)을 도시한다.
상기 조정 정보(102)에서, 식별 번호(1)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인 버튼 그룹은 비디오 터미널(43-2)의 주 버튼 그룹이다. 상기 버튼 그룹은 표시 장치(411)의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된 첨가 정보로서 텍스트 VTR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 그룹은 또한, 첨가 정보로서 상기 그룹에 속한 저차 조정 성분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2,3)를 구비한다.
식별 번호(2)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인 전원 버튼은 전원 버튼(62)을 표시하며 첨가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식별 번호(4)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단순 버튼은 되감기를 명령하는 버튼을 표시하며 되감기를 표시하는 아이콘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콘은 도7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아이콘 밑의 가변 버튼(65)은 되감기를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사하게, 상기 식별 번호(5,6,7)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인 단순 버튼은 재생, 정지, 빨리 감기를 명령하는 버튼을 표시하며, 재생, 정지, 빨리 감기를 각각 표시하는 아이콘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콘들은 도7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다. 상기 아이콘 밑의 가변 버튼(66,67,68)은 각각 재생, 정지, 빨리 감기를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식별 번호(4,5,,,6,7)로 주어진 조정 성분이 식별 번호(3)로 주어진 고차의 조정 성분 형태에 속하기 때문에, 그들은 조정 환경(102)내의 그룹으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터미널(41)가 4개의 가변 버튼보다 많이 가질때도, 식별 번호(4,5,6,7)로 주어진 조정 요소는 하나의 그룹으로서 취급되며 조정 요소가 서로 근접하게 할당되도록 다수의 가변 버튼에 순차적이면서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에서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도7c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는 조정 정조(1102)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11은 또한 조정 정보(1102)에 의패 표시된 조정 요소(1101)를 보여준다.
조정 정보(1102)에서, 식별 번호(1)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버튼 그룹은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의 주 버튼 그룹이다. 상기 버튼 그룹은 표시 장치(411)의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된 첨가 정보로서 텍스트 STB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그룹은 또한 첨가 정보로서, 상기 그룹에 속한 저차 조정 요소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2,3,4,5,6,7)를 구비한다.
상기 식별 번호(2)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마라미터 버튼은 메뉴 버튼(63)을 표시한다.
식별 버튼(4)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파라미터 버튼은 채널 업과 채널 다운을 명령하는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파라미터 버튼은 첨가 정보로서 텍스트 CH를 구비한다.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은 상기 파라미터 버튼의 첨가 정보에 앞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다.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은 도7c에 도시된 바와같이 텍스트 CH로 표시된다. 상기 아이콘 밑의 가변 버튼들(65,66)은 채널 업과 채널 다운을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식별 번호(5)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선택은 선택 버튼(61)을 표시한다.
식별 번호(6)으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삭제는 삭제 버튼(611)을 표시한다.
식별 번호(7)로 주어진 조정 요소 형태인 이동 버튼은 교차형 버튼(612)을 표시한다.
상기 전술된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43) 각각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전송된다. 이 조정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다.
후에,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수행된 조정 정보의 분해는 도12를 참고로 기술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제어 터미널에 의해 수행된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 터미널(41)의 CPU(414)는 네트워크 터미널(43)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CPU(414)는 조정 정보(단계 1201)를 분석하기 시작한다. 상기 CPU(414)는 조정 정보로부터 주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조정 요소를 선택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라 표시 패널(64)(단계 1202)의 상부 좌측 코너상의 조정 요소의 아이콘 및/또는 텍스트를 판독하여 표시한다. 그러므로, 상기 조정 정보가 처리되지 않은 조정 요소(단계 1203, 예)를 계속 포함할 때, 상기 CPU(414)는 처리되지 않은 조정 요소(단계 1204)를 분석하며 이 조정 요소를 제어 터미널(41)(단계 1205)에 할당한다. 따라서, 상기 CPU(414)는 상기 조정 정보가 처리되지 않은 조정 요소(단계 1206)를 포함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상기 조정 정보가 처리되지 않은 조정 요소(단계 1206, 예)를 포함할 때, 상기 처리는 단계(1204)로 돌아간다. 상기 조정 정보가 처리되지 않은 조정 요소(단계 1206, 아이오)를 포함하지 않을 때, 조정 정보의 분석이 완성된다.
예로, 상기 제어 터미널(41)가 도9에 도시된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조정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조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조정 정보는 아래의 단계에 따라 분석된다.
상기 텍스트 TV는 식별 번호(1)로 주어진 주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조정 성분의 첨가 정보로부터 판독되고, 상기 표시 패널(64)의 상부 좌측 코너에 표시된다.
상기 식별 번호(2,3,4)는 식별 번호(1) 조정 요소의 첨가 정보로부터 판도고디며, 식별 번호(2,3,4)로 주어진 조정 요소가 분석된다.
상기 식별 번호(2)의 조정 요소 형태는 전원 버튼(62)이다. 따라서 제어 터미널(41)의 전원 버튼(62)이 유효해진다.
상기 식별 번호(3)의 조정 요소 형태는 파라미터 버튼이다. 따라서 텍스트 CH는 조정 요소의 첨가 정보로부터 판독된다. 상기 텍스트 CH는 표시 패널(64)에 표시되도록, 제어 터미널(41)에 앞서 등록된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을 조합한다. 상기 아이콘들은 채널 업과 채널 다운이 가장 좌측의 가변 버튼(65)과 인접 가변 버튼(66)에 순차적으로 할당되도록 표시 패널의 좌측으로부터 표시된다.
상기 식별 번호(4)의 조정 요소 형태는 파라미터 버튼이다. 따라서, 텍스트 볼륨은 상기 조정 요소의 첨가 정보로부터 판독된다. 상기 텍스트 볼륨은 상기 표시 패널(64)에 표시되도록, 앞서 제어 터미널(41)에 등록된 위쪽의 화살표 아이콘과 아래의 아이콘을 조합한다. 상기 아이콘들은 볼륨 업과 볼륨 다운이 가변 버튼(67,68)에 순차적으로 할당되도록 이미 표시된 아이콘의 오른쪽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조정 정보에 포함된 모든 조정 요소들이 분서고디므로,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에 설정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설정된다.
그러므로,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처리가 기술된다.
처음에, 조정 요구 신호는 원격적으로 제어되는 제어 터미널(41)에서 네트워크 터미널(43)까지 전송된다. 상기 조정 요구 신호는 식별 번호와 여러 첨가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전원 온을 표시하는 명령이 텔레비젼 터미널(43-1)에 전송될 때, 조정 요구 신호는 텔레비젼 터미널(43-1)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며 전원 버튼(62)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2)는 텔레비젼 터미널(43-1)에 전송된다. 전원 버튼(62)의 경우에, 첨가 정보는 조정 요구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조정 요구 신호의 첨가 정보는 파라미터 버튼과 이동 버튼인 조정 요소 형태에 대해서만 발생된다. 상기 첨가 정보는 선택된 조정 요소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가 텐레비젼 터미널(43-1)에 대해 채널 업을 명령하는 가변 버튼(65)를 누를 때,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식별 번호(3)로 주어진 첨가 정보 업을 전송한다. 상기 텔레비젼 터미널(43-1)가 식별 번호(3)로 첨가 정보 업을 수신하면, 채널 업 동작이 수행된다.
더구나,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사용자가 교차형 버튼(612)에서 좌측 방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식별 번호(7)과 첨가 정보 좌측을 상기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는 식별 번호(7)와 첨가 정보 좌측을 수신하면, 상기 교차형 버튼(612)에 의한 좌측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하므로서 선택된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의 효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 다르면, 모든 조정 버튼에 대한 아이콘들은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까지 전송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조정 요소에 대해, 상기 조정 요소의 형태들은 조정 요소 대신에 전송될 필요성이 있다. 이들 조정 요소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전송할 필요성이 없으며, 그에 따라 전송될 조정 정보의 양을 감소시킨다.
예로,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서, 하나의 조정 버튼이 16 x 16 모노크로매틱 아이콘의 비트맵에 대응될 때, 256 비트 전체가 전송될 필요성이 있다. 조정 요소의 형태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400)에서처럼 제어 터미널(41)에 전송되는 경우에, 심지어 전송되는 256 조정 요소인 경우 조차도, 단지 8 비트 신호가 하나의 조정 버튼에 대해 전송될 필요성이 있으며 상기 조정 정보의 양은 감소한다.
소정의 조정 성분이 제어 터미널(41)에서 고정적으로 설정되므로서, 사용자에 대한 제어 터미널(41)의 이용 가능성이 향상된다. 예로, 각 네트워크 터미널(43)에 대해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 버튼이 제어 터미널(41)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전원 버튼이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43)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때만 사용된다. 한편, 대응 아이콘을 가진 조정 버튼이 전원 버튼(62) 대신에 사용된다.
더구나, 상기 조정 정보가 제어 터미널(41)에 의해 분석되도록 상기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43)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전송되고, 반면에 사용자는 조정 환경을 가진다. 따라서,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3)가 네트워크(42)에 접속될때에도,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3)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41)상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더구나, 상기 제어 터미널이 앞선 조정 요소 각각에 대해 조정 요소의 부분을 포함하므로서, 네트워크 터미널(43)으로부터 전송된 조정 정보의 양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비젼 터미널(43-1), 비디오 터미널(43-2) 및 영상 수신기 터미널(43-3)은 네트워크 터미널(43)로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적외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42)로서 사용되며, 본 발명은 케이블 네트워크가 사용될때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3)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폴링을 수행한다.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3)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 터미널(41)는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1)의 조정 정보를 다운 로드하도록,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41)로부터 전송되고 조정 정보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에 국한되지 않으며,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43)의 전원이 턴온되거나 네트워크 터미널(43)이 네트워크(42)에 접속될 때 네트워크 터미널(43)에서 제어 터미널(41)까지 자발적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버튼들은 조정 요소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소자(즉, 음석 인식 소자가 음성 안내 소자)가 조정을 위해 사용될 때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 터미널(1301)와 네트워크 터미널(1303)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300)이 기술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30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300)은 제어 터미널(1301), 네트워크(1302) 및 네트워크 터미널(1303)와 같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1302)는 케이블 네트워크이다. 상기 제어 터미널(1301)은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 터미널(1301)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은 도 4a에 도시된 제어 터미널(41)와 네트워크 터미널(43)과 거의 같은 수단의 역할을 한다.
조정 정보의 다운로딩 방법, 조정 정보의 구조 및 조정 요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동일하다.
특히, 조정 정보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으로부터 제어 터미널(1301)에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1301)내에 설정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이 네트워크(1302)에 접속할 때 그 조정 정보는 다운-로드된다. 다시 말해, 조정 정보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이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로서 네트워크(1302)에 접속할 때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으로부터 제어 터미널(1301)에 전송된다.
도14는 제어 터미널(1301)에 설정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어 터미널(1301)의 디스플레이 장치(411)의 디스플레이 패널(64)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1401)이 표시된다.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1401)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나타내는데, 그 환경은 줌-인(zoom in)(확대) 버튼(1411), 줌-아웃(축소) 버튼(1412),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버튼(1413) 및, 커서를 이동시키는 크로스-형태 버튼(1414)을 포함한다.
줌-인 버튼(1411), 줌-아웃 버튼(1412), 위치 버튼(1413) 및, 크로스-형태 버튼(1414)(좌, 우, 상 및 하 버튼을 포함)은 제어 터미널(1301)의 디스플레이 장치(411)의 디스플레이 패널(64)에 표시된다. 그 디스플레이 패널(64)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이다. 사용자가 그들 조정 버튼 중 한 버튼을 터치할 때, 터치된 버튼에 대응하는 조정 표시 신호는 제어 터미널(1301)로부터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에 전송된다. 그 조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은 전송된 조정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형성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300) 내의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도14에 도시된 조정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조정 정보(1502)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15는 조정 정보(1502)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성분(1501)을 더 나타낸다.
조정 정보(1502)에 있어서, 식별 번호(1)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 Button group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의 메인 버튼 그룹이다. 그 Button group은 사용자가 판독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되는 부가 정보로서 텍스트 Car navigation을 포함한다. 그 Button group은, 부가 정보로서, 그룹에 속하는 하위 조정 성분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2, 3 및 6)를 더 포함한다.
식별 번호(2)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 Simple button은 Position 버튼(1413)을 나타내고, 부가 정보로서 텍스트 Position을 갖는다.
식별 번호(3)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 Button group은 Zoom in 버튼(1411) 및 Zoom out 버튼(1412)을 나타내고, 부가 정보로서 텍스트 Zoom을 갖는다. 그 Button group은 식별 번호(4 및 5)를 더 포함한다.
식별 번호(4 및 5)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 Simple button은 Zoom in 버튼(1411) 및 Zoom out 버튼(1412)을 각각 나타낸다. 각각의 Simple button은 텍스트 Zoom in 및 Zoom out을 각각 갖는다.
식별 번호(6)로 주어진 조정 성분 형태 Movement button은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한 조정 정보(1502)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으로부터 제어 터미널(1301)에 전송된다. 그 조정 정보(1502)를 기초로 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은 제어 터미널(1301)에 등록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이 제공되는 것처럼 고정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의 각각의 위치 및 비트 맵은 제어 터미널(1301)에 저장된다.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이 조정 정보의 분석 결과로서 조정 환경에 요구될 때, 그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은 여러 버튼들의 위치 및 비트 맵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11)의 디스플레이 패널(64) 상에 표시된다.
Zoom in 버튼(1411) 및 Zoom out 버튼(1412)은 한 버튼 그룹에 속한다. 제어 터미널(1301)은 버튼(1411 및 1412) 각각을 나타내고, 디스플레이 장치(411)의 디스플레이 패널(64) 상에 버튼(1411 및 1412)을 공동으로 표시한다.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여러 버튼은 버튼들 사이의 관계에 무관하게 표시된다. 따라서, 관련된 버튼들은 서로 접속(close)되도록 항상 공동으로 배열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관련된 버튼들은 한 그룹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여러 버튼들은 서로 접속되도록 공동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서로 접속하여 표시되는 Zoom in 버튼(1411) 및 Zoom out 버튼(1412)과 같은 관련된 버튼이 사용자를 위해 쉽게 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한 제어 터미널(1301)의 편리함은 증가된다.
더욱이, 다수의 버튼 그룹은 버튼 그룹 각각이 할당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그러한 것에 의해, 버튼 그룹은 디스플레이 패널(64)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표시되어, 그로 인해, 다수의 조정 성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언급된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6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 1602 및 1603)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64)이 너무 작아서 Zoom in 버튼(1411), Zoom out 버튼(1412) 및 크로스 형태 버튼(1414)이 한 번에 표시될 수 없다고 가정한다. Zoom in 버튼(1411) 및 Zoom out 버튼(1412)은 한 그룹에 속하고, 크로스 형태 버튼(1414)에 포함된 버튼들의 각각은 다른 버튼 그룹에 속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의 메인 스크린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에 있어서, Zoom 버튼(1611) 및 Position 버튼(1413) 및 Move 버튼(1613)은 표시된다. Zoom 버튼(1611) 또는 Move 버튼(1613)을 선택적으로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602 및 1603)으로 스위치 한다. Position 버튼(14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위해 이용되지 않지만, Position 버튼(1413)에 대응하는 기능을 직접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가 Zoom 버튼(1611)을 터치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이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64)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602)으로 변경된다.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2)은 Zoom in 버튼(1411), Zoom out 버튼(1412) 및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으로 복귀하기 위한 Main 버튼(1614)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Move 버튼(1613)을 터치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이 디스플레이 스크린(64)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64)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603)으로 변경된다.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3)은 크로스 형태 버튼(1414) 및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601)으로 복귀하기 위한 Main 버튼(1614)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따라, 여러 버튼들은 관련된 그룹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심지어, 제어 터미널(1301)의 디스플레이 패널(64)이 너무 작아서 조정 환경이 한 번에 디스플레이 패널(64) 상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도,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어 관련된 버튼들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터미널(1301)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조정 버튼들의 그와 같은 그룹화를 유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조정 버튼들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분리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조정 버튼들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불편함을 주었다.
이하, 종래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00)의 상기 설명한 단점을 설명한다.
도7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701, 1702 및 1703)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1701)은 Screen 1 버튼(1711), Screen 2 버튼(1712) 및 Move 버튼(1713)이 표시되는 메인 스크린이다. Screen 1 버튼(1711), Screen 2 버튼(1712) 또는, Move 버튼(1713)을 선택적으로 터치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701, 1702 및 1703) 사이를 스위치 된다.
도1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1701, 1702 및 170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련된 Zoom in 및 Zoom out 버튼(1411 및 1412)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702 및 1703) 상에 각각 표시된다. 따라서, Zoom in 및 Zoom out 버튼(1411 및 1412)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조정을 완료하게 되는 1701 → 1702 → → 1701 → 1703 또는 1701 → 1703 → 1701 → 1702의 순서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처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 즉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303)으로부터 제어 터미널(1301)로 전송된다. 그 전송된 조정 정보는 제어 터미널(1301)에 의해 분석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를 위한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관련된 조정 버튼들이 한 버튼 그룹으로 그룹화되기 때문에, 관련된 버튼은 공동으로 표시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에 대한 제어 터미널(1301)의 편리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트워크 터미널(1303)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1302)로서 한 케이블 네트워크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가 네트워크(1303)로서 이용될 때와 동일하게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터미널(1303)이 제어 터미널(1301)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 터미널(1303)로부터 제어 터미널(1301)에 조정 정보가 다운-로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그 조정 정보는 어떠한 종류의 방법에 따라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버튼들은 조정 요소로서 이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른 소자들(예를 들어, 음성 인식 소자들 또는 음성 안내 소자들)이 조정을 위해 이용될 때 동일하게 응용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어 터미널(1801) 및 네트워크 터미널(1803, 1804 및 1805)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800)을 설명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8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800)은 제어 터미널(1801), 네트워크(1802),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803), CD-ROM 드라이버(1804)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18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803), CD-ROM 드라이버(1804) 및 GPS(1805)는 네트워크 터미널들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조정 정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네트워크 터미널들로부터 제어 터미널(1801)에 전달된다. 그 전송된 조정 정보는 제어 터미널(1801)에 의해 분석되고, 그에 의해, 네트워크 터미널(1803, 1804 및 1805)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제어 터미널(1801)의 구조, 네트워크 터미널(1803, 1804 및 1805)의 구조들과, 조정 성분들의 형태들은 본 발명의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것과 실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803)에 의해서만 한 응용이 실현되지 않는다. 그 응용은 네트워크 터미널[예를 들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 CD-ROM 드라이버(1804) 및 GPS(1805)]들이 조합될 때 실현된다.
특히,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803)은 네트워크(1820)를 통해 CD-ROM 드라이버(1804)로부터의 맵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GPS(1805)로부터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로 인해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1800)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응용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 CD-ROM 드라이버(1804) 및 GPS(1805)가 서로 접속되어 있을 때 제어 터미널(1801)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된다.
한 네트워크 터미널은 네트워크(1802)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들로부터 기능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들과 조합될 때 응용의 어떤 종류가 제공될 수 있는지를 식별한다. 그후에, 식별된 응용은 제어 터미널(1801)에 전송된다. 여기서, 용어 기능 정보(function information)는 각각의 네트워크 터미널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에 관계한다.
도19는 네트워크 터미널(1803, 1804 및 1805) 사이에 교환하는 기능 정보를 도시한 테이블(1901)이다.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1803)은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동작을 전송한다. CD-ROM 드라이버(1804)는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전송한다. GPS(1805)는 기능 정보 위치 지정을 전송한다.
상기 언급된 기능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들 사이에 교환된다.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들로부터의 기능 정보를 기초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터미널은 그 응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터미널과, 위치 지정의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터미널을 필요로 한다. 그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CD-ROM 드라이버(1804)로부터의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GPS(1805)로부터 기능 정보 위치 지정을 수신하고, 그로 인해,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하,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가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 터미널(1801), CD-ROM 드라이버(1804) 및 GPS(1805)가 네트워크(1802)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가 네트워크(1802)에 접속할 때,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기능 정보 전송 요구를 네트워크(1802)를 통해 각각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한다. 기능 정보 전송 요구를 수신한 각각의 네트워크 터미널은 기능 정보를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에 전송한다.
특히, CD-ROM 드라이버(1804)는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고, GPS(1805)는 기능 정보 위치 지정을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에 전송한다. 상기 언급한 기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이 제공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이 실현될 수 있음을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가 결정할 때,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제어 터미널(1801)에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터미널(1801)은 전송된 조정 정보를 분석하고, 그로 인해,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조정 정보의 포맷, 제어 터미널(1801)에서 조정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등등은 실제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한 예의 동작에 있어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새로운 네트워트 터미널로서 네트워크(1802)에 연결된다. CD-ROM 드라이버(1802) 또는 GPS(1805)가 새로운 터미널로서 네트워크(1802)에 연결될 때, 그의 기능 정보는 자발적으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에 전송된다. 따라서, 네트워크(1802)에 연결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1803)는 기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상기한 동작에 따르면, 새로운 네트워크 터미널의 응용은 네트워크 터미널을 네트워크에 간단히 접속함으로써 제어 터미널에 의해서 자동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응용을 제공하는 어떠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4 실시예)
이후,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어 터미널(2001)와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200)은 제어 터미널(2001), DVD-ROM 드라이버(2002), 네트워크(2003),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 CD-ROM 드라이버(2005), 비디오 플레이어(2006)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이전 실시예에서와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조정 정보는 네트워크 터미널에서 제어 터미널로 전송되며, 제어 터미널을 그 조정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제어 터미널(2001)의 구조,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의 구조, 조정 요소들의 형태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들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실제적으로 도일하게 복수의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를 결합하는 응용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중에서 기능 정보를 교환하여 네트워크 터미널에 의해서 제공된 응용과 기능 정보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것과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의 상태가 변화하면,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에 따라 실현 가능한 응용 또한 동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응용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에 의해서 만 실현 가능한 것이 아니라 CD-ROM 드라이버(2005)와 함께 작동할 때도 가능하다.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될 때만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응용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에 의해서 실현 가능하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될 때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응용을 실현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디스크가 교환될 때 실현될 응용이 변화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정 환경에 대해서 도 21a, 21b, 21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a, 21b, 21c는 제어 터미널(2001)의 표시 장치(411)의 표시 패널(64)상에 표시된 표시 스크린(2101,2102,210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101,2012)은 비디오 플레이어(2006)를 원격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조정 환경들이다. 디스플레이 스크인(2103)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는데 사용된 조정 환경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102)은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때 사용된다. 비디오 플레이어 버튼(2111)과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버튼(2112)은 응용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도 21a 21b, 21c에서, 음영된 버튼은 현재 선택된 응용에 대응한다.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때,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응용을 실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21a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101)의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버튼(2112)은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버튼(2112)이 선택될지라도,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2103)를 변화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파선으로 그려졌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를 원격 제어하는 도 21a에 도시한 조정 환경은 디비오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타이틀 A와 타이틀B 버튼(2113, 2114)과, 플레이, 되감기, 빨리감기 , 정지 버튼를 포함하는 버튼의 그룹(2115)를 포함한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가 DVD-ROM 드라이버(2002) 또는 CD-ROM 드라이버(2005)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타이틀 A와 타이틀 B 버튼(2113,2114)은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표시된다.
영상 스크린(2102,21030은 DVD-ROM 드라이버(2002)가 비디오 데이터를 가지고 CD-ROM 드라이버(2005)는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가질 때 제어 터미널(2001)의 조정 환경이다. 데이터베이스로서 DVD-ROM 드라이버(2002)를 사용하면서 비디오 플레이어(2006)가 동작하고 데이터 베이스로서 CD-ROM 드라이버(2005)를 사용하면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가 동작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102, 2103), 즉 비디오 플레이어(2006)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들은 이들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들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2)에서, 오직 DVD-ROM 드라이버(2002) 만이 비디오 플레이어(2006)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이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DVD-ROM 드라이버(2002)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타이틀 A 버튼(2113) 만이 표시된다.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나타내는 표시 스크린(2103)에서, 줌 인 버튼(2116), 줌 아웃 버튼(2117), 십자형 버튼(2118)이 표시된다.
도 22는 네트워크 터미널(2002,2004,2005,2006)중에서 교환된 기능 정보를 도시하는 표(2201)이다.
비디오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에 있을 때, DVD-ROM 드라이버(2002)는 기능 정보로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능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의 타이틀의 정보인 텍스트 타이틀 A를 포함한다.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에 있을 때, CD-ROM 드라이버(2005)는 기능 정보로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능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의 타이틀의 정보인 텍스트 타이틀 B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에 있을 때, CD-ROM 드라이버(2005)는 기능 정보로서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전송한다.
CD-ROM 드라이버(2005)의 기능 정보는 상기한 방법으로 변화한다.
DVD-ROM 드라이버(2002) 및 CD-ROM 드라이버(2005)가 비디오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DVD-ROM 드라이버(2002) 및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므로,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타이틀 A와 타이틀 B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응용을 제공한다.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에만 삽입되면, 타이틀 A의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응용이 DVD-ROM 드라이버(2002)로부터 기능 정보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공된다.
CD-ROM 드라이버(2005)에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없으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없어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을 제공할 수가 없다. CD-ROM 드라이버(2005)가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차량 네비게이션 응용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후, 네트워크 터미널의 기능에 따라 변화하는 조정 정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과 24는 비디오 플레이어(2006)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도 21a와, 21b에 도시한 조정 환경들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2302,2402)를 도시한다. 도 25와 26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조정 환경들을 설정하는 조정 정보(2502,260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 24, 25, 26은 또한 조정 요소들(2301,2401,2501,2601)를 도시한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의 조정 정보의 구조,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의 조정 정보의 구조, 조정 요소들의 유형들은 이전 설명한 실시예에의 것들과 실제로 동일하다.
조정 정보(2302,2402)에 포함된 조정 요소의 각각의 유형은 메인 버튼 그룹, 타이틀 A 버튼(2113)과 타이틀 B 버튼(2114) 중 적어도 하나, (되감기, 재생 버튼, 정지 버튼, 빨리 감기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그룹, 되감기 버튼, 재생 버튼, 정지 버튼, 빨기 감기 버튼을 포함한다. 조정 요소의 각각의 유형에 대응하도록 추가 정보가 설정된다. 타이틀 A 버튼(2113)과 타이틀 B 버튼(2114)은 비디오 데이터원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도 25에 도시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나타내는 조정 정보(2502)는 메인 버튼 그룹만 포함하며 다른 버튼등은 나타내지 않는다.
도 25에 도시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정 환경을 나타내는 조정 정보(2502)는 메인 버튼 그룹, 줌 인 버튼(2116)과 줌 아웃 버튼(2117)을 포함하는 버튼 그룹, 십자형 버튼(2118)을 나타내는 조정 요소들을 포함한다.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될 때,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의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터미널(2001)로 조정 정보(2302)를 전송한다. 조정 정보(2302)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B 버튼과 DVD-ROM 드라이버(2002)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A 버튼을 포함한다.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의 기능 정보에 포함된 타이틀의 텍스트를 이용한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DVD-ROM(2002)에서 설정되고,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될 때,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의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터미널(2001)에 조정 정보(2402)를 전송한다. 조정 정보(2402)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ROM 드라이버(2002)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 A 버튼(2113)을 포함한다.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중 어느 곳에서도 설정되지 않으면, 타이틀 A와, 타이틀 B는 조정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 디스크가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도록 CD- 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되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의 조정 정보는 단지 차량 네비게이션의 메인 그룹만을 포함한다.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CD-ROM 드라이버(2005)에서 설정되면, 조정 정보(2602)는 제어 터미널(2001)에 제공된다. 조정 정보(2602)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 인 버튼(2116), 줌 아웃 버튼(2117)과 십자형 버튼(21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터미널(2005,2006)는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들로부터 전송된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응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네트워크 터미널들은 결정된 응용에 대응하는 조정 정보를 발생하여 그의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2001)에 제공한다.
이후 네트워크 터미널(2005,2006)로부터 전송된 조정 정보를 변화하여 제어 터미널(2001)의 조정 환경을 바꾸는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는 모두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를 포함한다.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가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에 삽입되면,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DVD-ROM 드라이버(2002)와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의 기능 정보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비디오 플레이어의 응용이 실현됨을 결정한다. 따라서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S제어 터미널(2001)에 조정 정보(2302)를 전송한다.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응용이 실현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따라서,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실제의 조정 요소가 포함되지 않는 도 25에 도시한 조정 정보(2502)를 전송한다. 그 결과, 제어 터미널(2001)는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의 존재를 인식하나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응용이 제공될 수 없다는 것을 결정한다.
제어 터미널(2001)는 비디오 플레이어(2006)로부터 조정 정보(2302)와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로부터는 조정 정보(2502)를 수신하여 도 21a에 도시한 표시 스크린(2101)에 의해서 표현된 조정 환경을 설정한다.
다음에 CD-ROM 드라이버(2005)내의 비디오 데이터 디스크는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 디스크로 대체된다.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 디스크가 CD-ROM 드라이버(2005)내에 삽입된 경우, 기능 정보 차량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 및 비디오 플레이어(2006)에 전송된다.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2004)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적용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도 26에 도시된 조정 정보(2602)를 제어 터미널(2001)에 전송한다. 상기 조정 정보(2602)에 기초하여, 제어 터미널(2001)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조정 환경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의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CD-ROM 드라이버(2005)로부터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지를 결정하고, 타이틀 B 버튼이 생략되어 있는 도 24에 도시된 조정 정보(2402)를 제어 터미널(2201)에 전송한다. 조정 정보(2402)에 기초하여, 제어 터미널(2001)는 타이틀 B 버튼이 생략되는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제어 터미널(2001)는 조정 환경(2101) 대신에 조정 환경(2102)(도 21B)을 재확립한다.
제어 터미널(2001)의 CPU에 의한 조정 정보의 분석 및 조정 환경의 확립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 요청 신호가 제어 터미널(2001)로부터 용도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터미널(2005 및 2006)에 전송된 후에, 작동을 지시하는 명령이 네트워크 터미널(2005 및 2006)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표시 화면(2101)(도 21A)에서, 사용자가 타이틀 A 버튼(2113)을 선택하는 경우, 타이틀 A 버튼(2113)를 표시하는 식별 번호 5를 포함하는 조정 요청 신호가 제어 터미널(2001)로부터 비디오 플레이어(2006)에 전송된다. 상기 조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타이틀 A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재생한다. 특히,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 요청을, 타이틀 A의 비디오 데이터가 설정되는 DVD-ROM 드라이버(2002)에 전송시킨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DVD-ROM 드라이버(2002)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플레이어(2006)에 전송시킨다.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2006)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다양한 명령이 미리 네트워크 터미널에 설정되어 전송되고 공지된 단계로 수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응용이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로 실현되고, 상기 응용에 대응하는 조정 환경이 확립된다.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의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응용을 변경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중에 기능 정보가 전송되고 수신된다. 상기 응용에 대응하는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함으로서, 제어 터미널의 조정 환경도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네비게이션 오퍼레이터와 비디오 플레이어가 네트워크 터미널로서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형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의해서 응용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 요소로서 버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요소(예컨대, 음성 인식 요소 또는 음성 안내 요소)가 조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여러 가지 다른 변형도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는 본원에 밝힌 설명에만 국한시켜서는 않되며, 그 청구항을 넓게 해석해야한다.

Claims (21)

  1.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터미널과,
    제어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와 상기 조정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며,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구성요소의 타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정 구성요소와,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그로써,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조정 환경을 확립하고, 상기 조정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되는 경우, 상기 조정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소정의 조정 구성요소는 네트워크 터미널의 소정의 작동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물리적 조정 버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표시단에 표시된 조정 버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조정 구성요소 그룹에 속하는 조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은 상기 조정 구성요소의 그룹의 조정 구성요소를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들 사이에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응용을 식별하고, 상기 조정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기능 및 조정 요청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터미널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제어 터미널로 제어되는 네트워크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은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과 그 조정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청 신호를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상기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터미널의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소정의 조정 구성요소는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의 소정의 작동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터미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조정 구성요소의 그룹에 속하는 조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은 상기 조정 구성요소의 그룹의 조정 구성요소를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 터미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은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들중에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응용을 식별하고, 상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과, 상기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청 신호를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상기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터미널.
  12.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제어 터미널로 제어되는 네트워크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과, 그 조정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청 신호를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단과,
    상기 메모리단에 기억된 조정 정보를 상기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양방향 통신단과,
    상기 양방향 통신단으로 수신된 조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터미널.
  13. 조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네트워트 터미널을 제어하는 제어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상기 제어 터미널은 네트워크 터미널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며,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정 구성요소 및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그로써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 환경을 확립하고, 상기 조정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되는 경우, 상기 조정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하는 제어 터미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의 소정의 조정 구성요소는 네트워크 터미널의 소정의 작동에 대응하는 제어 터미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제어 터미널의 물리적 조정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터미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상기 제어 터미널의 표시단에 표시된 조정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터미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는 조정 구성요소의 그룹에 속하는 조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은 상기 조정 구성요소의 그룹의 조정 구성요소를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제어 터미널.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터미널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인 제어 터미널.
  19. 조정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는 제어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와,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로부터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에 조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단과,
    상기 양방향 통신단을 거쳐서 수신된 조정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구성요소의 한 타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정 구성요소 및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며, 그로써 상기 네트워크 터미널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 환경을 확립하고, 상기 조정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조정되는 경우, 상기 양방향 통신단을 거쳐서 네트워크 터미널에 조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단을 포함하는 제어 터미널.
  20.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터미널이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중에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응용을 식별하고, 상기 기능 및 조정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조정 요청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조정 환경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조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조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와,
    상기 조정 정보를 수신하고 해석하며, 상기 조정 정보로 표시된 조정 환경을 확립하고, 상기 조정 환경이 상기 기능용으로 하기 위해 조정되는 경우, 상기 조정 요청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전송하는 제어 터미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1. 적어도 하나의 조정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제어 터미널로 제어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들 중에 기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응용을 식별하고, 상기 기능 및 조정 요청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조정 환경을 표시하는 조정 정보를 제어 터미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터미널로부터 상기 조정 요청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터미널.
KR1019980013191A 1997-04-14 1998-04-14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KR19980081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47397 1997-04-14
JP97-095473 1997-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370A true KR19980081370A (ko) 1998-11-25

Family

ID=1413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191A KR19980081370A (ko) 1997-04-14 1998-04-14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13823A1 (ko)
EP (1) EP0883320A3 (ko)
JP (1) JP2000194538A (ko)
KR (1) KR19980081370A (ko)
CN (1) CN12097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3306D0 (en) 2000-02-15 2000-04-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of interconnected audio/video devices
US20020039148A1 (en) * 2000-09-29 2002-04-04 Mitsuru Yamamoto Multimedia on-deman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JP2002186060A (ja) 2000-12-14 2002-06-28 Canon Inc リモート制御装置、被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20020105534A1 (en) * 2001-01-04 2002-08-08 Edward Balassanian Universal media bar for controlling different types of media
JP4590112B2 (ja) * 2001-02-07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US8366713B2 (en) 2003-03-31 2013-02-05 Depuy Products, Inc. Arthroplasty instruments and associated method
US7517364B2 (en) 2003-03-31 2009-04-14 Depuy Products, Inc. Extended articulation orthopaedic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US8105327B2 (en) 2003-03-31 2012-01-31 Depuy Products, Inc. Punch,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JP2007502074A (ja) * 2003-08-08 2007-02-01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ルチキャストsdmaのトレーニング・ポーリング
US8699508B2 (en) 2003-12-18 2014-04-15 Intel Corporation Response scheduling for multiple receivers
KR100556438B1 (ko) * 2004-01-02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34247B2 (ja) 2007-08-10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WO2009123028A1 (ja) * 2008-04-01 2009-10-08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5749435B2 (ja) * 2009-12-28 2015-07-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FR2974220B1 (fr) * 2011-04-18 2013-04-12 Michelin Soc Tech Analyse de l'image numerique de la surface interne d'un pneumatique - traitement des points de fausse mesure
FR2974218A1 (fr) 2011-04-18 2012-10-19 Michelin Soc Tech Analyse de l'image numerique de la surface d'un pneumatique - traitement des points de non mesure
FR2974219A1 (fr) 2011-04-18 2012-10-19 Michelin Soc Tech Analyse de l'image numerique de la surface externe d'un pneumatique - traitement des points de fausse mesure
CN102710788A (zh) * 2012-06-18 2012-10-03 苏州超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无人值守化操作的系统
JP5986522B2 (ja) * 2013-02-27 2016-09-06 株式会社コロナ リモコン装置
JP5924442B2 (ja) * 2015-07-06 2016-05-25 株式会社ナカヨ 操作端末
CN105068467B (zh) * 2015-07-13 2018-0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CN105407144B (zh) * 2015-10-23 2019-04-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系统及相关设备
JP6319503B2 (ja) * 2017-06-26 2018-05-09 株式会社ニコン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6918222B2 (ja) * 2018-05-11 2021-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US5625608A (en) * 1995-05-22 1997-04-29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ownloading content information from an au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94538A (ja) 2000-07-14
CN1209716A (zh) 1999-03-03
US20010013823A1 (en) 2001-08-16
EP0883320A2 (en) 1998-12-09
EP0883320A3 (en)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1370A (ko)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터미널 및 제어 터미널
US703486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3872052B2 (ja) 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電話機、そ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システム
US9800837B2 (en) Virtual control device
JPH07327146A (ja) 遠隔制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11120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ならびに電子機器制御方法
JP2000066803A (ja) 入力操作装置
JPH113314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端末およびコントロール端末
JPH1040057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の閲覧ソフトを用いた機器操作方法
JP2003087881A (ja) 学習リモコン、リモコン機能学習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機能学習方法
JP2000312391A (ja) 機器制御装置、制御装置、双方向リモコン装置および被制御装置
JPH09259515A (ja) Avコントローラ
JP200303250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ならびにリモコンシステム
JP4702583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
US20050156896A1 (en) Pointing method and pointing control apparatus
JP200234505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7062806B2 (ja) 表示装置
JPH0576068A (ja) 遠隔制御装置
KR100443129B1 (ko) 화면 스캔을 이용한 포인터 이동방법
JP2019207697A (ja) 表示装置
JP6889317B2 (ja) 表示装置
JPS6224777A (ja) リモコン制御装置
JPH08102934A (ja) メニュー選択方法
WO2005104529A1 (ja) 機器操作装置、および機器操作方法
JP2005197771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0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