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899A -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8899A KR19980058899A KR1019960078235A KR19960078235A KR19980058899A KR 19980058899 A KR19980058899 A KR 19980058899A KR 1019960078235 A KR1019960078235 A KR 1019960078235A KR 19960078235 A KR19960078235 A KR 19960078235A KR 19980058899 A KR19980058899 A KR 199800588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flow rate
- way valve
- jet
- main gall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배스(1); 오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2); 오일을 상기 오일 배스(1)로부터 메인 갤러리(9)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4); 상기 공급 펌프(4)와 메인 갤러리(9) 사이에 설치되는 3방 밸브(5); 상기 3방 밸브(5)와 상기 오일 배스(1)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6); 상기 3방 밸브(5)와 메인 갤러리(9)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계(7) 및 유압 센서(8); 각각의 오일 제트(10)에 설치되어 분사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메스 플라스크(11); 상기 메스 플라스크(11)로부터 오일을 수집하여 다시 상기 오일 배스(1)로 보내는 오일 수집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3방 밸브(5)의 개도를 조정하여 압력을 조정하고 온도 조절 장치(2)를 통해 온도를 조정하며 상기 메스 플라스크(11)를 통해 분사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엔진에 오일 제트를 장착하기 전에 그 특성을 미리 테스트하여 이를 양산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 제트를 실제 엔진에 장착하기 전에 그 분사 유량을 테스트할 수 있는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실 내부의 열은 배기가스,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고출력, 고부하 엔진의 경우 피스톤에 높은 열부하가 발생하여 피스톤이 열화되는 경우가 생긴다. 피스톤이 열화되면 피스톤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오일 제트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오일 제트의 분사 유량은 중요한 척도가 된다. 분사 유량이 적을 경우, 기대한 냉각 효과를 거둘 수 없고, 분사 유량이 불필요하게 많을 경우, 오일 펌프의 용량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일 제트를 실제 엔진에 장착하기 전에 오일 제트의 분사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의 압력과 온도에 따른 오일 제트의 분사 유량을 측정하여 오일 제트를 실제 엔진에 장착하기 전, 그 기능 및 적합성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여 오일 제트의 양산시에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일 배스2 ; 온도 조절 장치
3 ; 오일 공급관4 ; 공급 펌프
5 ; 3방 밸브6 ; 바이패스 관
7 ; 온도계8 ; 유압 센서
9 ; 메인 갤러리10 ; 오일 제트
11 ; 메스 플라스크12 ; 오일 수집관
13 ; 수집 펌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일 제트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배스; 상기 오일 배스 내에서 오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오일 배스와 오일 제트의 메인 갤러리를 연결하는 오일 공급관; 상기 오일 공급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어 오일을 상기 오일 배스로부터 메인 갤러리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 상기 공급 펌프와 메인 갤러리 사이의 오일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3방 밸브; 상기 3방 밸브와 상기 오일 배스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 상기 3방 밸브와 메인 갤러리 사이의 오일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온도계 및 유압 센서; 각각의 오일 제트에 설치되어 분사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수단; 상기 유량 측정 수단으로부터 오일을 수집하여 다시 상기 오일 배스로 보내는 오일 수집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제트(10)로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배스(1)에 오일 공급관(3)이 설치되고 상기 오일 공급관(4) 상의 소정 지점에 공급 펌프(4)가 설치되어 상기 오일 배스(1)로부터 메인 갤러리(9)로 오일을 공급하며 상기 메인 갤러리(9)에서 각 오일 제트(10)로 오일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 공급관(3) 상에서 상기 공급 펌프(4)와 상기 메인 갤러리(9) 사이의 소정 지점에는 3방 밸브(5)가 설치되며 상기 3방 밸브(5)에 바이패스 관(6)이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관(6)의 타측은 오일 배스(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3방 밸브(5)의 개도를 크게 하여 바이패스 관(6)을 통하여 오일이 많이 되돌아 오게 할수록 오일 제트(10)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일 배스(1) 내에는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3방 밸브(5)와 메인 갤러리(9) 사이에는 온도계(7)와 유압 센서(8)가 설치되어 오일의 온도 및 유압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오일 제트(10) 하단에는 메스 플라스크(11)가 설치되어 오일 제트(10)로부터 분사된 오일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스 플라스크(11)에 모인 오일을 다시 수집하여 오일 배스(1)로 보내는 오일 수집 수단으로서, 각각의 메스 플라스크(11)와 오일 배스(1)를 연결하는 오일 수집관(12)과, 상기 오일 수집관(12) 상이 설치되는 수집 펌프(13)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구성 요소들을 도 1과 같이 설치한 다음, 공급 펌프(4)를 이용하여 오일 배스(1)로부터 메인 갤러리(9)로 오일을 공급한다. 이 때, 온도 조절 장치(2)를 이용하여 오일의 온도를 조절하고 온도계(7)를 통하여 실제 공급되는 오일의 온도를 체크한다. 또한 3방 밸브(5)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관(6)쪽으로 빠져나가는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여 오일의 압력을 조정하고 유압 센서(8)를 통해 실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체크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오일 제트(10) 하단에 설치된 메스 플라스크(11)에서 오일을 받아 그 부피를 측정하여 분사 시간당의 분사량을 계산하면 각 오일 제트(10)에서 분사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일의 분사 유량은 오일의 압력과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므로 각 온도별, 압력별 분사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오일 제트(10)의 특성 및 성능을 다양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다.
측정이 완료된 후 메스 플라스크(11)에 모인 오일은 수집 펌프(13)에 의해 오일 수집관(12)을 따라 다시 오일 배스(1)로 수집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측정 작업을 여러번 반복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과 분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오일 제트 분사 유량의 가장 중요한 변수인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가면서 그에 따른 분사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엔진에 오일 제트를 장착하기 전에 그 특성을 미리 테스트하여 이를 양산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Claims (1)
- 오일 제트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배스; 상기 오일 배스 내에서 오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오일 배스와 오일 제트의 메인 갤러리를 연결하는 오일 공급관; 상기 오일 공급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어 오일을 상기 오일 배스로부터 메인 갤러리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 상기 공급 펌프와 메인 갤러리 사이의 오일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3방 밸브; 상기 3방 밸브와 상기 오일 배스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 상기 3방 밸브와 메인 갤러리 사이의 오일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온도계 및 유압 센서; 각각의 오일 제트에 설치되어 분사된 오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수단; 상기 유량 측정 수단으로부터 오일을 수집하여 다시 상기 오일 배스로 보내는 오일 수집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8235A KR19980058899A (ko) | 1996-12-30 | 1996-12-30 |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8235A KR19980058899A (ko) | 1996-12-30 | 1996-12-30 |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8899A true KR19980058899A (ko) | 1998-10-07 |
Family
ID=6642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78235A Withdrawn KR19980058899A (ko) | 1996-12-30 | 1996-12-30 |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5889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927B1 (ko) * | 1999-12-30 | 2002-04-22 | 이계안 | 오일 제트 유량 측정장치 |
KR100346475B1 (ko) * | 1999-12-30 | 2002-07-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엔진피스톤용 오일제트의 유량 측정장치 |
KR100494900B1 (ko) * | 2002-10-30 | 2005-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피스톤 갤러리 오일 충전율 측정장치 |
KR100748655B1 (ko) * | 2005-12-14 | 2007-08-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디젤엔진 피스톤용 오일제트의 유량측정장치 및 그제어방법 |
-
1996
- 1996-12-30 KR KR1019960078235A patent/KR1998005889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927B1 (ko) * | 1999-12-30 | 2002-04-22 | 이계안 | 오일 제트 유량 측정장치 |
KR100346475B1 (ko) * | 1999-12-30 | 2002-07-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엔진피스톤용 오일제트의 유량 측정장치 |
KR100494900B1 (ko) * | 2002-10-30 | 2005-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피스톤 갤러리 오일 충전율 측정장치 |
KR100748655B1 (ko) * | 2005-12-14 | 2007-08-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디젤엔진 피스톤용 오일제트의 유량측정장치 및 그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502442U (zh) | 自校准传感器系统及包含该系统的车用系统和车辆 | |
CN109838298A (zh) | 一种商用车活塞冷却喷嘴控制方法及控制系统 | |
KR890012076A (ko) | 엔진의 연료분사제어방법 및 장치 | |
GB2086984A (en) | Apparatus for testing injection nozzles | |
JPH0726891B2 (ja) | エンジンシリンダヘッド用の機械的疲労限界試験台 | |
KR101943773B1 (ko) | 연료 소모량 측정 시스템 및 내연기관의 연료 소모량 측정 방법 | |
US20140172277A1 (en) | Engin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 |
KR101388810B1 (ko) | 분사과정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KR19980058899A (ko) | 오일 제트 분사 유량 측정 장치 | |
CN218002912U (zh) | 一种活塞内冷油道机油温度的模拟测量装置 | |
CN113811676B (zh) | 分体循环发动机 | |
KR100333927B1 (ko) | 오일 제트 유량 측정장치 | |
WO2018216211A1 (ja) | 内燃機関の温度予測装置および温度予測方法 | |
US682992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rectly determining a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RU2344400C1 (ru) | Способ безразбор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степени износа подшипник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 |
US6959591B2 (en) | Test stan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RU2001114566A (ru) |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объема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в условиях космического полета | |
CN214145610U (zh) | 一种可用于航空活塞发动机的润滑油加热装置 | |
EP0784742B1 (en) | Engine temperature management | |
KR100748655B1 (ko) | 디젤엔진 피스톤용 오일제트의 유량측정장치 및 그제어방법 | |
KR100244096B1 (ko) | 유량변화에 따른 피스톤 온도 측정장치 | |
KR20080108473A (ko) | 내연 기관의 작동 방법 및 장치 | |
RU1830457C (ru) |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расхода топлива двигателем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 |
KR100494799B1 (ko) | 엔진의 연소실 오일 유입량 측정장치 | |
KR100412588B1 (ko) | 서모스탯 양정에 따른 냉각수 유수량 측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