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1172A -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172A
KR19990061172A KR1019970081427A KR19970081427A KR19990061172A KR 19990061172 A KR19990061172 A KR 19990061172A KR 1019970081427 A KR1019970081427 A KR 1019970081427A KR 19970081427 A KR19970081427 A KR 19970081427A KR 19990061172 A KR19990061172 A KR 1999006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ass
terminal
subscriber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8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1172A/ko
Publication of KR1999006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1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측 이동성 가입자가 다수의 착신측 이동성 가입자를 호전환한 후 호출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측 이동성 가입자측에서 새로 다른 가입자를 호출해야하는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에 대한 무선의 호설정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와; 그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관장하면서 대응하는 가입자단말에 대한 호설정을 위한 T-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정합교환서브시스템(ASS-W)과, SNC(Switching network control)와 스페이스 스위치(SSW) 및 LCC를 포함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 및, HLR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ASS-T를 갖춘 개인통신교환기를 갖추어 구성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입자단말중 발신측 가입자로서의 제 2가입자단말과 착신측가입자로서의 제 1가입자단말이 통화도중에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이 호 전환대상의 제 3가입자단말을 호출하고, 상기 제 2가입자단말과 제 3가입자단말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본 발명은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측의 이동성 가입자단말이 다수의 착신측이동성 가입자단말을 각각 상호 접속시키거나 그중 한 착신측과 통화후 다른 착신측이동성 가입자단말을 호출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도록 호전환을 수행하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선적인 가입자라인을 매개하여 다수의 단말기가 접속된 교환기에서는 그 가입자라인을 매개하여 접속된 가입자단말에 의해서만 호(呼)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여, 가입자단말이 위치하는 지역 또는 장소적인 제약을 그다지 받지 않으면서 호의 설정 및 통화처리가 가능한 이동성의 가입자단말이 제안된 상태이다.
그러한 가입자단말에 의한 개인통신의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의 유선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처리기능에 부가적으로 무선가입자처리기능이 추가된 유/무선통합시스템으로 개인통신망에서 보장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기존의 망(網)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통신망과는 이질적인 타망(ISDN, PLDN 등)과의 연동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개인통신교환기(Personal communication exchange)가 제안되어 실용에 적용된 상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개인통신가입자가 휴대가능한 소위 '휴대폰'으로 지칭되는 이동성의 가입자단말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0a - 20n은 상기 가입자단말(10)과의 사이에서 호처리데이터를 송신/수신하여 상기 가입자단말(10)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신/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을 나타낸다.
또, 30a - 30n은 각기 다수의 기지국을 관리하면서 상기 가입자단말(10)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over)의 결정 등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제어기를 나타낸다.
또, 40은 상기 기지국제어기(30a - 30n; 30)와 IS-651/IS-634규격으로 인터페이싱되는 개인통신교환기를 나타내고, 50은 각 가입자단말(10)에 대해 후술하는 가입자정보관리장치(Home location register;HLR)와 정합되어 임의의 가입자단말(10)에 대한 사용허가처리 등을 수행하는 인증센터를 나타낸다.
또, 60은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와 트렁크매체를 매개하여 상호 접속되어 통신정보의 상호 전달을 위한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교환기(4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동 도면에서 72a - 72n은 상기 기지국제어기(30a - 30n)와 대응적으로 정합되어 무선이동통신을 위한 가입자단말(10)의 호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정합교환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wireless subscriber ;ASS-W)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 ASS-W(72a - 72n)는 대부분의 개인이동통신을 위한 호처리기능이라던지 자체 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시 ASS-W의 단위로 증설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수평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또, 도 2에서 74는 기존의 유선적인 아날로그 가입자단말기를 나타내고, 76은 그 유선적인 아날로그 가입자단말기(74)의 호처리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가입자정합 교환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subscriber; ASS-S)을 나타내는 바, 그 ASS-S(76)도 상기 유선가입자단말기(74)에 대한 대부분의 호처리기능이라던지 자체적인 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시 그 ASS-S의 단위로 증설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수평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에서 참조부호 78은 상기 ASS-W(72;72a - 72n)와 ASS-S(76)에 대해 데이터링크(즉, Optical link)를 매개하여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의 전체적인 호처리/관리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을 나타내는 바, 그 INS(78)는 스위칭네트워크(T-S-T)의 구성을 위해 상기 ASS-W/ASS-S(72,76)에 위치하는 타임스위치(T)와 연계되는 스페이스 스위치(Space switch)를 포함하게 됨과 더불어,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의 서비스영역내에 존재하는 상기 가입자단말(10)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등의 이동성 관리기능을 위해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이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그 VLR은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에 의해 관리되는 지역에 존재하는 가입자단말(10,---)에 대한 전체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되고, 그 정보는 개인통신 가입자가 호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개인통신교환기(40)로 전송되게 되며, 그 VLR내의 정보는 상기 가입자단말(10)의 이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정되게 된다.
또, 도 2에서 참조부호 80은 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trunk; ASS-T)으로서, 그 ASS-T(80)는 상기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60)와의 중계선정합을 실행함과 더불어, 공중가입형 디지탈데이터교환망(Public switched data network; PSDN)과, 전화/전신 및 각종의 비전화계 서비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탈기술을 전제로 교환/전송/가입자 단말의 일원화를 위한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DN), 개인통신망내에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존재하여 자신의 PCN내에 등록된 전체의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파라미터와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 기능하면서 가입자단말기의 억세스능력이라던지 기본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포함하는 중요한 데이터가 등록됨과 더불어 착신가입자의 루팅기능을 수행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이 접속된다.
또, 도 2에서 84는 상기 INS(78)와 신호적으로 접속(Work station)되어 해당하는 교환기의 총괄적인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주변장치로 구성된 CCS(Central control system)을 나타내고, 그 CCS(78)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교환기(40)에 대해 개인통신교환기/과금센터간 접속규격 에 의해 연동하면서 그 교환기(40)로부터 전송되는 과금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CAMA(Centralized authomatic message accounting; 86)가 접속됨과 더불어 그 교환기(40)에 대해 TMN Q인터페이스에 의해 연동하면서 개인통신망을 구성하는 전체의 구성요소에 대한 중앙집중화된 운용/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는 OMC(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와 개인통신망의 관리를 위한 NMC(Network management center)(88)가 접속된다.
그러한 구성의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개인이동통신에 관한 호설정 절차중 상기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발신호 처리절차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가입자단말(10)에서는 대응하는 기지국(예컨대, 20a)을 통해 그 기지국(20a)을 관장하는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계층 2응답메시지를 요구하는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전송하게 되고,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에서는 상기 가입자단말(10)측으로 수신응답메시지(Bas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전송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서비스요구메시지(CM service request)를 COMPLETE LAYER 3에 포함시켜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그 서비스요구메시지에 응답하여 인증절차의 상정시 상기 인증센터(50)에 의한 인증절차를 실행하게 되는 바, 그 인증센터(50)의 지원하에 인증절차가 수행되면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SCCP프리미티브를 사용하여 신호채널연결설정을 수행하게 되는 바, 그 경우 상기 교환기(40)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메시지(SCCP connection confirmed)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메시지연결이 확정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셋업(SET-UP)메시지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하여 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그 SET-UP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메시지(Call proceeding)를 전송하여 망측에서의 호설정절차가 개시되어 추가적인 호설정에 관한 정보의 수신을 거절하는 상태를 통지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무선자원할당(트래픽 채널)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Assignment request)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 메시지(Assignment request)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서는 완벽한 청취음의 경로(Audio path)를 유선회선에 연결시킴과 더불어 상기 단말기(10)측에 대해서는 무선트랙픽채널의 설정을 위해 메시지(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무선인터페이스의 페이징채널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단말(10)은 지정된 역방향 트래픽채널을 통해 메시지(Traffic channel preamble)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제어기(30a)가 상기 기지국(20a)을 통해 역방향 트래픽채널을 인식하게 되면 그 기지국제어기(30a)는 계층 2의 응답메시지를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Bas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상기 가입자단말(10)에 순방향 트래픽채널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가입자단말(10)은 상기 트래픽채널을 매개하여 전송되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게 되면 확인응답을 위한 메시지(Mobil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기지국제어기(30a)는 호를 위한 서비스구성의 상세한 열거를 위한 메시지(Service option response order)를 상기 가입자단말(10)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그 가입자단말(10)은 상세한 서비스사양에 따라 트래픽처리를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무선트래픽채널과 유선회선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메시지(Assignment message)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착신측이 호출중임을 통지받게 되면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발신측 기지국제어기에 호출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전송하게 되는 반면, 착신측에 의해 호의 응답이 존재하면 착신음의 제공을 중단함과 더불어 개인통신교환기(40)는 착신측에 유선채널을 연결시키고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에 대해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가 상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응답메시지(Connect acknowledge)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한 절차에 의해 상기 가입자단말(10)로부터 호의 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그 호의 설정을 위한 대상이 상기 개인통신교환(40)에 의해 관장되는 가입자단말이면 그 발신측 가입자단말(10)로부터의 호신호가 대응하는 ASS-W의 T(Time)-스위치와 INS(78)의 S(Space)-스위치를 매개하여 대응하는 ASS-W의 T-스위치로 호의 경로가 설정되어,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호설정대상의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
또한, 그 호설정대상이 상기 ASS-S(76)에 접속된 유선가입자단말기(74)인 경우에는 상기 ASS-W(72a)의 T-스위치와 상기 INS(78)의 S-스위치 및 상기 ASS-S(76)의 T-스위치를 매개하여 호설정대상의 유선가입자단말기(74)와의 접속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설정대상이 이질적인 통신망(PSTN,ISDN)의 경우에는 상기 INS(78)를 매개하여 상기 ASS-T(80)를 통한 호설정이 행해지게 된다.
그러한 호설정에 의해 통화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CCS(86)에 의해 과금이 정산되게 되며, 그 정산된 과금은 상기 CAMA(88)에 전달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가입자단말(10)에 착신되는 호의 처리절차에 따르면, 예컨대 상기 ASS-S(76)에 접속된 유선가입자단말기(74)로부터 이동성의 상기 가입자단말(10)측으로 호설정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에서는 입중계된 호의 착신대상의 가입자단말(10)을 관장하는 기지국제어기(예컨대, 10a)로 착신호처리를 위한 메시지(Paging request)를 전송하게 되고, 그 기지국제어기(10a)는 페이징채널을 매개로 가입자단말(10)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Page message)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입자단말(10)에서는 억세스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페이징응답을 위한 메시지(Page response)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계층 3의 정보를 포함한 'PAGING RESPONSE'메시지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가입자단말(10)측으로 상기 메시지(Page response)의 성공적인 수신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Bas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메시지(Set-up message)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메시지(Set-up 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에 메시지(Call confirmed message)를 전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무선자원할당(Traffic channel)을 위해 메시지(Assignment reqeust message)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로부터 메시지(Assignment request message)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완벽한 청취음의 경로(Audio path)를 유선회선에 연결시킴과 더불어, 무선트래픽 채널의 설정을 위해 메시지(Channel assignment message)를 무선인터페이스의 페이징채널을 경유해서 상기 가입자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입자단말(10)는 지정된 역방향 트래픽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메시지(Traffic channel preamble)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가 역방향 트래픽채널을 인식하게 되면 그 기지국제어기(30a)는 계층 2의 응답메시지를 요구하는 메시지(Bas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순방향 트래픽채널을 통해 상기 가입자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가입자단말(10)이 기지국제어기(30a)의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그 확인응답을 위한 메시지(Mobile station acknowledge order)를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호를 위한 서비스구성을 상세하게 열거하기 위한 메시지(Service option response order)를 상기 가입자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입자단말(10)은 상세한 서비스 사양에 따라 트래픽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무선트래픽채널과 유선회선이 설정된 경우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메시지(Assignment complete)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가입자단말(10)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Alert message)를 전송하여 링(Ring)이 발생되도록 하게 되며, 그 가입자단말(10)은 상기 기지국교환기(30a)측으로 응답메시지(Mobile station acknowledgement)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착신대상의 가입자단말(10)을 호출하는 상태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에 통보하기 위한 메시지(Alerting message)를 전송하게 되고, 착신사용자로부터 응답을 받게 되면 상기 가입자단말(10)은 확인응답이 필요한 메시지(Connect order)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상기 메시지(Connect order)에 대한 응답을 위해 메시지(Base station acknowledgement)를 순방향 트래픽채널을 통해 상기 가입자단말(10)로 전송하게 되고, 그와 더불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는 착신응답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는 상기 메시지(Connect message)의 수신응답을 위한 메시지(Connect acknowledge)를 상기 기지국제어기(30a)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입자단말(10)측으로의 착신호 처리절차가 실행되게 된다.
또, 상기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60)도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어 개인이동통신을 위한 단말기 또는 유선가입자단말기에 대한 호처리서비스를 실행하게 되고,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와 상기 타국의 개인통신교환기(60)의 사이는 상기 ASS-T(80)에 의해 실행되는 입/출중계선 정합처리에 의해 자국에서 발생되는 중계호에 대해 상호 교환적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발신측 가입자단말로부터 2인의 착신측 가입자단말을 호출하여 3인통화기능이 제공되어 개인이동통신의 가입자에 대한 부가서비스가 상정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이는 발신측의 가입자가 착신측의 가입자를 호출하여 집단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이고 발신측의 가입자가 착신측의 가입자들을 상호 접속시키거나 착신측의 가입자가 발신측의 가입자와 또 다른 제 3의 착신측 가입자가 상호 접속을 수행하려는 경우에 대한 부가서비스의 적절한 실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성의 발신측 가입자단말에 의해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을 순차적으로 호출하여 회의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에 대한 무선의 호설정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와; 그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관장하면서 대응하는 가입자단말에 대한 호설정을 위한 T-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정합교환서브시스템(ASS-W)과, SNC(Switching network control)와 스페이스 스위치(SSW) 및 LCC를 포함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 및, HLR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ASS-T를 갖춘 개인통신교환기를 갖추어 구성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입자단말중 발신측 가입자로서의 제 2가입자단말과 착신측가입자로서의 제 1가입자단말이 통화도중에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이 호 전환대상의 제 3가입자단말을 호출하고, 상기 제 2가입자단말과 제 3가입자단말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가입자단말에 의한 제 2 - 제 3가입자단말의 호전환에 의한 통화모드의 설정에는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에 대한 HLR로부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절차의 수행 및 해당하는 가입자단말의 ASS-W에서 제 1ASS-W로 페이징응답/가입자점유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와,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의 ASS-W와 그 ASS-W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의 사이에서 호설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의 ASS-W가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의 ASS-W로 착신응답처리를 실행하여 제 1가입자단말과 호출되는 가입자단말로부터 착신음신호가 수신되는 상태로 되는 단계, 상기 착신음수신시 제 1가입자단말의 호해제와 상기 제 1가입자단말에 의해 보류중인 선행의 가입자단말의 호보류상태가 해제되어 호출되는 가입자단말과의 통화가 실행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교환기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을 실행하는 개인통신교환기의 요부 블럭구성도,
도 4a,b,c,d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정*
10a-10n:가입자단말기, 20a-20n:기지국,
30a-30n:기지국제어기, 40:교환기,
50:인증센터, 72a-72n:정합교환시스템(ASS-W),
74:유선가입자단말기, 76:ASS-S,
78: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 80:ASS-T,
720:PCSI, 722:PCC,
724:PSSC, 726:LSL,
728:PCTRC, 730:CPSC,
780:번호번역부(NTR), 782:SNC,
784:SSW, 786:LCC,
788:LRSC.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을 실행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 도 2)의 요부 기능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상기 개인통신교환기(40)에 구성되는 ASS-W(72a)는 해당하는 개인통신교환기(40)와 기지국제어기(30a)의 사이에서 소용되는 링크관리기능이라던지 BSSAP(Base station system application part)기능이나 일부의 MM(Mobility management)접속유지기능 및 SCCP와의 정합기능을 처리하는 PCSI(PCS interface control; 720)와, 상기 가입자단말(10a)의 발신/착신 처리를 관리(즉, 가입자단말 호처리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번호번역의 요구, 신호장비와의 스위치연결제어 등)를 수행하는 PCC(PCS call control; 722), 상기 가입자단말(10a)에 대한 부가서비스 제어(즉, 유휴/통화중/호설정중/호해제중에 발생되는 부가서비스의 요구에 대한 실행의 제어 및, 부가서비스의 등록/삭제/활성화/비활성화의 제어)를 실행하는 개인통신가입자 부가서비스제어블럭으로서의 PSSC(PCS subscriber supplementary service control; 724), ASP에 실장되며 상기 ASS-W(72b -72n)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Time Switch, 신호장치, 톤 발생장치, 집선장치의 처리를 집합시켜 여러 실행모듈에서 사용할 Command Procedure 및 data Base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상기 ASP(도시생략)에 실장되며 상기 ASS-W(72b -72n)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Intra-Junctor, Time Switch, Signal Device, Tone, 집선장치의 처리를 집합시켜 여러 실행모듈에서 사용할 Command Procedure 및 data Base로 구성되는 LSL(Local Service Shared Library726), 하나의 메인 프로세스와 한 개의 차일드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메인 프로세스는 이니셜 시그널인 호전환요구신호를 인가받아 차일드 프로세스를 생성하며 차일드 프로세스는 호 전환 기능이 등록된 가입자가 호 전환을 하기 위해 훅플레시한 후 특수 코드와 착신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전환 착신시키는 기능을 제어하여 호 전환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PCTRC(728)과, 동작절차를 수행하면서 TCAP와의 접속기능이라던지 응용프로세서와의 연관적인 동작, 지시번호 및 다이얼로그 번호관리, 동작/에러정의를 참조하여 컴포넌트의 파라미터에 대한 기본 부호화 및 해독기능 등을 수행하는 호처리서비스제어수단으로서의 CPSC(Call processing service control;7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SS-W(72b -72n)도 상기 ASS-W(72a)와 동일한 기능블럭구성을 갖추어 구성되게 된다.
또, 도 3에서 상기 INS(78)에는 상기 ASS-W(72a - 72n)의 PCC(722)로부터의 번호번역요구에 응답하여 요구된 번호에 대한 번역을 실행하여 통보하는 번호번역부(Number translation; 780)와, 개인통신교환시스템의 전체 스위치(T-S-T 스위치 망)의 채널에 대해 호의 접속/해제를 위한 배정과 해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SNC(Switching network control; 782), 호처리서비스를 위해 통화로를 연결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SSW(Space switch; 784), 이동가입자 호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VLR기능으로서의 LCC(LR call control; 786), 개인통신응용부(MAP)인 상기 LCC(786)와 문답처리 응용부(TCAP)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작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TCAP과의 접속기능, 응용프로세스와 동작의 연관기능, 지시번호 및 다이얼로그 번호관리, 동작/에러 정의를 참조하여 컴포넌트의 파라메타에 대한 기본 부호화 및 해독기능수행, 동작의 등급과 타이머 값표시기능을 수행하는 LRSC(Location Register Service Control:788)등이 포함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가입자단말(10a)이 발신측으로 설정되어 제 2가입자단말(10b)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호처리절차에 의해 통화중상태에서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로부터 훅플래쉬신호가 제 1기지국제어기(30a)와 SCCP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상기 제 1ASS-W(72a)의 PCSI(720)에 수신되는 경우(단계 102), 단계 104에서 그 제 1ASS-W(72a)의 PCSI(720)는 PCC(722)에 그 훅플래쉬를 리포트하게 되고, 그 PCC(722)는 PSSC(724)에 훅플래쉬리포트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PSSC(724)는 상기 제 2ASS-W(72b)의 PCC에 PCS서비스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ASS-W(72b)의 PCC는 그 제 2ASS-W(72b)의 PSSC에 서비스제어를 요구하게 되고, 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 2ASS-W(72b)의 PSSC에서는 단계 106에서 상기 제 1ASS-W(72a)의 PSSC(724)로 서비스인식리포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인식리포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ASS-W(72a)의 PSSC(724)는 단계 108에서 상기 제 2ASS-W(72b)의 PSSC에 제 2가입자단말(10b)에 대한 보류(Holding)를 요구함과 더불어 그 제 1ASS-W(72a)의 LSL(726)로 제 1가입자단말(10a)의 음성경로(Speech path)의 절단을 요구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계 110에서 제 2ASS-W(72b)의 PSSC에서는 제 2ASS-W(72b)의 LSL로 제 2가입자단말(10b)의 음성경로(Speech path)의 절단을 요구함과 더불어 제 2가입자단말(10b)에 대한 보류(Holding)를 요구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ASS-W(72a)의 PSSC(724)는 단계 112에서 상기 제 1ASS-W(72a)의 CPSC(730)를 매개로하여 상기 HLR측으로 호전환 서비스요구를 위한 부가정보요구신호(Feature)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HLR측에서는 상기 제 1ASS-W(72a)의 PSSC(724)로 부가정보요구신호(Feature)에 대한 통보를 하게 되고, 상기 제 1ASS-W(72a)의 PSSC(724)는 호전환 서비스요구를 위해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로 요구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114에서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는 상기 INS(78)의 NTR(780)에 블럭단위의 번호번역을 요구하게 되며 그 번호번역의 결과로 PCS호 통보신호를 받은 경우('PcsCallRP'를 수취한 경우) 그 결과로 단계 116로 진행되어 CPSC를 매개하여 상기 HLR로 위치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그 요구를 바탕으로 상기 HLR에서는 상기 INS(78)의 상기 LCC(786)를 매개로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측으로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 1단말(10a)이 자국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자국PCS호 통보신호를 받은 경우('intPcsCallRP'를 수취한 경우) 단계 118로 진행되며, 타국호라는 판단결과에는 출중계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는 단계 118에서 상기 INS(78)의 LCC(786)를 매개하여 LAI조사후 제 3가입자단말(10c)에 대응하는 제 3ASS-W(72c)의 PCC에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3ASS-W(72c)의 PCC에서는 에서 페이징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 3ASS-W(72c)의 PCC는 대응하는 PCSI에 페이징요구를 전달하게 되며, 그 PCSI는 SCCP를 매개하여 제 3기지국제어기(30c)에 페이징요구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 페이징요구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 3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는 SCCP를 매개하여 상기 제 3ASS-W(72c)의 PCSI측으로 페이징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그 3ASS-W(72c)의 PCSI에서는 대응하는 PCC로 페이징응답을 전달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3ASS-W(72c)의 PCC는 단계 120에서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로 페이징응답을 전송함과 더불어 착신가입자로서의 제 3가입자단말(10c)의 점유를 통보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ASS-W(72a)의 PCTRC(728)는 단계 122에서 스위치접속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LSL(72a-726)로 스위치접속요구를 전송하게 되고, 그 전송에 따라 상기 LSL(72a-726)는 상기 INS(78)의 SNC(782)로 스위치접속요구를 전달하게 되며, 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SNC(782)는 SSW(784)에 스위치접속을 요구하게 된다. 이어, 상기 SSW(784)는 스위치접속에 대한 응답을 상기 PCTRC(72a-728)로 반송하게 되면 그 PCTRC(72a-728)는 상기 LSL(72a-726)에 스위칭접속응답을 전달함과 더불어 음성경로의 접속을 요구하는 한편, 상기 제 3의 ASS-W(72c)의 PCC(722)로 스위치접속응답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CC(72c-722)는 단계 124에서 상기 LSL(72c-726)로 스위치정보응답을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PCSI(72c-720)로 호설정요구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며, 그 PCSI(72c-720)는 SCCP를 매개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 호설정요구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어, 단계 126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 SCCP를 매개하여 상기 PCSI(72c-720)로 호확인메시지가 제공되면 호확인메시지의 처리가 수행되는 바, 상기 PCSI(72c-720)는 그 호확인메시지를 상기 PCC(72c-722)로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C(72c-722)는 SCCP를 매개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c)에 그 호할당메시지를 통보하게 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 호할당완료가 SCCP를 매개하여 상기 WP 3 ASS-W(72c)의 PCSI(720)로 제공되면 그 PCSI(72c-720)는 그 호할당완료메시지를 상기 PCC(72c-722)로 통보하게 된다. 그 후, 단계 128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 착신톤신호가 SCCP를 매개하여 제공되면 상기 PCSI(72c-720)는 그 착신톤신호를 상기 PCC(72c-722)로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단계 130에서 PCC(72c-722)는 상기 LSL(72c-726)로 호접속요구를 전달하게 되어, 제 3가입자단말(10c)의 응답/통보가 이루어져 제 1가입자단말(10a)이 제 3가입자단말(10c)로부터 착신음(Ring back tone)을 듣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가 제 3가입자단말(10c)로부터 착신음(Ring back tone)을 듣게 되는 경우, 제 1실시예로 제 1가입자단말(10a)이 호를 해제하여 제 2가입자단말(10b)이 상기 제 3가입자단말(10c)과의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이고, 제 2실시예로는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이 상기 제 3가입자단말(10c)과 통화를 실행한 후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이 호를 해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가입자단말(10b)이 상기 제 3가입자단말(10c)과의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어, 도 4c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기 제 1실시예의 호해제와 호설정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에 착신음(Ring back tone)신호가 상기 제 3가입자단말(10c)로부터 투입되면 단계 134에서 그 신호를 바탕으로 SCCP를 매개하여 PCSI(72a-720)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 1가입자단말의 요구에 의한 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PCSI(72a-720)는 그 호해제메시지를 상기 PCTRC(72a-728)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CTRC(72a-728)는 상기 PCSI(72a-720)로 호해제명령이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SI(72a-720)는 SCCP를 매개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해제명령이 전달하게 된다.
이어, 단계 136에서 상기 PCTRC(72a-728)는 상기 PCSI(72a-720)로 복구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그 복구신호는 상기 PCSI(72a-720)로부터 SCCP를 매개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전달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의 복구완료신호는 SCCP를 매개하여 PCSI(72a-720)로 전달되고, 그 PCSI(72a-720)로 전달된 복구완료신호는 상기 PCTRC(72a-728)로 전달됨과 더불어 SCCP를 통해 복구확인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는 SCCP로 복구확인인식신호가 전달된다. 이어, 단계 138에서는 상기 PCTRC(72a-728)는 스위치절단을 위하여 상기 LSL(72a-726)를 매개하여 상기 SSW(784)로 스위치절단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상기 PCTRC(72a-728)는 제 2가입자단말의 보류음해제를 위하여 상기 PSSC(72b-724)로의 스위치접속을 요구하게 되고, 상기 PSSC(72b-724)는 그 스위치접속요구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LSL(72b-726)에 보류음해제에 대한 요구를 하게 되며, 그와 더불어 상기 LSL(72b-726)를 매개로 상기 SSW(784)에 S-스위치절단을 요구한다(단계 140).
그리고, 단계 142에서 상기 PSSC(72b-724)는 제 3가입자단말(10c)과의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 상기 LSL(72b-726)를 매개로 상기 SSW(784)에 S-스위치접속요구신호를 전송하고, 그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SSW(784)는 PSSC(72b-724)로 스위치접속통보를 행하면 그 PSSC(72b-724)는 상기 PCTRC(72b-728)로 스위치접속에 대한 통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LSL(72b-726)로 음성경로접속을 요구하여 제 3가입자단말(10c)에서의 착신음(Ring back tone)을 제 2가입자단말(10b)에서 청취 가능하도록 된다.
이어, 단계 144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 SCCP를 매개하여 착신가입자의 응답이 통보되면 상기 PCSI(72c-720)는 그 착신가입자응답메시지를 상기 PCTRC(72b-728)로 통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TRC(72b-728)는 상기 PCC(72c-722)로 호보류서비스요구를 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PCC(72c-722)는 PSSC(72c-724)로 호보류서비스제어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 146에서 상기 PSSC(72c-724)는 상기 PCTRC(72b-728)로 호보류서비스요구인식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그 PCTRC(72b-728)는 상기 PSSC(72c-724)로 상기 호보류서비스요구인식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어 상기 제 2가입자단말(10b)와 제 3가입자단말(10c)이 통화상태로 된다.
이어, 도 *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제 1가입자단말(10a)이 제 3가입자단말(10c)과 통화한 후 호를 해제하고 제 2가입자단말(10b)과 제 3가입자단말(10c)이 접속될 수 있도록 호를 설정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단계 132와 연결되는 단계 200에서 제 1가입자단말(10a)이 제 3가입자단말(10c)로부터 착신음을 듣는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제어기(30c)로부터 SCCP를 매개하여 착신가입자의 응답이 통보되면 상기 PCSI(72c-720)는 그 착신가입자응답메시지를 상기 PCTRC(72a-728)로 통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TRC(72a-728)는 단계 202에서 상기 PCC(72c-722)로 호보류서비스요구를 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PCC(72c-722)는 PSSC(72c-724)로 호보류서비스제어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SSC(72c-724)는 상기 PCTRC(72a-728)로 호보류서비스요구인식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그 PCTRC(72b-728)는 상기 PSSC(72c-724)로 상기 호보류서비스요구인식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PSSC(72c-724)는 상기 PCSI(72c-720)로 호접속인식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단계 204에서 상기 PCSI(72c-720)는 단계 **에서 SCCP를 매개하여 기지국제어기(30c)로 호접속인식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과 제 3가입자단말(10c)이 통화상태로 된다.
이어, 상기 제 1가입자단말(10a)이 호 해제 요구를 위해 단계 206에서 SCCP를 매개하여 호 해제요구신호가 PCSI(72a-720)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 1가입자단말의 요구에 의한 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PCSI(72a-720)는 그 호해제메시지를 상기 PCTRC(72a-728)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PCTRC(72a-728)는 상기 PCSI(72a-720)로 호해제명령이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PCSI(72a-720)는 SCCP를 매개로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해제명령이 전달하게 된다.
이어, 단계 208에서 상기 PCTRC(72a-728)는 상기 PCSI(72a-720)로 복구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그 복구신호는 상기 PCSI(72a-720)로부터 SCCP를 매개하여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 전달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의 복구완료신호는 SCCP를 매개하여 PCSI(72a-720)로 전달되고, 그 PCSI(72a-720)로 전달된 복구완료신호는 상기 PCTRC(72a-728)로 전달됨과 더불어 SCCP를 통해 복구확인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기지국제어기(30a)로부터는 SCCP로 복구확인인식신호가 전달된다. 이어, 단계 210에서는 상기 PCTRC(72a-728)는 스위치절단을 위하여 상기 LSL(72a-726)를 매개하여 상기 SSW(784)로 스위치절단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단계 212에서 상기 PCTRC(72a-728)는 제 2가입자단말의 보류음해제를 위하여 상기 PSSC(72b-724)로의 스위치접속을 요구하게 되고, 상기 PSSC(72b-724)는 그 스위치접속요구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LSL(72b-726)에 보류음해제에 대한 요구를 하게 되며, 그와 더불어 상기 LSL(72b-726)를 매개로 상기 SSW(784)에 S-스위치절단을 요구한다. 그리고, 상기 PSSC(72b-724)는 제 3가입자단말(10c)과의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 상기 LSL(72b-726)를 매개로 상기 SSW(784)에 S-스위치접속요구신호를 전송하고, 그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SSW(784)는 PSSC(72b-724)로 스위치접속통보를 행하면 그 PSSC(72b-724)는 상기 PCTRC(72b-728)로 스위치접속에 대한 통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LSL(72b-726)로 음성경로접속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제 3가입자단말(10c)에서의 착신음(Ring back tone)을 제 2가입자단말(10b)에서 청취하게 되어 제 2가입자단말(10b)과 제 3가입자단말(10c)간의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에 의하면, 발신측 이동성 가입자가 다수의 착신측 이동성 가입자를 호전환한 후 호출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측 이동성 가입자측에서 새로 다른 가입자를 호출해야하는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이동성 가입자단말에 대한 일층 강화된 부가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다수의 이동성 가입자단말에 대한 무선의 호설정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지국제어기와; 그 다수의 기지국제어기를 관장하면서 대응하는 가입자단말에 대한 호설정을 위한 T-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정합교환서브시스템(ASS-W)과, SNC(Switching network control)와 스페이스 스위치(SSW) 및 LCC를 포함하는 연결망제어서브시스템(INS) 및, HLR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ASS-T를 갖춘 개인통신교환기를 갖추어 구성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입자단말중 발신측 가입자로서의 제 2가입자단말과 착신측가입자로서의 제 1가입자단말이 통화도중에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이 호 전환대상의 제 3가입자단말을 호출하고, 상기 제 2가입자단말과 제 3가입자단말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이 상기 제 2가입자단말과의 통화중 제 1가입자단말이 호 전환을 실행하여 제 3 가입자단말을 호출하는 과정에서 제 1가입자단말의 ASS-W에서 제 2가입자단말에 대한 ASS-W에 음성경로의 절단을 요구하고나서 호보류 및 보류음의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가입자단말의 ASS-W는 제 3가입자단말호출시 제 2가입자단말에 대한 보류음의 접속상태에서 PCTRC로 호전환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입자단말에 의한 제 2 - 제 3가입자단말의 호전환에 의한 통화모드의 설정에는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에 대한 HLR로부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절차의 수행 및 해당하는 가입자단말의 ASS-W에서 제 1ASS-W로 페이징응답/가입자점유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와,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의 ASS-W와 그 ASS-W에 대응하는 기지국제어기의 사이에서 호설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호출되는 가입자단말의 ASS-W가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의 ASS-W로 착신응답처리를 실행하여 제 1가입자단말과 호출되는 가입자단말로부터 착신음신호가 수신되는 상태로 되는 단계, 상기 착신음수신시 제 1가입자단말의 호해제와 상기 제 1가입자단말에 의해 보류중인 선행의 가입자단말의 호보류상태가 해제되어 호출되는 가입자단말과의 통화가 실행되는 단계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입자단말이 호출되는 가입자단말로부터 착신음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호출되는 제 3가입자와의 통화후 호를 해제하여 호출된 가입자가 보류중인 선행의 가입자단말과의 통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19970081427A 1997-12-31 1997-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Ceased KR19990061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27A KR19990061172A (ko) 1997-12-31 1997-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27A KR19990061172A (ko) 1997-12-31 1997-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172A true KR19990061172A (ko) 1999-07-26

Family

ID=6618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427A Ceased KR19990061172A (ko) 1997-12-31 1997-12-31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11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KR20010086653A (ko) * 2000-03-02 2001-09-15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발신호 전환방법
KR20030038260A (ko) * 2001-11-10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전환방법
KR100426477B1 (ko) * 1999-12-29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교환 시스템에서 호 착신전환 처리시 브이엘알-에치엘알간의 엠에이피 트래픽 교환을 감소시키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605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호 전환방법
KR100426477B1 (ko) * 1999-12-29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교환 시스템에서 호 착신전환 처리시 브이엘알-에치엘알간의 엠에이피 트래픽 교환을 감소시키는 방법
KR20010086653A (ko) * 2000-03-02 2001-09-15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의 발신호 전환방법
KR20030038260A (ko) * 2001-11-10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전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8271C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a wireless telephone
US6845236B2 (en) Method for concurrent multiple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188075C (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utilization of the bridged shared line appearance feature
KR19990061172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0241190B1 (ko) 개인통신교환기에서의 호보류처리방법
KR1998006734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00238719B1 (ko)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3인통화호 처리방법
KR100238721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금지 처리방법
KR10021077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연속핸드오프처리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KR20000015601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KR100219031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위치추적제어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00210769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역방향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10768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교환기간 핸드오프처리방법
KR100238722B1 (ko) 개인통신가입자의 악의호추적제어방법
KR100220342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00220341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출중계호 처리방법
KR100198930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지틀 회의통화 서비스 처리방법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3115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대기제어방법
KR19980063113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50209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이동가입자간 자국호처리방법
KR20000039628A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8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