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일성 보존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한쪽은 실제로 제어 대상기기의 제어를 하는 제어계 CPU 유닛과 다른 쪽은 제어계 CPU 유닛이 어떤 이유로 다운되었을 때, 계속해서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대기계 CPU 유닛으로 구성되고, 산업기기등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래머블콘트롤러의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제어계 CPU 유닛과 대기계 CPU 유닛의 파일이나 제어정보나 운전상태의 동일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81101 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0은 온라인이 되어 제어대상기기를 제어실행하고, 있는 제어계 CPU 유닛, 110은 제어계 CPU 유닛(10)이 고장이 났을 때에 그 대신 제어를 실행하는 대기계 CPU 유닛, 5는 이들의 입출력과 제어대상기기를 연결하는 라인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장치, 6은 백업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라인이다. 그리고, 이들 2대의 CPU 유닛의 입출력은, 전환장치(5)를 통해서, 제어대상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대기계 CPU 유닛(110)은, 실제의 제어는 실행하지 않으나, 제어계 CPU 유닛(10)의 백업기능을 달성할 필요에서 제어계 CPU 유닛(10)과 같은 H/W 구성을 하고 있고, 내부의 프로그램을 포함한 데이터도 같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기계 CPU 유닛(110)은, 전송라인(6)을 통해서 트래킹정보를 제어계 CPU 유닛 1로부터 항시받고 있다.
여기서, 트랭킹되어 있는 정보에는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정보, 제어출력정보, 표준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서 실행한 제어알고리즘의 계산의 도중결과와 결과의 데이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그 자체, 제어연산 등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있다.
다음에 일반적인 트래킹 수법에 대해 도 11의 프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00에서, 제어계 CPU 유닛의 시스템 정보와, 미리 RON전에 유전자에 의해 범위 설정한 제어계 CPU 유닛의 디바이스정보를 주출하고 스텝 S1101로 이행한다.
스텝 S1101에서는 제어계 CPU 유닛으로 주출한 정보를, 대기계 CPU 유닛내의 트래킹메모리에 전송한다.
그리고, 스텝 S1102에 의해, 대기계 CPU 유닛내의 트래킹메모리에 전송된 정보를, 각 대상 메모리인 디바이스메모리, 시스템메모리의 어느 것인가에 반영함으로써 시행된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2-81101호 공보에 기재된 트래킹이라는 것은, 일단 시스템이 상승한 후, 즉 가동중의 제어계 CPU 유닛과 대기계 CPU 유닛간의 변화가 있던 데이터의 동일성을 보존하기 위한 기술일 뿐이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상승시에는 필요하게 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은 트래킹을 실행할 수가 없고,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간에서 동일성을 보존할 수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트래킹하는 트래킹데이터는 유저에 의한 파라미터설정에 의해 메모리영역이 미리 설정된 범위내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트래킹데이터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트래킹데이터로서 트래킹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간에서 동일성을 보존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트래킹에 관한 신뢰성의 관점에서 아래 표시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간의 프로그램, 데이터의 설정을 하고 있었다.
아래에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에 대해서 파일일괄 기록수단이나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과 같은 통신서비스기능을 실행할 때의 프로그램, 데이터드의 설정방법에 대해 도 12의 플로차트 및 도 13의 순서를 표시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는 양계의 CPU 유닛에 대해 각각 같은 프로그램, 데이터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STOP 모드에서, 대상으로 하는 CPU 유닛에 통신회신을 통해서, 주변장치를 접속하고, 주변장치로부터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일괄기록요구에 따라, CPU 유닛 내부의 파일일괄 기록수단,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이 주변장치로부터 전송된 파일내용이나 디바이스정보를 대상메모리죽 디바이스메모리, 프로그램메모리의 어느 하나에 기록한다.
이 기록에 있어서, CPU 유닛은 기록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제어대상에리어 등을 체크하고 있다(스텝 S1200, S1201).
그리고 주변장치로부터의 일괄기록의 코멘트 실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응답데이터를 작성(스텝 S1202)하고, 이를 주변장치에 대해 완료를 알리는 응답을 보낸다(스텝 S1203), (도 13(a) 참조).
그 후 주변장치를 대기계 CPU 유닛으로 접속선을 변경하고(도 13(b) 참조), 대기계 CPU 유닛에 대해서 도 10에 따라 동일한 기록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다(도 13(c) 참조). 다음에, 제어계 CPU 유닛의 프로그램메모리, 디바이스메모리, 외부메모리내의 각 파일내용을, 대기계 CPU 유닛이 대응하는 각 메모리(프로그램메모리, 디바이스메모리, 외부메모리)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주변장치로부터 제어계 CPU 유닛에 대해서 파일일괄판독수단이나 디바이스일괄판독수단을 도 12에 따라 실행하고(도 13(a) 참조), 제어계 CPU 유닛내의 데이터를 일단주변장치에 채택한다.
그 후 상기 주변장치를 제어계 CPU 유닛으로 접속선을 변경하고(도 13 (b) 참조) 배기계 CPU 유닛에 대해 제어계 CPU 유닛에서 판독한 정보를 통신서비스기능의 파일일괄기록수단이나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에 의해 대기계 CPU 유닛의 대상메모리에 대해 기록되어야 하다(도 13(c) 참조).
또 주변장치로부터 프로그램파일을 일괄해서 대상 CPU 유닛의 프로그램메모리에 기록할 때는,CPU 유닛의 운전상태가 RUN이면 STOP로 전환해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 RUN으로부터 STOP에 또는 STOP로부터 RUN으로에의 운전상태의 전환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대기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를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의 변화에 맞추어 대기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 전환스위치를 수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할 수 없는 데이터의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간의 동일성 확보를 위해서는, 주변장치를 양계의 CPU 유닛에 각각 접속해서 동일성을 보존할 필요가 있었고, 데이터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 대단히 번잡하였었다.
또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일부변경할 때에는, RUN모드에서의 END 처리시에 주변기로부터 변경하는 프로그램을 기록 대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END처리에 의한 한정된 시간내에서는, 통신회선을 통한 주변기기로부터 기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제한되어 버린다.
또 최근의 프로그램의 경향으로서, 각 프로그램이 모듈화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이 밀접하게 결합되어서 일련의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것에서는, 모듈화한 1블록의 프로그램내부를 일부 변경하는 것보다, 그 한 블록의 프로그램 내부전체를 변경하는 쪽이 작업효율, 프로그램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유용할 때가 많다.
또 RUN 모드에서의 END 처리시에는 RUN 모드로부터 STOP로 변경하고, 이 STOP 모드에서 일괄해서 주변기기로부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었으므로, 일단 제어대상기기를 STOP시켜야 하며, 작업효율이 저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트래킹은 설정된 범위내의 데이터전부를 트래킹데이터로 인식하기 때문에, 변경없는 데이터도 트래킹데이터로 인식하고, 트래킹에 요하는 시간도 길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제 1 의 목적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일성 보존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제 2 의 목적은, 데이터동일성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제 3의 목적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RUN중에도 일괄해서 프로그램의 변경을 가능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제 4의 목적은, RUN 중에 일괄해서 기록하는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제 5의 목적은 RUN중에 일괄해서 기록하는 프로그램의 동기를 확실하게 취하는 것이다.
또 제 5의 목적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트래킹작업을 효율화하는 것이다.
또 제 6의 목적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는 운전상황의 변화에 빨리 대응하고, 효율적으로 운전전환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는,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계 CPU 유닛과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상기 제어계 CPU 대신에 제어가능한 대기계 CPU 유닛을 구비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문 및 데이터로 구성되는 코멘드를 일시 보관하고, 그 코멘드에서의 명령문에 따른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하는 동시에, 일시보관하고 있던 상기 코멘드를 다른 계통의 CPU 유닛에 대해 전송하는 트래킹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문 및 프로그램으로부터 구성되는 코멘드를 일시보관하고, 그 코멘드에서의 상기 명령문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내부 접속된 제 1 의 외부메모리에 잘 맞지 않는 체크를 하면서 저장하는 동시에, 일시보관하고 있던 상기 코멘드를 제 2의 CPU 유닛에 대해 전송하는 제 1의 CPU 유닛과, 전송된 코멘드의 상기 명령문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내부 접속된 제 2의 외부메모리에 잘 맞지 않는 체크를 하면서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체크결과를 상기 제 1의 CPU 유닛에 송신하는 제 2의 CPU 유닛을 구비하고, 각각 제 1 및 제 2의 외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을, 시퀸스프로그램에 따른 RUN 중에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계 CPU 유닛과,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상기 제어계 CPU 유닛 대신에 제어가능한 대기계 CPU 유닛을 구비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를 스켄마다에 기억하고, 스켄종료마다에 현재의 운전상황 및 1스켄전의 운전상황을 비교해서, 운전상황의 변화가 검출되면 대기계 CPU 유닛에 대해 운전상황을 변경시키기 위한 코멘드를 발행하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발명의 실시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PC의 전체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은 실제로 제어 대상기기의 제어를 하는 제어계 CPU 유닛, 100은 제어계 CPU 유닛이 어떤 원인으로 다운되었을 때에, 계속해서 제어 대상기기의 제어를 하는 대기계 CPU 유닛이다.
2,200은 CPU 유닛에 내부버스 등에 의해 접속되는 파일레지스터나 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는 외부메모리, 3,300은 CPU 유닛에 통신회선에 의해 접속되는 유저가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PC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주변장치, 4,400은 운전상태를 STOP으로부터 RUN, 또는 RUN으로부터 STOP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운전상태 전환스위치이다.
11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12는 CPU(11)를 제어하는 OS로서의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 13은 디바이스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메모리, 14는 CPU(11)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메모리, 15는 시퀸스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메모리, 16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제어계 CPU 유닛(1)과 대기계 CPU 유닛(100) 사이에서 트래킹하는 트래킹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래킹메모리, 17은 대기용장화 시스템에러, 타계의 CPU 유닛과 트래킹데이터의 주고받기를 하는 트래킹인터페이스, 18은 외부메모리(2)보다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하는 외부메모리인터페이스, 19는 주변장치(3)과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하는 주변인터페이스이다.
또 제어계 CPU 유닛(1)과 대기계 CPU 유닛(100)는 같은 내부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제어계 CPU 유닛(1)에서의 CPU(11),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 디바이스메모리(13), 시스템메모리(14), 프로그램메모리(15), 트래킹메모리(16), 트래킹인터페이스(17), 외부메모리인터페이스(18), 주변인터페이스(19)에 대응해서, 대기계 CPU 유닛(100)의 CPU(101),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02), 디바이스메모리(103). 시스템메모리(104), 프로그램메모리(105), 트래킹메모리(106), 트래킹인터페이스(107), 외부메모리인터페이스(108), 주변인터페이스(109)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싱의 형태 1에 관한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102)의 내부기능의 상세를 표시한 메모리 구성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2),(102)의 주기능으로서, 주변장치(3)과, CPU 유닛(1),(100)사이에 데이터의 주고 받기나, 주변장치(3)으로부터 CPU 유닛(1),(100)에의 동작지령을 제어하는 통신서비스에 관한 통신서비스기능(20), 및 제어계 CPU 유닛(1)과 대기계 CPU 유닛(100)간에서의 정보 및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메인기능(30), 및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제어계 CPU 유닛(1)과 대기계 유닛(100)간에서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제어하는 트래킹기능(40)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통신서비스기능(20)은, 그 상세한 수단으로서, 주변장치(3)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지정하는 운전상태로 변경하는 운전상태변경수단(21), 주변장치(3)로부터 파일을 지정하는 프로그램메모리(15) 또는 외부메모리(2)에 대해 일괄기록을 하는 파일일괄기록수단(22), 주변장치(3)로부터 디바이스치를 디바이스메모리(13)에 대해 일괄기록을 하는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23), CPU 유닛(1)이 지정하는 프로그램메모리(15) 또는 외부메모리(2)내의 지정하는 파일을 주변장치(3)에 대해 일괄판독을 하는 파일일괄판독수단(24), CPU 유닛(1)의 디바이스메모리(13)내의 지정 디바이스치를 주변장치(3)에 대해 일괄 판독을 하는 디바이스일괄판독수단(25), 외부메모리(2)내에 미리 존재하는 파일을 RUN중(일련의 스켄종류후의 엔드처리시)에 프로그램메모리에 전송하는 RUN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을 갖고 있다.
또, 메인기능(30)은 그 상세한 수단으로서, 자동적으로 시스템정보의 변화를 검출하고, 변화가 있었던 시스템정보를 타계통의 CPU 유닛에 송신하는 시스템정보검출수단(31), 대상 CPU 유닛의 운전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고, 운전상태의 변경을 타계통의 CPU 유닛에 송신하는 운전상태검출수단(32)를 갖고 있다.
또 트래킹기능(40)은 그 상세한 수단으로서, 제어계 CPU 유닛(1)의 시스템정보 및 유저로 지정된 범위의 디바이스정보를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해 전송하는 데이터 트래킹수단(41), 주변장치(3)로부터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해 통신서비스요구가 걸리면, 트래킹유닛을 통해서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해서도 같은 서비스요구를 거는 통신서비스요구트래킹수단(42) 제어계 CPU 유닛(1)의 프로그램 메모리(15)와 외부메모리(2)내의 파일내용을 대기계 CPU 유닛(100)의 해당하는 프로그램메모리(105)나 외부메모리(200)에 대해 전송하는 파일내용 트래킹수단(43)을 갖고 있다.
도 3은 통신서비스용구 트래킹수단(41)의 동작을 상세를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대상으로 CPU 유닛에 접속된 주변장치(3)으로부터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해 통신서비스기능(20)의 코멘드가 발생되고, 스텝 S300에서, 그 코멘드를 제어계 CPU 유닛 1이 수신하면, 스텝 S301에서 송신되어온 코멘드내용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통신서비스기능(20)이 실행된다.
즉, 송신되어온 코멘드의 선두부분의 명령을 CPU 1이 해석해서 그 명령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어느 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CPU(1)에 의해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이후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제어계 CPU 유닛(1)은 코멘드에 따른 처리가 실제로, CPU 1자신이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제어대상에리어 등을 체크해서, 이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실제로 유효한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있다.
또, CPU(1)은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되어온 코멘드 전체를, 시스템메모리(14)에 그대로 저장해둔다.
스텝 S301에서 송신된 코멘드에 따라 처리가 완료되면, 스텝 S202로 이행하고, 주변장치(3)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후, 스텝 S303에서 스텝 S301의 실행이 정상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이상완료되면 스텝 S304로 이행해서, 스텝 S302에서 작성한 응답을 주변장치(3)로 돌려보내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03에서, 정상완료이면, 상기 스텝 S302 에서 작성한 응답을 버리고,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에 의해, 대기계 CPU 유닛(100)이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상기 스텝 S300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이 수취한 통신서비스기능(20)의 코멘드와 같은 코멘드를 발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는 수치코멘드를 트래킹인터페이스(17)를 통해서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해 발행한다.
스텝 S305에서, 대기계 CPU 유닛(100)이 제어계 CPU 유닛(1)으로부터 트래킹인터페이스(107)를 통해서 트래킹메모리(106)에 일단 저장된 주변장치(3)로부터 발행된 코멘드와 완전 동일한 코멘트를 수신하면, 스텝 S306에서 송신되어 온 코멘드 내용에 따른 통신서비스 기능내의 각 수단이 처리를 실행한다.
이 코멘드에 대한 실행도, 송신되어온 코멘드의 선두분의 명령을 CPU(101)가 해석하고, 그 명령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02) 내의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CPU(101)에 의해 그 프로그램에 따라, 명령이후의 데이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에도 대기계 CPU 유닛(100)은 코멘드에 따른 처리가 실제로 제어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306에서 송신된 코멘드에 따른 처리가 완료되면 스텝 S307로 이행하고,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 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308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16)에 대해 전송한다.
제어계 CPU 유닛(1)은,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309에서 수취한 응답데이터를, 제어계 CPU 유닛(1)에 스텝 S300에서 통신서비스기능(20)의 코멘드를 발행한 주변장치(3)에 대해 반송해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주변장치(3)에 대해 반송해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주변장치(3)은,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의 응답에 의해, 자신이 이송한 코멘드에 따른 처리가 제어계 CPU 유닛(1) 혹은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 정상적으로 시행되었는지를 확일할 수가 있다.
다음 도 4의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파일일괄기록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계 CPU 유닛(1)에 접속해 있는 주변기기(3)으로부터 통신서비스기능(20)의 파일일괄기록수단(22)을 기동하기 위한 명령과, 그 기록하는 파일이 첨부된 코멘드를 발생함으로써 도 1에서 표시되는 플로차트가 기동된다.
스텝 S400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CPU(11)가 주변장치(3)으로부터 코멘드를 주변인터페이스(19)를 통해서 수신함으로써 스텝(104)로 이행한다.
스텝 S401에서 CPU(11)은 송신된 코멘드의 선두부분에 존재하는 명령문을 해석하고,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파일일괄기록수단(22)의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한다.
파일일괄기록수단(22)에 따른 프로그램은, 명령문에 첨부되어 있는 파일을, 명령문에 규정되어 있는 파일메모리(2) 혹은 프로그램메모리(15)의 소정영역에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파일일괄기록수단(22)에 의해 파일을 외부메모리(2) 혹은 프로그램메모리(15)의 소정영역에 기록할 때, 송신되어온 파일내부의 프로그램의 명령코드호출 부속정보가 소정범위내인지 아닌지를 파일 1괄 기록수단(21)에 따른 CPU(1)의 기능에 의해 체크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402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4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코멘드에 대한 처리가 정상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상완료이면 스텝 S404로 이행하고,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한 코멘드가 실패한 것을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정상완료이면, 스텝 S402에서 작성한 응답을 버리고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된 코멘드와 같은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을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 2로부터 기동한다.
통신서비스 요구 트래킹수단(41)에 의해, CPU1은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된 코멘드를 저장하고 있던 시스템메모리(14)로부터 인출하고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발행한다.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는, 스텝 S405에서, 트래킹메모리(106)에 전송된 코멘드를 수신하면 스텝 S406에 이행한다.
스텝 S406에서, CPU 101는 트래킹메모리(106)에 의해 수신한 코멘드의 명령문을 해석하고, 이 코멘드는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의 파일일괄기록수단인 것을 수단한다.
그리고, CPU(101)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02)의 파일일괄기록수단의 프로그램을 판독실행하고, 명령문에 규정되어 있는 외부메모리(200) 혹은 프로그램메모리(105)의 소정영역에 첨부파일의 기록처리를 실행한다.
이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의 기록처리 때에도, 제어계 CPU 유닛(1)의 시행한 파일일괄기록수단에 따른 CPU(101)의 기능에 의한 체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407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408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1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
스텝 S409에서는, 제어계 CPU 유닛 1은,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응답데이터를 주변장치(3)에 대해 반송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종래 주변기기(3)를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 각각에 접속하고, 파일을 기록하던 처리를, CPU의 기능으로서 통신서비스 요구 트래킹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주변기기로부터 한번의 코멘드 발신에 의해, 제어계 CPU 유닛(1)이 같은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측에도 송신하고, 파일을 일괄해서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 각각에 기록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상승시의 프로그램의 변경에 대한 유저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일괄해서, 파일을 기록할 때도,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응답을, 주변기기에 송신하고, 확실하게 파일이 기록되었는지를 주변기기로 체크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신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장화 시스템의 특징인, 제어계 CPU 유닛(1)의 다운시에 대기계 CPU 유닛(100)이 계속해서 동일 프로그램에서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또, 종래의 트래킹과는 달리, 트래킹하는 메모리의 지정영역에 개의치 않고 파일기록을 실행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싱의 형태 2에서는, 양계동시에 디바이스일괄기록을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어계 CPU 유닛(1)에 접속해 있는 주변기기(3)로부터, 통신서비스기능(20)의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923)을 기동하기 위한 명령과, 그 기록파일이 첨부된 코멘드를 발생함으로써 도 5에 표시되는 플로차트가 기동된다.
스텝 S500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CPU(11)가 주변장치(3)로부터 코멘드를 주변인터페이스(19)를 통해서 수신함으로써 스텝(501)로 이행한다.
스텝 S501에서, CPU(1)은 송신되어온 코멘드의 선두부분에 존재하는 명령문을 해석하고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23)의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한다.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23)에 따른 프로그램은, 명령문에 첨부되어 있는 기록을 위한 디바이스정보를, 명령문에 규정되어 있는 디바이스메모리(13)의 소정영역에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23)에 의해,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메모리(13)의 소정영역에 기록할 때, 기록을 하는 선두 디바이스 및 그 선두 디바이스와 점수로부터 구해지는 최종 디바이스가 파라미터로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범위내인지의 여부를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23)에 따른 CPU(1)의 기능에 의해 체크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502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5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503에서는, 코멘드에 대한 처리가 정상완료하였는지를 검출해서, 이상완료이면, 스텝 S504로 이행하고,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한 코멘드가 실패한 것을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정상완료이면, 스텝 S502에 작성한 응답을 버리고,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되어온 코멘드와 동일한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을,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으로부터 기동한다.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에 의해, CPU(11)은 주변기기(3)으로부터 송신된 코멘드를 저장하고 있던 시스템메모리(14)로부터 코멘드를 인출하고,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 발행한다.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는, 스텝 S505에서, 트래킹메모리(106)에 전송된 코멘드를 수신하면, 스텝 S506에 이행한다.
스텝 S506에서 CPU 101은 트래킹메모리(106)에 의해, 수신한 코멘드의 명령문을 해석하고, 이 코멘드는 제어계 CPU 유닛(1)으로부터의 디바이스일괄기록인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CPU(101)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02) 내의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의 프로그램을 판독실행하고, 명령문에 규정되어 있는 디바이스메모리(103)의 소정영역에 첨부파일의 기록처리를 실행한다.
이 대피계 CPU 유닛(100)에서의 기록처리때도, 제어계 CPU 유닛(1)이 시행한 디바이스일괄기록수단에 따른 CPU(101)의 기능에 의한 체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507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508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1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송한다.
스텝 S509에서는, 제어계 CPU 유닛(1)은,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데이터를 제어계 CPU 유닛(1)에 통신서비스기능(20)의 코멘드를 발행한 주변장치(3)에 대해 반송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다.
또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종래 주변기기(3)를 제어계 CPU 유닛 및 대기계 CPU 유닛(100) 직각에 접속하고 파일을 기록하던 처리를, CPU의 기능으로서, 통신서비스 요구 트래킹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한번의 코멘드 발신에 의해 제어계 CPU 유닛(12)가 같은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측에도 송신하고, 디바이스치 즉 디바이스정보를 일괄해서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 각각에 기록할 수가 있고, 시스템의 상승시의 프로그램의 변경에 대한 유저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일괄해서 파일을 기록할 때도,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응답을, 주변기기에 송신하고, 확실하게 정확한 정보가 기록되겠는가를 주변기기에서 체크할 수 있고 통신회선을 통해서 수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신뢰성도 고려할 수 있다.
또, 종래의 트래킹과는 달리, 디바이스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에서의 트래킹지정영역에 억메이지 않고, 디바이스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트래킹하는 디바이스데이터가 여러 개의 트래킹지정영역에 걸칠 때는 일괄해서 디바이스데이터를 기록할 수가 있고, 디바이스정보의 동일성을 유지하고, 용장화 시스템의 특징인, 제어계 CPU 유닛(1)의 다운시에 대기계 CPU 유닛(100)이 계속해서 제어를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3}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양계동시에 RUN 중 일괄파일전송을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표시되는 처리에 의해 주변기기(3)로부터의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한 파일일괄기록수단을 일단의 외부메모리(2),(200)에서 시행한 후, 프로그램의 RUN 중, 즉 RUN 중의 END 처리시에 기록된 파일을 내부버스를 통해서 프로그램메모리(15),(105)에 일괄해서 기록하는 처리를 표시하고 있다.
도 6을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처리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600에서 통신서비스기능(20)의 파일일괄기록수단(22)을 기동하기 위한 명령과, 그 기록파일이 첨부된 코멘드를 발행함으로써, 도 4에 표시되는 플로차트가 기동되고, 상술한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이 없는 양계의 외부메모리(2),(200)에 대해, 파일일괄기록수단(22)의 실행에 의해, RUN 중에 변경하고 싶은 프로그램파일을 기록한다(스텝 S601).
그리고 스텝 S602에서,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한 프로그램파일기록이 정상적으로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계 (1) 혹은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응답데이터에 의해 판단한다.
여기서 응답데이터에 의해 이상완료인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주변기기(3)은 제어계 CPU 유닛(1)을 통해서 송신되는 응답데이터에 의해,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의 외부메모리(2),(200)에 대한 파일일괄기록이 정상완료한 것을 검출하면,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해, RUN 충일괄파일전송수단(26)을 기동하기 위한 코멘드를 발행한다.
스텝 S603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이 주변장치(3)으로부터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의 코멘드를 수신하면, 그 코멘드의 명령을 해석해서, 스텝 S604로 이행하고,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2)내의 RUN 중 일괄파일전종수단(26)의 프로그램을 판독실행한다.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에 따른 프로그램은, 외부 메모리(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파일을, RUN 중 즉 END 처리시에 접속된 내부버스를 통해서 프로그램메모리(15)의 소정영역에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에 의해, 프로그램파일을 외부메모리(2)로부터 프로그램메모(15)이 소정영역에 전송할 때, 파일내부의 프로그램의 명령코드 및 부족정보가 소정범위내인지 아닌지 또 1스켄분의 파일내부의 프로그램을 축차실행하여, 설정 등에 문제가 새롭게 전송되는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가능한가의 여부를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에 따른 CPU(11)의 기능에 의해 체크하고 있다.
RUN 중에서의 프로그램파일의 전송은, 외부메모리(2)로부터 내부버스를 통해서 프로그램메모리(15)에 전송하는 내부처리이기 때문에 스텝 S600에서 주변장치(3)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서 대상CPU 유닛(1)의 외부메모리(2)에 대해 파일을 전송하는 시간보다도, 파일을 전송하는데 시간이 짧아서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로 인해 프로그램메모리(15)내의 대용량 프로그램을 RUN 중에 일괄해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텝 S605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606을 이행한다.
스텝 S606에서는 코멘드에 대한 처리가 정상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상완료이면 스텝 S607로 이행하고 제어계 CPU 유닛(1)에 대한 코멘드가 실패한 것을 주변기기(3)에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정상완료이면, 스텝 S605에서 작성한 응답을 버리고,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되어온 코멘드와 같은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을,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으로부터 기동한다.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41)에 의해, CUP(11)는, 주변기기(3)로부터 송신된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26)의 코멘드를 저장하고 있던 시스템메모리(14)로부터 인출하고,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 발행한다.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는, 스텝 S608에서 트래킹메모리(106)에 전송된 코멘드를 수신하면 S609로 이행한다.
스텝 S609에서, CPU(101)은 트래킹메모리(106)에 의해 수신한 코멘드의 명령문을 해석하고, 이 코멘드는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의 RUN 중 일괄파일전송인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CPU(101)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02)내의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에 프로그램을 판독 실행하고, 스텝 S601에서 외부메모리(200)에 기록한 프로그램파일을, 접속되어 있는 내부버스를 통해서 프로그램메모리(105)의 소정영역에 전송한다.
이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의 전송처리 때에도, 제어계 CPU 유닛(100)은 RUN 중 일괄파일전송수단에 따른 CPU(101)의 기능에 대한 체크를 하고 있다.
RUN 중에서의 프로그램파일의 전송은, 외부메모리(200)로부터 내부버스를 통해서 프로그램메모리(105)에 전송하는 내부처리이기 때문에, 스텝 S601에서 주변장치(3)으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서 대산 CPU 유닛(1)의 외부메모리(200)에 대해 파일을 전송하는 시간보다도, 파일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쪽이 짧고,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로 인한 프로그램메모리(105)내의 대용량 프로그램을 RUN 중에 일괄해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텝 S601에서, 코멘드에 대한 정상완료 혹은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 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S611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16)에 대해, 트래킹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송한다.
스텝 S612에서는, 제어계 CPU 유닛(1)은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정상완료 또는 이상완료를 표시하는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취한 응답데이터를 제어계 CPU 유닛(1)에 통신서비스기능(20)의 코멘드를 발행한 주변장치(3)에 대해 반송해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의 응답에 의해, 양계 모드 각 외부메모리에의 파일기록이 이상완료가 아닌 경우에 주변기기로부터 RUN 중 일괄파일기록요구를 발신해서, RUN 중 일괄파일기록을 하였으나,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 정상완료의 응답을 수취한 제어계 CPU 유닛(1)이 RUN 중 일괄파일기록 요구를 내도 된다.
또, 대기계 CPU 유닛(100)에 코멘드가 송신되어 오는 것은, 제어계 CPU 유닛(1)에서 정상완료로 인해, 대기계 CPU 유닛(100)에서 정상완료이면 양계 모드 정상완료이고, 대기계 CPU 유닛(100)으로부터, 제어계 CPU 유닛에 대해, RUN 중 일괄파일기록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종래 주변기기(3)을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 각각에 접속하고, 파일을 기록하였던 처리를, CPU의 기능으로 해서, 통신서비스요구 트래킹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한번의 코멘드 발신에 의해, 제어계 CPU 유닛(1)가 같은 코멘드 대기계 CPU 유닛(100)측에도 송신하고, 파일을 일괄해서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의 외부메모리(2),(200) 각각이 기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외부메모리(2),(200)에 기록된 프로그램파일은, 외부메모리와 접속되어 있는 내부버스 등에 의한 내부처리에 의해, 고속으로 일괄해서 프로그램메모리(15),(105)에 전송할 수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RUN 중의 END 처리에 예를 들면 500K 밖에는 기록할 수 없던 프로그램파일을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외부메모리로부터 버스를 통한 내부처리의 메모리를 살리고, 일괄기록을 실현시킬 수가 있고, 제어대상기기 등을 STOP로 할 필요가 없어지고, 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은 같은 타이밍으로 프로그램을 주행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동시에 프로그램을 일괄해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다 더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근년의 프로그램의 모듈화에서, 모듈이 되는 프로그램 전부를 일괄해서 RUN 중의 짧은 시간에 변경가능하고, 프로그램 변경에서의 작업효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일괄해서 파일을 기록할 때도, 대기계 CPU 유닛(100)로부터의 응답을 주변기기에 송신하고, 확실하게 파일이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주변기기에서 체크가 가능하고, 프로그램을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신뢰성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장화 시스템의 특징인, 제어계 CPU 유닛(1)의 다우신에 대기계 CPU 유닛(100)이 계속해서 동일프로그램에서 제어를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양계 동시에 파일내용 트래킹을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7의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RUN 모드 전, 즉 STOP 모드 중에 기동되어 있는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스텝 S700에서,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제어계 CPU 유닛(1)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기계 CPU 유닛(100)에의 전송의 대상이 되어 있는 프로그램메모리(15) 혹은 외부메모리(2)의 지정파일(복수설정가)을 일괄해서 주출하고,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파일내용 트래킹수단(42)에 의해, 파일일괄전송을 표시하는 명령문과 그 파일내용으로 된 코멘드를,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전송한다.
스텝 S701에서는, 대기계 CPU 유닛(100)의 CPU(101)은,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 트래킹메모리(106)에 전송된 코멘드를 해석하고, 파일일괄전송을 함으로써, 파일내용 트래킹수단을 기동해서 스텝 S702로 이행하고, 스텝 S700에서 주출된 프로그램메모리(15) 혹은 외부메모리(2)내의 선택된 파일을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메모리(105) 혹은 외부메모리(200)에 기록하고, 완료되면 대기계 CPU 유닛(100)은, 스텝 S703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6)에 대해 완료를 알리는 응답을 반송한다.
이로 인해 파일내용 트래킹기능을 완료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파일마다의 제어계 CPU 유닛(1) 및 대기계 CPU 유닛(100)의 정합성이 취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 파일내에서의 대상영역만이 트래킹데이터에서는,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은 부분에서도, 파일마다 동일성 유지에 의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동일성이 향상하고, 시스템 자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여러 장소에 걸치는 데이터의 트래킹에 요하고 있던 시간을, 일괄해서 트래킹가능하게 함으로써, 트래킹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 주변기기(3)를 쌍방에 연결을 다시해서 파일마다의 동일성 보존을 하고 있던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시스템 정보의 자동전송수단의 처리에 대해 도 8의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의 RUN 모드중에 기동되어 있는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스텝 S800에서, 대기용장화 시스템의 제어계 CPU 유닛(1)의 CPU(11)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시스템 정보검출수단(31)에 따라, 시스템메모리(14)내의 시스템정보, 디바이스메모리(3)내의 디바이스정보, 외부메모리(2)내의 파일레지스터 정보에서의 값의 변경의 유무를 향상 감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메모리(14)상에 소정의 영역을 설치하고, 그 영역에 각각의 메모리의 값이 변경(값이 기록된다)될 때마다, 기록되는 어드레스 및 그 값을 시스템정보 검출수단(30)에 따른 CPU(11)의 기능에 의해 동시에 기억해둔다.
그리고, 스텝 S801에서, 시스템메모리(14)내를 해석해서, 값의 변경이 발생하면,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데이터 트래킹수단(43)에 의해 갱신된 정보의 장소와 값의 변경정보를 전송한다.
스텝 S802에서, 대기계 CPU 유닛(100)은, 데이터 트래킹수단에 의해 전송된 갱신된 정보의 저장장소와 값의 변경 정보를 트래킹메모리(106)가 수신하면, 스텝 S803으로 이행하고, 상기 변경정보에 의해, 제어계 CPU 유닛(1)에서 주출된 갱신된 메모리(디바이스메모리, 프로그램메모리, 외부메모리가 대상)에 대해 변경치를 반영하고, 완료되면 대기계 CPU 유닛(100)은, 스텝 S804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16)에 대해 완료를 알리는 응답을 반송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정보의 자동트래킹 기능을 완료한다.
본 실시의 형태 5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변경된 메모리내의 데이터만 타계의 CPU 유닛에 대해 트래킹데이터로서 송신하므로, 종래 설정되어 있던 모든 영역의 데이터를 트래킹데이터로서 소신하는 일이 없고, 변경이 있는 부분만이 필요한 데이터를 트래킹할 수가 있고, 트래킹에 대한 시간이 단축되고, 여분의 트래킹처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경이 있는 처리만 트래킹할 수 있어 고속의 대기계 CPU 유닛에 반영할 수가 있다.
또 변경이 있었던 부분만의 트래킹도 가능하고, 유저는 미리 트래킹하기 위한 디바이스범위를 조사할 필요도 없이 작업효율도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운전상태의 자동 추종수단의 처리에 대해 도 9의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 기동되어 있는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스텝 S900에서, 대기용장화 시스템이 제어계 CPU 유닛(1)의 CPU 유닛(11)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ROM(12)내의 운전상태검출수단(32)에 따라, 시스템메모리(14)내의 영역에 저장되는 제어계 CPU 유닛(1)의 운전상태의 변화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메모리(14)상에 소정의 영역에,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의 이력(1스켄전의 상태)을 유지하고 그 데이터와 현재의 운전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스텝 S901에서, 운전상태의 비교결과, 운전상태가 변화하면, 제어계 CPU 유닛(1)로부터 대기계 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에 대해, 운전상태 변경후의 제어계 CPU 유닛(1)의 운전상태로 변경하는 운전상태변경수단(21)의 요구를 통신서비스 요구 트래킹수단(33)에 의해 전송한다.
스텝 S902에서, 대기계 CPU 유닛(100)은, 데이터 트래킹수단에 의핸 전송된 운전상태변경의 요구를 대기계CPU 유닛(100)의 트래킹메모리(106)가 수신하면 스텝 S9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903에서는 운전상태변경수단(21)에 따른CPU(101)에 의해 운전상태 변경후의 제어계 CPU 유닛(1)과 같은 운전상태로 변경하고, 완료되면 대기계 CPU 유닛(100)은, 스텝 S905에서 제어계 CPU 유닛(1)의 트래킹메모리(6)에 대해 완료를 알리는 응답을 보낸다.
이로 인해, 운전상태의 자동운전상태 추종기능을 완료한다.
본 실시의 형태 6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변경된 제어계 CPU 유닛(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대기계 CPU 유닛(100)에 대해 코멘드로서 송신하고, 그 코멘드에 따라, 대기계 CPU 유닛(100)은, 운전상태를 제어계 CPU 유닛(1)과 같게 한다.
이 때문에, 대기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가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태의 변화에 자동추종하고, 양계의 운전상태를 항상 같게 유지하고, 그 전환의 타이밍도 차질없이 대기 용장화 시스템을 보다 효율좋게 유지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서는, 제어 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계 CPU 유닛과,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상기 제어계 CPU 유닛 대신에 제어가능한 대기계 CPU 유닛을 구비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 있어서,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문 및 데이터로부터 구성되는 코멘드를, 일시보관하고, 있던 상기 코멘드를 타계의 CPU 유닛에 대해 송신하는 트래킹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주변기기로부터의 코멘드에 의해 양계의 CPU 유닛과 함께 데이터를 명령에 따라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의 동일성 유지를 위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주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문 및 프로그램으로부터 구성되는 코멘드를 일시보관하고, 그 코멘드에서의 상기 명령문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내부 접속된 제 1의 외부메모리에 부적합한 곳에 대하 체크를 하면서 저장하는 동시에, 일시 보관했던 상기 코멘드를 제 2의 CPU 유닛에 대해 전송하는 제 1 의 CPU 유닛과 전송된 코멘드의 상기 명령문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내부접속된 제 2 의 외부메모리에 부적합한 곳이 있는가 체크를 하면서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체크결과를 상기 제 1의 CPU 유닛에 송신하는 제 2의 CPU 유닛을 구비하고, 각각 제 1 및 제 2의 외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을 시퀸스프로그램에 따른 RUN 중에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므로, 외부메모리로부터 RUN 중에 일괄해서 대용량의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가 있고, 종래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했던 STOP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계 CPU 유닛과,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상기 제어계 CPU 유닛 대신에 제어가능한 대기계 CPU 유닛을 구비한 대기용장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계 CPU 유닛의 운전상황을 스켄마다 기억하고, 스켄종료마다에 현재의 운전상황 및 제 1 스켄전의 운전상황을 비교하고, 운전상황의 변화가 검출되면, 대기계 CPU 유닛에 대해 운전상황을 변경시키기 위한 코멘드를 발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제어계 CPU 유닛에 추종하고 있던 기유의 운전상황을 전환할 수가 있고, 대기용장화 시스템 자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