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4305A - 디스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305A
KR19980064305A KR1019970070212A KR19970070212A KR19980064305A KR 19980064305 A KR19980064305 A KR 19980064305A KR 1019970070212 A KR1019970070212 A KR 1019970070212A KR 19970070212 A KR19970070212 A KR 19970070212A KR 19980064305 A KR19980064305 A KR 1998006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center
hook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595B1 (ko
Inventor
오쓰보겐세이
야마구치히데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789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5973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6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4Guiding record carriers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45Hub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디스크를 확실하게 자기지지함과 동시에 자동중심 조정을 할 수 있는 얇은 형의 디스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후크형상부재(126)와, 후크형상부재(126)를 수납하는 센터허브(125)와, 센터허브(125)내에 수납되어 후크형상부재(126)를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27)와, 디스크를 얹어 놓는 턴테이블(121)과, 센터허브(125)의 하면에 위치하여 스핀들축(24)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콘링(128)과, 콘링(128)을 턴테이블(121)의 윗면으로부터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29)을 가지며, 이 콘링(128)에는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와 걸어 맞추는 경사부(128a)가 배치되고, 후크형상부재(126)는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센터허브(125)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두께가 다른 디스크나 센터호울부의 단면이 다른 디스크 등이라도, 디스크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력을 적절하게 하여 확실하게 자기지지함과 동시에 자동중심 조정을 할 수 있다. 또, 디스크를 떼어낼 때의 떼어내는 힘을 작게 억제하여 디스크의 변형, 비틀림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지지기구와 디스크 중심조정 기구를 일체화하여 얇은 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지지장치
본 발명은 빛 또는 광자기에 의하여 정보를 디스크 매체에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사용되고, 디스크 매체를 지지하고, 회전구동하기 위한 디스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기술이 눈부신 진보를 하고 있다. 재생전용의 광학장치로서 이른바 CD(콤팩트 디스크), CD-ROM, 레이저 디스크 등이 있다. 또, 기록재생 양용의 광학장치로서 컴퓨터의 2차 기억장치, 리라이터블 파일링장치 등의 분야에 최근 점점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 앞으로의 시장을 담당할 대규모 용량의 광디스크 장치, 예를 들면, DVD(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가 시장규모 확대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에 특징이 있는 광디스크의 규격이 존재한다. 이것은 그 퍼어포오먼스에 대한 요청이나 기술의 진전의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광디스크 규격이 혼재하고 있어서, 그 호환성을 희생으로 하는 것은 그 취급이나 시장규모의 확대의 점에서 마이너스가 되어 버린다. 특히, 가정등에서 각각 큰 시장규모를 구성하고, 그 외관상의 형태도 직경 12㎝ 디스크와 거의 똑같은 외관을 나타내는 CD와 DVD에서는 광학적으로 직접적인 호환성이 없다. 그 결과, DVD디스크는 CD플레이어로 재생할 수 없고, 또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디스크의 기판두께의 차이(CD는 1.2㎜, DVD는 0.6㎜의 2매접합)나 대물렌즈의 특성, 사용레이저광의 파장의 차이등에 의한 것으로서, DVD를 CD보다 고밀도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CD와 DVD의 2개의 다른 규격의 디스크를 1개의 디스크 드라이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시장의 요청은 큰 것이다.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고자 제공된 2개의 다른 광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는 기구를 가진 종래의 디스크 지지장치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디스크 지지장치는 2개의 기구부에 의하여 디스크를 끼워 지지하는 클램프 형식의 것(예를 들면, 특허등록 1509217)과, 1개의 재치대에 디스크를 장착하면 그 지지기구가 지지하는 자기지지 형식의 것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를 소형화·박형화하려면 자기지지 형식의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 자기지지 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종래의 자기지지 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디스크(23)를 자기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지지기구부(30)를 설명한다. 도면중 스핀들 모우터(34)는 주로 디스크(23)를 지지하는 턴데이블 유니트(36)와 디스크(2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로 대별된다.
먼저, 턴테이블 유니트(36)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23)를 지지함에 있어서, 먼저 후크형성부재(26)가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과 간섭한다. 후크형상부재(26)는 적어도 턴테이블(21)상에 3개소 설치되어 있다. 후크형상부재(26)는 탄성부재(27)에 의하여 외주방향으로 밀리고, 또한 후크형상부재(27)의 양사이드에 설치된 보스(도시생략)는 센터허브(25)의 가이드(도시생략)에 지지된다.
다른 한편, 구동부(40)는 주로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인데, 회전자 요오크(37), 마그넷(38), 코일(39), 백요오크(42) 및 턴테이블(21)에 압입된 스핀들축(24)을 지지하는 축받이 메탈유니트(41)등으로 구성된다. 스핀들축(24)은 드러스트받이(46)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FPC(48)에는 호울소자(47)가 백요오크(42)표면에 마그넷(38)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예는 둘레 대향형의 스핀들 모우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것이 면대향형이라도 전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도 26a, b는 도 25의 디스크 지지기구부(30)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6a, b에 있어서, 디스크(23)를 장착할때에는 적어도 3개소에 배치된 후크형상 부재(26)의 R부(26b)를 상부에서 밀면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21)위에 장착한다. 이때, 후크형상부재(26)는 탄성부재(27)에 대항하여 디스크(23)에 밀려서 센터허브(25)내의 가이드에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센터허브(25)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한다.
이렇게 하여, 후크형상부재(26)의 R부(26b)를 상부에서 밀면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이 통과한다. 그리고, 디스크(23)는 턴테이블(21)위에 접착된 슬립시이트(22)위에 밀착할 때까지 밀린다.
다음에,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이 통과하면, 후크형상부재(26)는 탄성부재(27)에 밀려서 돌출하고, 후크형상부재(26)의 R부(26b)의 하부경사면이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에 맞닿는다. 그 결과, 디스크(23)는 적어도 3개소에 배치된 후크형상부재(26)로 자기지지된다. 다만, 이때 스핀들축(24)에 대한 디스크(23)의 편심이 있어도, 맞닿는 후크형상부재(26)의 가압력에 의존하여 지지되어, 구동부(40)로 회전되게 된다.
다음에, 클램프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울러 전술한 편심의 대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종래의 클램프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7에 있어서, 디스크(23)를 클램프하는 턴테이블 유니트(36)를 설명한다. 도면중 마그넷(도시생략)이 매립된 마그넷클램퍼(44)는 그 중심에 센터보스(45)가 배치되어 있다. 센터보스(45)는 스핀들축(24)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 결과, 마그넷클램퍼(44)를 닫으면 마그넷 클램퍼(44)의 마그넷은 콘링(28)에 매립된 강자성체(예를 들면 철판)(42)와 자기흡인력이 생긴다. 또, 마그넷클램퍼(44)의 센터보스(45)에 의하여 그 중심위치의 정밀도가 유지된다. 그리고, 디스크(23)면은 마그넷클램퍼(44)에 의하여 턴테이블(21)에 균일하게 압압된다.
또한, 전술한 편심의 대책을 위하여 디스크(23)의 중심조정을 행하는 디스크 조심기구부에 대하여 도 2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구동부(40)로부터 위로 연장된 스핀들축(24)에는 디스크 조심기구부(31)를 탑재한 턴테이블 유니트(36)가 조립된다. 즉, 스핀들축(24)이 턴테이블(21)에 압입된다. 그 턴테이블(21)에는 콘링(28)이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귀 코일스프링(29)으로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콘링(28)의 미끄럼움직임 끝부분은 C링(43)으로 규제된다. 콘링(28)이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에 맞닿는 면은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차츰 가늘어지는 원추형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조심기구부(31)에 디스크(23)를 장착하여 마그넷클램퍼(44)를 닫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23)면은 턴테이블(21)에 압압되고, 그 도중에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은 콘링(28)의 원추형의 면에 따라 압압된다. 그 결과, 디스크(23)를 정확히 지지하면서 중심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크 지지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판두께가 다른 CD, DVD에 대응하여 소형화·박형화를 실현하기 위하여는 디스크를 자기지지하고 동시에 중심조정할 수 있는 디스크 지지장치인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모체가 되는 턴테이블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특히 수지재의 턴테이블에 있어서는 강성이나 회전의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자기지지하고 중심조정할 수 있는 기구부를 턴테이블 유니트에 탑재하려면 디스크(23)의 두께방향으로 박형화를 꾀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현상에 있어서, CD, DVD에 대응하여, 그리고 모바일형 컴퓨터(Mobil Computer)에 탑재가능할 정도로 소형화·박형화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기판두께가 다른 CD, DVD 등의 디스크의 두께의 차나 내경차 등에 대응하여, 디스크의 부착이탈이 용이하고, 확실히 장착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기구로 소형화·박형화할 수 있는 디스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의 a, b는 콘링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그 평면도, b는 a의 선 ⅢB-ⅢB에 따른 단면도.
도 4의 a내지 d는 후크(hook) 형상부재(126)의 확대단면도로서, a는 정상(頂上)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바닥면도.
도 5의 a 내지 d는 센터허브(center hub)(125)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바닥면도, d는 c의 선 ⅤE-ⅤE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디스크 장착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1의 디스크 장착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8의 a 내지 b는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의 설명도로서, a는 장착동작도, b는 떼어내는 동작도.
도 9는 다른 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디스크가 없는 경우의 후크형상 부재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14의 a, b는 콘링(228)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그 평면도, b는 a의 선 XⅣB-XⅣB에 따른 단면도.
도 15의 a 내지 c는 후크형상 부재의 확대단면도로서, a는 정상면도, b는 a의 우면도, c는 a의 바닥면도.
도 16의 a 내지 d는 센터허브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바닥면도, d는 c의 선 ⅩVID-XVID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1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도.
도 18은 다른 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19는 또 다른 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21의 a, b는 콘링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선 XXIB-XXIB에 따른 단면도.
도 22의 a 내지 d는 후크형상 부재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바닥면도, b는 평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b의 아래쪽 측면도.
도 23의 a 내지 e는 센터허브의 확대부품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선 XXⅢC-XXⅢC에 따른 단면도, d는 바닥면도, e는 d의 선 XXⅢE-XXⅢE에 따른 단면도.
도 24의 a 내지 b는 도 20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도로서, a는 장착동작도, b는 떼어내는 동작도.
도 25는 종래의 자기지지 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구성도.
도 26의 a, b는 도 25의 디스크 지지기구부의 동작설명도로서, a는 장착동작도, b는 떼어내는 동작도.
도 27은 종래의 클램프형식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디스크 24: 스핀들축
30, 130, 150, 230 : 디스크 지지기구부
34 : 스핀들 모우터 40 : 구동부
41 : 축받이 메탈유니트 46 : 드러스트 받이
121, 221 : 턴테이블 122, 222 : 슬립시이트
125, 155, 225 : 센터허브 126, 156, 226 : 후크형상부재
127, 227 : 탄성부재 128, 228 : 콘링(cone ring)
129, 229 : 복귀 코일스프링
131, 231 : 디스크 조심(調心)기구부
135, 235 : 공간 136, 236 : 턴테이블 유니트
152 : 0링 153 : 0링 스토퍼
155a : 센터허브창(窓)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후크형상 부재와, 후크형상 부재를 수납하는 센터허브와, 센터허브내에 수납되고 후크형상 부재를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디스크를 얹어 놓는 턴테이블과, 센터허브의 아래면에 위치하고 스핀들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콘링과, 콘링을 턴테이블의 윗면에서 디스크면에 대하여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가지며, 이 콘링에는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와 걸어 맞추어지는 경사부가 배치되고, 후크형상 부재는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센터허브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두께가 다른 디스크나 센터호울부의 단면이 다른 디스크등이라도 디스크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력을 적절히 하여 확실히 자기지지하고, 동시에 자동적으로 중심조정을 할 수 있다. 또, 디스크를 떼어낼때의 힘을 작게 억제하여 디스크의 변형·휨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지지기구와 디스크 조심기구를 일체화하여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중앙의 스핀들축(24)의 중심의 지면왼쪽에는 디스크 장착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 오른쪽에는 디스크 장착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양도면에 있어서, 턴테이블 유니트(136)위에는 디스크(23)의 중심을 조정하는 디스크 조심기구부(131)와, 디스크(23)를 자기지지하는 디스크 지지기구부(130)를 배치한다. 또, 구동부(40)는 종래의 구동부(40)와 동일한 기구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들 3종류의 기구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구조로 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동부(40)의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그런데, 전술한 디스크 조심기구부(131)는 콘링(128)과 복귀 코일스프링(129)으로 구성된다. 도 3a, b는 콘링(128)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1 내지 도 3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링(128)은 디스크 지지기구부(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콘링(128)은 턴테이블(121)에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턴테이블(121)의 외주부의 반경 12∼14㎜의 범위에는 디스크(23)에 대한 미끄럼 마찰토오크를 적정하게 주어지도록 슬립시이트(122)가 첩부되어 있다.
콘링(128)은 복귀 코일스프링(129)으로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 복귀 코일스프링(129)은 턴테이블(121)의 오목부분(콘링(128)의 최하단의 미끄럼움직임 위치)와 콘링(128)의 이면의 오목부분과의 사이에 걸쳐 걸려있다. 또, 복귀 코일스프링(129)은 원추형상으로 감겨 있다(도 1참조). 콘링(128)의 미끄럼움직임 끝부분은 센터허브(125)로 규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 필요로 하고 있던 규제용의 C링 등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스크 조심기구부(131)는 간단한 구조이고, 제조공정도 간략화 되어 저코스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콘링(128)이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에 맞닿는 면은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차츰 가늘어지는 대략 원추형의 경사부(128a)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23)의 내경과 걸어 맞추어지는 경사부(128a)에서 중심의 위치 규제가 행하여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23)의 내경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라도 경사부(128a)가 내경의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또, 디스크(23)의 내경은 경사부(128a)와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후술하는 후크형상부재(126)와도 걸어 맞추어진다. 이에 의하여 디스크(23)는 중심이 조정됨과 동시에 턴테이블(121)에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디스크 지지기구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126)를 센터허브(125)의 외주를 따라 예를 들면 3개소 120도마다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a내지 4d는 그 후크형상부재(126)의 확대부품도, 도 5a내지 5d는 그 센터허브(125)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1, 도 2, 도 4a내지 d 및 도 5a내지 d에 있어서, 후크형상부재(126)는 양측면에서 보스(126a)를 가지며, 후면에 걸어 맞춤 돌기부(126c)를 가진 대략 십자형상이다. 후크형상부재(126)의 선단부분은 선단(디스크의 외주방향)으로 가늘어지는 경사면부(126b)와 둥글게 형성된 선단볼부(126d)를 가진다. 후크형상부재(126)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센터허브(125)는 그 주위에 3개소 120도마다 센터허브창(125a)을 가진다. 센터허브창(125a)의 이면쪽에는 가이드홈(126b)의 오목을 가지며, 센터허브창(125a)의 내주쪽에는 걸어 맞춤 돌기부(125c)를 가진다. 보스(126a)는 센터허브(125)의 가이드홈(125b)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보스(126a)는 가이드홈(125b)에 걸어 맞추어져서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홈(125b)의 최외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센터허브(125)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127)는 센터허브(125)의 걸어 맞춤 돌기부(125c)와 후크형상부재(126)의 걸어 맞춤 돌기부(126c)와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고, 센터허브(125)내에 수납되어 있다. 탄성부재(127)는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또한, 3개소의 탄성부재(127)의 하부의 턴테이블의 일부에 탄성부재(127)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135)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후크형상부재(126)는 탄성부재(127)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홈(125b)의 최외주부에 보스(126a)가 걸어 맞추어져서 대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13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장착면(슬립시이트(122)의 윗면)을 기준으로 디스크 배출쪽에 2.5㎜이하, 실질적으로는 2.25㎜로, 디스크 삽입쪽(턴테이블(121)쪽)에 1.3㎜이하, 실질적으로는 1.25㎜로, 합계한 두께 3.8㎜이하, 실질적으로는 3.5㎜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136)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디스크 장착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1의 디스크 장착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8a, b는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8a, b에 있어서, 먼저 조작자는 디스크(23)를 장착하기 위하여 얹어 놓는다. 디스크(23)는 3개소에 배치된 후크형상부재(126)의 경사면부(126b)를 상부에서 밀면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121)위에 장착한다. 이때, 후크형상부재(126)는 디스크(23)에 밀려서 탄성부재(127)에 대항하여 디스크 내주방향으로 가이드홈(125b)을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시킨다.
또한, 디스크(23)가 밀리면 후크형상부재(126)의 선단볼부(126d)를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이 통과한다. 통과하는 과정에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아래면쪽 코너부는 콘링(128)의 경사부(128a)에 맞닿는다. 또한, 디스크(23)는 밀려 들어가 콘링(128)은 복귀스프링(129)에 대항하여 내려감과 동시에, 디스크(23)는 경사부(128a)에서 중심의 위치규제(자동조심)가 행하여진다. 이때, 복귀 코일스프링(129)은 원추형상으로 감겨 있으므로, 디스크(23)가 밀려 들어 갔을 때, 코일스프링의 압축스페이스가 콘링(128)의 후퇴 스트로우크를 제한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디스크(23)는 턴테이블(121)위에 접착된 슬립시이트(122)위에 밀착할때까지 눌린다. 그 과정에서 선단볼부(126d)는 디스크(23)의 두께를 통과하며, 후크형상부재(126)는 탄성부재(127)의 가압력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이드홈(125b)을 미끄럼 움직여서 돌출한다. 그리고, 후크형상부재(126)의 선단볼부(126d)는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윗면쪽 코너부에 맞닿으면서 탄성부재(127)의 압압가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3)를 턴테이블(121)위에 누른다. 이상과 같이, 조작자는 디스크(23)를 얹어 놓고 밀어 넣는 것만으로 자동중심 조정과 자기지지가 완료된다.
다음에, 도 1, 도 7 및 도 8a, b에 의거하여 디스크(23)를 떼어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가 디스크(23)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선단볼부(126d)는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지는 힘을 받는다. 후크형상부재(126)는 가이드홈(125b)의 최외주부의 위치에서 보스(126a)에 걸어 맞추어지고 있어서, 이 가이드홈(125b)의 최외주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도 8a, b의 화살표 참조)한다. 이때, 걸어 맞춤 돌기부(126c)는 턴테이블(121)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27)는 휘어지는데, 모두 공간(135)속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선단볼부(126d)는 그 회전동작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회전하여, 디스크(23)는 쉽게 해제되어 떼어낼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126)는 후크형상부재(126)를 되미는 힘에 대항하여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하고, 디스크(23)를 떼어내는 힘에 대항하여 가이드홈(125b)의 최외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윗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탄성부재(127)는 아래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후크형상부재(126)는 센터허브(125)에 수납되어, 디스크(23)의 직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기구(130)를 박형화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조작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디스크의 자동중심조정과 자기지지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23)를 떼어낼때에는 작은 힘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디스크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일도 없어진다.
다음에, 탄성부재(127)에 대신하는 다른 압압가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압압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양도면에 있어서, 턴테이블 유니트(136)위에 디스크 조심기구부(131)를 탑재하고, 디스크 조심기기부(131)의 동축(스핀들축(24))위에 디스크 지지기구부(150)를 탑재한 구조이다. 이상의 기본구조는 도 1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턴테이블 유니트(136)와 디스크 조심기구부(131)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디스크 지지기구부(150)는 주요부분인 센터허브(155)와, 후크형상부재(156)와, 0링(152)을 가진 구성이다. 센터허브(155)는 그 주위에 예를 들면 3개소 120도마다 센터허브창(155a)을 가진다. 센터허브창(155a)의 이면쪽은 도 1에서 설명한 구조와 똑같은 구조이다.
후크형상부재(156)는 보스(156)를 가지며, 가이드홈(155b)에 걸어 맞추어져서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홈(155b)의 최외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센터허브(155)에 지지된다. 후크형상부재(156)의 선단부분의 형상은 도 4a내지 4d에서 설명한 형상과 동일하다.
센터허브창(155a)의 내주쪽과 후크형상부재(156)의 내주부분의 형상이 도 1과 도 4a내지 4d에 도시한 구조와 다르다. 센터허브창(155a)의 내주쪽에는 대략 원형단면의 환상탄성체인 0링(152)이 배치되어 있다. 후크형상부재(156)의 내주부분은 연장되어 0링(152)에 맞닿는다. 0링(152)의 반대단면은 0링 스토퍼(153)로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0링(152)은 센터허브(155) 및 0링 스토퍼(153)로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된다. 즉, 도 1과의 차이점을 요약하면, 도 1의 탄성부재(127)대신에 0링(152)이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탄성부재(127)대신에 0링(152)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기구부(150)는 전혀 똑같이 자기지지 기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부재(127)를 사용한 디스크 지지기구부에 비하여 부품개수의 삭감과 조립조정에 관한 행정을 간소화 할 수 있으므로, 염가의 디스크 지지기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디스크가 없는 경우의 후크형상부재(226)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중앙의 스핀들축(24)중심의 오른쪽에는 디스크 장착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스핀들축(24)중심의 왼쪽에는 디스크 장착후의 디스크 지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 턴테이블 유니트(236)위에는 디스크(23)의 중심을 조정하는 디스크 조심기구부(231)를 배치한다. 디스크 조심기구부(231)상부의 스핀들축(24)의 같은 축위에 디스크(23)를 자기지지하는 디스크 지지기구부(230)를 배치한다.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 2종류의 기구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구조로 한다.
다른 한편, 구동부(40)는 실시예 1의 경우 및 종래의 배치와 똑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그런데, 전술한 디스크 조심기구부(231)는 콘링(228)과 복귀 코일스프링(229)으로 구성된다. 도 14a, b는 콘링(228)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14a, 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콘링(228)의 돌출부(228b)는 콘링(228)의 경사부(228a)의 연장선상에 있고,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주위중 3개소의 범위에 걸쳐 둘러져 있으며, 그 돌출량은 콘링(228)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대략 20%로 설정된다. 콘링(228)은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콘링(228)은 턴테이블(221)에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고, 콘링(228)전체가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그 턴테이블(221)의 외주부의 반경 12∼14㎜의 범위에는 디스크(23)에 대한 미끄럼 마찰토오크가 적정하게 주어지도록 슬립시이트(222)가 첨부되어 있다.
또, 복귀 코일스프링(229)은 턴테이블(221)의 오목부분(콘링(228)의 최하단의 미끄럼움직임 위치)과 콘링(228)의 이면의 오목부분과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다. 따라서, 콘링(228)은 복귀 코일스프링(229)에 의하여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복귀 코일스프링(229)은 원추형상으로 감겨있다(도 11참조). 콘링(228)의 미끄럼움직임 끝부분은 센터허브(225)로 규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 필요로 하고 있던 규제용의 C링 등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스크 조심기구부(231)는 간단한 구조이고, 제조공정도 간략화되어 저코스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콘링(228)을 최대 스트로우크까지 밀어 넣었을 때 복귀 코일스프링(229)의 직경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콘링(228)이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에 맞닿는 면은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차츰 가늘어지는 대략 원추형의 경사부(228a)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228a)는 콘링(228)이 미끄럼 움직이는 영역을(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의 드러스트 방향으로) 최대 0.5㎜로 규정한 경우에, 가장 중심조정을 균형있게 행하기 위해서는 경사부(228a)의 경사각도를 스핀들축(24)에 직교하는 면(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설정하면 양호한 중심조정 작용을 발휘하며, 최적설정 각도는 78.7°로 설정한다. 또,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은 경사부(228a)와 걸어 맞춤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는 다시 경사부(228a)의 연장선상의 돌출부(228b)에 의하여 후술하는 후크형상부재(226)와도 확실히 걸어 맞추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23)의 내경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라도 경사부(128a)가 내경의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23)는 중심조정됨과 동시에, 턴테이블(221)에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디스크 지지기구부(23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226)를 센터허브(225)의 외주를 따라, 예를 들면 3개소에 120도마다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5 a내지 c는 그 후크형상부재(226)의 확대부품도, 도 16a내지 d는 그 센터허브(225)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5a내지 c에 있어서, 후크형상부재(226)는 양측면에 보스(226)를 가지며, 후면에 걸어 맞춤 돌기부(126c)를 가진 대략 십자형상이다. 후크형상부재(226)의 선단부분은 선단(디스크의 외주방향)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경사부(226b)를 가진다. 그 경사각도는 스핀들축(24)에 직교하는 면(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130°∼ 150°의 범위로 설정하면 양호한 디스크 장착작용을 발휘하며, 최적설정 각도는 140°로 설정한다. 이어지는 후크형상부재(226)의 정면돌출부(226c)는 변형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 곡선(도 15a내지 c참조)을 형성하여, 경사부(226b)에 대략 직교하는 역경사면을 거쳐 역경사면에 이어지는 면으로 구성되는 아래면 돌출부(226d)를 형성한다. 아래면 돌출부(226d)의 돌출량은 후크형상부재(26)의 전체두께에 대하여 대략 10%로 설정한다. 후크형상부재(226)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이 아래면 돌출부(226d)를 설치한 형상에 의하여 규격내의 가장 얇은 디스크를 장착할 경우에는 후크형상부재(226)의 아래면 돌출부(226d)로 확실히 디스크(23)를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전체의 두께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광디스크(23)를 떼어낼 때의 떼어내는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센터허브(225)는 그 주위에 3개소 120도마다 센터허브창(225a)이 있다. 센터허브창(225a)의 이면쪽에는 가이드홈(225b)의 오목부가 있고, 센터허브창(225a)의 내주쪽에는 걸어 맞춤 돌기부(225c)가 있다. 후크형상부재(226)의 보스(226a)는 센터허브(225)의 가이드홈(225b)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보스(226a)는 가이드홈(225b)에 걸어 맞추어져서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홈(225b)의 최외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센터허브(225)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227)는 센터허브(225)의 걸어 맞춤 돌기부(225b)와 후크형상부재(226)의 걸어 맞춤 돌기부(226c)와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고, 센터허브(225)내에 수납된다. 탄성부재(227)는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또한, 3개소의 탄성부재(227)의 하부의 턴테이블(221)의 일부에 탄성부재(227)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235)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후크형상부재(226)는 탄성부재(227)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홈(225c)의 최외주부에 보스(226a)가 걸어 맞추어져서 대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236)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장착면(슬립시이트(222)의 윗면)을 기준으로 디스크 배출쪽에 2.7㎜이하, 실질적으로는 2.5㎜로, 디스크 삽입쪽(턴테이블(221)쪽)에 1.3㎜이하, 실질적으로는 1.25㎜(도 11중의 도시생략, 단, 전술한 도 7과 똑같다)로, 합계 두께를 4.0㎜이하, 실질적으로는 3.75㎜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236)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a 내지 g는 도 11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도이다. 도 11, 도 13 및 도 17a 내지 g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지지기구부(230) 및 디스크 조심기구부(231)의 양기구부의 상호관계 및 디스크(23)를 장착 이탈할 때의 후크형상부재(226)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23)를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23)를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에 갖다댄다(도 17a). 그러면 3개소에 배치된 후크형상부재(226)의 사면부(226b)를 상부로부터 밀면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221)위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후크형상부재(226)는 디스크(23)에 밀려서 탄성부재(227)에 대항하여 디스크 내주방향으로 가이드홈(225b)을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시킨다(도 17b)
다시, 디스크(23)가 밀리면, 후크형상부재(226)의 선단의 정면돌출부(226c)를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이 통과한다. 통과하는 과정에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아래면쪽 코너부는 콘링(228)의 경사부(228a)에 맞닿는다. 다시 디스크(23)는 밀려 들어가고, 콘링(228)은 복귀 코일스프링(229)에 대항하여 내려감과 동시에, 디스크(23)는 경사부(228a)에서 중심의 위치가 규제(자동중심조정)된다. 이때, 복귀 코일스프링(229)은 원추형상으로 감겨 있으므로, 디스크(23)가 밀려 들어 갔을을 때, 코일스프링의 압축스페이스가 콘링(228)의 후퇴 스트로우크를 제한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디스크(23)는 턴테이블(221)위에 접착된 슬립시이트(222)위에 밀착할때까지 눌린다. 그 과정에서 정면돌출부(226c)는 디스크(23)의 두께를 통과하고, 후크형상부재(226)는 탄성부재(227)의 가압력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이드홈(225b)을 미끄럼 움직여서 돌출시킨다.
이때, 디스크(23)의 두께가 표준적인 두께인 경우에는, 후크형상부재(226)의 역경사면과 그것에 이어지는 아래면 돌출부(226)는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윗면쪽 코너부에 맞닿으면서 탄성부재(227)의 가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3)를 턴테이블(221)위에 누른다(도 17c). 다른 한편, 디스크(23)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아래면 돌출부(226d)는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윗면쪽 코너부에 맞닿고 다시 디스크(23)의 윗면쪽으로 타고 올라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221)위에 누른다(도 17d).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디스크(23)를 갖다대고 밀어 넣는 것만으로 자동중심조정과 자기지지가 완료된다.
다음에, 디스크(23)를 떼어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23)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후크형상부재(226)의 역경사면과 그것에 이어지는 아래면돌출부(226d)는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지는 힘을 받는다. 후크형상부재(226)는 가이드홈(225b)의 최외주부의 위치에서 보스(226a)에 걸어 맞추어지고 있어서, 이 가이드홈(225b)의 최외주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도 17e 및 f의 화살표참조)한다. 이때, 걸어 맞춤 돌기부(226e)는 턴테이블(221)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탄성부재(227)는 휘어지는데, 모두 공간(235)속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후크형상부재(226)의 역경사면과 그것에 이어지는 아래면 돌출부(226d)는 그 회전동작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회전하여, 디스크(23)는 쉽게 해제되어, 떼어낼 수 있다(도 17g).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226)는 후크형상부재(226)를 되돌려 미는 힘에 대하여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하고, 디스크(23)를 떼어내는 힘에 대하여 가이드홈(225b)의 최외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가 직교하는 윗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탄성부재(227)는 아래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후크형상부재(226)는 센터허브(225)에 수납되어, 디스크(23)의 직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기구(230)를 박형화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조작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디스크의 자동중심 조정과 자기지지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23)를 떼어낼 때에는 작은 힘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디스크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일도 없어진다.
다음에,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의 중심조정 기능과 자기지지 기능의 힘의 균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3)는 텐테이블(221)에 첩부된 슬립시이트(222)를 받이면으로 하여 어떤 정(靜)마찰계수를 유지하면서 장착된다. 그 결과, 디스크(23)를 회전구동할때의 각(角) 가속도에 견디는 슬립력이 발생한다. 이 슬립력은 너무 강해도 또는 너무 약해도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성립되지 않는다. 또, 이 슬립력은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226)에 의하여 디스크(23)의 센터호울의 상부를 압압하는 지지력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다. 지지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슬립력도 커진다.
또한, 이 지지력은 디스크(23)의 센터호울의 하부를 콘링(228)으로 균일하게 누르는 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지지력을 크게하면 할수록 콘링(228)을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예를 들면 복귀 코일스프링(229)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하지 않으면 디스크(23)를 균형있게 잘 중심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3포인트의 힘관계는, 먼저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226)로 자기지지하는데 요하는 탄성부재(227)의 압축시의 스프링력을 200gf±50gf 로 한다. 다음에 콘링(228)을 균일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복귀 코일스프링(229)의 스프링력을 100gf±50gf로 하고, 또한 디스크의 슬립력을 200gf±50gf로 함으로써, 디스크(23)에 걸리는 이들 힘의 균형을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조심기구부(231)에 있어서의 가압수단으로서, 복귀 코일스프링(229)대신에 다른 부재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다른 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의 도 11에 대한 차이점은 복귀 코일스프링(229)대신에 웨이브와셔(229a)를 턴테이블(221)과 콘링(228)과의 사이에 사용한 것이다. 기타의 구성요소는 도 11과 동일하고, 가압수단의 작용과 콘링(228)의 동작작용이 실시예 1의 경우와 대략 같게 얻어진다.
이 웨이브와셔(229a)를 사용하는 것의 특징을 이하에 설명한다. 웨이브와셔(229a)의 파도형의 형상은 파도의 골자기가 턴테이블(221)의 오목부에 접하고, 파도의 정상이 콘링(228)의 하부에 접한다. 이 파도의 골자기와 정상과의 사이의 파도가 디스크 조심기구(231)의 동작 범위, 즉 콘링(228)의 축방향의 미끄럼움직임 영역 0.5㎜를 만족시킨다. 또한, 웨이브와셔(229a)를 사용하는 것의 특징은 파도의 수를 최적의 수로 선택하는데 있다. 즉, 도 12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226)와 콘링(228)의 3개소의 경사부(228a)를 가진다. 따라서, 웨이브와셔(229a)의 파도의 정상(즉, 파도의 수)을 3의 배수로 설정하면, 콘링(2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게 된다. 그리고, 파도의 수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6의 범위에서 설정함으로써 콘링(2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물론, 이때의 가압력은 전술한 복귀 코일스프링(229)의 스프링력(100gf±50gf)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가압력을 발생하는 파도의 비틀림은 턴테이블(221)의 오목부와 콘링(228)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므로, 콘링(228)의 축방향의 미끄럼움직임 영역 0.5㎜에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박형화 구조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자기지지와 자동중심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디스크 조심기구부(231)에 있어서의 가압수단으로서, 복귀 코일스프링(229)대신에 또 다른 부재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또 다른 가압수단을 사용한 디스크 지지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의 도 11에 대한 차이점은 복귀 코일스프링(229)대신에 마그넷(229b)을 턴테이블(221)과 콘링(228)과의 사이에 사용한 것이다. 기타의 구성요소는 도 11과 동일하고, 가압수단의 작용과 콘링(228)의 동작작용이 실시예 1의 경우와 대략 같게 얻어진다.
이 마그넷(229b)을 사용하는 것의 특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에 있어서, 마그넷(229b)은 같은 극이 되는 면끼리(예를 들면, N극과 N극 또는 S극과 S극)면 대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 디스크 조심기구부(231)로서의 동작범위가 얻어지는 에어갭을 유지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마그넷(229b)의 자기반발력은 전술한 복귀 코일스프링(229)의 스프링력과 똑같이 디스크가 없는 무부하상태로 100gf±50gf가 되도록 마그넷을 선정한다. 마그넷(229b)의 형상은 원환상의 강자성체를 사용하여 전둘레에 걸쳐 착자시켜도 좋고, 주위를 분할하여 착자시켜도 좋다. 또, 부채꼴의 강자성체 조각을 사용하여 착자하여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콘링(2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박형화 구조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자기지지와 자동중심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중앙의 스핀들축(24)중심의 오른쪽에는 디스크 장착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스핀들축(24)중심의 왼쪽에는 디스크 장착후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 턴테이블 유니트(336)위에는 디스크(23)의 중심을 조정하는 디스크 조심기구부(331)를 배치한다. 디스크 조심기구부(331)상부의 스핀들축(24)의 같은 축위에 디스크(23)를 자기지지하는 디스크 지지기구부(330)를 배치한다. 실시예 1의 경우와 똑같이 이들 2종류의 기구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구동부(40)는 실시예 1의 경우 및 종래의 배치와 똑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그런데, 전술한 디스크 조심기구부(331)는 콘링(328)과 웨이브와셔(329a)로 구성된다. 도 21a, b는 콘링(328)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21a, 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콘링(328)의 돌출부(328)는 콘링(328)의 경사부(328a)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디스크의 배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328b)가 설치된 위치는 디스크 지지기구부(330)의 주위중 3개소의 범위에 걸쳐 둘러져 있다. 경사부(328a)의 경사면 전체의 길이는 디스크판의 두께의 1.0∼2.0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콘링(328)은 디스크 지지기구부(3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콘링(328)은 턴테이블(321)에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고, 콘링(328)전체가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그 턴테이블(321)의 외주부의 반경 9∼14㎜의 범위에는 디스크(23)에 대한 미끄럼 마찰토오크가 적정하게 주어지도록 슬립시이트(322)가 첩부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조심기구부(331)에 있어서의 가압수단으로서 웨이브와셔(329a)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20의 도 11에 대한 차이점은 복귀 코일스프링(229)대신에 웨이브와셔(329a)를 턴테이블(321)과 콘링(328)과의 사이에 사용한 것이다. 도 18 및 도 20에 있어서, 웨이브와셔(329a)의 파고형의 형상은 파도의 골자기가 턴테이블(321)의 오목부에 접하고, 파도의 정상이 콘링(328)의 하부에 접한다. 그리고, 이 파도의 골자기와 정상과의 사이의 파도가 디스크 조심기구부(331)의 동작범위, 즉 콘링(328)의 축방향의 미끄럼움직임 영역 최대 0.6㎜(표준적 디스크의 기대 스트로우크는 디스크판의 두께의 약 1/2이하로서 0.4㎜)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콘링(328)은 웨이브와셔(329a)에 의하여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콘링(328)의 미끄럼움직임 끝부분은 센터허브(325)로 규제된다. 또한, 웨이브와셔(329a)를 사용하면, 파도를 최적의 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2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는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326)와 콘링(328)의 3개소의 경사부(328a)를 가진다. 따라서, 웨이브와셔(329a)의 파도의 정상(즉, 파도의 수)을 3의 배수로 설정하면, 콘링(3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게 된다. 그리고, 파도의 수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6의 범위에서 설정함으로써 콘링(3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가압력을 발생하는 파도의 비틀림은 턴테이블(321)의 오목부와 콘링(328)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므로, 콘링(328)의 축방향의 미끄럼움직임 영역 최대 0.6㎜를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박형화 구조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자기지지와 자동중심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종래 필요로 하고 있던 규제용의 C링 등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스크 조심기구부(331)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공정도 간략화되어 저코스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콘링(328)을 최대 미끄럼움직임 영역까지 밀어 넣었을 때, 복귀 코일스프링(329)의 직경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또, 콘링(328)이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에 맞닿는 면은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차츰 좁아지는 대략 원추형의 경사부(328a)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1a, b에 의거하여 경사부(328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경사부(328a)는 디스크(23)가 최대 0.6㎜의 밀어 넣는 스트로우크로 장착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그러면, 콘링(328)이 미끄럼 움직이는 영역을(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의 드러스트 방향으로) 최대 0.6㎜로 규정한 경우에 가장 중심조정을 균형있게 행하기 위해서는 경사부(328a)의 경사각도를 스핀들축(24)에 직교하는 면(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설정하면 양호한 중심조정 작용을 발휘하며, 최적 설정각도는 78.7°로 설정한다. 또,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은 경사부(328a)와 걸어 맞추어짐과 동시에,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는 다시 경사부(328a)의 연장선상의 돌출부(328b)에 의하여 후술하는 후크형상부재(326)와도 확실히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이상의 경사부(328a)의 설명은 대략 원추형의 경사부(328a)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크(23)가 장착되는 순간의 감촉에 따라서 상기 경사부(328a)의 면의 접선이 전술한 경사각도의 범위내에서 경사부(328a)를 구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으로 하여도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경사부(328a)표면의 재질을 금속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수지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경사부(328a)의 표면에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예를 들면, 테프론 등)을 붙여도 좋다. 이들 수정은 모두 디스크(23)가 장착되는 순간의 감촉을 조정하기 위하여 취할 수 있는 조치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23)의 내경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라도 경사부(328a)가 내경의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23)는 중심이 조정됨과 동시에 턴테이블(321)에 지지되게 딘다.
다음에, 전술한 디스크 지지기구부(330)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도 12 및 전술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326)를 센터허브(325)의 외주를 따라, 예를 들면 3개소 120도마다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2a 내지 d는 그 후크형상부재(326)의 확대부품도, 도 23a 내지 e는 그 센터허브(325)의 확대부품도이다.
도 20 및 도 22에 있어서, 후크형상부재(326)는 양측면에 보스(326a)를 가지며, 후면에 걸어 맞춤돌기부(326e)를 가진 팽출부가 있는 E자 형상이다. 후크형상부재(326)의 선단부분은 선단(디스크의 외주방향)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경사부(326b)를 가진다. 경사부(326b)는 양측면에 이어지는 면이 팽출한 구형의 정점으로부터 선단부분을 향하여 완만하게 이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그 경사각도는 스핀들축(24)에 직교하는 면(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140°∼ 160°의 범위로 설정하면 양호한 디스크 장착작용을 발휘하며, 최적 설정각도는 150°로 설정한다. 이어지는 후크형상부재(326)의 정면돌출부(326c)는 상하 좌우의 면이 집합하는 구형의 정점을 가진 곡면(도 22a 내지 d참조)을 형성한다. 또한, 정면돌출부(326c)의 하부는 경사부(326b)에 대략 직교하는 평면상의 역경사면(326d)을 가지며, 후크형상부재(326)의 하단까지 이어지는 평면상의 역경사면(326d)을 형성한다. 이 역경사면(326d)의 전체길이는 후크형상부재(326)의 본체부분의 두께에 대하여 정면돌출부(326c)에 상당하는 약 35%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또, 이 역경사면(326d)의 경사각도는 스핀들축(24)에 직교하는 면(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100°∼ 128°의 범위로 설정하면 양호한 디스크 장착작용을 발휘하며, 최적 설정각도는 114°로 설정한다.
이 역경사면(326d)을 설치한 형상에 의하여 전술한 콘링(328)의 경사부(328a)와 함께,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을 끼워 넣어, 확실히 디스크(23)를 지지하여 자동중심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후크형상부재(326)의 두께전체에 걸쳐 형성된 역경사면(326d)과 전술한 콘링(328)의 돌출부(328b)와의 상호 경사면에 의하여 디스크(23)의 내경이나 내경부의 두께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라도 그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23)는 중심조정됨과 동시에 터테이블(321)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이상의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기구부(230)의 전체의 두께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광디스크(23)를 떼어낼 때의 떼어내는 힘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센터허브(325)는 그 주위에 3개소 120도마다 센터허브창(325a)을 가진다. 센터허브창(325a)의 이면쪽에는 가이드홈(325b)의 오목부를 가지며, 센터허브창(325a)의 내주쪽에는 걸어 맞춤 돌기부(325c)를 가진다. 또한 센터허브창(325a)의 외주부 바닥면에는 텔라스 형상으로 돌출한 바닥면 돌출부(325d)를 가진다. 후크형상부재(326)의 보스(326a)는 센터허브(325)의 가이드홈(325b)에 걸어 맞추어진다. 그리고, 보스(326a)는 가이드홈(325b)에 걸어 맞추어져서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홈(325b)의 최외주부(동시에 바닥면 돌출부(325d)의 최내주부)를 중심으로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센터허브(325)에 지지되어 있다. 보스(326a)가 가이드홈(325b)을 미끄럼 움직일 때에는 바닥면 돌출부(325b)를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디스크(23)가 장착될 때에는 후크형상부재(326)가 상부로부터 받는 압압력을 지탱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디스크(23)가 배출될 때에는 바닥면 돌출부(325d)가 보스(326a)의 회전지지점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바닥면 돌출부(325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허브창(325a)의 외주부이면 그 기능을 만족시키나, 센터허브창(325a)의 외주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터허브(325a)의 전둘레를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형상을보다 단순화 할 수 있으므로, 성형이 용이하다.
탄성부재(327)는 센터허브(325)의 걸어 맞춤돌기부(325c)와 후크형상부재(326)의 걸어 맞춤돌기부(326c)와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어서 센터허브(325)내에 수납된다. 탄성부재(327)는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또한, 3개소의 탄성부재(327)의 하부의 턴테이블(321)의 일부에 탄성부재(327)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335)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후크형상부재(326)는 탄성부재(327)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홈(325b)의 최외주부(동시에 바닥면 돌출부(325d)의 최내주부)에 보스(326a)가 걸어 맞추어져서 대기(대기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336)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장착면(슬립시이트(322)의 윗면)을 기준으로 디스크 배출쪽에 2.5㎜이하, 실질적으로는 2.25㎜로, 디스크 삽입쪽(턴테이블(321)쪽)에 1.3㎜이하, 실질적으로는 1.25㎜로, 합계 두께를 3.8㎜이하, 실질적으로는 3.5㎜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유니트(336)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을 설명한다. 도 24a, b는 도 20의 디스크 지지장치의 디스크 장착이탈 동작도이다. 도 20 내지 도 24a, b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지지기구부(330) 및 디스크 조심기구부(331)의 양기구부의 상호관계 및 디스크(23)를 장착이탈할때의 후크형상부재(326)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23)를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23)를 디스크 지지기구부(330)에 갖다 댄다 (도 24a(a)). 그러면 3개소에 배치된 후크형상부재(326)의 경사면부(326b)를 상부에서 밀면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321)위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후크형상부재(326)는 디스크(23)에 밀려서 바닥면 돌출부(325b)에 지지되고, 탄성부재(327)에 대항하여 디스크 내주방향으로 가이드홈(325d)을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한다 (도 24a(b).
또한, 디스크(23)가 밀리면, 후크형상부재(326)의 선단의 정면돌출부(326c)를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이 통과한다. 통과하는 과정에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아래면쪽 코너부는 콘링(328)의 경사부(328a)에 맞닿는다. 또한, 디스크(23)는 밀려 들어가지고, 콘링(328)은 웨이브와셔(329a)에 대항하여 내려가는 동시에, 디스크(23)는 경사부(328a)에서 중심의 위치가 규제된다(자동중심조정).
이때, 웨이브와셔(329a)의 파도수가 후크형상부재(326)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콘링(328)의 하중점이 주위균등하게 가압되게 된다. 또, 파도의 비틀림은 턴테이블(321)의 오목부와 콘링(328)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므로, 콘링(328)의 축방향의 미끄럼움직임 영역(후퇴 스트로우크)에서 아무런 방해없이 행하여진다.
또한, 디스크(23)는 턴테이블(321)위에 붙여진 슬립시이트(322)위에 밀착할때까지 눌린다. 그 과정에서 정면돌출부(326c)는 디스크(23)의 두께를 통과하고, 후크형상부재(326)는 탄성부재(327)의 가압력에 의하여 디스크 외주방향으로 가이드홈(325c)을 미끄럼 움직여서 돌출한다.
이때, 디스크(23)의 두께가 표준적인 두께라도, 또는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후크형상부재(326)의 역경사면(326d)과 콘링(328)의 경사부(328a)가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상하 양면의 코너부에 맞닿아서, 디스크(23)를 턴테이블(321)위에 누름과 동시에, 자동중심 조정이 된다. 특히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후크형상부재(326)의 역경사면(326d)과 콘링(328)의 경사부(328a)가 모두 긴 연장부분을 가지므로, 디스크(23)의 내경부단면의 상하양면의 코너부에 맞닿아서, 후크형상부재(326)가 디스크(23)의 윗면에 올라타는 일이 없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a(c).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디스크(23)를 갖다대고 밀어 넣는 것만으로 자동중심 조정과 자기지지가 완료된다.
다음에, 디스크(23)를 떼어내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작자는 디스크(23)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도 24b(d)). 그러면, 후크형상부재(326)의 역경사면(326d)은 윗방향으로 당겨 올려지는 힘을 받는다. 후크형상부재(326)의 보스(226a)는 바닥면 돌출부(325d)를 회전지지점으로 하여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도 24b(e)의 화살표참조)한다. 이때, 걸어 맞춤 돌기부(326e)는 턴테이블(321)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탄성부재(327)는 휘어지는데, 모두 공간(335)속에서 동작한다. 또 동시에 역경사면(326d)은 디스크(23)에 밀려서 탄성부재(327)에 대항하여 디스크 내주방향으로 가이드홈(325b)을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시킨다. 따라서, 후크형상부재(326)의 역경사면(326d)은 그 회전동작에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회전하면서 후퇴하여, 디스크(23)는 쉽게 해제되어, 떼어낼 수 있다. 물론 디스크(23)를 떼어낸 후에는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도 24b(f)).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재(326)는 후크형상부재(326)를 되돌려 미는 힘에 대하여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할 수 있다. 또, 디스크(29)를 떼어내는 힘에 대하여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여서 후퇴함과 동시에, 바닥면 돌출부(325d)를 회전지지점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탄성부재(327)는 아래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후크형상부재(326)는 센터허브(325)에 수납되어, 디스크(23)의 직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고 또한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기구(330)를 박형화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조작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디스크의 자동중심 조정과 자기지지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23)를 떼어낼 때에는 작은 힘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디스크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일도 없어진다.
다음에,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의 중심조정 기능과 자기지지 기능의 힘의 균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3)는 턴테이블(321)에 첩부된 슬립시이트(322)를 받이면으로 하여 어떤 정마찰계수를 유지하면서 장착된다. 그 결과, 디스크(23)를 회전구동할 때의 각 가속도에 견딜 수 있는 슬립력이 발생한다. 이 슬립력은 너무 강해도 또는 너무 약해도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성립되지 않는다. 또, 이 슬립력은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326)에 의하여 디스크(23)의 센터호울의 상부를 압압하는 지지력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다. 지지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슬립력도 커지게 된다.
또한, 이 지지력은 디스크(23)의 센터호울의 하부를 콘링(328)으로 균일하게 누르는 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지지력을 크게 하면 할수록 콘링(328)을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예를 들면 웨이브와셔(329a)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하지 않으면, 디스크(23)를 균형있게 중심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3포인트의 힘관계는, 먼저 3개소의 후크형상부재(326)로 자기지지하는데 요하는 탄성부재(327)의 압축시의 스프링력을 200gf±50gf로 한다. 다음에, 콘링(328)을 균일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웨이브와셔(329a)의 스프링력을 100gf±50gf로 하고, 또한 디스크의 슬립력은 200gf±50gf 로 함으로써, 디스크(23)에 걸리는 이들 힘의 균형을 적합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는 콘링(328)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웨이브와셔(329a)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귀 코일스프링이나 마그넷을 사용하여도 실시예 3에 똑같이 응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복귀 코일스프링이나 마그넷을 사용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두께가 다른 디스크나 센터호울부의 단면이 다른 디스크 등이라도, 디스크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지지력을 적절히 하여 확실히 자기지지함과 동시에, 자동중심 조정을 할 수 있으며, 또 디스크를 떼어낼때의 힘을 작게 억제하여 디스크의 변형, 비틀림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 지지기구와 디스크 조심기구를 일체화하여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9)

  1.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를 센터호울부와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고,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수단(center hub)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는 회전원반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 조정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하부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올라타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며,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제2의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후크지지 수단에 의하여 센터호울부를 끼움으로써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5.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 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는 회전원반 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은 그 외주방향의 선단부분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에 이어지는 선단과 하부가 구형으로 형성된 선단볼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7.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는 회전원반 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하부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올라타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은 디스크 장착시에 맞닿는 경사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관통시에 디스크에 맞닿는 정면돌출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30°∼ 150°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0.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 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이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는 회전원반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제2의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에 의하여 센터호울부를 끼움으로써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은 디스크 장착시에 맞닿는 경사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관통시에 디스크에 맞닿는 정면돌출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역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40°∼ 160°의 범위로 형성하고, 상기 역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00°∼ 128°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3.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으로서, 그 외주방향의 선단부분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에 이어지는 선단과 하부가 구형으로 형성된 선단볼부를 가진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 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는 회전원반 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은 상기 중심지지 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과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고, 상기 중심지지 수단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은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부에 배치된 대략 원형단면의 환상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가압하고, 원추형상으로 감긴 원추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5㎜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5㎜이하, 디스크 삽입쪽(회전원반 수단쪽)에 1.3㎜이하로, 합계 두께를 3.8㎜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19.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 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의 연장선상의 복수의 부분에 배치된 돌출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았을 때, 디스크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수단을 배치한 회전원반 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은 디스크 장착시에 맞닿는 경사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관통시에 디스크에 맞닿는 정면돌출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하면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30°∼ 150°의 범위로 형성하고, 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하고,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하부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올라타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제를 쉽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상기 하면돌출부의 돌출량은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약 1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돌출부의 돌출량은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약 2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은 상기 중심지지 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과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고, 상기 중심지지 수단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가압하고, 원추형상으로 감긴 원추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을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가압하고, 파도형상으로 형성된 파도형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에 대향하여 배치된 각각 동극으로 착자한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6. 청구항 19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한 상태를 적절히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200gf±50gf의 탄발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을 100gf±50gf의 탄발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슬립방지 수단의 슬립력을 200gf±50gf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7. 청구항 19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7㎜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8. 청구항 18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7㎜이하, 디스크 삽입쪽(회전원반 수단쪽)에 1.3㎜이하로, 합계 두께를 4.0㎜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29.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삽통하여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장치로서,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복수의 후크형상 지지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의 가압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수납하는 중심지지 수단(center hub)과,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맞닿아서 디스크의 중심을 정합시키는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의 연장선상의 복수의 부분에 배치된 돌출부를 가지며 디스크의 장착이탈 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디스크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의 가압수단과,
    디스크를 얹어 놓았을 때, 디스크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 수단을 배치한 회전원반 수단(turn table)을 가지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은 디스크 장착시에 맞닿는 경사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의 관통시에 디스크에 맞닿는 정면돌출부와,
    디스크의 센터호울부에 걸어 맞추어 지지하는 역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40°∼ 160°의 범위로 형성하고, 상기 역경사면을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100°∼ 128°의 범위로 형성하고, 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68.7°∼ 88.7°의 범위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회전축과 동일축상에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과 상기 중심지지 수단을 배치하고,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상기 중심지지 수단의 내주방향으로 후퇴하여 디스크의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제2의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에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의 센터호울부를 눌러서,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에 의하여 센터호울부를 끼움으로써 디스크의 중심을 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디스크를 떼어내는 경우, 디스크를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의 배출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지 수단은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을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부분에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이 디스크로부터 받는 압압력을 지지하는 바닥면 돌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상기 역경사면의 전체길이는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의 본체부분의 두께에 대하여 약 35% 연장된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2.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의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 전체의 길이는 디스크의 두께의 1.0∼2.0배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3.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은 상기 중심지지 수단과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과의 사이에 걸쳐 걸려 있고, 상기 중심지지 수단내에 수납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4.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가압하고, 원추형상으로 감긴 원추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5.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을 가압하고, 파도형상으로 형성된 파도형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6.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원반 수단과 상기 디스크 중심조정 수단에 대향하여 배치된 각각 동극으로 착자한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7. 청구항 29에 있어서, 디스크를 중심조정함과 동시에 디스크를 지지하고, 상기 중심조정 경사면부와 상기 후크형상 지지수단에 의하여 센터호울부를 끼운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 가압수단을 200gf±50gf의 탄발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의 가압수단을 100gf±50gf의 탄발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슬립방지 수단의 슬립력을 200gf±50gf로 설정한 것을 특징을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8. 청구항 27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5㎜ 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39. 청구항 27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회전원반 수단의 디스크 얹어 놓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크 배출쪽에 2.5㎜ 이하, 디스크 삽입쪽(회전원반 수단쪽)에 1.3㎜ 이하로, 합계 두께를 3.8㎜ 이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장치.
KR1019970070212A 1996-12-18 1997-12-17 디스크 지지장치 KR100278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789596A JP3355973B2 (ja) 1996-12-18 1996-12-18 ディスク保持装置
JP96-337895 1996-12-18
JP97-179373 1997-07-04
JP17937397 1997-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05A true KR19980064305A (ko) 1998-10-07
KR100278595B1 KR100278595B1 (ko) 2001-01-15

Family

ID=264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212A KR100278595B1 (ko) 1996-12-18 1997-12-17 디스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1033A (ko)
EP (1) EP0849733B1 (ko)
KR (1) KR100278595B1 (ko)
CN (1) CN1123878C (ko)
DE (1) DE69721202T2 (ko)
MY (1) MY125451A (ko)
TW (1) TW358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65B1 (ko) * 2000-12-28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미끄럼 방지용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9328B1 (en) * 1997-10-31 2001-04-17 Funai Electric Co., Ltd. Disc rotating apparatus
DE69931145T2 (de) * 1998-11-30 2007-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lemmvorrichtung für plattenförmigen informationsträger
DE19859357A1 (de) * 1998-12-22 2000-06-29 Thomson Brandt Gmbh Aufzeichnungs-oder Wiedergabegerät mit einer Auf- und Abnahmevorrichtung für plattenförmige Aufzeichnungsträger
US6272104B1 (en) * 1999-01-26 2001-08-07 Dell Usa, L.P. Media retention device for CD ROM and digital video drives in a portable computer
JP2000311409A (ja) * 1999-04-23 2000-11-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光ディスク装置
TW491998B (en) * 2000-03-01 2002-06-21 Ind Tech Res Inst Thin type disc self-clamping device
JP3615991B2 (ja) * 2000-06-06 2005-02-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ターンテーブル駆動装置
US6760188B2 (en) * 2000-12-13 2004-07-06 Seagate Technology Llc Disc stack assembly having a clamp plate and a retaining ring to clamp a disc to a spindle motor hub
JP2002190149A (ja) * 2000-12-20 2002-07-05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US6779192B2 (en) * 2000-12-28 2004-08-17 Lg Electronics Inc. Disk clamping device for a disk drive having a hub insertable into a central hole of a disk
US6570835B1 (en) * 2001-02-15 2003-05-27 Eutronic Technology Company Ltd. Support structure for compact disc
CN100362585C (zh) * 2001-04-12 2008-01-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圆盘状信息记录介质用转台和圆盘装置
JP2002312999A (ja) * 2001-04-16 2002-10-25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EP1424693A1 (en) * 2002-11-28 2004-06-02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Hold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drive
JP4083055B2 (ja) * 2003-03-31 2008-04-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ホルダ及びディスク装置
KR100513315B1 (ko) * 2003-04-28 2005-09-0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홀더
JP2005038465A (ja) * 2003-07-15 2005-02-10 Toshiba Corp ディスク支持機構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988706B2 (ja) * 2003-09-30 2007-10-1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保持機構
CN1875416A (zh) * 2003-10-28 2006-12-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转盘和包括这种转盘的装置
JP2005251303A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US7412713B2 (en) * 2004-03-04 2008-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hucking apparatus
WO2005086152A1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7531190A (ja) * 2004-03-26 2007-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ターンテーブル上で情報媒体をセンタリングする装置
JP4113522B2 (ja) * 2004-08-04 2008-07-09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及びこ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を用い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593922B1 (ko) * 2004-08-05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 척킹장치
JP2006196139A (ja) * 2004-12-15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733246B1 (ko) * 2006-06-27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조립체
JP4946208B2 (ja) * 2006-06-29 2012-06-06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媒体の保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モータユニット
JP4872505B2 (ja) * 2006-07-20 2012-02-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535045B2 (ja) * 2006-08-21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047263A (ja) * 2006-08-21 2008-02-28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047265A (ja) * 2006-08-21 2008-02-28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618214B2 (ja) * 2006-08-21 2011-01-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978257B2 (ja) * 2007-03-19 2012-07-1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092476B2 (ja) * 2007-03-19 2012-12-05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92497B2 (ja) * 2007-03-19 2012-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076573B2 (ja) * 2007-03-19 2012-11-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056127B2 (ja) 2007-04-05 2012-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ディア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メディア処理装置
US8033731B2 (en) 2007-10-17 2011-10-11 Seagate Technology Llc Fluid dynamic bearing motor having molded plastic
JP5103306B2 (ja) * 2008-07-15 2012-12-19 昭和電工株式会社 ディスクチャック装置
KR101020800B1 (ko) * 2008-12-29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1047475B1 (ko) * 2009-05-08 201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JP6653731B2 (ja) * 2018-06-13 2020-02-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香箱アセンブリ、ムーブメント及び時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05274U (de) * 1970-02-14 1970-05-21 Buehler Gmbh Nachf Geb Plattenteller bei plattenspielern fuer spielzeuge.
US4077236A (en) * 1976-03-11 1978-03-07 Shugart Associates Apparatus having inwardly biased fingers hingedly attached to a hub for clamping and driving a flexible disc
JPS58194171A (ja) * 1982-05-04 1983-11-12 Comput Basic Mach Technol Res Assoc 磁気デイスク装置のヘツド駆動制御方式
JPS60170060A (ja) * 1984-02-13 1985-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板状情報記録担体回転保持装置
NL8401304A (nl) * 1984-04-20 1985-11-18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aandrukorgaan voor het aandrukken van een op de draaitafel gelegen plaat.
JPH0418103Y2 (ko) * 1985-06-05 1992-04-22
JPS62212958A (ja) * 1986-03-13 1987-09-18 Kobe Steel Ltd デイスクチヤツキング装置
DE3812963A1 (de) * 1988-04-19 1989-11-02 Thomson Brandt Gmbh Ringfoermige scheibe zum einlegen eines platten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s
US4958839A (en) * 1988-07-12 1990-09-25 Guzik Technical Enterprises, Inc. Disc clamp employing resilient cone for spreading balls
US5117414A (en) * 1988-09-19 1992-05-26 Hewlett-Packard Company Drive motor and spindle assembly for an optical disk drive
JP2861144B2 (ja) * 1989-11-16 1999-02-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JP3384002B2 (ja) * 1992-01-24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テーブル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278253A (ja) * 1991-03-05 1992-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630880B2 (ja) * 1991-11-29 1997-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保持装置
DE4212213B4 (de) * 1992-04-10 2010-04-0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Informationsträger
JP2970200B2 (ja) * 1992-04-17 1999-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芯出しクランプ機構
AT397737B (de) * 1992-06-10 1994-06-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erät zum abspielen eines kreisscheibenförmigen aufzeichnungsträgers
JPH06131783A (ja) * 1992-10-19 1994-05-13 Asahi Corp:Kk ディスク保持装置
JP3095160B2 (ja) * 1993-12-01 2000-10-03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US5774445A (en) * 1993-08-09 1998-06-30 Funai Electric Co., Ltd. Disc clamp mechanism having radial disposed disc pressing elements
JP3123044B2 (ja) * 1993-08-11 2001-01-09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H07287910A (ja) * 1994-04-20 1995-10-31 Fujitsu General Ltd 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H08190752A (ja) * 1995-01-05 1996-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637200A (en) * 1995-02-08 1997-06-10 Nobler Technologies, Inc. Compact disk locking apparatus
US5644564A (en) * 1995-03-17 1997-07-01 Phase Metrics Vacuum chuck for rotating data discs
JPH08335351A (ja) * 1995-06-06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ーンテ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65B1 (ko) * 2000-12-28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미끄럼 방지용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9733B1 (en) 2003-04-23
CN1185624A (zh) 1998-06-24
DE69721202D1 (de) 2003-05-28
MY125451A (en) 2006-08-30
KR100278595B1 (ko) 2001-01-15
DE69721202T2 (de) 2004-03-25
US6041033A (en) 2000-03-21
CN1123878C (zh) 2003-10-08
EP0849733A1 (en) 1998-06-24
TW358198B (en) 199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595B1 (ko) 디스크 지지장치
JP4992497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78257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347698B1 (ko) 매체 장착장치 및 디스크 구동장치
KR100934052B1 (ko) 척킹 기구, 무브러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6680896B2 (en) Medium attaching device and disk drive apparatus
JPH10106134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5251299A (ja) 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5251305A (ja) 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5251306A (ja) チャッキング装置
US20030031113A1 (en) Disk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balance at the time of disk rotation
JPH1173722A (ja) 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5251302A (ja) チャッキング装置
KR20030051203A (ko) 디스크 클램프 기구
JP3418600B2 (ja) 光ディスク用アダプタ−
JP3355973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
JP3896867B2 (ja) 媒体装着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4363678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4608808B2 (ja) 媒体装着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3405390B2 (ja) 光ディスクのチャッキング機構
JP2006252623A (ja) 記録ディスク載置装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装置
JP2000322800A (ja) 媒体装着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H0668868B2 (ja) 光デイスク装置の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JPH04353662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保持機構
JP2002074657A (ja) 板状記録媒体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