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3098A -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098A
KR19980063098A KR1019960082539A KR19960082539A KR19980063098A KR 19980063098 A KR19980063098 A KR 19980063098A KR 1019960082539 A KR1019960082539 A KR 1019960082539A KR 19960082539 A KR19960082539 A KR 19960082539A KR 19980063098 A KR19980063098 A KR 1998006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
subscriber
pcsi
pc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장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098A/ko
Publication of KR1998006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9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기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기가 대응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매개하여 접속되는 다수의 ASS-W와 INS 및 ASS-T를 매개하여 HLR이 접속된 개인통신교환기를 구비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측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그 가입자단말로의 착신이 도래되면 발신측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실행하고, 그 인증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발신측 가입자정보에 발신번을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단말을 관장하는 ASS-W로 전달하고, 그 ASS-W에서의 상기 가입자단말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발신번 표시기능이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발신번이 상기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본 발명은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통신가입자의 요구에 의해 발신번을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에 표시해주기 위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방식의 가입자라인을 매개하여 접속된 유선가입자단말기간의 호처리에 대한 기능만이 상정된 교환시스템에 대해서는 최근에 가입자단말기에게 이동성을 부여하여 지역 또는 장소적인 제약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호설정 및 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개인이동통신 서비스기능이 부여된 상태이다.
그러한 개인이동통신의 서비스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개인이동통신교환기(Personal communication exchange)에 따르면, 기존의 유선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처리기능에 부가적으로 무선가입자처리기능이 추가된 유/무선통합시스템으로 개인통신망에서 보장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기존의 망(網)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통신망과는 이질적인 타망(ISDN, PLDN 등)과의 연동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a - 10n은 개인통신가입자가 휴대가능하면서 이동성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소위 '휴대폰'으로 지칭되는 가입자단말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a - 20n은 각기 다수의 가입자단말기와 호처리데이터를 송신/수신하여 각 가입자단말기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신/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을 나타낸다.
또, 30a - 30n은 각기 다수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상기 가입자단말기(10 - 10n)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over)의 결정 등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제어기를 나타낸다.
또, 40은 상기 기지국제어기(30a - 30n; 30)와 IS-651/IS-634규격으로 인터페이싱되는 개인통신교환기를 나타내고, 50은 각 가입자단말기(10)에 대해 후술하는 가입자정보관리장치(Home location register;HLR)와 정합되어 임의의 가입자단말기(10)에 대한 사용허가처리 등을 수행하는 인증센터를 나타낸다.
또, 60은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와 트렁크매체를 매개하여 상호 접속되어 통신정보의 상호 전달을 위한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교환기(4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동 도면에서 72a - 72n은 상기 기지국제어기(30a - 30n)와 대응적으로 정합되어 무선이동통신을 위한 가입자단말기(10)의 호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정합교환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wireless subscriber ;ASS-W)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 ASS-W(72a - 72n)는 대부분의 개인이동통신을 위한 호처리기능이라던지 자체 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시 ASS-W의 단위로 증설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수평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또, 74는 기존의 유선적인 아날로그 가입자단말기를 나타내고, 76은 그 유선적인 아날로그 가입자단말기(74)의 호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가입자정합 교환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subscriber; ASS-S)을 나타내는 바, 그 ASS-S(76)도 상기 유선가입자단말기(74)에 대한 대부분의 호처리기능이라던지 자체적인 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시 그 ASS-S의 단위로 증설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수평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에서 참조부호 78은 상기 ASS-W(72;72a - 72n)와 ASS-S(76)에 대해 데이터링크(즉, Optical link)를 매개하여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의 전체적인 호처리/관리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을 나타내는 바, 그 INS(78)는 스위칭네트워크(T-S-T)의 구성을 위해 상기 ASS-W/ASS-S(72,76)에 위치하는 타임스위치(T)와 연계되는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를 포함하게 됨과 더불어,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의 서비스영역내에 존재하는 상기 가입자단말기(10)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등의 이동성 관리기능을 위해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이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그 VLR은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에 의해 관리되는 지역에 존재하는 가입자단말기(10,---)에 대한 전체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되고, 그 정보는 개인통신 가입자가 호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개인통신교환기(40)로 전송되게 되며, 그 VLR내의 정보는 상기 가입자단말기(10)의 이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정되게 된다.
또, 도 2에서 참조부호 80은 상기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60)와의 사이에서 중계선정합을 위한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trunk; ASS-T)을 나타내는 바, 그 ASS-T(80)에는 공중가입형 디지탈데이터교환망(Public switched data network; PSDN)과, 전화/전신 및 각종의 비전화계 서비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탈기술을 전제로 교환/전송/가입자 단말의 일원화를 위한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DN), 개인통신망내에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존재하여 자신의 PCN내에 등록된 전체의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파라미터와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 기능하면서 가입자단말기의 억세스능력이라던지 기본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포함하는 중요한 데이터가 등록됨과 더불어 착신가입자의 루팅기능을 수행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접속된다.
또, 참조부호 82는 상기 INS(78)에 대해 데이터링크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SS No-7신호 처리 정합을 위한 No-7신호정합교환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No-7 signalling; ASS-7)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참조부호 84는 상기 INS(78)와 신호적으로 접속(Work station)되어 해당하는 교환기의 총괄적인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주변장치로 구성된 CCS(Central control system)을 나타내고, 그 CCS(78)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교환기(40)에 대해 개인통신교환기/과금센터간 접속규격 에 의해 연동하면서 그 교환기(40)로부터 전송되는 과금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CAMA(Centralized authomatic message accounting; 86)가 접속됨과 더불어 그 교환기(40)에 대해 TMN Q인터페이스에 의해 연동하면서 개인통신망을 구성하는 전체의 구성요소에 대한 중앙집중화된 운용/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는 OMC(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와 개인통신망의 관리를 위한 NMC(Network management center)(88)가 접속된다.
그러한 구성의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따르면 예퀴대 기지국제어기(30a)에 수용된 이동성의 가입자단말기(예컨대 10a)로부터 호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그 호설정요구에 따라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 개인통신교환기(40)의 ASS-W(72a)에서는 그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자국에 수용된 착신대상의 이동성 가입자단말기 또는 유선가입자단말기(예컨대 74)에 대한 호설정처리를 실행하거나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예컨대 60)에 수용된 이동성 가입자단말기 또는 유선가입자단말기에 대한 호설정처리를 관장하게 되고, 그러한 호설정요구에 대해서는 CCS(84)를 통해 과금정보가 처리되어 CAMA(86)로 전달된다.
또한, 자국에 수용된 이동성 가입자단말기(예컨대 10a)를 착신대상으로 하는 호설정이 발생되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의 해당하는 ASS-W(72a)와 기지국제어기(30a)를 매개하여 그 착신대상의 가입자단말기(10a)에 대한 호설정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 이동성 가입자단말기에 대해 착호가 발생되는 경우, 그 발신측 가입자의 확인이 불가능하게 되면 착신측 가입자는 예컨대 악의호가 발생되어도 수신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따라서, 개인통신교환기에 대해서는 발신번이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요망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통신가입자의 요구에 의해 발신번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기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기가 대응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매개하여 접속되는 다수의 ASS-W와 INS 및 ASS-T를 매개하여 HLR이 접속된 개인통신교환기를 구비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측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그 가입자단말로의 착신이 도래되면 발신측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실행하고, 그 인증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발신측 가입자정보에 발신번을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단말을 관장하는 ASS-W로 전달하고, 그 ASS-W에서의 상기 가입자단말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발신번 표시기능이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발신번이 상기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이동통신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교환기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을 실행하는 도 2에 도시된 개인통신교환기의 주요부분의 기능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입자단말기, 20a - 20n: 기지국,
30a - 30n: 기지국제어기, 40: 교환기,
50: 인증센터, 72a - 72n: ASS-W,
78: I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을 실행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의 요부기능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72a로 표시된 ASS-W는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30a)에 대해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도시 생략)를 매개하여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해당하는 교환기(40)와 기지국제어기(BSC;30a)의 사이에서 소용되는 링크관리기능이라던지 BSSAP(Base station system application part)기능이나 일부의 MM(Mobility management)접속유지기능을 처리하는 PCSI(PCS interface control; 90a-1)와; 개인이동통신 가입자단말기의 발신/착신처리를 관리하면서 상기 PCSI(90a-1)로부터의 개인이동통신 가입자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호처리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과 번호번역의 요구, 신호장비와 스위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PCC(PCS call control; 90b-2); 동작절차를 수행하면서 TCAP와의 접속기능이라던지 응용프로세서와의 연관적인 동작, 지시번호 및 다이얼로그 번호관리, 동작/에러정의를 참조하여 컴포넌트의 파라미터에 대한 기본 부호화 및 해독기능 등을 수행하는 호처리서비스제어수단으로서의 CPSC(Call processing service control; 90a-3); 신호장비와 T(Time)-스위치를 제어하는 TLSI(LSI, TSL)의 초기화(인터페이싱)를 담당하는 LSC(90a-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제 2의 ASS-W(70b)는PCSI(90b-1), PCC(90b-2), CPSC(90b-3), TSW(90b-4), GSC(90b-5), GSI(90b-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참조부호 78로 표시된 INS는 해당하는 교환기(40)에 속하는 가입자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등록/출력되는 LCC(LR call control;92a)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LCC(92a)는 이동가입자발신을 하는 경우 상기 PCC(90a-2; 90b-2)로 이동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착신대상의 이동가입자가 페이징(Paging)에 응답하는 경우 착신대상의 이동가입자 정보를 호제어블럭으로 하게 되고, 이동가입자 착신을 위해 TLDN할당요구시 그 TLDN의 할당기능의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INS(78)는 개인통신응용부(MAP)로서의 LCC(92a), LLU와 문답처리운용(TCAP)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작처리절차를 수행하는 LRSC(Location register service control; 92b)와; 국제번호와 지역번호, 국번번역을 수행하면서 출중계호/입중계호, 착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착신자의 정보를 구하여 처리하는 번호번역부(Number translation(NTR); 92c), 개인통신시스템의 전체 스위치(T-S-T 스위치 망)의 채널에 대해 호의 접속/해제를 위한 배정과 해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SNC(Switching network control; 92d), SNC(92d)로부터 통화로의 연결/해제요구를 수행하는 스페이스 스위치(SSW; 92e)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INS(78)는 ASS-T(80)를 매개하여 HLR과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그 HLR의 억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상기 가입자단말기(10n)에 의해 발신번표시기능이 등록된 상태에서 가입자단말기(10a)가 발신측으로 되어 호설정요구가 제 1기지국제어기(30a)로 전달되면 단계 100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 CM(Call management)서비스의 연결요구가 SCCP를 매개하여 상기 교환기(40)의 ASS-W(72a)의 PCSI(90a-1)로 그 CM서비스 요구에 대한 메시지가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SI(90a-1)에서는 PCC(90a-2)에 CM서비스 요구를 전달하게 되면, 그 PCC(90a-1)에서는 PCSI(90a-1)에 프로세스ID를 통보하고나서 단계 102에서 상기 LCC에 발신가입자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그 요구에 따라 LCC(92a)로부터 발신가입자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PCC(90a-1)는 단계 104에서 인증 절차와 암호화 적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결과 인증 및 암호화가 적용된 경우(단계 104에서 'YES')에는 상기 ASS-W(72a)의 PCC(90a-2)가 단계 106에서 INS(80)의 LCC(92a)에 발신가입자의 인증을 요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INS(80)의 LCC(92a)에서 LRSC(92b)에 발신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상기 LRSC(92b)에서는 ASS-T(80)를 매개하여 HLR에 발신가입자의 인증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한 인증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HLR에서는 발신가입자의 인증결과를 상기 INS(80)의 LRSC(92b)에 통보하게 되고, 단계 108에서 인증결과 및 유일시도의 적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결과, 인증이 실패하고 유일시도가 미적용된 경우(단계 108에서 'YES')이면 단계 110에서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PCSI(90a-1)로 해제지령을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PCSI(90a-1)에서는 SCCP로 해제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면 그 SCCP에서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30a)로 연결거절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고나서 호설정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단계 108에서의 판단결과 인증이 실패하고 유일시도가 적용된 경우(단계 112에서 'YES')이면 단계 114로 이행하여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 PCSI(90a-1)로 인증요구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PCSI(90a-1)에서는 SCCP로 인증요구에 대한 신호연결설정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며, 그에 따라 SCCP에서 기지국제어기(30a)로 인증요구에 대한 연결확립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단계 116에서 SCCP로 인증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그 SCCP에서 ASS-W(30a)의 PCSI(90a-1)에 인증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PCSI(90a-1)에서는 PCC(90a-2)로 인증응답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CC(90a-2)는 단계 118에서 인증실패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인증실패인 경우에는 단계 120에서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PCSI(90a-1)로 해제지령을 전달하게 되며, 그 PCSI(90a-1)에서는 SCCP로 해제지령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0a)로 해제지령에 대한 제 1형 데이터의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30a)에서 SCCP로 해제완료에 대한 제1 형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SCCP에서는 ASS-W(72a)의 PCSI(90a-1)로 해제완료의 제 1형 데이터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PCSI(90a-1)에서는 PCC(90a-2)로 해제완료를 통보함과 더불어 SCCP로 신호연결복구(거절)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후 상기 ASS-W(72a)의 PCSI(90a-1)에서 SCCP로 연결 복구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한편,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서 SCCP로 복구완료메시지를 전송하고나서 호설정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112에서의 판단결과 인증이 성공하고 암호화가 적용된 경우(즉 단계 126에서 'YES')로 판단되거나, 단계 118에서 인증실패로 판단되지 않고서 단계 122에서 인증성공이 판단됨과 더불어 암호화적용이 판단되는 경우(단계 122에서 'YES')이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24에서 PCSI(90a-1)에 암호화지령을 전달하게 되고, 그 PCSI(90a-1)에서는 SCCP로 암호화모드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SCCP에서는 기지국 제어기(30a)로 암호화모드명령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서는 SCCP에 암호화모드 완료를 나타내는 데이터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그 SCCP에서는 상기 ASS-W(72a)의 PCSI(90a-1)로 암호화모드완료의 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SI(90a-1)는 상기 PCC(90a-2)로 암호화완료를 통보하게 된다.
그 암호화완료가 통보되는 경우와 상기 단계 126에서의 판단결과 암호화절차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단계 122에서의 판단결과 인증이 성공하고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상기 PCSI(90a-1)에 CM서비스의 수용을 통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SI(90a-1)에서는 SCCP로 신호연결메시지의 응답을 전송하게 되며, 그 SCCP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0a)로 연결확립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상기 연결확립메시지에 응답하여 단계 128에서 SCCP로 호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SCCP에서는 상기 ASS-W(72a)의 PCSI(90a-1)로 호설정요구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PCSI(90a-1)에서는 상기 PCC(90a-2)로 호설정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30에서 호수용가능성을 판단하게 되는 바, 그 판단결과 호수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132으로 진행하여 상기 PCSI(90a-1)로 연결복구지령을 전달하게 되고, 그 PCSI(90a-1)에서는 SCCP로연결복구(해제)지령메시지를 전송함에 이어,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해제완료지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는 PCSI(90a-1)로 해제지령을 전달하게 되면 그 PCSI(90a-1)는 SCCP로 해제지령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기지국 제어기(30a)에 해제지령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해제지령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SCCP로 해제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해제완료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CCP에서는 상기 ASS-W(30a)의 PCSI(90a-1)에 그 해제완료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PCSI(90a-1)에서는 PCC(90a-2)로 해제완료를 통보함과 더불어 상기 SCCP에 해제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복구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서는 SCCP로 복구완료메시지를 전송하고나서 호설정해제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130에서의 판단결과 호수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134으로 진행하여 상기 ASS-W(30a)의 PCC(90a-2)에서는 상기 INS(80)의 LCC(92a)에 발신가입자의 정보(즉, 발신번을 포함)를 요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INS(80)의 LCC(92a)는 발신가입자의 정보를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통보하게 되며, 그 PCC(90a-2)에서는 상기 INS(80)의 LCC(92a)로 발신측으로서의 상기 가입자단말기(10a)의 호설정상태를 등록함과 더불어 PCSI(90a-1)에 호설정 프로세스를 통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ASS-W(72a)의 PCSI(90a-1)는 SCCP로 호설정 프로세스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기지국제어기(30a)로 호설정 프로세스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는 단계 136에서 상기 PCSI(90a-1)에 통화로설정을 위한 지령을 전달하게 되면 그 PCSI(90a-1)에서는 SCCP로 통화로설정지령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통화로설정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서는 SCCP로 통화로설정완료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CCP에서는 상기 ASS-W(72a)의 PCSI(90a-1)로 통화로 설정완료메시지를 전달하게 되고, 그 PCSI(90a-1)에서는 PCC(90a-2)로 통화로설정완료를 통보하게 된다.
이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38에서 상기 INS(80)의 NTR(92c)로 국번의 번역을 요구하게 되고, 그 NTR(92c)에서는 상기 ASS-W(72a)의 PCC(90a-2)에 개인통신번호를 통보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는 그 번호번역 결과를 기초로 단계 140에서 상기 HLR에 라우팅정보를 요구하게 되며, 그 라우팅정보의 요구응답에 따라 CFU가입자의 라우팅정보요구 및 응답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LRSC(92b)는 ASS-T(80)를 매개하여 HLR로 위치정보요구를 전송하게 된다. 그 요구에 응답하여 단계 140에서 상기 HLR로부터 상기 ASS-W(72a)의 CPSC(90a-3)로 위치정보요구의 응답이 전달되면 그 CPSC(90a-3)에서는 PCC(90a-2)로 라우팅 정보요구의 응답을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는 단계 142에서 상기 INS(80)의 NTR(92c)로 번호번역을 요구하게 된다.
그 요구에 응답하여 단계 144에서 상기 NTR(92c)로부터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자국의 개인통신번호가 통보되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46에서 상기 INS(80)의 LCC(92a)로 이동착신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INS(80)의 LCC(92a)로부터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예컨대 10n)가 수용된 ASS-W(72n)의 PCC(90n-2)로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ASS-W(72n)의 PCC(90n-2)는 단계 148에서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페이징요구 응답을 전송하게 되고, LAI(Local area identification)의 조사결과에 따라 상기 ASS-W(72n)의 PCC(90n-2)에서 PCSI(90n-1)로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 150에서 상기 ASS-W(72n)의 PCSI(90n-1)로부터 그 ASS-W(72n)과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30n)의 사이에 존재하는 SCCP로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기지국 제어기(30n)로 페이징단위데이터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 페이징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n)는 상기 SCCP로 페이징응답연결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로부터는 상기 ASS-W(72n)의 PCSI(90n-1)에 페이징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PCSI(90n-1)에서 PCC(90n-2)로 페이징응답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ASS-W(72n)의 PCC(90n-2)에서는 단계 152에서 인증 및 암호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인증 및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이면 단계 154로 진행하여 상기 INS(80)의 LCC(92a)로 착신가입자의 인증을 요구하게 되고, 그 LCC(92a)에서는 LRSC(92b)로 착신가입자의 인증요구를 전달하게 되어 그 LRSC(92b)에서 HLR로 착신가입자의 인증을 요구하게 된다.
이어, HLR로부터 상기 INS(80)의 LRSC(92b)로 착신가입자 인증요구 응답이 전달되면 상기 INS(80)의 LRSC(92b)에서 LCC(92a)로 착신가입자 인증요구의 응답이 전달되고, 그 LCC(92a)에서 ASS-W(72n)의 PCC(90n-2)로 인증요구응답 메시지가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PCC(90n-2)는 단계 156에서 인증실패 및 유일시도가 적용된 상태로 판단되면 단계 158로 진행하여 PCSI(90n-1)에 착신측 인증요구응답을 전달하게 되고, 그 PCSI(90n-1)에서는 SCCP에 인증요구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SCCP에서 기지국 제어기(30n)에 인증요구 연결확립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30n)로부터는 SCCP로 인증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상기 ASS-W(72n)의 PCSI(90n-1)에 인증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PCSI(90n-1)에서 PCC(90n-2)로 인증응답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인증이 실패하고 유일시도가 미적용된 상태(단계 162 'YES')이면 단계 164의 해제절차를 실행하는 반면, 상기한 판단결과 인증이 성공하고 암호화가 적용된 상태로 판단(단계 166에서 'YES')되면 단계 160으로 이행하여 상기 ASS-W(72n)의 PCC(90n-2)로부터 상기 PCSI(90n-1)로 암호화모드 지령을 전송하게 되고, 그 PCSI(90n-1)에서 SCCP로 암호화모드지령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0n)로 암호화모드지령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30n)로부터는 SCCP로 암호화모드완료메시지가 전송되고, 그 SCCP에서는 ASS-W(72n)의 PCSI(90n-1)로 암호화모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PCSI(90n-1)에서는 PCC(90n-2)로 암호화완료를 전달하게 된다.
그 암호화완료가 통보되는 경우 또는 단계 168에서 인증성공 및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이면, 상기 ASS-W(72n)의 PCC(90n-2)는 단계 182에서 상기 INS(80)의 LCC(92a)로 착신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그 INS(80)의 LCC(92a)에서는 상기 ASS-W(72n)의 PCC(90n-2)로 착신가입자 호설정상태를 등록함과 더불어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착신가입자 점유통보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70에서 LSC(90a-4)에 스위치접속을 요구하게 되면 그 LSC(90a-4)에서는 상기 INS(80)의 SNC(92d)에 스위치채널의 접속을 요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INS(80)의 SNC(92d)에서는 단계 170에서 SSW(92e)에 스위치접속을 요구함과 더불어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스위치채널 접속응답을 전달하게 된다.
이어,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단계 172에서 상기 ASS-W(72n)의 PCC(90n-2)로 스위치접속을 통보하게 되면, 그 ASS-W(72n)의 PCC(90n-2)에서는 PCSI(90n-1)로 호설정요구를 전달하게 되고, 그 PCSI(90n-1)에서는 단계 174에서 SCCP로 호설정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게 됨에 따라 상기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n)로 호설정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n)에서는 단계 176에서 SCCP로 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그 SCCP에서는 ASS-W(72n)의 PCSI(90n-1)로 호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ASS-W(72n)의 PCSI(90n-1)에서 PCC(90n-2)로 호확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됨에 따라 그 PCC(90n-2)에서는 PCSI(90n-1)로 통화로설정지령을 전달하게 되며, PCSI(90n-1)에서 SCCP로 통화로설정지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n)로 통화로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제어기(30n)에서는 SCCP로 통화로설정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에서 ASS-W(72n)의 PCSI(90n-1)로 통화로설정완료 메시지가 전송되어지며, 그 PCSI(90n-1)에서는 PCC(90n-2)로 통화로설정을 통보하게 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n)는 단계 175에서 SCCP로 톤신호 메시지를 통보하게 되고, 그 SCCP에서는 상기 ASS-W(72n)의 PCSI(90n-1)로 착신 톤신호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그 PCSI(90n-1)에서는 PCC(90n-2)로 착신 톤신호를 통보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ASS-W(72n)의 PCC(90n-2)는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착신가입자 톤신호를 보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C(90a-2)에서는 단계 175에서 상기 PCSI(90a-1)로 발신측 가입자단말기(10a)로 톤신호를 통보하게 되며, 그 PCSI(90a-1)에서는 SCCP로 톤신호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그 SCCP에서 기지국 제어기(30a)로 톤신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ASS-W(72n)의 PCC(90n-2)로부터는 상기 ASS-W(72a)의 PCC(90a-2)로 착신가입자응답이 통보되고(단계 180), 그에 따라 상기 ASS-W(72a)의 PCC(90a-2)는 상기 PCSI(90a-1)로 착신가입자응답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상기 PCSI(90a-1)에서는 SCCP로 착신가입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 SCCP에서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n)로 착신가입자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던계 182).
따라서, 상기 단계 184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는 SCCP로 착신가입자 응답 인식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SCCP는 ASS-W(72a)의 PCSI(90a-1)로 착신가입자 응답 인식을 통보하게 되며, 그에 따라 ASS-W(72n)의 PCC(90n-2)는 PCSI(90n-1)로 착신가입자 인식을 통보하게 됨에 따라 그 PCSI(90n-1)에서는 SCCP로 착신가입자응답 인식 메시지를 전송하고서 호설정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그 때, 상기 PCSI(90n-1)를 통해서는 단계 186에서 상기 발신측 가입자단말기로부터의 발신번이 표시되면서, 단계 188에서 통화모드가 실행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에 의하면, 개인통신가입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발신측의 번호가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상에 표시되므로 착신측에서는 발신측의 인지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각기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기가 대응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매개하여 접속되는 다수의 ASS-W와 INS 및 ASS-T를 매개하여 HLR이 접속된 개인통신교환기를 구비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측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그 가입자단말로의 착신이 도래되면 발신측 가입자정보의 인증을 실행하고, 그 인증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발신측 가입자정보에 발신번을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단말을 관장하는 ASS-W로 전달하고, 그 ASS-W에서의 상기 가입자단말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발신번 표시기능이 등록된 상태이면 상기 발신번이 상기 착신측 가입자단말기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KR1019960082539A 1996-12-31 1996-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KR19980063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539A KR19980063098A (ko) 1996-12-31 1996-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539A KR19980063098A (ko) 1996-12-31 1996-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98A true KR19980063098A (ko) 1998-10-07

Family

ID=6642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2539A KR19980063098A (ko) 1996-12-31 1996-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0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343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arrangement
AU6972794A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EP0712563B1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KR100238721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금지 처리방법
KR100220341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출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9980063098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처리방법
KR100238719B1 (ko)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3인통화호 처리방법
KR19990061172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0220342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00241190B1 (ko)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의 호보류처리방법
KR19980050209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이동가입자간 자국호처리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3099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번 표시금지처리방법
KR100219031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위치추적제어방법
KR19980063113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734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00210769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역방향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1077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연속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38722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악의호추적제어방법
KR19980063111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출중계호 처리방법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JPH09172683A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9980063115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대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7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