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46872U -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 Google Patents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872U
KR19980046872U KR2019960060027U KR19960060027U KR19980046872U KR 19980046872 U KR19980046872 U KR 19980046872U KR 2019960060027 U KR2019960060027 U KR 2019960060027U KR 19960060027 U KR19960060027 U KR 19960060027U KR 19980046872 U KR19980046872 U KR 19980046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cpu
system bu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60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872U/en
Publication of KR19980046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72U/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performs an I/O function other than control of data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06F13/1689Synchronisation and timing conc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PU의 클럭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동작하는 주변기기들을 CPU로 하여금 제어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클럭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CPU와 시스템 버스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circuit of a CPU and a system bus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eripheral devices by adjusting the clock speed in the middle so that the CPU can control peripheral devices that operat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clock frequency of the CPU.

본 고안의 회로는 CPU와 시스템 버스와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를 동작시키기 위해 일정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수단과, 상기 CPU와 상기 클럭 발생 수단 사이에 접속되어 CPU와 주변기기를 제어하도록 현재의 시스템 상황에 알맞는 클럭을 다시 생성하여 공급해 주는 클럭 조절 수단과, 상기 CPU로부터의 제어 신호와 가변 클럭 신호를 주변기기 및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를 구비한다.In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circuit between a CPU and a system bus includes clock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a constant clock signal to operate a CPU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CPU and the clock generation means to provide a CPU and peripheral devices. Clock control means for regenerating and supplying a clock suitable for the current system situation to control, and a system bus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variable clock signal from the CPU to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 memory device.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의 성능을 향상 시킴과 아울러 각 주변 장치와 버스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부분을 통일된 규격에 맞추어 간단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eripheral device of the computer system, and to implement the interface part connecting each peripheral device and the bus simp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unified standard.

Description

중앙 처리 장치와 시스템 버스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제1도는 CPU가 컴퓨터에 연결된 주변기기들을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제어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종래의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anner in which a CPU interfaces to control peripherals connected to a computer through a system bus.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CPU12 : 시스템 버스10: CPU12: system bus

14 : 주변기기16 : 메모리14: peripheral device 16: memory

20 : 클럭 발생기22 : CPU 인터페이스부20: clock generator 22: CPU interface unit

24 : 클럭 레지스터26 : 클럭 분주 회로24: clock register 26: clock divider circuit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CPU)와 시스템 버스 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CPU의 클럭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동작하는 주변기기들을 CPU로 하여금 제어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클럭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CPU와 시스템 버스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etwee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system bus of a computer system,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clock speed in the middle so that the CPU can control peripheral devices that operat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clock frequency of the CPU. It is about the interface circuit of the CPU and the system bu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최근 들어,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에는 여러 주변기기 등이 연결된 소위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구축된 퍼스널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ersonal computer, the use of a personal computer in which a so-called multimedia system in which various peripheral devices and the like are connected is widely used.

제1도는 CPU가 컴퓨터에 연결된 주변기기들을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제어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종래의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도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0)와, CPU(10)로부터의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12)와, 이 시스템 버스(12)에 연결되는 주변기기(14) 및 메모리 장치(1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인터페이스 방식에서는, CPU(10)로 들어가는 클럭이 항상 일정하였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의 클럭 신호 CLK1과 CLK2의 주파수는 항상 일정하였다. 예를 들어 ARM7/OA와 같은 경우 CPU는 두개의 클럭 소스 FCLK 및 MCLK가 있지만 이것들은 항상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면서 동작한다.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ventional manner in which the CPU interfaces to control peripherals connected to a computer via a system bus. The interface scheme of FIG. 1 includes a CPU 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ystem, a system bus 12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PU 10, and a peripheral device 14 connected to the system bus 12. ) And the memory device 16. 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lock entering the CPU 10 has always been constant. That is, the frequencies of the clock signals CLK1 and CLK2 as shown in FIG. 1 were always constant. For example, in ARM7 / OA, the CPU has two clock sources, FCLK and MCLK, but they always operate at a constant frequency.

이와 같은 기존의 인터페이스 방식에서는, 동작 속도가 느린 주변 기기와 컴퓨터를 인터페이스하는데에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동작 속도가 상당히 빠른 주변기기가 연결되었을 때에도 주변기기의 동작 속도가 빨라진 만큼 주변기기의 성능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interface method, it is difficult to interface a computer with a peripheral device having a slow operation speed. In addition, even when a relatively fast peripheral speed is connected, the peripheral device performance is not improved as the peripheral speed increa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의 방법은 CPU가 주변장치들을 액세스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대기(wait) 신호를 CPU에 제공하여 그 신호가 들어오고 있는 동안은 CPU가 다음 사이클을 진행할 수 없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것처럼 사용하는 주파수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대기신호가 들어오는 시점 즉 대기 명령을 주는 시점을 맞추어 주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또한 각 장치들의 컨트롤러들이 버스 쪽으로 대기 신호를 각각 제공하여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내장형(embeded) 마이크로컴퓨터 분야에서는 최대한 로직(logic)의 갯수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다지 유용하지 못하였다.The conventional method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generally provides a wait signal to the CPU when the CPU attempts to access peripheral devices so that the CPU cannot proceed to the next cycle while the signal is coming in. . As described above, as the frequency used increases,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match the time when the standby signal comes in, that is, when the standby command is given, and the controllers of the respective devices must provide the standby signal toward the bus. Have Therefore,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not been very useful in the embedded microcomputer field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logics as much as possible.

본 고안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CPU 클럭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동작하는 주변기기들을 CPU가 제어할 수 있도록 클럭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CPU와 시스템 버스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eripheral devices by adjusting the clock speed so that the CPU can control peripheral devices that operate relatively slower than the CPU clock frequency. And to provide the interface circuitry for the system bu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각 장치들과 버스들을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부분을 통일된 규격에 맞추어서 간단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circuit that enables simple and easy implementation of the interface portion connecting each device and buses of a computer system to a unified standard.

이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CPU와 시스템 버스와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를 동작시키기 위해 일정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CPU와 상기 클럭 발생 수단 사이에 접속되어 CPU와 주변기기를 제어하도록 현재의 시스템 상황에 알맞는 클럭을 다시 생성하여 공급해 주는 클럭 조절 수단과, 상기 CPU로부터의 제어 신호와 가변 클럭 신호를 주변기기 및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interface circuit between the CPU and the system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ock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onstant clock signal to operate a CPU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and between the CPU and the clock generating means. Clock control means for regenerating and supplying a clock suitable for the current system situation so as to control the CPU and peripheral devices, and a system bus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and variable clock signals from the CPU to peripheral devices and memory devices. do.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과 잇점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도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10)를 동작시키기 위해 일정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20)와, CPU(10)와 주변기기(14)를 제어하도록 현재의 시스템 상황에 알맞는 클럭을 다시 생성하여 공급해 주는 CPU 인터페이스부(22)와, CPU(100)로부터 제어 신호와 가변 클럭 신호를 주변기기(14) 및 메모리 장치(16)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12)를 구비한다. 상기 CPU 인터페이스부(22)는 클럭 발생기(20)로부터의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클럭 분주 회로(26)와 클럭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럭 레지스터(24)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method of FIG. 2 is suitable for the current system situation to control the clock generator 20 and the CPU 10 and the peripheral device 14 to generate a constant clock to operate the CPU 10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A CPU interface unit 22 for regenerating and supplying a clock and a system bus 12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variable clock signal from the CPU 100 to the peripheral device 14 and the memory device 16 are provided. The CPU interface unit 22 includes a clock divider circuit 26 for dividing a clock signal of a constant frequency from the clock generator 20 and a clock register 24 for adjusting a clock spe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CPU와 시스템 버스와의 인터페이스 방식의 원리는 바로 클럭이 가변적으로 되게 하여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주변 장치들을 액세스하고자 할 때는 상기 CPU 인터페이스부(22)에 의해 클럭 주파수를 낮추는 반면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주변 장치들을 액세스하고자 할 때에는 클럭 주파수를 높여줌으로써 CPU(10)가 주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황에 따라 클럭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The principle of the interface system between the CPU and the system b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change the clock frequency by lowering the clock frequency by the CPU interface 22 when the clock is to be changed to access the relatively slow peripheral devices. Is to adjust the clock spe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CPU 10 can control the peripheral devices by increasing the clock frequency.

이제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구성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상기 CPU 인터페이스부(22)에서는 하나의 클럭 발생기(20)에서 생성되는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현 상황에 알맞는 클럭을 다시 생성하여 그 조절된 클럭을 CPU(10)와 주변 기기(14)의 제어부에 공급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interface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2, the CPU interface 22 receives a clock signal of a constant frequency generated by one clock generator 20, regenerates a clock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and generates the adjusted clock to the CPU 10.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eripheral device 14.

이때 클럭을 다시 생성하는 부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우선 CPU(10)는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통상 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16)를 액세스한다. 그러면, CPU(10)는 명령어 코드를 분석하여 실행하게 되며 이때 CPU 인터페이스부(22)내의 클럭 레지스터(24)를 초기화시킨다. 이어서 클럭 분주회로(26) 및 클럭 레지스터(24)에 의해 클럭 속도를 조절한다. 이 레지스터(24)는 32비트로 구성되며 하나의 장치들 마다 2비트씩 할당되어 있으므로 총 16개의 장치들에 대하여 클럭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클럭 속도에 관한 정의는 어떠한 클럭 소스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다르긴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40MHz의 클럭 발생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At this time, the role of regenerating the clock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PU 10 accesses the memory 16 which is usually composed of a ROM to obtain an instruction. Then, the CPU 10 analyzes and executes the instruction code, and initializes the clock register 24 in the CPU interface unit 22 at this time. The clock speed is then adjusted by the clock divider 26 and clock register 24. This register 24 is composed of 32 bits, and 2 bits are allocated to each device so that the clock speed can be adjusted for a total of 16 devices. Although the definition of the clock speed is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clock source is use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clock generator of 40 MHz is used, and is defined as follows.

00 : 8분주 [5MHz]00: 8min [5MHz]

01 : 4분주 [10MHz]01: 4 divisions [10MHz]

10 : 2분주 [20MHz]10: 2 min [20 MHz]

11 : 그냥 사용 [40MHz]11: just use [40MHz]

위와 같이 정의된 레지스터(24)의 값을 가지고 CPU(10)는 어느 한 주변장치(14)를 액세스한다. 이 액세스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With the value of register 24 defined as above, CPU 10 accesses either peripheral 14. This access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첫 단계로, CPU(10)는 어드레스(address), 데이타(data), 리이드/라이트(read/write) 신호 등 주변 장치를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신호들을 CPU 인터페이스부(22)로 준다.First, in the first step, the CPU 10 transmits signals necessary for access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n address, data, read / write signal, etc. to the CPU interface 22.

이어서 둘째 단계로, CPU 인터페이스부(22)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따른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어떤 장치를 선택할 것인지 결정하고 예컨대 select[15:φ] 신호 중에서 하나를 활성화시킨다.In the second step, the CPU interface unit 22 then checks the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to determine which device to select, and activates one of the select [15: φ] signals, for example.

세째 단계로, 위 단계에서의 활성화된 신호로 클럭 레지스터(24)를 액세스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가 필요로 하는 클럭 주파수를 알아낸다.In a third step, the clock register 24 is accessed with the signal activated in the above step to find out the clock frequency needed by the selected device.

네째 단계로, 전 단계에서 알아낸 주파수의 값을 기준으로 클럭을 생성하여 버스(12) 쪽과 CPU(10) 쪽으로 넣어주며, 이와 동시에 그 클럭에 동기하여 버스(12) 쪽으로 어드레스, 데이타, 리이드/라이트 등의 신호 등을 생성하여 준다.In the fourth step, a clock is generated based on the frequency value found in the previous step and inserted into the bus 12 side and the CPU 10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address, data and lead are synchronized to the bus 12 side. Creates signals such as lights.

마지막 다섯째 단계로, 상기 장치에 대한 액세스가 모두 끝나면 클럭을 원래의 상태로 복구시켜서 CPU(10)가 내부 동작을 수행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지 않도록 한다.In a fifth step, when all accesses to the device are completed, the clock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the CPU 10 does not take time to perform internal operations.

한편, CPU(10)가 다른 장치를 액세스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첫 단계에서 다섯째 단계까지의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PU 10 wants to access another device, the steps from the first step to the fifth step may be repeated.

상술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각 주변 장치와 버스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부분을 통일된 규격에 맞추어 간단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관련하여 클럭 주파수를 결정해 주는 레지스터의 값을 설정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미리 각 장치를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계산하기만 하면 쉽게 결정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interface method is used, the interface part connecting each peripheral device and the bus can be simply and easily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 unified standard. Of course,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set a register value that determines the clock frequency, but in this case it is easy to determine the minimum time required to access each device in adv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CPU 클럭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게 동작하는 주변기기들을 CPU가 제어할 수 있도록 클럭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peripheral devices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clock speed so that the CPU can control peripheral devices that operat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CPU clock frequenc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Claims (3)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를 동작시키기 위해 일정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Clock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a constant clock signal to operate a CPU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상기 CPU와 상기 클럭 발생 수단 사이에 접속되어 CPU와 주변기기를 제어하도록 현재의 시스템 상황에 알맞는 클럭을 다시 생성하여 공급해 주는 클럭 조절 수단과,Clock adjust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CPU and the clock generating means for regenerating and supplying a clock suitable for the current system situation to control the CPU and peripherals; 상기 CPU로부터 제어 신호와 가변 클럭 신호를 주변기기 및 메모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시스템 버스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And a system bus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variable clock signal from the CPU to peripherals and a memo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럭 조절 수단은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클럭 분주 회로와, 클럭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럭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시스템 버스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The clock adjusting means includes a clock dividing circuit for dividing a clock signal of a constant frequency from the clock generating means, and a clock register for adjusting a clock speed, wherein the interface circuit betwe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system bus is provided. .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클럭 레지스터는 총 16개의 장치들에 대하여 클럭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32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장치들 각각에 대해 2비트씩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시스템 버스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Wherein the clock register is configured with 32 bits to adjust clock speeds for a total of 16 devices, and 2 bit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devices.
KR2019960060027U 1996-12-28 1996-12-28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Withdrawn KR1998004687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27U KR19980046872U (en) 1996-12-28 1996-12-28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27U KR19980046872U (en) 1996-12-28 1996-12-28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72U true KR19980046872U (en) 1998-09-25

Family

ID=5399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027U Withdrawn KR19980046872U (en) 1996-12-28 1996-12-28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87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1814A (en) Apparatus using a state machine for generating selectable clock frequencies and a fixed frequency for operating a computer bus
US5097437A (en) Controller with clocking device controlling first and second state machine controller which generate different control signals for different set of devices
AU644901B2 (en) Synchronous processor unit with interconnected, separately clocked processor buses
US5041962A (en) Computer system with means for regulating effective processing rates
WO1989002128A1 (en) Microcomputer with on-board chip selects and programmable bus stretching
JPH06502264A (en) Dynamically switchable multi-frequency clock generator
US4870299A (en) Dynamic switching circuit for multiple asynchronous clock sources
JPH03149640A (en) Double area memory controller
US5585750A (en) Logic LSI
JP4303417B2 (en) Clocking scheme for digital signal processor systems
JPS6045828A (en) Single chip microcomputer
US5640585A (en) State machine bus controller
EP1478994A1 (en) Transferring data between differently clocked busses
US55069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sonal computers
KR19980046872U (en) Interface circuit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system bus
US5828898A (en) Microcomputer for outputting data to the outside of the microcomputer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RTP output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outside the microcomputer
JPH10133766A (en) Adaptive power-down clock control
US7065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rite strobe signal to a receiving element before both an address and data signal
JPH0542525Y2 (en)
JPH05341872A (en) Data processor
JPS59161752A (en) Central processor of data processing system
US6421280B1 (en) Method and circuit for loading data and reading data
KR100218383B1 (en) PL C's Multi CUI Module System
KR900005923B1 (en) Input / Output Port Expansion and Baud Rate Generation Circuit in Central Processing Unit
JPH04262435A (en) Memor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