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768A -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과 거기에서 사용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과 거기에서 사용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9768A KR19980069768A KR1019970018461A KR19970018461A KR19980069768A KR 19980069768 A KR19980069768 A KR 19980069768A KR 1019970018461 A KR1019970018461 A KR 1019970018461A KR 19970018461 A KR19970018461 A KR 19970018461A KR 19980069768 A KR19980069768 A KR 19980069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ata
- multiplexed
- length
- retransmi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1100258328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crc-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000651958 Crotalus durissus terrificus Snaclec crotocet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979 Language Developmen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5—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e.g. of data packets lost or corrupted during transmission from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 및 거기에서 사용되는 음성파동흡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화프레임은 고정길이이며, 헤더와 고정길이영역을 포함한다. 고정길이 영역은 가변길이 슬롯(1) 및 슬롯(2)으로 분할되며, 가변길이 슬롯(1)의 길이는 저장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가 되며, 저항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0이 된다. 가변길이 슬롯(2)의 길이는 가변길이 슬롯(1)의 길이에 따라서 증감하며, 제 1 가변길이 슬롯으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예를들면, 음성 프레임)을 전송하고,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1개의 완전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예를들면, 비디오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길이로 하고, 또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변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고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송 오류에 의해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경계를 놓치지 않고, 오류에 대해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즉, 전송오류에 의해 슬롯 동기가 벗어나도 바로 다음 헤더를 볼수 있어 재동기를 취하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과 거기에서 이용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고능률로 압축된 음성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컴퓨터 데이터를 다중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시에 발생하는 음성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전화와 텔레비젼 회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방대한 정보량을 갖는 비디오신호를 고능률로 부호화된 후, 전송처로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고능률 부호화의 예로서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국제표준 규격의 드래프트단계인 H263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규격으로는 모두 압축 부호화 방법으로서,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부호화 방법과 가변길이 부호화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오류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다. 즉, 1비트의 오류라도 발생하면 당해 오류에 의한 영향은 화면의 큰 범위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시간축 방향에서 영향을 미쳐 화질의 열화가 현저하다. 그 때문에, 전송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아날로그 전화콘벌루션에는 재전송제어에 의해 오류정정을 실행하고 나서 화상부호화를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음성데이터는 ITU-T가 발생한 드래프트 G.723과 같이 고능률 부호화에 의해 초저비트율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성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에 비하여 전송오류가 눈에 뜨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반면, 전송지연에는 민감하다. 따라서, G.723에서는 재전송에 의한 오류정정은 이용하지 않고, 오류를 검출한 경우에는 뮤팅함으로써 전송오류가 노이즈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재전송형의 가변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와 비재전송형의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는 방법으로서, 같은 ITU-T에서 드래프트 H.223이 발생되고 있다.
이하에서 종래의 다중전송방법의 일례로서 H.223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H.223에서 결정된 다중화 전송방식을 채용한 다중화 전송장치의 일반적인 계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4에 있어서, 이 다중화 전송장치는 물리층(801)과 다중화층(802)과 적응화층(803)과 비디오 코더(804)와 음성코더(805)와 데이터프로토콜(806)과 LAPM(807)과 H245제어(808)와 비디오I/0809와 오디오I/8010과 응용층(811)을 구비하고 있다.
H.223에서는 물리층(801)으로서 28.8Kbps의 아날로그 전화콘벌루션용의 모뎀이 상정되어 있다. 또, 다중화층(802) 및 적응화층(803)으로서 비디오의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및 순서와, 음성의 오류검출을 위한 프레임 구성이 규정되어 있다. 또, 비디오코더(804)로서 H.263이 상정되어 있다. 또, 음성코더(805)로서 G.723이 상정되어 있다. 그리고, ITU-T는 이러한 시스템 전체의 방법권고로서 H.324를 발생하고 있다. 또, H223에서는 데이터프로토콜(806)은 특별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 LAPM(807)로서 제어데이터의 통신순서가 규정되어 있다. 또, H.245 제어(808)로서 시스템제어의 명령과 순서가 상정되어 있다.
다음에, H.223의 다중화층(802)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 포캣을 도 45에 나타낸다. 도 45에 있어서 개시플러그 및 종료플래그에는 플래그 동기를 취하기 때문에 HDLC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플래그와 같은 비트패턴「01111110」을 이용할 수 있다. H.223에서는 개시플래그 및 종료플래그의 투과성을 유지하기 위해 플래그 이외의 부분에서 1이 5회 연속한 후에는 0을 삽입하고, 수신측에서 이것을 소거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헤더는 이하에 이어지는 정보필드를 어떠한 슬롯에 분할하여 어떠한 데이터를 다중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6은 음성데이터와 컴퓨터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한 경우의 다중화층(802)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적응화층(803)에서는 비디오의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위한 프레임 포맷 및 순서가 규정되어 있다. 도 47에 비디오의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위한 ARQ(Automatic Repeat reQuest)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도 47에 있어서 제어필드에는 재전송제어를 위한 송신번호와 이하에 이어지는 페이로드 필드가 정보프레임인지 감시프레임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다. 페이로드 필드는 정보프레임인 경우는 비디오 데이터를, 감시프레임인 경우는 재전송요구 번호와 재전송용구 명령을 저장한다. CRC필드는 오류검출을 위한 체크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또, 적응화층(803)에서 결정된 재전송제어의 순서는 윈도우 사이즈(128)프레임의 선택적 반복 ARQ방식이고, CRC체크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프레임의 송신번호를 재전송요구 번호로서 송신요구 명령과 함께 감시프레임에서 한 번만 재전송을 요구한다.
이 H.223은 다중화 프레임, 비디오 프레임을 모두 가변길이로 하고, 또, 플래그 동기를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래그에 오류가 있으면 프레임 동기를 놓치게 된다. 또, 다른 데이터의 오류가 생긴 경우, 당해 다른 데이터가 플래그로 변하고, 이것에 의해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H.223은 오류에 대해 약하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간이형 유대전화인 PHS의 무선콘벌루션(32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다)은 아날로그 전화콘벌루션에 비해 더욱 전송오류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종래, 이와 같은 PHS의 무선콘벌루션에 있어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전송제어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PIAFS(PHS Internet Access Forum Standard)가 일본내에서 제안되고 있다.
PIASF에 있어서 ARQ프레임은 고정길이(80바이트)이다. 도 48에 PIAFS의 프레임구성을 나타낸다. 도 48에서 프레임 종별 식별영역에는 프레임종별이, 오류제어영역에는 송신프레임 번호 및 가장 오래된 미수신프레임 번호가, 유저데이터장 표시 영역에는 유저데이터 영역내의 유의한 데이터의 데이터장이, 유저데이터 영역에는 유져데이터가, 오류검출부호 영역에는 ARQ 프레임 전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부호가 저장되어 있다.
PIAFS에서는 프레임동기는 통신에 앞서서, 동기플래그를 포함한 동기프레임을 이용하여 확립하고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동기프레임과 같은 길이로 함으로써 이후의 프레임동기를 계속하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에 동기플래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PIAFS는 ARQ프레임이 고정길이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어서 프레임동기를 놓치지 않고, 오류에 대해 강해진다.
그래서, H.223에서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로 하면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의 동기를 취할 수 있고, 다중화 프레임이 오류에 대해 강해진다. 그 일례가 일본국 특공평 8-13057호 공보에「HDLC 가변길이 패킷과 비HDLC 고정길이 패킷과의 혼재전송방법」으로서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는 이 공고공보에 개시된 전송방법을 도 4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9에서는 고정길이의 각 프레임에는 그 내용이 HDLC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헤더가 붙여 있다. 당해 헤더가 비HDLC 데이터라고 나타는 경우에는 고정길이의 프레임에는 비HDLC 고정길이패킷(예를 들면 음성데이터패킷)이 저장된다. 또, 헤더가 HDLC데이터라고 나타나 있는 경우는 고정길이의 프레임에는 분할된 가변길이의 HDLC프레임(예를 들면 비디오 프레임)의 일부가 저장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이기 때문에 오류에 대해 강해진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는 여전히 HDLC플래그 동기를 취하고 있고, 복수의 다중화 프레임에 걸쳐서 저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디오 프레임은 역시 오류에 대해 약하다.
그런데, G.723과 같이 무음검출을 실행하고 무음시에는 음성프레임을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디오 데이터 등의 전송대역을 늘리는 기능을 살리려면, 파동의 발생은 수msec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파동이 커지면 수신측에서는 파동에 의해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인지, 무음구간에 들어섰기 때문에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없어서 적절한 처리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래, 고정길이 셀패킷의 파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 최대 유동시간의 2배분의 용량을 갖는 버퍼를 설치하고, 미리 설정된 초리값과 버퍼내의 셀수를 비교하고, 버퍼의 판독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5-244186호 공보의「ATM/STM변환회로」참조). 도 50에 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0에서 버퍼(50)는 파동 △t의 2배인 2△t의 용량을 갖는다. 판독제어부(60)는 퍼버(50)에 축적된 셀수와 미리 설정된 초기값을 비교하고, 축적된 셀수가 초기값을 넘으면 버퍼(50)의 판독을 개시하기 위한 판독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도 50의 파동 보정회로는 제 1 셀도착 후, ATM 망내에서의 최대지연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버퍼(50)의 내용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50의 파동 보정회로를 이용하면 초기값까지 셀을 저장한 분만큼 평균적인 지연시간이 늘어나 버려서 음성의 지연이 증대된다.
그런데,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경우, 파기된 정보필드에 다중화되어 있는 비디오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미 재전송요구를 송신측에 전송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다중화층은 다중화 헤더에 오류를 발견하여 정보필드의 데이터를 파기하기 위해서 이 파기된 정보필드 중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전송요구가 오류제어 처리층에서 나온 것은 다음에 틀림 없이 수신한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의 프레임 번호에서 시퀀스에러를 검출할 때이다. 예를 들면, 송신측 단말이 송신한 프레임 번호(1)의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전송에러가 발생한 경우, 수신측 단말에서는 이것을 수신후, 다중화 프레임 중의 비디오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 때문에 수신측 단말은 곧 프레임 번호(1)의 거절된 비디오 데이터를 반송할 수 없다. 즉, 수신측 단말은 프레임 번호(2)의 자둥화 프레임을 수신하기 시작하여 프레임 번호(1)의 다중화 프레임이 빠진 것을 알고, 프레임 번호(1)의 거절을 송신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1990년 전자정보통신학회 춘계전국대회 B-323에서 발표된 이동패킷 통신용 부분 재전송 ARQ(Partial repeat ARQ for mobile packet communications)에서 내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번호의 오류검출을 정보필드의 오류검출과는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경우, 정보부분이 파기되어도 당해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가 틀림없이 수신측에 다다르면 수신측은 당해 프레임의 재전송요구를 즉석에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재전송 대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오류에 강하고, 동시에 전송효율이 좋은 다중화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음성의 지연시간을 증대시키지 않고, 음성파동을 보정할 수 있는 다중화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재전송제어에 의해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다.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동시에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다중화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다중화 프레임마다 동기 타이밍으로 당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국면에 의하면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 및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길이로 하고, 또한, 다중화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바꾸는 것에 의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동기를 취하는 타이밍으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전송타이밍을 고정화할 수 있고, 전송오류에 의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경계를 놓치지 않아 오류에 대해 강해질 수 있다. 즉, 플래그로 동기를 취한 H.223과 같이,「0」삽입에 의한 비트어긋남이 없고, 또 전송오류에 의해 슬롯동기가 어긋나도, 곧 다음 헤더를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재동기를 취하기 쉽다. 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무음구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올리 수 있다. 또, 제 1 국면에서는 하나의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는 사이에 반드시, 하나의 데이터링크 프레임이 완전하게 전송되는 것이 보장되어 있다. 비디오의 데이터링크 프레임이 인접한 복수의 다중화 프레임에 걸쳐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걸쳐서 저장되어 있는 다중화 프레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대해, 다중화 프레임마다 비디오 데이터 링크 프레임이 완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오류에 대해 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제 1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고, 고정길이 영역을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에서 분할하고,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화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가 되고, 다중화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제로가 되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화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고, 다중화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 제 1 가변길이 슬롯에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2 가변길이 슬롯에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은 다중화 프레임 헤더를 또한 포함하고, 다중화 프레임 헤더에는 다중화 프레임중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중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국면에 의하면 다중화 헤더내의 다중화 정보를 보는 것에 의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제 2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은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송하기 위한 고정길이 슬롯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국면은 제 4 국면에 있어서, 고정길이 슬롯에는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저장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종류의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국면은 제 5 국면에 있어서, 고정길이 슬롯의 길이는 고정길이 영역이상의 길이로 선택하고 있다.
상기 제 6 국면에 의하면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의해 전송되어 온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 당해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 2 가변길이 슬롯 및 고정길이 슬롯 모두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국면은 제 4 국면에 있어서, 고정길이 슬롯에는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저장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는 다른 종류의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 7 국면에 의하면 복수종류의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다중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국면은 제 4 국면에 있어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길이는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전송하는 경우는 당해 제 2 가변길이 슬롯과 같은 길이로, 고정길이 슬롯으로 전송하는 경우는 당해 고정길이 슬롯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국면은 제 1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은 프레임 종별로 식별하기 위한 부호를 저장한 프레임 종별 식별영역과, 유저데이터를 저장한 유저데이터의 영역과, 유저데이터 영역내의 유의의 데이터의 길이를 저장한 유저데이터장 표시 영역과, 재전송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 번호를 저장한 재전송제어 영역과, 오류검출부호를 저장한 오류검출부호 영역을 갖고 있고, 유저데이터 영역을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으로 분할하고,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저데이터장 표시영역에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 저장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길이를 저장하고, 오류검출 영역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 이외의 영역의 오류검출을 실행하는 검출부호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9 국면에 의하면 PIAFS에 있어서 ARQ프레임의 구성을 거의 그대로 이용하고,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와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다중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국면은 제 9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할 때는 유저데이터 영역을 재전송형 데이터 영역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으로 분할하고, 당해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당해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때는 유저데이터 영역 전체를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으로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레임 종별 식별영역에는 유저데이터 영역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부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국면은 제 1 국면에 있어서, 전송할 수 있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하지 않는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씩 포함하는 기본 다중화 프레임예를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 국면에 의하면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발생주기에 맞추어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와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다중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국면은 제 11 국면에 있어서,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분할된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화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이 되고, 다중화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길이가 제로가 되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고,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 제 2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슬롯을 포함하고, 제 1 가변길이 슬롯에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2 가변길이 슬롯 및 고정길이 슬롯에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국면은 제 11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60 바이트이고, 기본 다중화 프레임예는 하나의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하나의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1 다중화 프레임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하나의 음성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국면은 제 11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80바이트이고, 기본 다중화 프레임예는 2 개의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하나의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제 1 다중화 프레임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하나의 음성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4 국면에 의하면 PIAFS에 있어서 ARQ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다른 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국면은 제 11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80바이트이고, 기본 다중화 프레임예는 하나의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2개의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1 다중화 프레임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두 개의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5 국면에 의하면 PIAFS에 있어서 ARQ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다른 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국면은 F바이트(F는 양의 정수)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된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고 NF)의 음성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고, MF)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전송할 때에,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중 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된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프레임의 중에서, 다음 음성프레임과의 사이가 가장 작게 되는 기준 음성프레임을 식별하고, 기준 음성프레임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이후의 음서프레임을 F바이트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6 국면에 의하면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와 음성프레임의 전송주기가 정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음성파동을 다중프레임의 수신측에서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국면은 제 16 국면에 있어서, 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본 다중화 프레임예의 내에서 음성프레임을 다중화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다중화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음성프레임의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7 국면에 의하면 음성프레임을 다중화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도록 했기 때문에 음성파동 흡수의 기준이 되는 기준 음성프레임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8 국면은 제 16 국면에 있어서 M=80바이트, F=120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국면은 제 17 국면에 있어서, M=80바이트, F=120 바이트, n=2, 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0 국면은 F바이트(F는 양의 정수)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된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고, NF)의 음성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고, MF)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할 때에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중프레임의 송신측에서 당해 음성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 동작을 스타트시킨 후, 당해 음성부호화기에서 최초의 음성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기 까지의 시간을 T로 하고, 당해 음성부호화기가 최초의 음성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한 후, 당해 최초의 음성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α로 한 경우, 전송된 다중화 프레임상의 음성프레임내에서 다음의 음성프레임과 사이가 가장 작게 되는 기준 음성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된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고, 당해 기준이 되는 타이밍보다도 적어도 합계시간(T+J+α)이전에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동작을 스타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0 국면에 의하면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와 음성프레임의 전송주기가 정합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음성파동을 다중프레임의 송신측에서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1 국면은 제 20 국면에 있어서, 시간(α)은 제 1 및 제 2 시간 가운데 어느 큰 쪽의 시간과 같거나 그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 1 시간은 음성부호화기가 음성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한 후, 당해 음성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이고, 제 2 시간은 음성부호화기에서 출력된 무음의 표시를 검출하고, 음성프레임을 저장할 예정인 영역에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이다.
본 발명의 제 22 국면은 제 20 국면에 있어서, 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본 다중화 프레임열 가운데, 음성프레임을 다중화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다중화 정보에 기초하여 기중 음성프레임의 식별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2 국면에 의하면 음성프레임을 다중화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도록 했기 때문에 음성 파동흡수의 기준이 되는 기준음성프레임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3 국면은 제 20 국면에 있어서 M=80바이트, F=120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4 국면은 제 22 국면에 있어서, M=80바이트, F=120 바이트, n=2, 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5 국면은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대해 프레임 번호 및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 프레임과 제 2∼제 k의 데이터 프레임이 어떠한 구조로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가 부가되어 있고, 송신측은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항상 다중화 프레임중의 일정한 장소에 배치하고,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페임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프레임 번호의 재전송요구를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5 국면에 의하면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항상 다중화 프레임중의 일정한 장소에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할 수 있고, 판독한 프레임 번호의 재전송요구를 즉석에서 송신측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6 국면은 제 25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에는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화 헤더에 이어서 저장된 1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 가운데 항상 다중화 헤더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윽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7 국면은 제 26 국면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와 당해 프레임 번호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를 갖고 있고, 헤더는 제 1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화 헤더의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는 적어도 선두에 배치하고, 제 1 데이터 프레임이 다중화 헤더의 전방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는 적어도 최후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8 국면은 제 27 국면에 있어서,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 헤더에 이은 소정 바이트수의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에 오류가 없는 것을 검출하고, 동시에 나머지의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요구를 즉석에서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9 국면은 제 26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고정이고, 제 2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화 헤더에 이어서 저장된 1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 가운데 항상 선두 또는 최후미에 배치되고, 수신측은 수신한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제 2 데이터 프레임이 항상 최후미의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정보필드의 뒤에서 소정 바이트수의 범위에 있는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추출하고, 제 2 데이터 프레임이 항상 선두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정보필드의 앞에서 소정바이트수의 범위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오류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데이터로서 취급하며, 추출한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0 국면은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대해 프레임 번호 및 오류 검출부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 프레임과 제 2 ∼제 k 데이터 프레임(k는 2이상의 정수)를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에는 또한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제 2 ∼제 k 데이터 프레임이 어떠한 구조로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가 부가되어 있고, 송신측은 전송모드로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항상 다중화 프레임 중의 일정한 장소에 배치되어 전송하는 제 1 전송모드와,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항상 다중화 프레임 중의 일정한 장소에 배치하여 전송하는 제 1 전송모드와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다중화 프레임 중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하여 전송하는 제 2 전송모드를 갖고 있고, 수신측에 제 1 전송모드로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 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 프레임 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프레임 번호의 재전송요구를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0 국면에 의하면 수신측은 제 1 전송모드에서 보내어 온 다중화 프레임 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할 수 있고, 판독한 프레임 번호의 재전송요구를 즉석에서 송신측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 31 국면은 제 30 국면에 있어서, 송신측은 미리 다중화 정보와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대응(부착) 테이블을 수신측에 송신하고, 수신측은 송신측이 제 1 및 제 2 전송모드로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여 오는지를 미리 수취한 대응(부착) 테이블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상기 제 31 국면에 의하면 수신측은 미리 송신측에서 보내어 온 대응(부착) 테이블에 기초하여 송신측이 제 1 및 제 2 전송모드와 어떤 것이라도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여 오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2 국면은 프레임길이가 30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120바이트 주기가 되는 음성프레임을, 프레임길이가 20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80바이트 주기가 되는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성프레임이 저장된 제 1 다중화 프레임이 2프레임으로, 당해 음성프레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이 1프레임으로 구성된 기본 다중화 프레임열을 반복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2 국면에 의하면 PIAFS에 있어서 ARQ프레임의 구성을 거의 그대로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중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3 국면은 제 32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해야하는 음성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음성프레임을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정보 필드내의 항상 같은 위치에 저장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다중프레임에서 음성프레임을 분리한 후, 당해 분리한 음성프레임의 파동을 흡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3 국면에 의하면 다중전송에 의해 생긴 음성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4 국면은 제 33 국면에 있어서, 기본 다중화 프레임열에 포함되는 2개의 제 1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다음의 음성프레임과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기준 음성프레임을 식별가능하게 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다중프레임에서 분리한 음성프레임의 출력을 기준 음성프레임을 출력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30ms마다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4 국면에 의하면 기본 다중화 프레임마다 포함된 2개의 제 1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도록 했기 때문에, 음성파동흡수의 기준이 되는 음성프레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5 국면은 제 32 국면에 있어서,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음성프레임과 함께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프레임인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고, 제 2 다중화 프레임은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음성프레임과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합친 프레임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프레임길이를 갖는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 ARQ프레임인 제 2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6 국면은 제 35 국면에 있어서,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무음구간내에서 음성프레임이 전송되지 않은 경우, 음성프레임과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합친 프레임길이과 같은 프레임길이를 갖는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프레임인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서 이용되고,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을 때, 그 재전송을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6 국면에 의하면 제 3 비디오 프레임에 의해 전송되어 온 비디오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 당해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의 어느 것이라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7 국면은 제 35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를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저장하고,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 수 없을 경우에도 ARQ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7 국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를 정위치로 저장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판독할 수 있고, 즉석에서 재전송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38 국면은 제 35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 및 최후부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 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전의 저장하고,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ARQ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8 국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의 정위치에 저장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판독할 수 있고, 즉석에서 재전송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39 국면은 프레임길이가 30ms 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120바이트 주기가 되는 음성프레임을, 프레임길이가 15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60바이트 주기가 되는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성프레임이 저장된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당해 음성프레임이 저장되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서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0 국면은 제 39 국면에 있어서,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음성프레임과 같이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프레임인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고, 제 2 다중화 프레임은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음성프레임과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합친 프레임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길이를 갖는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프레임인 제 2 비디오 프레이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1 국면은 제 40 국면에 있어서,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무음구간내에서 음성프레임이 전송되지 않은 경우, 음성프레임과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합친 프레임길이과 같은 프레임길이를 갖는 하나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프레임인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서 이용되고,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을 때, 그 재전송을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1 국면에 의하면 제 3 비디오 프레임에 의해 전송되어 온 비디오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 당해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의 어느 것이라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2 국면은 제 40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저장하고,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ARQ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2 국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의 정위치에 저장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 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 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판독할 수 있고, 즉석에서 제전송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43 국면은 제 40 국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 및 최후부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선두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전에 저장하고,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ARQ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3 국면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각각 다중화 헤더의 정위치에 저장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 중의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헤더를 판독할 수 있고, 즉석에서 재전송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44 국면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 송신장치에서 수신장치를 향해 다중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장치는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동시에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것에 의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항상 동기를 취한 타이밍으로 당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4 국면에 의하면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 및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길이로 하고, 또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재전송형 가변길이데이터를 저정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바꾸는 것에 의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항상 동기를 취한 타이밍으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전송타이밍을 고정화할 수 있고, 전송오류에 의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경계를 놓치지 않으며 오류에 대해 강해질 수 있다. 즉, 플래그에서 동기를 취하는 H.223과 같이「0」삽입에 의한 비트 어긋남이 없고, 또 전송오류에 의해, 슬롯동기가 어긋나도 곧 다음의 헤더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재동기를 취하기 쉽다. 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무음구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5 국면은 제 44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고, 고정길이 영역은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분할되고,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이 되고,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제로가 되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고,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 송신장치는 제 1 가변길이 슬롯으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6 국면은 제 45 국면에 있어서, 송신장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전송제어를 고정길이의 ARQ프레임의 형태만으로 실행하는 제 1 데이터 링크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데이터 링크 처리부는 다중하여 전송할 수 있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유효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장이 증감하고, 동시에 나머지 부분에 무위한 비트를 삽입한 고정길이의 ARQ프레임을 생성하고, 송신장치는 ARQ프레임에서 무위한 비트를 삭제하는 것에 의해 당해 ARQ프레임을 프레임길이가 제 2 가변길이 슬롯의 길이와 같은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으로 변환하고,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6 국면에 의하면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타이밍을 PHS데이터통신에 있어서 PIAFS의 프레임 타이밍과 같은 주기, 같은 속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7 국면은 제 46 국면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전송제어를 고정길이의 ARQ프레임의 형태만으로 실행하는 제 2 데이터의 링크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수신장치는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을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분리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에 무위한 비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당해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고정길이의 ARQ프레임으로 변환하고, 변환에 의해 얻은 ARQ프레임을 제 2 데이터 링크 처리부로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7 국면에 의하면 수신데이터를 PHS데이터통신의 PIAFS의 ARQ프레임에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고, 통상의 PHS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처리부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8 국면은 제 47 국면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는 ARQ프레임과 같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9 국면은 동기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망과 비동기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망이 상호 접속된 복합적 데이터전송망상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계속증은 항상 선두에 동기플래그를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이 송신측에서 수신측을 향하여 전송되고 있고, 제 1 망내에서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는 데이터통신에 앞서 확립한 프레임동기를 동기플래그를 사용하지 않고,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고정화하는 것에 의해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9 국면에 의하면 H.223에서 결정된 다중화 전송방식에 준거하면서도 PHS데이터 통신의 PIAFS로 결정된 동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0 국면은 동기 통신을 실행하는 제 1 망과 비동기 통신을 실행하는 제 2 망이 서로 접속된 복합적 데이터전송망 상에서 통신축과 수신측 사이에서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에 제 2 망이 개재하는 경우는 선두에 동기 플래그를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에서 프레임동기를 취하고, 제 1 망내에서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는 동기플래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고, 데이터통신에 앞서 확립된 프레임동기를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고정화하는 것에 의해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0 국면에 의하면 H.223으로 결정된 다중화 전송방식에 준거하면서도 PHS데이터통신의 PIAFS로 결정된 동기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1 망내에서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는 동기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51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하여 전송하는 경우, 당해 제 1 전송로상에서 전송오류가 생긴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당해 제 1 전송로에서 당해 제 2 전송로로 향하는 접속점에 있어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1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상에서 전송오류가 생긴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1의 전송로에서 당해 제 2 전송로로 향하는 접속점에 있어서 폐기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없는 데이터가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된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2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부호화된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로 향한 접속점에서는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한 후, 당해 오류정정부호를 제거하여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 그 재전송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2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한 접속점에서는 재전송형 데이터의 재전송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재전송형 데이터의 오류정정만을 실행하고, 오류정정부호를 제거한 후 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된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3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층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부호화된 오류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한 접속점에서는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고 당해 오류정정부호를 단지 제거한 후,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 그 재전송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3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한 접속점에서는 재전송형 데이터의 재전송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단지 오류정정부호를 제거한 후, 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된 데이터량을 적게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4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행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 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한 접속점에서는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행한 후,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 그 재전송제어를 송신측 단마로가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4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에서 제 2 전송로를 향한 접속점에서는 재전송형 데이터의 재전송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콘벌루션 부호화된 재전송형 데이터의 복호만을 실행하고, 재부호화하지 않고 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된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 2 전송로의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5 국면은 제 54 국면에 있어서, Rv를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 Vf 및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 Vs에서 구해지는 값{Rv=(Vf-Vs)/Vf}하고,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를 Lm으로 하고, 콘벌루션 부호화된 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장을 Ld로 하고,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롭게 부가된 오버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 일정한 부호화율 Rc는 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6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 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를 향하여 전송하는 경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률(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제 1 전송로상에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제 2 전송로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6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콘벌루션 부호화된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복호만을 실시하고, 재부호화하지 않고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되는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결과로서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7 국면은 제 56 국면에 있어서, Rv를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Vf) 및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Vs)로부터 구해지는 값 {Rv=(Vf-Vs)/Vf}로 하고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Lm으로 하여, 콘벌루션 부호화되는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Ld로 하고,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로 부가된 오버 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 일정한 부호화율(Rc)은, 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8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 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를 향하여 전송하는 경우, 비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 부호화된 오류 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한 후, 당해 오류 부호를 제거하여 제 2 전송로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8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오류 정전만을 실시하고 오류 정정 부호를 제거한 후,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 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되는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9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이고,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럭 부호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고, 당해 오류 정정 부호를 제거한 후,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9 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단순히 오류 정정 부호를 제거한 후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되는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 2 전송로의 전송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0 국면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이고, 다중화 프레임을 제 1 전송ㄹ로부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며, 제 1 전송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 그 재전송제어를 송신측 단말을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시하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콘버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제 2 전송로상에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0국면에 의하면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재전송형 데이터의 재전송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콘벌루션 부호화된 재전송형 데이터의 복호만을 실시하며, 재부호화되지 않고 재전송형 데이터를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되는 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송로로부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콘벌루션 부호화된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복호를 실시하고, 재부호화하지 않고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송로상에 출력되는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1 국면은 제 60 국면에 있어서, Rv를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Vf) 및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Vs)로부터 구해지는 값{Rv=(Vf-Vs)/Vf}로 하고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Lm으로 하며, 콘벌루션 부호화되는 재전송형 데이터 및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합계를 Ld로 하고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롭게 부가된 오버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 일정한 부호화율(Rc)은, 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2 국면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 다중전송하는 방법이고, 다중화 프레임을 길이를 고정하고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링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에 따라서, 증가 감소시킴으로써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동기 타이밍 데이터링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2 국면에 의하면,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및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 길이로 하고,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링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서 동기 타이밍으로 데이터링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고정화할 수 있고 전송 오류에 의해 데이터링 프레임의 경계를 잃지 않고, 오류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 있다. 즉, 플래그에 동기하는 H.223과 같이「0」삽입에 의한 비트 어긋남이 없고 전송로 오류에 의해 슬롯 동기가 벗어나며, 곧 다음의 헤더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재동하기가 쉽다. 또한,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의 무음구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3 국면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프레임에 의해 다중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다중화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링크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중화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상기 대중화프레임마다 동기 타잉밍으로 당해 데이터링크프레임을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본 발명의 제 64 국면은 제 63 국면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전송해야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는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적어도 1개씩 포함하는 기체 다중화프레임열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본 발명의 제 65 국면은 F바이트(F는 양의 정수)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고,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고,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 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상기 전송되는 다중화프레임열상의 음성프레임중에서 다음 음성 프레임을 F바이트 전송시간에 1 프레임의 비율로 출력하는 제 2 프로그램 스텝을 구비하며, 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프로그램 스텝은 상기 다중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본 발명의 제 66 국면은, F바이트(F는 양의 정수)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며,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며,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 동작을 시작시킨 후, 당해 음성부호화기에서 최초 음성 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기 까지의 시간을 T로 하고, 당해 음성부호화기가 최초 음성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한 후, 당해 최초의 음성 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 까지 필요한 시간을 α로 한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전송되는 다중화프레임열상의 음성프레임중에서 다중 음성 프레임과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기준 음성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다중화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고, 당해 기준이 되는 타이밍 보다도 적어도 합계시간(T+J+α) 이전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의 부호화동작을 시작시키고, 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다중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본 발명의 제 67 국면은, 프레임번호 및 오류 검출신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프레임과 제 2∼제 k의 데이터 프레임(k는 2이상의 정수를 다중화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프레임에는 또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 및 제 2 ∼제 k의 데이터프레임이 어떤 구조로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중화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송신시에는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상기 다중화프레임중 일정한 장소에 배치시키고, 수신시에는 수신한 다중화프레임중 상기 다중화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프레임중 정위치에서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한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상기 송신측에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측면 및 장점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다중화 프레임 길이가 120 바이트로 설정되고 G. 723으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와 다중화되며, 간이형 휴대전화인 PHS의 32Kbps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의 다중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다중화 프레임에서, 유음구간과 무음구간에서 비디오 슬롯 사이즈가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서, 각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60 바이트에서부터 80바이트로 변경한 경우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서, 각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60바이트에서 80바이트로 변경한 경우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서의 다중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계층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다중 전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구성의 제 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다중 전송장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의 제 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및 제 8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제 1 구성 및 데이터 판독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상술한 대응 테이블의 제 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상술한 대응 테이블의 제 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제 2 구성 및 데이터 판독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제 3 구성 및 데이터 판독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도착한 직후에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상술한 대응 테이블의 제 3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서, 수신 단말착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21은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상술한 대응 테이블의 제 4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제 2 구성 및 데이터 판독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제 3 구성 및 데이터 판독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 송신측의 제 1 동작예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 송신측의 제 2 동작예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 송신측의 제 3 동작예를 도시한 타이밍 챠트;
도 27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 수신측의 다중화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 비디오의 오류 제어 처리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 재전송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챠트;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서, 수신측의 다중화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서 비디오의 오류 제어 처리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서 수신측의 다중화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제 13 실시형태에서 각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60바이트로 한 경우의 다중화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에서의 다중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서 망접속점에서 레이트의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서 망접속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6 및 제 17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제 16 실시형태에서 서로 접촉 장치에 입력되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과 상호 접속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이 전송하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H.223에서 결정된 다중화 전송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다중화 전송 장치의 일반적인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H.223의 다중화층에서의 다중화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음성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한 경우의 다중화층에서의 다중화 프레임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7은 비디오 재전송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위한 ARQ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PIAFS로 규정된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일본국 특공평8-13057호 공보에 개시된,「HDLC가변 길이 패킷과 비HDLC 고정 길이 패킷의 혼재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0은 종래의 파동 보정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버퍼60 : 판독제어부
1081, 1086 : 다중화부1082, 1087 : 변환부
1083 : AFS데이터 링크 처리부1089 : 음성 적응화부
2101, 2103, 2601, 2602 : 단말2102 : 망접속점
2404 : 비디오 오류 제어부2405 : 음성폐기부
2406 : 비디오 오디오 버퍼2603 : 상호접속장치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여기에서는 G. 723으로부호화된 음성 데이터)와, 재전송 가변 길이 데이터(여기에서는 H. 263에서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에, 다중화 프레임, 비디오 프레임과 함께 프레임 동기를 하기 쉽고, 오류에 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G. 723은 음성 데이터를 5.3Kbps의 속도로 부호화하는 방식이고 그 기본 단위는 20바이트의 고정 길이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음성이 발생하고 있는 유음구간에서는 이 고정 길이 프레임은 연속하고 있으으모, 보다 고속의 전송로, 예를 들어 간이형 휴대용 전화인 PHS의 32Kbps의 전송로에 다중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30msec에 1회의 비율로, 20바이트의 고정 길이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에 반해, 음성이 발생하지 않는 무음 구간에는 고정 길이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수신측에서는 음성 디코더가 무음으로 처리되거나 미리 전송해 둔 배경음을 출력한다. 또한, 전송오류에 대해서는 1바이트의 오류검출 코드를 부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측에서는 오류를 검출하면 음성 데이터를 폐기하는, 즉 음성 디코더를 무음으로서 처리하는(즉 뮤팅)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H.263은 입력화상의 성질이나. 전송하려고 하는 영상의 정밀도, 선명도, 코마수 등에 따라서 발생 비트율가 변동하고 가변 길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부호화 방식이다. 또한, H.263으로는 재전송 제어에 의한 전송 속도의 에러도 부호화 제어에 의해 조정된다.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이 한 개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에 1회 포함되도록 하면, 1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120 바이트가 된다. 1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당 음성 프레임의 길이를 40 바이트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해도 상관 없지만, 이 경우 음성 프레임 축적하여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할 필요가 생기므로 음성의 지연을 유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는 헤더가 부가되어 있다. 이 헤더에는 음성이 유음일 때의 다중화와 음성이 무음일 때의 다중화를 구별하기 위한 기능이 최저일 필요가 생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더 자신이 오류 검출코드 오류 정저 코드를 갖고 있고, 그들을 포함하여 헤더의 길이는 1 바이트로 선택되어 있다. 단지, 헤더 길이는 헤더에서 식별하는 패턴의 수나 오류 검출 또는 오류 정정 능력에 의해 증감이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된은 것은 아니다.
120바이트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1바이트의 헤더를 제외한 119바이트의 고정 길이 영역은 가변 길이 슬롯(1) 및 가변 길이 슬롯(2)로 2분할 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변 길이 슬롯(1)에서는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을 전송하고 그 사이즈는 음성 데이터링 프레임과 동일한 사이즈인 21바이트이다.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을 20바이트 음성프레임과, 1바이트의 CRC코드(오류 검출 코드)로 구성된다. 단지, 가변 길이 슬롯(1)의 사이즈는 무음으로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링 프레임이 없을 때에는 0바이트가 된다.
한편, 가변 길이 슬롯(2)에는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 번호, 재전송 요구 코드 및,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링 프레임이 모두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링 프레임은 오류 제어에서 하나의 데이터군으로서 완전히 결합하고 있는 프레임 구성을 말한다. 즉,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다중 전속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링 프레임 단위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제어가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음 구간인지 무음 구간인지에 따라서 가변 길이 슬롯(2)의 크기가 변화된다. 즉, 유음일 때에는 가변 길이 슬롯(2)의 크기는 고정 길이 영역(119바이트)으로부터 가변 길이 슬롯(1)(21바이트)를 제외한 길이(98바이트)가 된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을 가변 길이 슬롯(2)과 동일한 크기인 98바이트인 쇼트 프레임으로서 생성하고 가변 길이 슬롯(2)으로 전송한다. 또한, 무음 구간일 때는 가변 길이 슬롯(2)의 크기는 고정 길이 영역과 동일한 길이(119바이트)가 된다. 이 경우는,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을 가변 길이 슬롯(2)과 동일한 크기인 119바이트인 롱 프레임으로서 생성하고 가변길이 슬롯(2)으로 전송한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에는 사용하는 재전송 제어의 방법에 따라서, 다른 코드를 부수시키도로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오류가 있었던 경우에만 리젝트 코드를 재전송 요구 코드로서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유효한 데이터의 길이를 도시한 데이터 길이 코드를 붙여도 좋고 데이터 길이 코드를 붙이지 않고, 데이터 영역에 공간이 생긴 경우에는 스태핑(빈 부분에 더미 비트를 부가하여 수신측에서 이를 제거하는 조작)을 실시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음 구간인지 무음 구간인지에 따라서, 비디오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로써,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과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과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 동기하는 것은 X개(X는 자연수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X=1)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 반드시 Y개(Y는 자연수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Y=1)의 데이터링 프레임이 완전하게 전송되는 것이 보장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또는 컴퓨터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에 부수되는, 데이터 길이, 프레임 번호, 재전용 요구 코드, 오류 검출 코드 등의 오버 헤드와, 전송로의 오류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재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인접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가변 길이 슬롯(2)을 합쳐서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이 그 길이가 되도록 구축하도록 해도 상관없고, 다중화 프레임 3개에 비디오의 데이터링 프레임 2대를 저장해도 상관없으며, 다중화 프레임 4개에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 3개를 저장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개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 반드시 1개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인접하는 복수의 다중화 프레임에 걸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걸쳐서 저장되어 있는 다중화 프레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프레임마다 완전히 결합하고 있으므로, 보다 요류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싣는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 길이로 하고, 유음 구간인지 무음 구간인지의 따라서 비디오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과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이 동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전송 오류에 의해 데이터링 프레임의 경계를 잃지 않으며, 오류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 있다. 즉, 플래그에서 동기하는 H.223과 같이「0」삽입에 의한 비트 어긋남이 없고 전송 오류에 의해 슬롯 동기가 벗어나도, 곧 다음의 헤더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재동기를 실시하기 쉽다.
또한, 음성이 무음 구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컴퓨터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를 다중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길이가 21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어도 좋고 다른 길이의 오류 정정용 용장 비트를 부가한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 레이트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어, 6.3Kbps에 부호화된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은 유음시와 무음시에서 2종류의 길이(21바이트, 0바이트)를 취할 수 있지만, 3종류 이상의 길이를 취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가변 길이 슬롯(1,2)의 길이를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고, 비디오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를 가변 길이 슬롯(2)의 길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과,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의 동기가 맞추어 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으로서, PIAFS의 ARQ 프레임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PIAFS에서의 ARQ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의 비디오 데이터와,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로서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IAFS의 ARQ 프레임은 프레임 종류별 식별 부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종류별 식별 영역,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내의 뜻을 가진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도시한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영역 및, 재전송 제어에 사용되는 프레임 번호와 요구 프레임 번호를 저장하는 오류 정정 부호 영역으로부터 구성되는 데이터링 프레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와 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영역은 미리 송수신 사이에서 양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G.723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한 경우, 20바이트/30msec의 음성 데이터가 발생한다. 단, G.723의 방식에서는 30mesc의 단위 시간중, 무음인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음성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b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을 실시한다.
다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송신측은 도 2a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을 실시한다. 즉,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 영역에 비디오 데이터를,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영역에 오류 검출 부호힝 CRC2를 부가한 음성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여 전송한다. 한편, 다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측은 도 2b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을 실시한다. 즉,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 영역에 비디오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전송한다. 또한, 프레임 종류별 실별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음성 데이터가 다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부호가 저장되고,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 영역에는,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저장된다. 또한, 오류 제어 영역에는 PIAFS만을 규정된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데에 필요한 프레임 번호 및 요구 프레임 번호가 저장된다. 오류 정정 부호 영역에는, 도 2a 및 도 2b에서 점선을 두른 부분, 즉, 프레임 종류별 식별 영역, 사용자 데이터 표시 영역,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 영역에 도시된 길이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류 제어 영역에 대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인 CRCI이 저장된다.
수신측은,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면 우선 프레임 종류별 식별 영역 내의 프레임 종류별 식별 부호를 판독하여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음성 데이터가 다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가 다중되어 있는 경우,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CRC2를 빼낸다. 그리고, CRC2를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한다. 그리고, 오류를 발견하여 음성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오류를 발견하면 음성 데이터를 폐기하고, 오류를 발견하지 않으면 음성 데이터를 상위의 계층로 넘긴다.
또한, 수직측은 음성 데이터를 뽑아낸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서는 PIAFS에 규정된 전송 제어를 실시한다. 우선,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길이를 판독하여 오류 정정 부호 영역의 CRC1이 담당하는 범위를 결정하고 오류 검출을 실시한다. 도 2a, 도 2b에서, CRC1에서 오류가 검출되는 범위는 점선으로 두룬 부분이다. 이 때, 오류를 발견하면 음성 데이터를 뽑아내고 남은 데이터를 폐기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PIAFS에 규정된 ARQ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 내에,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고정 길이 데이터를 다중함으로써 PIAFS에서 실현되고 있는 오류에 강한 프레임 동기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다중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다중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프레임 종류별 부호에 초래하도록 하고 있지만, 수신측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 영역에 나타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 길이가 도 2a의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 영역 보다도 짧은 경우에만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음성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실시하고 오류가 발견되면 음성 데이터를 상위 계층로 넘겨 주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프레임 종류별 식별 부호에 음성 데이터의 다중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필요가 없어지고, PIAFS에서 규정되어 있는 프레임 종류별 식별 부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컴퓨터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고,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를 다중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재전송제어의 수단으로는 비디오데이터는 PIAFS를 이용하면 좋고, 비디오데이터는 그 범위에는 들지 않지만 보다 지연이 적은 재전송제어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0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에 값이어도 좋고, 다른 길이의 오류 정정용 용장 비트를 부가한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 레이트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면 6.3Kbps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사용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가 다중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다른 과제가 발생한다. 도 3은 한 예로서 다중화 프레임 길이가 120 바이트로 설정되고 G.723으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와 다중되며 간이형 휴대전화인 PHS의 32Kbps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의 다중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G.723은 음성을 5.3Kbps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방식이고 음성 신호는 30mesc 단위로 부호화되며, 20바이트의 고정 길이 프레임을 된다. 이 20바이트의 고정 길이 프레임은 분할되어지는 않되고 유음 구간이면 반드시 30mesc에 1회의 비율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즉, PHS의 경우에는 120바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이 다중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음성이 발생하지 않는 무음 구간에는 상기 고정 길이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수신측의 음성 디코더의 무음으로 하여 처리하거나 미리 전송해 둔 배경음을 출력한다. 다중화 프레임 길이가 120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슬롯의 크기가 유음 구간과 무은 구간에서 달라진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슬롯내에는 한 개의 완전한 ARQ 프레임(즉, 데이터링 프레임)이 포함되지 않으면 안된다.
전송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ARQ 프레임을 슬롯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하면, 비디오 ARQ 프레임의 크기는 유음 구간과 무음 구간에서 달라진다.
이 때 무음 구간에서 전송된 비디오 프레임이 틀리면 그 재전송은 유음 구간의 비디오 슬롯으로는 실시되지 않고, 다음 무음 구간을 기다려 실시하거나 강제적으로 유음 구간 중에 무음 프레임을 삽입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다시 무은 구간이 오는 것을 기다려 재전송을 실시하는 전자의 경우, 재전송 데이터에 지연이 발생한다. 이 데이터 지연은 특히,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서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 또한, 강제적으로 유음 구간 중에 무음 프레임을 삽입하는 후자의 방법에서는,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에 전송 오류가 있었던 것만으로 음성에 오류가 있었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성이 뮤팅되고 음성이 품질에 악영향을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은 헤더, 고정 길이 영역 및, 고정 길이 슬롯을 포함한다. 고정 길이 영역은 가변 길이 슬롯(1)과 가변 길이 슬롯(2)으로 2분할되어 사용된다. 가변 길이 슬롯(1)에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에 1바이트의 CRC를 부가한 것이 저장된다. 가변 길이 슬롯(2)으로는 비디오의 데이터링 프레임이 전송되고, 무음시에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그 크기가 커진다.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전체의 길이는 120바이트로 선택된다.
고정 길이 슬롯의 길이는 고정 길이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길이 슬롯(2)의 재전송을 고정 길이 슬롯으로 실시하므로, 효율의 저하를 생각하면, 고정 길이 슬롯의 길이는 고정 길이 영역의 길이로 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길이 영역의 길이와 고정 길이 슬롯의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고정 길이 슬롯으로 전송한 데이터링 프레임의 재전송을, 무음 구간에는 가변 길이 슬롯(2)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에서는 헤더가 1바이트인 기수이므로 고정 길이 영역의 길이와 고정 길이 슬롯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길이 영역을 59바이트, 고정 길이 슬롯을 60바이트로 하고 있다.
이하에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G.723으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와, H.263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음 구간의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37바이트의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의 비디오(1) 프레임을 가변 길이 슬롯(2)으로 전송하고 60바이트의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의 비디오(2) 프레임을 고정 길이 슬롯으로 전송한다. 이하, 이것을 반복하고 있고, 각각의 프레임의 재전송은 각각의 슬롯으로 실시한다.
한편, 무음 구간의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디오(1)의 데이터링 프레임을 59바이트로 하여 가변 길이 슬롯(2)으로 전송하고 60바이트의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의 비디오(2) 프레임을 고정 길이 슬롯으로 전송한다.
다음에, 재전송에 관해서 설명한다. 무음 구간에 전송한 데이터링 프레임에 오류가 있던 경우, 무음 구간이 계속되는 동안에는, 각각의 슬롯으로 전송된다. 무음 구간에 전송된 롱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시점에서 유음이 되었던 경우에는, 새로운 비디오(2) 프레임을 전송하는 대신, 비디오(1) 프레임의 롱 프레임의 재전송분을 고정 길이 슬롯으로 전송한다. 또한, 이전의 유음 구간 중에 전송된 비디오(1)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시점에서 무음이 된 경웅에는 비디오(1)의 롱 프레임에서 데이터 길이를 지정하든지 스터핑(stuffing)하여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성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서 고정 길이 영역에서의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를 증감시킴으로써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과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있으므로, 전송 오류에 의해 데이터링 프레임의 경계를 손상시키지 않고, 오류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변 길이 슬롯(2)의 롱 프레임의 재전송을, 다음의 무음 구간을 기다리지 않고 고정 길이 슬롯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의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컴퓨터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무음 구간의 유효 이용은 할 수 없게 되지만, 예를 들어 가변 길이 슬롯(2)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정 길이 슬롯으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음성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와 비이도 데이터를 다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또는 컴퓨터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에 부수되는, 데이터 길이, 프레임 번호, 재전송 요구 코드, 오류 검출 코드 등의 오버 헤드와, 전송로의 오류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재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인접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중 2개 또는 그 이상의 가변 길이 슬롯(2)을 합쳐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의 그 길이가 되도도록 구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0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어도 좋고 오류 정정용 용장 피치를 부가한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 레이트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어 6.3Kbps에 부가된 음성 프레임을 사용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본 실시형태는 헤더와 가변 길이 슬롯(1)과 가변 길이 슬롯(2)을 포함하는 6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당해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헤더 이외를 고정 길이 슬롯으로한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교대로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내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프레임 길이는 제 1 실시형태의 그 절반(60바이트)이 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내부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의 고정 길이 슬롯에 헤더를 부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길이 슬롯(1)을 사용하여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가변 길이 슬롯(2)을 사용하여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며, 고정 길이 슬롯을 사용하여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오류 발생시의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의 재전송 방법에 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방법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본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더와 가변 길이 슬롯(1)과 가변 길이 슬롯(2)을 포함하는 6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당해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갖고 헤더 이외를 고정 길이 슬롯으로 한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교대로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내부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2개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내부 구성은 PIAFS의 ARQ 프레임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길이 슬롯(1)을 사용하여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가변 길이 슬롯(2)을 사용하여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고정 길이 슬롯을 사용하여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오류 발생시의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의 재전송방법에 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저장하는 가변 길이 슬롯(1)을 포함하는 6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60바이트의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교대로 전송함으로써 120바이트에 이어 20바이트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이 경우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의 프레임 길이는 40바이트와 60바이트가 된다.
그런데,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의 프레임 길이와 전송 효율을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고 큰 프레임 길이가 적합한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도 8a,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저장하는 가변 길이 슬롯(1)을 포함하는 8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80바이트의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이 2:1이 비율로 나타나는 패턴으로 전송하는 형태로 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2개 저장할 수 있는 가변 길이 슬롯(1)을 포함하는 8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이 1:1의 비율로 나타나는 패턴으로 전송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9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90바이트의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이 1:3의 비율로 나타나는 패턴,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100바이트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100바이트의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이 1:5의 비율로 나타나는 패턴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어떤 형태에서도 120바이트에 이어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무음 구간에서 음성 프레임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는 가변 길이 프레임 슬롯(2)은 롱 프레임이 된다. 그리고, 이 롱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에는 무음 구간이 계속되고 있으면,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중의 롱 프레임이 되는 가변 길이 슬롯(2)으로 재전송을 실시하고, 유음이 되었을 때는 제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고정 길이 슬롯으로 재전송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며나,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를 증감시킴으로써 음성의 무음 구간을 유효하게 이용한 경우에도, 데이터링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에 동기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오류에 강하고 효율 높은 비디오와 음성의 다중화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변 길이 슬롯(2)의 롱 프레임의 재전송을, 다음 무음 구간을 기다리지 않고 고정 길이 슬롯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의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컴퓨터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가변 길이 슬롯(2)이 롱 프레임이 된 경우의 제 1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과, 제 2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에 대해서, 동일한 헤더를 갖는 동일한 데이터링 프레임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무음 구간의 효과적인 이용은 할 수 없게되지만, 예를 들어 가변 길이 슬롯(2)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정 길이 슬롯으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음성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또는 컴퓨터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에 부수되는 데이터 길이, 프레임 번호, 재전송 요구 코드, 오류 검출 코드 등의 오버 헤드와 전송로의 오류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재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인접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가변 길이 슬롯(2)을 합쳐, 비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링 프레임이 그 길이가 되도록 구축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 4,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0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음성 프레임의 길이는 그 이외에 값이어도 좋고 오류 정정용 용장 피치를 부가한 음성의 데이터링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율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면 6.3Kbps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사용해도 좋다.
[제 6 실시형태]
상기 제 1∼제 5 실시형태에서는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했지만, 여기에서는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로서 일반적인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다중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계층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다중화 전송 장치를 상술한 PIAFS에서 제안되어 있는 전송 제어를 따른 전송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다중 전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의 제 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더에 다중화 종류별 정보를 가져오고,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과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의 데이터링 프레임을 다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측에서, PIAFS 데이터링 처리부(1803)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내에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의 유무에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 중의 뜻을 가진 데이터(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 길이를 증감시킨 PIAFS의 ARQ 프레임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IAFS 데이터링 처리부(1803)는, 사용자 데이터 중의 뜻을 가진 데이터의 길이를,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길이로부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 길이와 헤더 길이를 축소시킨 길이 이하로 제한한다. 변환부(1802)는 사용자 데이터 중의 무위한 비트를 삭제하고 PIAFS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작게한 구성의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다중화부(1801)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과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을 다중하고, 헤더를 부가하여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구성한다(도 11b 참조).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PHS데이터 통신에서의 PIAFS의 ARQ 프레임 길이(80바이트)와 동일한 크기로 한다. 이 경우, 제 5 실시형태(도 9 참조)에 도시한 방법으로 전송하면,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80바이트로 할 수 있다.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PHS 데이터 통신에서의 PIAFS의 ARQ 프레임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함으로써, 재전송형 가변 데이터링 프레임의 프레임 타이밍은 PHS 데이터 통신에서의 PIAFS의 프레임 타이밍과 동일한 주기, 동일한 속도가 된다.
수신측에서, 다중화부(1806)는 수신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과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링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전자를 음성 적응화부(1809)에, 후자를 변환부(1807)로 넘긴다. 변환부(1807)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오류 검출 코드 사이에, 80바이트를 채우지 않는 비트수의 필트를 1를 삽입함으로써 전체를 80바이트의 크기로 하여, PHS 데이터 통 신의 PIAFS 데이터링 처리부(1808)로 넘긴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데이터를 PHS 데이터 통신의 PIAFS의 ARQ 프레임으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고 통상의 PHS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처리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다중 전송 장치에서 사용되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 구성의 제 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은 제 1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PIAFS의 ARQ 프레임의 구성과 동일하게 하고, 사용자 데이터 영역내의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를 채워 다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PHS 데이터 통신에서의 PIAFS의 ARQ 프레임 길이(80바이트)와 동일한 크기로 한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 이외의 프레임 포맷을 PHS 데이터 통신에의 PIAFS의 프레임 포맷과 동일하게 한다.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 영역에는, 뜻을 가진 재전송형 가변 길이 데이터를 저장한다.
수신측에서 다중화부(1806)는 수시한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음성 데이터)를 빼내고, 음성 적응화부(1809)에 건네준다.
또한, 다중화부(1806)는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을 그대로 변환부(1807)로 넘긴다. 변환부(1807)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 영역을 모든 필비트 1로 치환하고 PHS 데이터 통신의 PIAFS 데이터링 처리부(1808)로 넘긴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 데이터를 PHS 데이터 통신의 PIAFS의 ARQ 프레임으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고, 통상의 PHS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처리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고정으로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길이는 음성 프레임의 발생 주기의 정수분의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G.723은 30msec 주기에서 음성 프레임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32Kbps에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120바이트 주기가 된다. 따라서, 다중화 프레임 길이는 120바이트, 60 바이트 또는 40 바이트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ARQ 재전송효율은 에러 특성과 프레임 길이의 관계로 결정되고 반드시 이 다중화 프레임 길이가 적합하다고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PIAFS에서는 인반도네코시에티션에 의해, 통신 프로트콜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있어서 AV 다중 통신을 선택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다중화 프레임 길이를 80 바이트로 설정하면 PIAFS에서 확립한 동기를 그대로 계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전송효율의 향상과 처리 수준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120바이트 전송 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율 부호화된 25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80 바이트의 고정 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실어 전송한 경우(도 13a 참조), 3개의 다중화 프레임에 이어 1개의 다중화 프레임의 비율로 음성 프레임의 다중화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이 출현한다. 그 때문에, 음성 프레임의 시간간격에 40바이트의 파통이 발생한다(도 13b).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기대값 주기(120바이트 주기)에 대한, 음성 프레임의 상대적인 시간간격(80바이트 간격과 160바이트 간격의 반복)의 변동을 파동으로 정의한다. 즉, 음성 프레임 간격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간격(80바이트 간격)과 기대값 주기(120바이트 주기)의 차이(40바이트 간격) 및 상대적으로 긴시간간격(160바이트 간격)과 대기값 주기(120바이트 주기)의 차이(40바이트)를 파동으로 한다. 제 7 실시형태는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측에서 상기 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파동 흡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에서의 다중화 정보 MC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를 도시한 번호이고, 그 번호와 다중화 구조의 관계는 AV 신호의 전송에 앞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 통지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반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특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C=1은 25바이트의 음성 프레임과 51바이트의 비디오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MC=2는 76바이트의 비디오 프레임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다중화 프레임은 80바이트의 고정 길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120바이트 주기의 음성 프레임은 다중화 프레임 3개에 2개의 비율로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예를 들어 40바이트의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 40바이트 전송 시간 이상, 수신한 음성 프레임을 백업으로 축적하여 두고, 40바이트 전송 시간 이상 경과한 시점으로부터 음성 프레임의 판독을 개시한다. 이후는, 120바이트 주기에서 음성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도록 120바이트 시간 경과 이전의 수신한 음성 프레임은 백업에 축적해 두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수신측에서 40바이트 전송 시간의 지연이 발생된다(도 13b 참조.)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화 프레임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80바이트 간격) 음성 프레임과, 상대적으로 다중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긴(160바이트 간격) 음성 프레임이 교대로 반복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열상에서 상대적으로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음성 프레임을 백업에 축적하지 않고, 수신후 바로 출력한다. 그 이후에는, 120바이트 시간 주기에서 음성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도록 120바이트 시간 경과 이전에 수신한 음성 프레임은 백업에 추적하여 두도록 한다. 이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발생하고 있던 40바이트 시간의 지연은 없어진다(도 13c 참조).
이상과 같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80바이트의 고정 길이 다중화 프레임에 120바이트 주기의 음성을 다중하여 전송할 때에, 지연시키지 않고 파동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파동흡수방법을 32K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PHS의 무선회로에 있어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전송제어방식으로 고안된 PIAFS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전송효율이 좋은 다중화 프레임길이를 채용하면서 파동 및 지연을 생기게 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중화 프레임열상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다음 음성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음성 프레임을 분별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이 있다. 제 1 방법은 최초로 복수의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여 다중화 프레임열의 동기를 맞춰두는 방법이다. 제 2 방법은 최초로 오는 다중화 프레임이 반드시 소정의 다중화 프레임(즉, 상대적으로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중화 프레임)과 같이 미리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결정해두는 방법이다.
또한, 도 13b, 도 13c의 좌단의 타이밍이 도 13a의 다중화구조의 어느 타이밍에 해당하는지는 수신측 처리능력과 다중구조에 의해 정해지면, 음성 프레임의 수신직후의 경우도 있고, 다중화프레임의 수신종료 후의 경우도 있다.
예를들면, 1다중화프레임당 한개로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관계를 도 14의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규정하는 경우에는 도 13a, 도 13b, 도 13c에 도시한 타임이 된다. 또한,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관계를 도 15의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규정하는 경우에는 도 16a, 도 16b, 도 16c에 도시한 타이밍이 된다. 또한, 오디오데이터, 비디오데이터를 그 순번으로 다중화프레임에 다중한 경우라도 다중화 헤더를 한개의 다중화프레임당 2개씩 그 전후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17a, 도 17b, 도 17c에 도시한 타이밍이 된다. 이것은 도 18a, 도 18b,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의 도착 직후에 출력되는 경우에는 도 18c와 같은 출력타이밍이 되어 파동이 발생한다. 이것은 헤드의 다중화 헤더가 잘못되고, 말미의 다중화 헤더가 바르게 수신된 경우, 말미의 다중화 헤더의 도착후에 출력되기 때문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떤 다중화구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갖지 않은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프레임에 의한 동기를 이용하지 않고 다중화프레임의 헤드에 항상 동기 플래그를 가진 경우라도, 또 다중화프레임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라도, 또 다중하는 정보로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포함한 경우라도, 주기가 다른 다중화프레임으로 음성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는 음성프레임의 길이가 25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라도 좋고, 오류정정용 용장비트를 부가한 음성프레임과 다른 전송률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들면 6.3Kbps으로 부호화된 음성프레임을 이용해도 좋다.
[제 8 실시형태]
상기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열상에 있어서,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쪽의 음성 프레임을 분별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방법을 예로 들었다.
(1) 최초로 복수의 다중화프레임을 수신하는 다중화 프레임열의 패턴에 동기를 맞춰두는 방법(이하, 제 1 방법이라고 한다)
(2) 최초로 오는 다중화 프레임이 반드시 소정의 다중화 프레임(즉, 다음 음성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쪽의 음성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중화프레임)인 바와 같이 미리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결정해두는 방법(이하, 제 2 방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 어떤 방법도 이하에 나타낸 과제가 생긴다.
상기 제 1 방법의 경우, 최초로 수신한 복수의 다중화 프레임중에 음성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어도 다중화 프레임열의 패턴으로의 동기 맞춤이 종료하기 까지는 당해 음성프레임을 복호할 수 없다. 즉, 제 1 방법은 최초의 음성을 재생할 수 없다. 또한, 제 1 방법은 최초로 무음 프레임이 발생하면 연속적으로 유음 프레임이 발생하기까지 단독 유음 프레임을 재생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 2 방법의 경우, 다중화 프레임에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 어떤 다중화 프레임이 최초 프레임을 식별할 수 없게 된다.
어떤 방법에 있어서도 기준이 되는 음성 프레임을 착각하면 120바이트 시간 이 경과해도 다음 음성 프레임이 도착하지 않는 결과가 되지만, 음성디코더상에서는 단지 무음구간이라도 식별하여 복호를 속행한다. 그 결과, 시청자에게는 깨끗한 음성이 들리지만 디코더는 그것을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는 음성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이전부터 기준으로 하는 음성 프레임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실현하고 있다.
제 8 실시형태는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관계를 규정하기 위하여 도 19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이용한다. 도 13d는 제 8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다중화프레임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서는 음성프레임과 비디오프레임을 다중하고 있는 같은 구조의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정보로서, 다음 음성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짧은 쪽의 다중화 프레임에는 다중화정보로서 MC=1을, 다중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긴 쪽의 다중화 프레임에는 다중화 정보로서 MC=2를 할당하고 있으며, 비디오프레임만의 다중화프레임에는 다중화정보로서 MC=3을 할당하고 있다.
프레임번호와 다중화 구조의 관계는 송신측에서 정의하고,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앞서 수신측에 전송해 둔다. 그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다중화정보(MC)를 수신한 시점에서 같은 종류의 다중화 구조를 가진 다중화 프레임에 다른 2개의 다중화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간단하다.
예를들면, 다중화정보의 MC번호가 적은 쪽의 다중화프레임에 다중되어 오는 음성프레임을 기준 음성프레임으로 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해두면, 다중화프레임의 다중화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기준으로 해야하는 음성 프레임을 순식간에 식별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따라서, 송신단말이 상기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수신단말이 전술한 제 7 및 제 8 실시형태 양쪽의 기능을 실장하고 있으면 음성 파동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의 수신 단말측의 처리를 도 20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다.
도 20에 있어서, 수신단말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에 앞서 다중화정보와 다중화구조의 관계를 기술한 다중화 대응 테이블을 수신한다(단계(S201)). 다음으로, 수신단말은 수신한 다중화정보(MC)를 해석하고,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동일 다중 구조의 다중화 프레임에 다른 MC번호가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02)).
단계(S202)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제 8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에 분기한다. 즉, 수신단말은 다중화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고(단계(S203)), 수신하면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중화정보(MC)에서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구조를 해석한다(단계(S204)). 다음으로, 수신단말은 수신한 다중화프레임이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다중화 프레임인지 여부를 단계(S204)의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단계(S205)).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음성 프레임이 다중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신단말은 단계(S203)로 되돌아가고, 다음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음성 프레임의 다중되어 있는 경우, 수신단말은 당해 음성 프레임이 기준 음성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06)). 다중된 음성 프레임이 기준 음성 프레임이 아닌 경우, 수신 단말은 단계(S203)로 되돌아가고, 다음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다중된 음성프레임이 기준 음성 프레임인 경우, 수신단말은 음성파동 흡수처리를 개시한다(단계(S207)). 이 음성파동 흡수처리는 이번회에 수신하는 음성 프레임이 기준 프레임으로 지체없이 음성디코더에 전송되고, 이후에 음성 프레임은 120바이트 시간 경과마다 음성디코더에 전송된다. 120바이트시간 경과 이전에 수신한 음성 프레임은 일시적으로 버퍼에 저장된다.
한편, 단계(S202)의 판단결과가 NO인 경우, 제 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에 분기한다. 즉, 수신단말은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고(단계(S208)), 수신하면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중화 정보(MC)로부터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 구조를 해석한다(단계(S209)).
다음으로, 수신단말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이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다중화프레임인지 여부를 단계(S209)의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단계(S210).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음성 프레임이 다중되어 있지 경우, 수신단말은 단계(S208))로 되돌아가고, 다음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수신한 다중화프레임에 음성 프레임이 다중되어 있는 경우, 수신단말은 타이머1의 기동의 유무를 판단한다(단계(S211)). 이 타이머1은 음성 프레임이 다중된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면 기동되고, 그 타임아웃 이전에 다시 음성 프레임이 다중된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면 정지된다. 타이머1의 타이머아웃 시간은 다중화 프레임열중에서 음성 프레임끼리의 간격이 짧은 다중화 프레임 간격 보다도 크고, 또 음성 프레임 끼리의 간격이 긴 다중화 프레임 간격 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타이머1은 단계(S212)에서 기동되고, 단계(S214)에서 정지된다.
수신단말측에서, 제 1번째로 수신한 음성 프레임과 제 2번째로 수신한 음성 프레임의 간격이 짧고, 제 2번째로 수신한 음성 프레임과 제 3 번째로 수신한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의 간격이 긴 경우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이 경우, 타이머(1)은 제 1 번째의 음성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동된다(단계(S212)). 그 후, 타이머1의 타임아웃하기 전에 제 2 번째의 음성 프레임이 수신되고, 그에 응답하여 타이머1이 정지된다(단계(S213)). 계속해서 타이머(1)는 단계(S212)에서 재기동되고, 0크리어 상태에서 계시동작을 재회한다. 다음으로, 제 3 번째의 음성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타이머1은 타이아웃한다. 따라서, 제 3 번째의 음성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에서 수신단말은 타이머1이 타임아웃한 것을 판단하고(단계(S213)), 음성파동흡수처리를 개시한다(단계(S207)).
이상과 같이, 제 8 및 제 9 실시형태도 제 7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80 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에 120바이트 주기의 음성을 파동 및 지연없이 다중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재생되지 않은 최초의 음성 프레임의 수를 제 7 실시형태에 비해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파동 흡수방법을 32K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PHS의 무선콘벌루션에 있어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할 대의 전송제어방식으로 고안된 PIASF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전송효율이 좋은 다중화 프레임 길이를 채용하면서 파동 및 지연을 생기게 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7∼제 9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로서 컴퓨터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해도 좋고, 음성 데이터와 컴퓨터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어떤 경우에도 이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가진다.
또한, 상기 제 7∼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개의 다중화 프레임에 복수의 음성 프레임이 다중된 경우에도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정보에 기준이 되는 다중화 프레임으로 간주하고, 그 헤드의 음성 프레임을 기준음성 프레임으로 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음성 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의 단계(S202)에서는 1개의 다중화 프레임에 복수의 음성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단계(S206)에서는 무조건으로 그 헤드의 음성 프레임을 기준 음성 프레임으로 하면 좋다.
또한, 도 13b, 도 13c의 좌단의 타이밍이 도 13d의 다중화구조의 어떤 타이밍에 해당하는지는 수신측 처리능력과 다중 구조에 의해 정해지고, 음성 프레임을 수신한 직후의 경우도 있고, 다중화 프레임의 수신 종류후의 경우도 있다. 예를들면 다중화 헤더가 1다중화 프레임당 한개로, 도 19에 도시한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규정하는 경우에는 도 13b, 도 13c, 도 13d에 도시한 타이밍이 되며, 도 21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대응 관계를 규정하는 경유에는 도 22A, 도 22b, 도 22c에 도시한 타이밍이 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경우에도 다중화 헤더를 1다중화 프레임당 2개 전후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도 23a, 도 23b, 도 23c에도시한 타이밍이 된다. 각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떤 다중화구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 8 및 제 9 실시형태는 다중화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갖지 않은 경우의 열을 설명하고 있지만, 프레임에 의한 동기를 이용하지 않고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항상 동기 플래그를 갖는 경우라도, 또 다중화 프레임이 다른 포맷으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라도, 또 다중하는 정보로서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포함한 경우라도, 주기가 다른 다중화 프레임으로 음성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며,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 8 및 제 9 실시형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5바이트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음성프레임의 프레임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라도 좋고, 오류정정용 용장비트를 부가한 음성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률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면 6.3Kbps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이용해도 좋다.
[제 10 실시형태]
상기한 제 7∼제 9 실시형태에서는 송신측은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음성 부호를 파동을 가진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가능한한 지연없이 다중할 필요가 있다. 즉, 송신측은 수신측과는 반대로 다음 음성 프레임 영역까지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긴 음성프레임 영역을 기준으로 하면서, 다음 음성프레임 영역까지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은 음성 프레임 영역에 파동시간분 이상 지연시켜 음성 부호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지연시간이 크면 저장하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수신측에서 재생되는 음성의 지연시간이 증대한다. 따라서, 음성 프레임의 발생과 다중화 프레임의 위상과의 관계를 일정하게 하여 지연시간이 증대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생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송신측의 단말이 음성부호화기의 동작 개시 타이밍(스타트타이밍)을 제어하면 좋다.
음성부호화기를 시작하고 나서 음성부호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을 T로 하고,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의 파동 시간을 J로 하고, 음성 프레임이 유음 프레임인지 무음 프레임인지의 판단을 한 후, 상기 판단에 따른 다중화 프레임을 조립하여 전송로상에 송신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을 α로 한 경우, 음성 부호화기가 시작하고 나서 이것들의 합계시간(T+J+α)이 경과한 직후에 최초 다중화 프레임이 전송로상에 나오도록 하여 음성 프레임의 시간 간격이 파동을 흡수하면서, 가장 음성의 지연 시간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의 것을 고려하여 음성부호화기의 최적의 시작타이밍을 정하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전송방법의 송신측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제 10 실시형태에서 다주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관계는 도 14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규정된다.
도 24a는 음성부호화기를 시작시키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a에 있어서, T는 음성부호화기를 시작시키고 나서 음성부호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이다. 도 24b는 음성부호화기에서 음성부호가 출력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c는 전송로상에 다중화프레임이 나가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d에 나타낸 다중화 프레임열의 경우, 음성 프레임의 시간간격(80바이트 간격과 160바이트 간격이 반복된다)은 음성부호의 발생주기(120바이트 주기)에 대해 40바이트의 파동이 발생한다. 즉, J=40바이트이다. α는 음성프레임이 출력되고 나서 유음인지 무음인지를 판단하고, 당해 판단에 따른 다중화 프레임을 조립하여 전송로상에 송신하기까지 요하는 시간 마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음시 및 무음시의 시간 마진중에 어떤 긴 쪽의 시간 마진 보다도 큰 값으로 α로 설정하고 있다.
이상의 관계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 다중화 프레임이 전송로상에 나오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경우, 음성부호화기가 당해 기준시 보다도 합계시간(T+J+α) 이전에 시작하도록 음성부호화기의 시작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다. 음성부호화기의 시작타이밍과 최초의 다중화 프레임이 전송로상에 나오는 시간의 시간차가 합계시간(T+J+α)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된 경우, 다중화하는데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음성의 지연에 연결된다. 그 때문에 상기 시간차는 가능한한 합계시간(T+J+α)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80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에 120 바이트 주기의 음성을 파동 및 지연없이 다중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파동 흡수방법을 32kbps의 전송 속도는 가진 PHS의 무선회로에 있어서 컴퓨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전송제어방식으로 고안된 PIAFS와 조합함으로써 전송효율이 좋은 다중화 프레임 길이를 채용하면서 파동 및 지연을 생기게 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를 다중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8 및 제 9 실시형태와 같이, 다중화정보(MC)에서 기준으로 하는 음성 프레임을 판별할 수 있는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의 타이밍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도 25에 있어서 다중화구조와 다중화정보의 관계는 도 19에 도시한 대응 테이블에 의해 규정된다. 도 25에 있어서, 음성부호의 출력 후, J시간 지연시킨 후에 생성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화 프레임은 MC=1, 음성 프레임 출력 후, 바로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다중화 프레임은 MC=2로 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음성 프레임이 지연된 후에 저장된 것인지, 바로 저장된 것인지 판별 가능하게 되며, 재생 기준이 되는 음성 프레임을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중화 구조와 다중화 정보의 관계를 규정하는 경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의 순으로 다중한 경우의 타이밍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 26과 같은 타이밍이 되는 이유는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는 시점에서 음성 프레임이 유음인지 무음인지 알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한개의 다중화 프레임에 복수의 음성 프레임을 다중하는 경우에는 다중하는 프레임의 수가 f이면 J=120×f바이트로 함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5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라도 좋고, 오류 정정용 용장 비트를 부가한 음성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률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들면 6.3Kbps에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이용해도 좋다.
[제 11 실시형태]
고정 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완전한 ARQ 프레임이 포함되도록 한 경우라도 도 27에 도시한 다중화 방법일 때는 정보 필드에 음성 프레임이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도 27a의 경우)와 다중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27b의 경우에는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의 위치가 다르다. 이때문에,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으면, 비디오 프레임의 ARQ 헤더의 위치를 알 수 없어진다. ARQ 헤더의 위치를 알지 못하면 송신 프레임의 프레임번호, 잘못 검출된 프레임 프레임번호, 거절 명령 등을 판별할 수 없어진다. 그 때문에, 다음에 오류없이 도착한 프레임과 타임아웃으로 오류가 발생한 것을 판별하지 않아서는 안되어 더욱 판별에 시간을 요한다.
이하에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비디오 프레임의 ARQ의 헤더를 판별할 수 있고, 바로 재전송 요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전송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전송방법으로 이용되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디오프레임을 항상 정보 필드의 헤드 위치에 다중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보 필드에 음성 프레임이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도 28a의 경우)에나 다중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28b의 경우)에도 모두 비디오프레임의 ARQ헤더의 위치가 같아진다. 이것에 의해서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어도 수신측에서는 비디오프레임의 ARQ헤더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29는 수신측 다중화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9에 있어서, 수신측에 다중화층은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면 우선 다중화 헤더의 오류 검출을 실시한다(단계(S01)).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없으면 다중화층은 다중화 정보부에 해석하고(단계(S02)). 다중화정보에 따라서 정보 필드에 비디오프레임, 음성 프레임 등으로 분리하고, 각각을 대응하는 오류제어처리층은 넘겨준다(단계(S3)). 한편, 다중화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다중화층은 다중화 프레임내의 일정한 장소에 저장된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를 추출하여 비디오의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준다(단계(S203)).
도 30은 비디오의 오류제어처리층이 실시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30에 있어서, 오류제어층은 우선, 분리된 비디오프레임을 다중화층에서 수취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14)).
오류제어층은 분리된 비디오프레임을 다중화층에서 수취한 경우(즉,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없는 경우), ARQ 헤더의 오류정정 및 오류검출을 실시한다(단계(S05)). ARQ헤더에 오류가 없는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프레임번호를 판독한다(단계(S06)). 다음으로, 오류제어처리층은 시퀀스에러를 검출했는지 여부, 즉 판독한 프레임번호가 다음에 수신해야 하는 프레임번호와 다른지를 판단한다(단계(S07)). 시퀀스에러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빠진 프레임 번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단계(S08)). 그 후, 오류제어처리층은 비디오버킷의 오류 검출을 실시하고(단계(S09)), 비디오버킷에 오류가 없으면, 그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복호부에 출력하고(단계(S10)), 오류가 있으며, 당해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단계(S11)). 또한, 상기 단계(S05)에 있어서, ARQ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비디오 패킷을 파기한다(단계(S12)).
한편, 상기 단계(S14)에 있어서 다중화층에서 비디오프레임의 ARQ헤더만을 수취한 경우(즉,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수취한 ARQ헤더의 오류정정 및 오류검출을 실시한다(단계(S15)). ARQ헤더에 오류가 없는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프레임번호를 판독한다(단계(S16)). 다음으로, 오류제어처리층은 시퀀스에러를 검출했는지 여부, 즉 판독한 프레임번호가 다음에 수신해야하는 프레임번호와 다른지를 판단한다(단계(S17)). 시퀀스에러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빠진 프레임 번호의 비디오프레임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단계(S18)). 그리고, 오류제어처리층은 판독한 당해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단계(S19)). 또한, 상기 단계(S15)에서 ARQ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비디오패킷을 파기한다(단계(S20)).
도 31은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도 31에서 R1이라고 하는 것은 비디오1에 대한 리젝트를 반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31에서 단말(1)이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프레임번호 1의 비디오프레임을 다중화한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단말(2)에서는 이것을 수신한후,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를 해석하고, ARQ 헤더에 유가 없으면, 리젝트를 반송한다. 이와 같이, 단말(2)는 바로 프레임번호 1의 리젝트를 반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1 실시형태는 항상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비디오 프레임을 다중화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어도 비디오 프레임의 ARQ 헤더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비디오프레임의 리젝트를 바로 반송할 수 있고, 비디오프레임의 재전송 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드 다중화 프레임에 비디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ARQ 헤더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하면 본 실시형태는 더욱 효율좋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1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전송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다중화층이 소정 바이트의 비디오프레임을 분리하여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수신측은 통신 개시시에 송신측에서 통지된 다중화정보의 대응 테이블이 도 19에 도시한 대응 테이블인 경우에는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가 다중화 프레임내의 일정 위치에 없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수신측 다중화층은 도 32에 나타낸 처리를, 비디오의 오류제어처리층은 도 33에 나타낸 처리를 각각 실시한다.
도 32에 있어서 수신측의 다중화층은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하면, 우선 다중화 헤더의 오류 검출을 실시한다(단계(S01)).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없으면 다중화층은 다중화정보부를 해석하고(단계(S02)), 다중화정보에 따라서 정보 필드를 비디오프레임, 음성 프레임 등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대응하는 오류제어검출 처리층에 넘겨준다(단계(S03)). 한편, 다중화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다중화층은 정보 필드의 다중화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정보 필드의 데이터를 파기한다(단계(S04)).
도 33에 오류제어처리층은 분리된 비디오프레임을 다중화층에서 수취한 경우(즉,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없는 경우), ARQ헤더에 오류 정정 및 오류 검출을 실시한다(단계(S05)), ARQ 헤더에 오류가 없는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프레임번호를 판독한다(단계(S06)). 다음으로 오류제어처리층은 시퀀스 에러를 검출했는지 여부, 즉, 판독한 프레임번호가 다음에 수신해야하는 프레임 번호와 다른지를 판단한다(단계(S07)). 시퀀스에러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빠진 프레임번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단계(S08)). 그 후, 오류제어처리층은 비디오 패킷의 오류검출을 실시하고(단계(S09)), 비디오 패킷에 오류가 없으면 그 비디오데이터를 비디오복호부에 출력하고(단계(S10)), 오류가 있으면 당해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송신축에 전송한다(단계(S11)). 또한, 상기 단계(S05)에서 ARQ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오류제어처리층은 비디오패킷을 파기한다(단계(S12)).
한편, 다중화정보의 대응 테이블이 도 21에 나타낸 대응 테이블인 경우에는 수신측은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가 항상 다중화 프레임내의 일정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수신측의 다중화층은 도 34에 나타낸 처리를 실시하고, 비디오의 오류제어처리층은 도 33에 나타낸 처리를 실시한다.
도 34에서 다중화층은 다중화프레임을 수신하면 우선, 다중화 헤더의 오류 검출을 실시한다(단계(S01)).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없으면 다중화층은 다중화 정보부를 해석하고(단계(S02)), 다중화정보에 따라서 정보 필드를 비디오 프레임, 음성 프레임 등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대응하는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준다(단계(S03)). 한편, 다중화 헤더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 다중화층은 다중화 헤더에 계속되는 51바이트를 비디오프레임으로서 분리하여 비디오의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주고, 또 뒤에 25바이트를 음성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음성의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준다(단계(S21)).
도 33에서 비디오 오류제어처리층은 만약 다중화층이 정보 필드를 오해하여 분리한 경우에도 ARQ 헤더에 오류가 없으면(단계(S05)), 바르게 프레임번호를 식별할 수 있고(단계(S06)), 비디오패킷의 오류가 검출되기 때문에(단계(S09)), 당해 프레임의 재전송 요구가 이루어진다(단계(S11)).
마찬가지로, 음성의 오류제어처리층이라도 음성 패킷의 오류 검출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음성 패킷의 폐기 또는 재전송이 실시된다. 만약, 우연히 다중화층이 분리된 비디오프레임, 음성 프레임이 바르지 않은 경우는 비디오 패킷, 음성 패킷의 오류가 검출되지 않고 유효한 데이터가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2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어도 헤드에서 소정 바이트의 비디오 프레임과, 뒤에서 소정 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분리하여 각각을 오류제어처리층에 넘겨주는 것에 의해 비디오와 음성의 오류제어처리층에서 잘못된 프레임의 리젝트의 바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재전송 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가 다중화 프레임내의 일정위치에 있는지를 다중화 구조의 대응 테이블에서 판단하고, 일정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ARQ 헤더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하면 본 실시형태는 더욱 효율좋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ARQ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분리할 때는 비디오와 음성의 다중화 구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분리하기로 하면, 또 어느 일정한 패턴의 반복하여 다중화구조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다중화구조를 예상하여 분리하도록 하면 본 실시형태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또한, 비디오데이터, 음성 데이터에 더해 컴퓨터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 헤드의 비디오데이터와 최후의 음성 데이터 사이에 컴퓨터 데이터를 다중화하면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우선하여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실시형태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5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라도 좋고, 오류정정용 용장 비트를 부가한 음성 프레임과 다른 전송률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들면 6.3Kbps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이용해도 좋다.
[제 13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특징을 구비한 다중전송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도 35a는 송신측이 송신하는 다중화 프레임열을 나타내며, 도 35b는 수신측이 수신하는 다중화 프레임열을 나타내며, 도 35c는 수신측이 음성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화프레임열에 있어서 각 다중화프레임은 80바이트의 고정 길이이다. 또한, 이 다중화 프레임열은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한 다중화 프레임이 연속하여 2개 출현한 후,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하지 않은 프레임이 1개 출력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이것에 의해, 120바이트당 20바이트의 음성을 전송하고 있다. 또한, 무음이기 때문에 롱프레임이 된 비디오프레임 V5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하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연속된 3개 다중화 프레임 중에 반드시 한개는 출현한다)으로 이 비디오프레임 V5를 재전송할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중, 비디오 데이터는 반드시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부에 저장된다. 수신측은 다중화정보에 오류를 검출한 경우에도 헤드부를 비디오프레임으로 간주하여 다중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다중화 정보에만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분리한 비디오 프레임 V4은 바르게 처리할 수 있다.
헤더부에 저장된 다중화정보(MC)는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에 의해서 다른 값이 할당되어 있다. 수신측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열상에서 다음 음성 프레임까지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쪽의 음성 프레임을 축적하지 않고 바로 출력하고, 그 이후는 120바이트 시간 주기로 음성 프레임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80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에 120바이트 주기의 음성을 파동 및 지연없이 다중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6은 각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60바이트로 한 경우의 다중화 전송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도 36a는 송신측이 송신하는 다중화 프레임열을, 도 36b는 수신측이 수신하는 다중화 프레임열을, 도 36c는 수신측이 음성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화 프레임열에 있어서 각 다중화 프레임은 60바이트의 고정길이가다. 또한, 이 다중화 프레임열은 20바이트의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한 다중화프레임과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하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을 교대로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120바이트당 20바이트의 음성을 전송하고 있다. 또한, 무음이기 때문에 롱프레임이 된 비디오프레임 V3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음성 프레임을 다중화하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연속되는 2개의 다중화 프레임중에 반드시 1개는 반드시 출현한다)으로 이 비디오프레임 V3을 재전송할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중, 비디오 데이터는 반드시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부에 저장된다. 수신측은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검출한 경우에도 헤드부를 비디오프레임으로 간주하여 다중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다중화 정보에만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분리한 비디오 프레임 V5는 바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3 실시형태에 의하면 120바이트 주기로 발생하는 음성 프레임을 80바이트의 다주오하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경우에도, 또 60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에 다중화하는 경우에도 비디오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은 항상 일정한 타이밍으로 얻어진다. 따라서, 음성의 무음구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게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 또는 컴퓨터 데이터의 전송 대역을 증감시킴 경우에도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으로 동기시킬 수 있고, 결과로서 오류에 강한 다중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변길이 슬롯(2)의 롱프레임의 재전송을 고정길이 슬롯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의 지연을 생기게 하지 않고 재전송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3 실시형태는 음성 프레임의 길이가 20바이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성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그 이외의 값이라도 좋고, 오류정정용 용장 비트를 부가한 음성 프레임이나 다른 전송률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 예를 들면 6.3Kbps으로 부호화된 음성 프레임을 이용해도 좋다.
[제 14 실시형태]
따라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HS망을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공중망 PSTN에 접속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2101)에서 PSTN에 접속된 단말(2103)에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다중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제어는 단말(201) 및 단말(2103) 사이에서 실시하기로 한다. 또한, 양 단말은 통신 개시시에 예를들면 ITU-T의 H.324의 규정에 의해 양단말간의 최대 전송률을 결정하기로 한다. PHS의 전송률은 32Kbps이며, PSTN의 전송률은 28.8Kbps이기 때문에 본 통신시스템에서의 최대 전송률은 28.8Kbps로 결정된다.
PHS망과 PSTN망의 상호 접속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는 재전송형 데이터이며, 틀리게 수시된 비디오 데이터는 재전송된다. PHS망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디오 데이터는 망접속점 2102에서 폐기되어 재전송 요구가 나온다. 따라서, PHS망에서 비디오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만큼 PSTN망에서 다중해야하는 비디오 데이터가 감소하게 되어 PSTN망으로 보내야하는 데이터가 실제로 28.9 Kbps 보다도 적어진다. 즉, 실효전송률이 28.8Kbps를 밑돈다. PSTN의 유선의 전송로에 비해 PHS의 무선 전송로에서는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재전송이 빈번하게 실시되기 때문에 단말 사이의 전송률은 PHS망에 있어서 전송률이 한계점이 되어 전송효율이 나빠진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은 전송 효율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단말(2101)에서의 다중화방법을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말(2101)은 H.263 등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도 38a 참조)에서 308 비트를 잘라내어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비트의 CRC와 4비트의 종결 비트를 부가한다. CRC는 오류 검출을 실시하기 위한 부호, 종결 비트는 비터비(Viterbi) 복호용 더미비트이다. 단말(2101)은 합계 328비트×(9/8)=369비트의 RCPC 패킷을 생성한다. 단말(2101)은 이 RCPC 패킷의 헤드에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시퀀스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 32비트의 ARQ 헤더를 부가하고, 도 38의 (c)에 나타낸 401비트(≤53바이트)의 비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단말(2101)은 이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도 38d에 나타낸 80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2101)은 이 80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을 80바이트/32Kbps=20mesc에 1프레임의 비율로 발생한다.
다음으로, 망접속점 2102에서의 전송률의 변환방법을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망접속점(2102)는 도 39a에 도시한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를 풀어 도 3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를 ARQ 패킷의 비터비 복호(오류 정정)을 실시하여 도 39c에 나타낸 41바이트의 데이터를 인출한다.
다음으로, 망접속점(2101)은 이 41바이트의 데이터를 RCPC 부호화에 의해 부화율(r)=8/8=1의 오류 정정부호화를 실시하여 41바이트의 RCPC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망접속점(2102)은 이 RCPC 패킷의 헤드에 도 3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분리한 32 비트의 ARQ 헤더를 부가하고, 45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망접속점(2102)은 이 45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터를 먼저 분리한 21바이트의 음성 데이터와 다중화하고, 도 39e에 나타낸 72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고, PSTN망에서 전송한다. 여기에서는 2바이트의 다중화 프레임이 20msec당 1프레임의 비율로 발생하기 때문에 72바이트/20msec=28.8Kbps가 되어 PSTN망에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호화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한다. PHS망의 전성률(Vf)은 32Kbps, PSTN의 정송률(Vs)는 28.8Kbps이기 때문에 PHS망은 PSTN보다 Rv=(32-28.8)/32-0.1 즉, 10% 전송률이 높다. 따라서, PHS망에 있어서 다중화프레임의 프레임길이(Lm)(=80바이트)중, 80×0.1=8바이트가 종래에는 비어있는 영역이며, PSTN에서의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80-8=72바이트가 된다. PSTN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중의 비디오프레임의 길이(Ld)는 다중화프레임 길이에서 헤더, 음성 데이터,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를 뺐다.
Ld=72-2-4-21-4=41바이트가 되며, 상기 8바이트를 이 비디오 프레임의 오류정정의 용장비트로 할당하기 때문에 부호화율은 Rc=41/(41+8)=41/49이상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값(=41/49)에 가까운 값을 선택하면 가장 효율이 좋아진다.
상기한 RCPC 부호화에 있어서, 부호화율은 8/n(8≤n≤32)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41/49≤8/9라고 하는 조건이 성립하는 것을 고려하여 부호화율 8/9를 선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비디오데이터의 오류 정정을 콘벌루션 부호화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블록 부호화를 이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망접속점(2102)은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고, 패리티비트를 폐기하는 것만으로도 전송률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재전송을 실시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재전송을 실시하지 않는 음성 데이터의 오류정정 부호화를 실시하고, 망접속점(2102)에서 그 오류 정정부호화의 부호화율이 변환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만, 상기한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기 플래그를 없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PHS망, PSTN망은 각각 자영PHS망, 자영 아날로그 전화망이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제 14 실시형태에 의하면, PHS망의 전송률이 PSTN의 전송률 보다도 10% 높은 것을 이용하고, 그 만큼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오류정정능력을 높임으로써 오류가 많은 PHS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률을 높일 수 있고, 결과로서, 단말간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5 실시형태]
제 1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7에 나타낸 통신시스템, 즉 PHS망을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공중망 PSTN에 접속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2101)에서 PSTN에 접속된 단말(2103)에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다중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1)과 망접속점(2102) 사이에서, 또 망접속점(2102)과 단말(2103) 사이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PHS망의 전송률은 32Kbps이고, PSTN의 전송률은 28.8Kbps으로 망접속점(2102)에서 전송률의 변환과 다중화의 변환을 실시한다.
단말(2101)에서는 H.263등으로 부호화된 비디오의 비트스트림에서 절단한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32Kbps로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망접속점(2102)의 구성을 도 40에 나타낸다. 도 40에 있어서 망접속점(2102)은 제 1 다중화부(2401), 제 2 다중화부(2402), 비디오버퍼(2406)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다중화부(2401)는 다중화층(2403), 비디오오류제어부(2404), 음성폐기부(2405)를 포함한다.
제 1 다중화부(2401)의 다중화층(2403)은 PHS망에서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를 풀고, 당해 다중화 프레임을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비디오 오류 제어부(2404)는 비디오 데이터의 오류 정정 또는 오류 검출을 실시하여 오류를 정정할 수 없었다. 또는 오류를 검출한 비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비디오오류제어부(2404)는 재전성 제어를 실시한 비디오 데이터를 시퀀스 번호순으로 바꿔 오류가 없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비디오 버퍼(2406)에 저장한다. 음성 폐기부(2405)는 음성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실시하여 오류를 검출한 음성 데이터를 폐기하고 오류가 없는 음성 데이터만을 제 2 다중화부(2402)로 출력한다. 제 2 다중화부(2402)는 비디오버퍼(2406)에 저장된 오류가 없는 비디오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과 오류가 없는 음성 데이터를 28.8Kbps로 다중화한다. 음성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고, 음성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하면 제 2 다중화부(2402)는 그 만큼의 대역을 비디오 데이터로 할당하여 다중화를 실시한다.
PHS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속도가 PSTN망에 있어서 실효전송을 보다도 크면 비디오 버퍼(2406)에 데이터가 저장되게 되어 버퍼가 넘치는 경우가 생긴다. 비디오 버퍼(2406)가 넘치는 비디오 재전송 제업주(2404)로부터 송신측 단말(2101)에 대해 버퍼에 넣을 수 없는 데이터의 재전송 요구가 생기기때문에 실제로는 PHS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률은 PSTN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률을 상회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PHS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률이 PSTN망에 있어서의 실효전송률 보다도 나빠지지 않은 한, 양 단말간의 전송률은 PSTN망측의 실효전송률과 같아지며, 전송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오류가 있는 음성 데이터의 영역을 비디오 데이터로 할당하는 것에 의해 더욱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지만 상기한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기 플래그는 없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PHS망, PSTN망은 각각 자영 PHS망, 자영아날로그전화망이라도 상관없다.
[제 1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 즉 PHS망을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공중망 PSTN에 접속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1)이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2)이나 PSTN에 접속된 단말(2604)과 통신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41에 있어서, 상호접속장치(2603)는 PHS베어러 통신 기능과, 모뎀을 통한 PSTN 아날로그 전화망의 통신 기능과, 각각의 망에 있어서,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주기를 갖는 기능 및 속도 변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1)이 전송하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 42a에 나타낸다.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PIAFS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와 같은 길이의 80바이트로 하고, 프레임의 헤드 부분에는 동기 플래그로서, 예를들면 01010000111011110010100110010011이 저장된다. 그 후에는 다중화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와 다중화된 음성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가 계속해서 8바이트의 더미비트가 채워진다. 단말(262) 및 상호 접속장치(2603)는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가 PIAFS의 데이터 프레임 길이와 같은 길이가기 때문에 PIAFS의 동기 프레이에 의해 프레임 동기를 확립한다.
상호 접속 장치(2603)는 필비트를 삭제하고, 도 42a에 나타낸 다중화 프레임을 도 42b에 나타낸 다중화 프레임으로서 변환함으로써 속도의 변환을 실시한다.
단말(2604)은 도 42b의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있는 동기 플래그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취하면서 다중화 프레임을 수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602) 및 상호 접속장치(2603)는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있는 동기 플래그를 넣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상호 접속장치(2603)는 새롭게 동기 플래그를 부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호 접속장치(2603)에 있어서 속도 변환의 예로 미리 삽입한 필비트를 삭제하는 방법외에 제 14 실시형태에 나타낸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 1∼제 5, 제 10 및 제 1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중전송방법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양쪽 발명의 효과는 모두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PHS망, PSTN망은 각각 자영 PHS망, 자영아날로그 전화망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단말이 PHS망 또는 그에 계속되는 ISDN망에 연결되는 단말이라도 그것이 동기로 취하지 않는 망에 접속하는 것을 상정한 단말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동기 프레임으로 동기를 확립한 후의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부착하여 송신하고, 그후, 동기 플래그를 취했는지의 조정을 하도록 해도 좋다.
[제 1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41에 나타낸 통신시스템, 즉 PHS망을 기존의 아날로그전화 공중망PSTN에 접속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1)이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2)이나 PSTN에 접속된 단말(2604)과 통신하는 경우의 다른 실시형태를 생각한다. 도 41에 있어서, 상호 접속장치(2603)는 PHS 베어러통신의 기능과, 모뎀을 통한 PSTN 아날로그 전화망의 통신 기능과, 각각의 망에 있어서의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동기를 취하는 기능 및 속도 변환을 기능을 가지고 있다. PHS망에 접속된 단말(2601)이 전송하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 43에 나타낸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제 16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IAFS의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80바이트로 한다. 이 때문에 단말(2602) 및 상호 접속장치(2603)는 PIAFS의 동기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동기를 확립한다. 단말(2601)은 통신 상대의 단말이 PSTN에 접속된 단말인 경우에는 제 1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 4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에 동기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통신 상대의 단말이 PHS망에 접속된 단말인 경우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을 도 4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에 동기 플래그가 없는 구성으로 한다. 이 경우, 속도변환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에 필비트를 삽입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대가 PHS망에 접속되는 단말일 때는 불필요한 동기 플래그를 부가하지 않는 것에 의해 그만큼 다중하는 데이터를 늘릴 수 있다. 그때문에 전송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한 제 1∼제 5, 제 10 및 제 1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중전송방법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양쪽 발명의 효과는 모두 발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PHS망, PSTN망은 각각 자영PHS망, 자영 아날로그전화망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동기 플래그를 삽입했는지의 판단은 단말간에 그 필요한 유무를 통신의 개시시에 조정하도록 해도 좋고, 제 14 및 제 15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양 단말간의 조정한 최대 전송률에서 유추해도 좋고, 단말이 접속되는 망의 종별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대 단말이 PHS망 또는 그에 계속되는 IDSN망에 연결되는 단말이라도 그것이 동기로 취하지 않는 망에 접속하는 것을 상정한 단말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동기 프레임으로 동기를 확립한 후의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부착하여 송신하고, 그 후 동기 플래그를 취했는지의 여부의 조정을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제 17 실시형태에 나타낸 다중전송법, 다중전송장치 및 파동 흡수방법은 각각 전용 회로장치에 의해서 실현되도 좋고, 컴퓨터장치에 의해서 실현되도 좋다. 후자의 경우, 컴퓨터장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의 처리순서를 기술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플렉시블 디스크, CD-ROM, 하드디스크장치, 반도체메모리등)에도 향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앞의 설명이 본 발명의 모든 측면은 아니며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중화 프레임을 고정길이로 하고, 또한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변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고정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송 오류에 의해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경계를 놓치지 않고, 오류에 대해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즉, 전송오류에 의해 슬롯 동기가 벗어나도 바로 다음 헤더를 볼 수 있어 재동기를 취하기 쉬운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67)
-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상기 비재전 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상기 다중화 프레임마다 동기 타아밍으로 당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 항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길이 영역을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분할 하고,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가 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0이 되며,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고,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으로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은 다중화 프레임 헤더를 또한 포함하며,상기 다중화 프레임 헤더에는 상기 다중화 프레임중에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다중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다중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은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송하기 위한 고정길이 슬롯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길이 슬롯에는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저장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같은 종류의 재전송형 가변깅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길이 슬롯의 길이는 상기 고정길이 영역이상의 길이로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길이 슬롯에는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에 저장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는 다른 종류의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전송하는 경우 제 2 가변길이 슬롯과 같은 길이로, 상기 고정길이 슬롯으로 전송하는 경우는 당해 고정길이 슬롯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은프레임 종별을 식별하기 위한 부호를 저장한 프레임종별식별영역;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 사용자 데이터 영역;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내의 유의의 데이터의 길이를 저장한 사용자 데이터 길이 표시영역;재전송 제어에 이용하는 프레임번호를 저장한 재전송제어영역;및오류검출신호를 저장한 오류검출 부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과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분할하며,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는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상기 사용자 데이터길이 표시영역에는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서 저장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길이를 저장하고,상기 오류검출부호영역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 이외의 영역의 오류 검출을 실시하는 오류검출부호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할 때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영역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에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 전체를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 영역으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하고,상기 프레임종별 식별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영역이 존재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부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전송해야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는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지 않는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적어도 1개씩 포함하는 기체 다중화 프레임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분할된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가 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0가 되며,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슬롯을 포함하며,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으로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 및 상기 고정길이 슬롯으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60바이트길이며,상기 기체다중화 프레임열은 한개의 상기 제 1 다중화프레임과 1개의 상기 제 2 고정길이 다중화프레임으로 구성되며,상기 제 1 다중화프레임에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1개의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80바이트 길이가며,상기 기체다중화 프레임열은 2개의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1개의 상기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한개의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80바이트 길이가며,상기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은 1개의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2개의 상기 제 2 고정길이 다중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로서, 2개의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F바이트(F는 양의 정수)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며,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며,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 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 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에 있어서,전송되는 다중화 프레임열사의 음성 프레임중에서 다음 음성 프레임과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하고,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이후의 음성 프레임을 F바이트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동 흡수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 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다중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동 흡수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M=80바이트, F=120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동 흡수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M=80바이트, F=120바이트, n=2, 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동 흡수방법.
- F바이트(F는 양의 정수)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며,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며,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 프레임의 송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는 방법에 있어서,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 동작을 시작시킨 후, 당해 음성부호화기에서 최초 음성 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T로 하고, 당해 음성 부호화기가 최초 음성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한 후, 당해 최초 음성 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 까지 필요한 시간을 α로 한 경우, 전송되는 다중화 프레임열상의 음성프레임중, 다음 음성 프레임과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기준 음성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타이밍 보다도 적어도 합계시간(T+J+α) 이전에 상기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 동작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시간(α)은 제 1 및 제 2 시간중에 큰 쪽의 시간과 같든지 그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음성부호화기가 음성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한 후, 상기 음성 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이며,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음성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무음의 표시를 검출하고, 음성 프레임을 저장할 예정인 영역에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 까지 필요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중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파동 흡수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M=80바이트, F=120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M=80바이트, F=120바이트, n=2, 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대해, 프레임번호 및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 프레임과 제 2∼제 k개의 데이터 프레임(k는 2이상인 정수)을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에는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 및 상기 제 2∼제 k의 데이터 프레임이 어떤 구조로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중화정보부가 부가되어 있으며,상기 송신측은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항상 상기 다중화 프레임중 일정한 장소에 배치하고,상기 수신측은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중에 상기 다중화 정보에 오류가 가진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다중화 프레임중 정위치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프레임 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상기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적어도 헤드에는 상기 다중화 정보의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은 상기 다중화 헤더에 계속해서 저장되는 1이상인 데이터 프레임중, 항상 상기 다중화 헤더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번호와 당해 프레임번호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헤더는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다중화 헤더의 뒷쪽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는 적어도 헤드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다중화 헤더에 앞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최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측은 수신한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 헤더에 계속되는 소정 바이트수의 데이터를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으로 추출하고,상기 추출한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에 오류가 없는 것을 검출하고, 또 나머지 데이터에 오류를 가진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성 요구를 즉지 상기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는 고정이며,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다중화 헤더에 계속해서 저장되는 1이상인 데이터 프레임중, 항상 헤드 또는 최후에 배치되며,상기 수신측은 수신한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헤더에 오류를 가진것을 검출한 경우와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이 항상 최후의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정보 필드의 뒤에서 소정 바이트수의 범위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으로 추출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이 항상 헤드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다중화 프레임의 정보 필드의 앞에서 소정 바이트수의 범위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데이터 프레임으로 추출하고,상기 추출한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오류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정상으로 수신한 데이터로서 취급하고,상기 추출한 제 2 데이터 프레임에 오류를 가진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제 2 데이터 프레임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대해 프레임번호 및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프레임과 제 2∼제 k의 데이터 프레임(k는 2이상인 정수)을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에는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 2∼제 k의 데이터프레임이 어떤 구조로 다중화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중화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며,상기 송신측은 전송모드로서,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항상 상기 다중화 프레임중 일정한 장소에 배치하여 전송하는 제 1 전송모드와 상기 제 1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상기 다중화 프레임 임의 장소에 배치하여 전송하여 제 2 전송모드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수신측은 상기 제 1 전송모드에서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중 상기 다중화 정보에 오류를 가진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 프레임중의 정위치에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상기 송신측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0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측은 미리 상기 다중화 정보가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다중화 구조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대응 테이블을 상기 수신측에 수신하고, 상기 수신측의 상기 송신측이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모드로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해오는지를 미리 수취한 상기 대응 테이블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프레임 길이가 30ms이고 32Knps려 전송한 경우에 120바이트 주기가 되는 음성 프레임을 프레임 길이가 20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80바이트 주기가 되는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상기 음성 프레임이 저장된 제 1 다중화 프레임이 제 2 프레임과, 상기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이 1프레임으로 구성된 기본 다중화 프레임열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다중해야 하는 음성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음성 프레임을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정보 필드내의 항상 같은 위치에 저장하고,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다중 프레임에서 상기 음성 프레임을 분리한 후, 당해 분리한 음성 프레임의 파동을 흡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3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다중화 프레임열에 포함되는 2개의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 정보를 정의함으로써 다음 음성 프레임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 가능하게 하고,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다중 프레임에서 분리한 음성 프레임의 출력을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출력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30ms마다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상기 음성 프레임과 함께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은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으며,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은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맞춘 프레임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 길이를 가진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인 제 2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무음구간내에서 상기 음성 프레임이 전공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맞춘 프레임 길이와 같은 프레임 길이를 가진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인 제 3 비디오프레임을 저장한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용되며,상기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정상으로 수신할 수 없을 때 그 재전송을 상기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송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으며,싱기 제 1 및 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 헤더를 각각 상기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저장하고,상기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어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ARQ 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 및 최후부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디오프레임의 ARQ 헤더를 각각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의 직전에 저장하고,상기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며,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ARQ 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프레임 길이가 30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120 바이트 주기가 되는 음성 프레임 프레임길이가 15ms이고 32Kbps로 전송한 경우에 60바이트 주기가 되는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상기 음성 프레임이 저장된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당해 음성 프레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교대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상기 음성 프레임과 함께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인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으며,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 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맞춘 프레임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 길이를 가진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인 제 2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다중화 프레임은 무음구간내에서 상기 음성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제 1 비디오 프레임을 맞춘 프레임길이와 같은 프레임 길이를 가진 1개의 완전한 비디오의 ARQ 프레임인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 사용되며,상기 제 3 비디오 프레임을 정상으로 수신할 수 없을 때, 그 재전송을 상기 제 2 또는 제 3 다중화 프레임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 헤더를 각각 상기 다중화 헤더의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저장하고,상기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ARQ 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 및 최후부에는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나타낸 다중화 정보와 당해 다중화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적어도 포함하는 고정길이의 다중화 헤더가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다중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의 ARQ 헤더를 각각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헤드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에 직후 또는 당해 제 1 및 제 2 다중화 프레임의 최후부에 배치된 다중화 헤더에 직전에 저장하고,상기 다중화 헤더에 오류가 검출되고, 내부의 다중화 구조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ARQ 헤더를 포함하는 비디오프레임을 판독하여 그 재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서 송신장치에서 수신장치로 다중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함으로써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항상 동기 타이밍으로 당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시스템.
- 제 44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은 고정길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길이 영역은 제 1 및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고정길이가 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0이 되며,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은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길이가 되며, 다중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긴 제 2 길이가 되며,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제 1 가변길이 슬롯으로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으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5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고정길이의 ARQ 프레임 형태로만 실시하는 제 1 데이터링크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상기 제 1 데이터링크 처리부는 다중하여 전송해야하는 상기 비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길이가 증감하고, 또 나머지 부분에 무익한 비트를 삽입한 고정길이 ARQ 프레임을 생성하고,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ARQ 프레임에서 무익한 비트를 삭제함으로써 당해 ARQ 프레임을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 2 가변길이 슬롯의 길이와 같은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링크 프레임으로 변환하고,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링크 프레임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6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고정길이의 ARQ 프레임의 형태에서만 실시하는 제 2 데이터링크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상기 수신장치는 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분리하고,수신한 다중화 프레임에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분리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링크 프레임에 무익한 비트를 삽입함으로써 당해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의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상기 고정길이의 ARQ 프레임으로 변환하고,상기 변환에 의해서 얻은 ARQ 프레임을 상기 제 2 데이터링크처리부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47 항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상기 ARQ 프레임과 같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동기 통신을 실시하는 제 1 망과 비동기 통신을 실시하는 제 2 망이 서로 접속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망상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통신중에는 항상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수신측을 향해서 전송되어 있으며,상기 제 1 망내에서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에 앞서 확립한 프레임 동기를 상기 동기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고정화하는 것에 의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동기 통신을 실시하는 제 1 망과 비동기 통신을 실시하는 제 2 망이 서로 접속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망상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송신측 및 상기 수신측 사이에 상기 제 2 망이 개재하는 경우에는 헤드에 동기 플래그를 저장한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에 프레임 동기를 취하고,상기 제 1 망내에서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동기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 프레임을 전송하고, 데이터 통신에 앞서 확립한 프레임 동기를 상기 다중화 프레임 길이를 고정화함으로써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화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송로상에서 전송 오류가 생긴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 1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 부호화된 오류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의 접속점은 상기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한 후, 당해 오류정정부호를 제거하기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그 재전송 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 부호화된 오류 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은 상기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하지 않고, 당해 오류정정부호를 단지 제거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그 재전송 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콘벌루션부호화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상기 콘벌루선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그 재전송 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54 항에 있어서,Rv를 상기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Vf) 및 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Vs)에서 구해지는 값{Rv=(Vf-Vs)/Vf}로 하고,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Lm으로 하고,상기 콘벌루션 부호화되는 상기 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Ld로 하고, 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롭게 부가되는 오버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상기 일정한 부호화율(Rc)은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위를 전송시키고,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은 상기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Rv는 상기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Vf) 및 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Vs)로 구해지는 값{Rv=(Vf-Vs)/Vf}으로 하고,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Lm으로 하고,상기 콘벌루션 부호화되는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Ld로 하고,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롭게 부가되는 오버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상기 일정한 부호화율(Rc)은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 부호화된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제 1 전송로위를 전송시키고,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의 접속점에서는 상기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정정을 실시한 후, 상기 오류정정부호를 제거하여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블록 부호화된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상을 전송시키고,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상기 오류정정부호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고, 당해 오류정정부호를 단지 제거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른 제 1 전송로와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늦은 제 2 전송로를 서로 접속한 복합적인 데이터 전송로상에서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는 재전송형 데이터와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을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를 향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콘벌루션 부호화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상를 전송시키고,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상기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고,그 재전송 제어를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에서 출력하고,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일정한 부호화율(Rc)로 부호화하여 상기 제 1 전송로위를 전송시키고, 상기 제 1 전송로에서 상기 제 2 전송로로의 접속점에서는 상기 콘벌루션 부호화의 복호를 실시한 후, 상기 제 2 전송로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제 61 항에 있어서,Rv를 상기 제 1 전송로의 전송속도(Vf) 및 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속도(Vs)에서 구한 값{Rv=(Vf-Vs)/Vf}로 하고,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Lm으로 하고,상기 콘벌루션 부호화된 상기 재전송형 데이터 및 상기 비재전송형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합계를 Ld로 하고,상기 제 2 전송로의 전송시에 새롭게 부가되는 오버헤드의 길이를 Lo로 한 경우,상기 일정한 부호화율(Rc)은Rc=Ld/(Lm·Rv-Lo+Ld)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형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 길이 데이터를 다중화 프레임에 의해 다중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링크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함으로써 상기 다중화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에 대해 동기 타이밍으로 당해 데이터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송방법.
- 재전송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한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와 재전송형 제어에 의한 오류 정정을 실시하지 않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화프레임에 의해 다중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채에 있어서,상기 소프트웨이어 프로그램은 상기 다중화프레임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상기 재전송형 가변길이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링크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를 다중하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증감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중화프레임의 전송스트림에 대해, 상기 다중화프레임마다 동기 타이밍으로 당해 데이터링크프레임을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제 63 항에 있어서,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전송해야하는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는 제 1 다중화 프레임과 상기 비재전송형 고정길이 데이터를 다중하지 않은 제 2 다중화 프레임을 적어도 1개씩 포함하는 기체 다중화프레임열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F바이트(F는 양의 정수)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며,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며,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 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상기 전송되는 다중화프레임을 음성프레임중에서 다음 음성 프레임을 F바이트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출력하는 제 2 프로그램을 스텝을 구비하며,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프로그램 스텝은 상기 다중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F바이트(F는 양의 정수) 전송시간에 1프레임의 비율로 생성되는 고능률 부호화된 N바이트(N은 양의 정수이며, NF)의 음성 프레임을 M바이트(M은 양의 정수이며, MF)의 고정길이의 다중화 프레임에 저장되어 다중전송할 때, F/M이 비정수이기 때문에 다중화 프레임의 음성 영역에 최대 J바이트(J는 양의 정수)의 음성 파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다중프레임의 수신측에서 당해 음성 파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 동작을 시작시킨 후, 당해 음성부호화기에서 최초 음성 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T로 하고, 당해 음성부호화기가 최초 음성프레임을 출력을 개사한 후, 당해 최초의 음성 프레임의 저장한 다중화프레임의 출력을 개시하기 까지 필요한 시간을 α로 한 경우,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전송되는 다중화프레임열상의 음성프레임중에서 다음 음성 프레임과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기준 음성프레임을 저장하고 있는 다중화프레임의 출력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고, 당해 기준이 되는 타이밍 보다도 적어도 합계시간(T+J+α) 이전에 상기 음성부호화기의 부호화동작을 시작시키고,n·F=m·M인 정수 n, m에 대해 m개의 다중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체 다중화 프레임열중, 음성 프레임을 다중한 n개의 다중화 프레임 각각에 대해 다른 다중화정보가 정의되어 있으며,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다중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음성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프레임번호 및 오류 검출신호가 부가된 제 1 데이터프레임과 제 2∼제 k의 데이터 프레임(k는 2이상의 정수를 다중화프레임에 저장하여 다중 전송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상기 다중화프레임에는 또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 및 상기 제 2 ∼ 제 k의 데이터프레임이 어떤 구조로 다중화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중화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며,상기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송신시에는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상기 다중화프레임중 일정한 장소에 배치시키고,수신시에는 수신한 다중화프레임중 상기 다중화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당해 다중화프레임중의 정위치에서 상기 제 1 데이터프레임의 프레임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한 프레임번호의 재전송 요구를 상기 송신측에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344696 | 1996-05-08 | ||
JP8-113446 | 1996-05-08 | ||
JP13464396 | 1996-05-29 | ||
JP8-134643 | 1996-05-29 | ||
JP8-187153 | 1996-07-17 | ||
JP18715396 | 1996-07-17 | ||
JP31326696 | 1996-11-25 | ||
JP9-007275 | 1997-01-20 | ||
JP727597 | 1997-01-20 | ||
JP8-313266 | 1997-09-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9768A true KR19980069768A (ko) | 1998-10-26 |
Family
ID=2751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8461A Withdrawn KR19980069768A (ko) | 1996-05-08 | 1997-05-08 |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과 거기에서 사용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233251B1 (ko) |
EP (1) | EP0806873A3 (ko) |
KR (1) | KR19980069768A (ko) |
CN (1) | CN1170285A (ko) |
SG (1) | SG71709A1 (ko) |
TW (1) | TW358277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6996B1 (ko) * | 1999-05-10 | 2004-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KR100532321B1 (ko) * | 1999-05-21 | 2005-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블록 일련번호 생성 및 바이트 일련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 |
KR100857777B1 (ko) * | 2001-03-26 | 2008-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이용한 가변 길이의 패킷 송수신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2673A (ja) * | 1997-05-15 | 1998-12-04 | Canon Inc | 通信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
US6034968A (en) * | 1997-09-22 | 2000-03-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daptive multiplexing/demultiplexing method and multiplexer/demultiplexer therefor |
JP3437070B2 (ja) * | 1997-10-20 | 2003-08-18 | 富士通株式会社 | 加入者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
FI105962B (fi) | 1998-06-30 | 2000-10-31 | Nokia Mobile Phones Ltd | Virheiden ilmaisu multipleksattuja signaaleja vastaanotettaessa |
JP3191785B2 (ja) * | 1998-07-31 | 2001-07-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
US6108346A (en) * | 1998-08-27 | 2000-08-22 | Xiox Corporation | Combined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essage transmission |
GB9821518D0 (en) * | 1998-10-02 | 1998-11-25 | Sony Uk Ltd |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signal format |
JP3097677B2 (ja) * | 1998-10-08 | 2000-10-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
US6445701B1 (en) * | 1998-10-09 | 2002-09-03 | Microsoft Corporation | Channel access scheme for use in network communications |
JP3191783B2 (ja) | 1998-10-29 | 2001-07-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
CA2317708A1 (en) * | 1998-11-02 | 2000-05-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plex signal carrying an auxiliary signal |
EP1919117B1 (en) * | 1998-11-30 | 2014-10-15 | Panasonic Corporation | Packet retransmission control using priority information |
EP1135912B1 (en) * | 1998-12-10 | 2005-11-02 | Nokia Corporation |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DE50008844D1 (de) * | 1999-05-03 | 2005-01-05 | Siemens Ag |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arbeiten eines gesamtdatenstroms mit datenpaketen |
JP3593921B2 (ja) * | 1999-06-01 | 2004-11-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パケット転送方法および装置 |
US6850559B1 (en) * | 1999-06-28 | 2005-02-01 | At&T Corp. | System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
US6853686B1 (en) * | 2000-01-14 | 2005-02-08 | Agere Systems Inc. | Frame formatting technique |
KR100657253B1 (ko) * | 2000-03-29 | 2006-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패킷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US20020031114A1 (en) * | 2000-07-21 | 2002-03-14 | Coaxmedia, Inc. | Priority packet transmission system for telephony, latency-sensitive data, best-effort data and video streams in a shared transmission media such as passive coax distribution |
JP3855690B2 (ja) * | 2001-02-20 | 2006-12-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多重化装置、分離装置 |
US6898758B2 (en) * | 2001-06-20 | 2005-05-24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Cross media error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
US6741603B2 (en) | 2001-07-09 | 2004-05-25 | Overture Networks, Inc. | Use of a circular buffer to assure in-order delivery of packets |
US6757292B2 (en) * | 2001-07-11 | 2004-06-29 | Overture Networks, Inc. | Automatic adjustment of buffer depth for the correction of packet delay variation |
US6728209B2 (en) | 2001-07-25 | 2004-04-27 | Overture Networks, Inc. | Measurement of packet delay variation |
AU2004222832B2 (en) * | 2001-10-29 | 2007-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error detec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KR100433908B1 (ko) * | 2001-10-29 | 2004-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시스템의 오류 검출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CA2381497A1 (en) * | 2002-01-02 | 2003-08-01 | Peter F. Crombeen | Exhaust gas muffler |
KR100460970B1 (ko) * | 2002-01-10 | 2004-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AU2003205899A1 (en) * | 2002-02-21 | 2003-09-09 |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 Video processing |
US7634532B2 (en) | 2002-05-31 | 2009-12-15 | Onkyo Corporation | Network typ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
JP4142917B2 (ja) * | 2002-08-23 | 2008-09-0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Cdma送信装置及びofdm−cdma送信装置 |
US7388903B2 (en) * | 2002-09-18 | 2008-06-17 | Conexant, Inc. | Adaptive transmission rate and fragmentation threshold mechanism for local area networks |
US7352774B2 (en) * | 2002-09-30 | 2008-04-01 | Arraycomm, Llc | Multiplexing different types of data sequences |
US7051259B1 (en) * | 2002-10-08 | 2006-05-23 | Cisco Technology,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ime and latency sensitive information |
KR20060022637A (ko) * | 2003-02-28 | 2006-03-10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
JP2005039726A (ja) * | 2003-07-18 | 2005-02-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
US9015338B2 (en) * | 2003-07-23 | 2015-04-21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silence in media communications |
AU2003904170A0 (en) * | 2003-08-08 | 2003-08-21 | Clipsal Intergrated Systems Pty Ltd | Radio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ocol |
DE60323886D1 (de) * | 2003-08-15 | 2008-11-13 | Research In Motion Ltd | Vorrichtung und assoziiertes verfahren zum erhalten von dienstqualitätsniveaus während der weiterreichung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
JP4251955B2 (ja) * | 2003-10-15 | 2009-04-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オーディオデータのネットワーク装置、アンプ装置 |
US7353448B1 (en) | 2003-10-21 | 2008-04-01 | Marvell Semiconductor Israel Ltd. | Methods, architectures, circuits and systems for transmission error determination |
KR100581060B1 (ko) * | 2003-11-12 | 2006-05-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오감 데이터 동기화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실감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US7243284B2 (en) * | 2003-12-11 | 2007-07-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Limiting number of retransmission attempts for data transfer via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US7434150B1 (en) | 2004-03-03 | 2008-10-07 | Marvell Israel (M.I.S.L.) Ltd. | Methods, circuits, architectures, software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 error and/or checking or confirming such error determinations |
US7360142B1 (en) | 2004-03-03 | 2008-04-15 | Marvell Semiconductor Israel Ltd. | Methods, architectures, circuits, software and systems for CRC determination |
KR100677378B1 (ko) * | 2004-11-02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cdma 단말기의 영상 통화 데이터 인코딩 방법 |
US7596149B2 (en) * | 2004-12-09 | 2009-09-29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Low bit rate video transmission over GSM network |
US20080198877A1 (en) * | 2005-06-13 | 2008-08-21 | Nxp B.V. |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Frame Synchronization, and Mobile Device |
US7965736B2 (en) * | 2005-08-24 | 2011-06-21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mission of multiplex protocol data units in physical layer packets |
US8102878B2 (en) * | 2005-09-29 | 2012-01-24 | Qualcomm Incorporated | Video packet shaping for video telephony |
KR101135101B1 (ko) * | 2005-10-17 | 2012-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캔에서의 데이터 길이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필드 패딩방법 |
US8514711B2 (en) * | 2005-10-21 | 2013-08-20 | Qualcomm Incorporated | Reverse link lower layer assisted video error control |
US8842555B2 (en) * | 2005-10-21 | 2014-09-23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encoding of real-time information in packet-switch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US8548048B2 (en) * | 2005-10-27 | 2013-10-01 | Qualcomm Incorporated | Video source rate control for video telephony |
US8406309B2 (en) * | 2005-10-21 | 2013-03-26 | Qualcomm Incorporated | Video rate adaptation to reverse link conditions |
KR20120034084A (ko) * | 2007-01-10 | 2012-04-09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멀티미디어 전화 통신을 위한 컨텐트- 및 링크-의존 코딩 적응 구조 |
US8599884B2 (en) * | 2007-03-15 | 2013-12-03 | Nokia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ptimized multiplexing and power saving in a broadcast network |
US8031656B2 (en) * | 2007-06-14 | 2011-10-0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emi-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packet data systems |
ES2895384T3 (es) | 2007-11-16 | 2022-02-21 | Divx Llc | Encabezado de fragmentos que incorpora indicadores binarios y campos de longitud variable correlacionados |
US8797850B2 (en) * | 2008-01-10 | 2014-08-05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to adapt to network congestion |
EP2353121A4 (en) * | 2008-10-31 | 2013-05-01 | Divx Llc |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 ON CERTIFIED DEVICES |
US8385238B2 (en) * | 2009-07-10 | 2013-02-26 | Lg Electronics Inc. |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
US8437331B2 (en) * | 2009-07-23 | 2013-05-0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in a transmitter |
US8438449B2 (en) * | 2009-11-02 | 2013-05-0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er |
US8953640B2 (en) * | 2009-12-11 | 2015-02-10 | Lg Electronics Inc. |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
US8762706B2 (en) * | 2011-04-11 | 2014-06-2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mputer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 for multi-level communications |
JP2013258655A (ja) * | 2012-06-14 | 2013-12-26 | Canon Inc | 情報処理装置、動画生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修復方法、 |
JP6290127B2 (ja) | 2015-03-17 | 2018-03-07 | 株式会社東芝 | 送信システム、伝送スロット化装置、受信装置及び伝送スロット作成方法 |
CN107025948B (zh) * | 2017-05-17 | 2023-08-15 | 西安紫光国芯半导体有限公司 | 具有标志位指示数据长度的纠错功能的存储器和纠错方法 |
US10706859B2 (en) * | 2017-06-02 | 2020-07-07 | Apple Inc. | Transport of audio between devices using a sparse stream |
TW202101946A (zh) * | 2019-06-14 | 2021-01-01 |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 通信裝置及通信方法以及程式 |
CN114442951B (zh) * | 2022-01-24 | 2024-08-02 | 珠海泰芯半导体有限公司 | 传输多路数据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2852A (en) * | 1979-08-27 | 1981-04-02 | Fujitsu Ltd | Composite transmission system for data and sound |
US5511073A (en) * | 1990-06-25 | 1996-04-23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ting of data for transmission |
JPH05244186A (ja) | 1991-08-06 | 1993-09-21 | Fujitsu Ltd | Atm/stm変換回路 |
JPH0813057A (ja) | 1994-06-24 | 1996-01-16 | Saamaru:Kk | チタンの燒結板及びその製造装置 |
US5638371A (en) * | 1995-06-27 | 1997-06-10 | Nec Usa, Inc. | Multiservices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ATM system |
-
1997
- 1997-05-07 SG SG1997001409A patent/SG71709A1/en unknown
- 1997-05-07 EP EP97107526A patent/EP0806873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5-07 TW TW086106053A patent/TW358277B/zh active
- 1997-05-08 CN CN97111529A patent/CN1170285A/zh active Pending
- 1997-05-08 US US08/848,470 patent/US62332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08 KR KR1019970018461A patent/KR1998006976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6996B1 (ko) * | 1999-05-10 | 2004-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KR100532321B1 (ko) * | 1999-05-21 | 2005-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블록 일련번호 생성 및 바이트 일련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 |
KR100857777B1 (ko) * | 2001-03-26 | 2008-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이용한 가변 길이의 패킷 송수신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233251B1 (en) | 2001-05-15 |
EP0806873A2 (en) | 1997-11-12 |
SG71709A1 (en) | 2000-04-18 |
TW358277B (en) | 1999-05-11 |
CN1170285A (zh) | 1998-01-14 |
EP0806873A3 (en) | 1998-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69768A (ko) | 다중전송방법 및 시스템과 거기에서 사용되는 음성파동 흡수방법 | |
US7002999B2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encoding-multiplexing/decoding-demultiplexing apparatus i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to which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applied | |
US6959020B1 (en) | Error detection in receiving multiplex signals | |
JP2002077233A (ja) | リアルタイム情報受信装置 | |
JPH07322248A (ja) | 動画像データの伝送方法および伝送装置 | |
KR100360366B1 (ko) | 적응 다중화/역다중화 방법 및 장치 | |
JP2003188843A (ja) | 多重伝送方法および多重分離装置 | |
US200500634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ded packet and program therefor | |
JP2002084246A (ja) | マルチメディア多重化装置 | |
JPH10262015A (ja) | 多重伝送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そこで用いる音声ジッタ吸収方法 | |
JPH09191296A (ja) | ディジタル復号化器と符号化器のクロックの同期方法及び装置 | |
JPH10247901A (ja) | 再送制御方法 | |
Fabri et al. | Real-time video communications over GPRS | |
US7630413B2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 |
US595369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igital speech communications | |
KR100885138B1 (ko) |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 |
EP1705842A2 (en) | Apparatus for receiving packet stream | |
JP2002152181A (ja) |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装置 | |
JPH10200595A (ja) | 可変長符号化データ伝送装置、送信側装置、受信側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JPH02246432A (ja) | 映像・音声多重化方式 | |
JP2005039674A (ja) |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装置 | |
JP2001309375A (ja) | メディア分離方法と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 | |
JP3361786B2 (ja) | データ蓄積通信装置 | |
JPH0832621A (ja) | 画像音声符号化データ伝送装置 | |
JPH10178406A (ja) | 多重化フレーム長変更方法ならびに同期フラグ変更方法および多重化ヘッダ抽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