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8170A -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 Google Patents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170A
KR19980078170A KR1019970015621A KR19970015621A KR19980078170A KR 19980078170 A KR19980078170 A KR 19980078170A KR 1019970015621 A KR1019970015621 A KR 1019970015621A KR 19970015621 A KR19970015621 A KR 19970015621A KR 19980078170 A KR19980078170 A KR 1998007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transition
pmos transistor
signal
pul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625B1 (ko
Inventor
황명하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7001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625B1/ko
Priority to CN97120126A priority patent/CN1114270C/zh
Priority to US09/053,623 priority patent/US6054878A/en
Priority to JP10113784A priority patent/JP3127369B2/ja
Publication of KR1998007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4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H03K5/1534Transition or edge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업(pull-up)기능을 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압력전압을 풀업 시간 동안 중간레벨로 유지시키도록 한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풀업수단의 피모스트랜지스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TD를 합성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부와, 어드레스천이합성노드신호를 지연시켜주는 지연부와, 다수의 반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천이합성회로에있어서,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입력으로 연결 되는 낸드게이트 대신에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입력레벨을 중간레벨로 유지시켜 주는 입력신호발생부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숏펄스의 ATD가 입력 되어도 그 숏펄스의 ATD 만큼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의 폭을 증가시켜, 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그 숏펄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칩동작의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본 발명은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풀업(pull-up)기능을 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압력전압을 풀업 시간 동안 중간레벨로 유지시키도록 한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드레스천이합성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칩 인에이블 신호(CSB)를 각각 반전하는 제1,제2인버터(IN1)(IN2)와;
소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노드(ATDSO)에 드레인이 연결되어 풀업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와;
어드레스 천이(Address Transition Detection: 이하 ATD라 함)(ATD1~ATDn)를 각각의 게이트 입력으로 하고, 소스가 접지(Vss)되며 드레인이 노드(ATDSO)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풀다운기능을 하는 다수의 엔모스트랜지스터들(N1~NN)로 이루어지는 Wired-OR형태로 구성되고, 칩인에이블신호(CSB)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출력과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1~NN)의 출력을 합성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부(10)와;
상기 노드(ATDSO)에 직렬로 연결된 제3~제6인버터들(IN3~IN6)로 이루어지고, 그 노드(ATDSO)신호를 지연시키며 어드레스천이 합성신호의 펄스폭을 결정하는 지연부(20)와;
상기 지연부(20)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7인버터(IN7)와,
상기 제7인버터(IN7) 및 제1인버터(IN1)의 출력을 낸드연산하여 상기 풀업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로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A1)와;
상기 노드(ATDSO)의 출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8,제9인버터(IN8,IN9)로 이루어지고,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ATDSUM)를 외부회로에 출력하는 신호출력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연부(20)와 신호출력부(30)의 인버터의 수는 짝수개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드레스천이합성부(10)에 정상적인 ATD가 입력될때, 초기상태에 하이에 있던 노드(ATDSO)는 풀다운 되어 로우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노드(ATDSO) 신호가 지연부(20)에 의해 지연된 후, 제7인버터(IN7)를 거쳐 반전된 신호와 상기 칩인에블신호(CSB)를 반전하는 제1인버터(IN1)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낸드게이트(NA1)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턴온 되고 노드(ATDSO)는 다시 하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출력부(30)의 출력으로서 최종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ATDSUM)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턴온 될 때의 입력전압레벨은 하이레벨(VCC)이 된다(도2(B) 참조).
이때, 진폭이 중간 레벨인 숏펄스(short pulse)의 ATD가 입력되면,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숏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상기 풀다운용 엔모스트랜지스터들(N1~Nn) 보다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구동력이 크므로, 어드레스천이 합성시, 상기 노드(ATDSO)는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출력에 의해 하이를 유지 함으로써, 최종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ATDSUM)는 신호폭이 증가 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에스램(SRAM)회로에서 상기 숏펄스의 ATD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에스램회로의 디코딩부(미도시)에서는 디코딩신호가 그 숏펄스에 반응하여 워드라인(word line)이나 칼럼셀렉트(column select)신호가 변하여 메모리 셀을 선택하게 되고, 콘트롤부(미도시)에서는 내부회로를 제어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상기 숏펄스의 ATD에 반응하여 외부회로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는 풀업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턴온 되어 있고 숏펄스의 ATD가 입력될 경우, 그 피모스트래지스터(P1)의 게이트 입력전압이 하이레벨(Vcc)이므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구동력이 숏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엔모스트랜지스터들(N1~Nn)의 구동력보다 크게되어 최종적인 어드레스 천이 합성신호(ATDSUM)는 상기 숏펄스 만큼 펄스의 폭이 증가 되지 않아, 내부회로를 제어하는 최종적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상기 숏펄스의 ATD에 반응을 못함으로써, 칩동작(chip operation)에 오류(fail)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풀업 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압을 풀업시간 동안 중간레벨로 유지시킴으로써, 숏펄스의 ATD가 입력 되어도, 그 숏펄스만큼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의 폭을 증가시켜 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그 숏펄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 어드레스천이합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풀업수단의 피모스트랜지스터와,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TD를 합성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부와, 어드레스천이합성노드신호를 지연시켜주는 지연부와, 다수의 반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천이합성회로에있어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의 입력레벨을 중간레벨로 유지시켜 주는 입력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숏펄스의 ATD가 입력 되어도 그 숏펄스만큼 어드레스 천이 합성신호의 폭을 증가시켜 그 최종적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그 숏펄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의 동작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한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어드레스 천이 합성부, 20 : 지연부, 30 : 신호 출력부, 40 : 입력신호발생부, P1, Q1, Q2: 피모스 트랜지스터, N1~Nn, Q3, Q4: 엔모스 트랜지스터, IN1.....IN11: 인버터
본 발명의 어드레스천이합성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칩인에이블신호(CSB)를 반전하는 제1,제2인버터(IN1)(IN2)와, 풀업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와,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출력과 ATD에 따라 출력되는 다단의 엔모스트랜지스터의 출력을 합성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부(10)와, 어드레스천이 합성노드(ATDSO)신호를 지연하여 펄스폭을 결정하는 지연부(20)와, 상기 지연부(20)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7인버터(IN7)와, 어드레스천이 합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30)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천이합성회로에 있어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 입력으로 연결되는 낸드게이트(NA1) 대신에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레벨을 중간레벨로 유지시켜 주는 입력신호발생부(4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이때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입력신호발생부(40)는, 전원전압(Vcc)에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와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소스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와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 공통접속된 노드(A)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와 제2 엔모스트랜지스터(Q4)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로는 상기 노드(A)신호가 피이드백 되도록 제10,제11인버터(IN10)(IN11)들을 거쳐 인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로는 칩인에이블 신호가 반전되어 인가되고, 제2엔모스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로는 상기 지연부(20)의 출력이 반전되어 인가되며, 상기 제1 및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1 및 Q2)와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가 공통 드레인 접속된 노드(A)가 풀업기능의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 입력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 하이상태의 노드(ATDSO)는 정상적인 어드레스 천이(ATD)가 입력되면 로우가 된다. 이후 노드(ATDSO)신호가 지연부(20)를 통해 지연된 후 입력신호발생부(40)를 거쳐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에 입력되면,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레벨이 로우가 됨으로써,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고,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출력에 의해 노드(ATDSO)은 다시 하이로 전환 된다.
이때, 초기상태에 전원전압(Vss)을 게이트로 인가 받아 항상 턴온 상태에 있는 상기 입력신호발생부(40)의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의 출력에 의해 피모스트랜지스터들(P1, Q2)이 턴오프 된다. 이후 칩인에블신호에 의해 회로가 동작되면 상기 칩인에이블신호가 반전된 신호와 상기 지연부(20)의 출력이 반전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엔모스트랜지스터(Q3, Q4)들이 턴온되고, 그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의 출력이 상기 제10,제11인버터(IN10,IN11)들을 거쳐 순차지연되어 상기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로 피이드백 되고, 그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도 턴온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와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가 동시에 턴온됨으로써, 노드(A)의 전압레벨은 중간정도의 전압레벨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의 사이즈는 매우 작게 설계되므로 상기 노드(A)의 전압레벨에는 영향이 없으며, 그 노드(A)의 전압레벨은 상기 제1,제2엔모스트랜지스터(Q3,Q4)들과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턴온저항비에의해서 결정된다.
이어서, 상기 노드(A)신호에 의해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는 중간레벨정도로 약간(slightly) 턴온 된다.
즉,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레벨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엔모스트랜지스터(Q3)(Q3)들과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전압레벨의 영향을 받아 중간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전압레벨이 중간레벨이므로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구동력은 입력레벨이 하이레벨(Vcc) 일경우보다 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풀업용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중간레벨상태의 전압레벨로 턴온되어 있고, 숏펄스의 ATD가 입력될 경우,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구동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그 숏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상기 풀다운용 엔모스트랜지스터(N1~Nn)들의 구동력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ATDSUM)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숏펄스 만큼 로우를 유지함으로써, 최종적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는 그 숏펄스 만큼 폭이 증가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풀업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1)가 온 될 때(즉,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풀업 시간동안(, 그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레벨을 하이레벨(Vcc)이 아닌 중간레벨로 유지 시킴으로써, 숏펄스의 ATD가 입력되어도 그 숏펄스만큼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의 폭을 증가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풀업기능을 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풀업시간 동안 중간레벨로 유지시켜 숏펄스의 어드레스 천이가 입력되어도 그 숏펄스만큼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가 상기 숏펄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디코딩신호와 제어신호간의 미스매칭을 막아 칩동작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가되는 신호를 풀업하는 풀업수단(P1)과;
    상기 풀업수단의 출력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어드레스천이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다단의 엔모스트랜지스터의 출력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어드레스천이합성부(10)와,
    어드레스천이합성노드(ATDSO) 신호를 지연시켜 어드레스천이합성신호의 폭을 결정하는 지연부(20)와;
    상기 어드레스천이 합성신호(ATDSUM)를 외부회로에 출력하는 신호출력부(30)와;
    상기 풀업수단의 입력신호레벨을 중간레벨로 유지시켜주는 입력신호발생부(40)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천이합성부(10)는 Wired-OR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천이 합성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20)와 신호출력부(30)는 다단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발생부(40)는 전원전압(Vcc)에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와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Q2)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와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이 공통접속된 노드(A)와 전지전압(Vss)사이에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와 제2 엔모스트랜지스터(Q4)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피모스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로는 전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상기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로는 상기 노드(A)신호가 피이드백 되도록 제10,제11인버터(IN10)(1N11)를 거쳐 인가 되며,
    상기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로는 칩인에이블 신호가 반전되어 인가되고, 제2엔모스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로는 상기 지연부(20)의 출력이 반전되어 인가되며, 상기 제1 및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1및Q2)와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가 공통 드레인 접속된 노드(A)가 풀업기능의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입력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발생부(40)는 상기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와 그 제1엔모스트랜지스터(Q3)의 출력신호를 피이드백 받는 제2피모스트랜지스터(Q2)가 동시에 턴온됨으로써, 상기 풀업기능의 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입력신호의 레벨을 중간레벨로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KR1019970015621A 1997-04-25 1997-04-25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KR10027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621A KR100271625B1 (ko) 1997-04-25 1997-04-25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CN97120126A CN1114270C (zh) 1997-04-25 1997-11-06 地址变换检测加法电路
US09/053,623 US6054878A (en) 1997-04-25 1998-04-02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summation circuit
JP10113784A JP3127369B2 (ja) 1997-04-25 1998-04-23 アドレス遷移合成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621A KR100271625B1 (ko) 1997-04-25 1997-04-25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170A true KR19980078170A (ko) 1998-11-16
KR100271625B1 KR100271625B1 (ko) 2000-12-01

Family

ID=1950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621A KR100271625B1 (ko) 1997-04-25 1997-04-25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4878A (ko)
JP (1) JP3127369B2 (ko)
KR (1) KR100271625B1 (ko)
CN (1) CN111427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74B1 (ko) * 1997-06-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로우 디코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994A (en) * 1992-01-31 1993-11-16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Semiconductor memory with a multiplexer for selecting an output for a redundant memory access
US5448529A (en) * 1994-11-17 1995-09-05 Allian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speed and hierarchical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KR0146535B1 (ko) * 1995-05-27 1998-09-15 김광호 어드레스 천이 검출회로를 내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590089A (en) * 1995-07-25 1996-12-31 Micron Quantum Devices Inc.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ATD) circuit
US5604712A (en) * 1995-09-13 1997-02-18 Lsi Logic Corporation Fast word line decoder for memory devices
EP0794618B1 (en) * 1996-03-06 2001-09-12 STMicroelectronics S.r.l.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DE69627350D1 (de) * 1996-11-27 2003-05-15 St Microelectronics Sr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Addressenübergangssynchronisationsignals (AT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74B1 (ko) * 1997-06-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로우 디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27369B2 (ja) 2001-01-22
KR100271625B1 (ko) 2000-12-01
CN1198041A (zh) 1998-11-04
US6054878A (en) 2000-04-25
CN1114270C (zh) 2003-07-09
JPH10334666A (ja) 199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3999A (en) Output buffer for memory circuit
KR100507379B1 (ko) 워드라인 구동 회로
US5767700A (en) Pulse signal transfer unit employing post charge logic
KR940008091A (ko) 개량된 소프트 에러 저항을 갖는 모스 에스램(mos sram), 고전위 전원 전압강하 검출회로, 상보 신호 천이 검출회로 및 개량된 내부신호 시간마진을 갖는 반도체 장치
US5963484A (en) High speed single-ended amplifier of a latched type
US60551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umn select lines in a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304195B1 (ko) 외부클럭신호를가지는동기형반도체메모리장치
US5625604A (en)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for a memory device having signal delay circuitry
KR100271625B1 (ko) 어드레스 천이 합성회로
KR100273218B1 (ko) 어드레스천이검출회로
JPH06338189A (ja) カラムアドレス遷移検出回路
JPH10188568A (ja) 基準クロック発生回路
KR970051250A (ko) 저소비 전력의 디램(dram) 비트라인 선택회로
KR100335269B1 (ko) 워드라인구동장치
KR100763071B1 (ko) 펄스 발생 회로
KR100304968B1 (ko) 워드라인 드라이버
KR970017637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센스앰프 제어회로
KR100432576B1 (ko)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47648B1 (ko) 로오 디코더 회로
KR100248802B1 (ko) 클럭신호 드라이브 회로
KR100245274B1 (ko) Sram 장치의 리던던트 프리디코더 회로
KR100498417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로우디코더
KR0168774B1 (ko) 이퀄라이징 펄스 제너레이터
KR960035638A (ko) 감지 증폭기용 구동전압 발생기
KR19980069481A (ko) 고속 메모리 장치용 섹션 워드라인 구동 펄스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