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43035U - 오일 펌핑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펌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035U
KR19980043035U KR2019960056144U KR19960056144U KR19980043035U KR 19980043035 U KR19980043035 U KR 19980043035U KR 2019960056144 U KR2019960056144 U KR 2019960056144U KR 19960056144 U KR19960056144 U KR 19960056144U KR 19980043035 U KR19980043035 U KR 19980043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upper block
pipe
pumping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6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035U/ko
Publication of KR19980043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35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오일 홀이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을 갖는 오일 펌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 펌프(41)의 삽입부(43)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부(39)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39)로부터 오일 홀(37)이 오일 파이프(53)까지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가 저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일 펌핑 장치
본 고안은 오일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오일 홀이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을 갖는 오일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어퍼 블록이 장착된 오일 펌핑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 펌핑 장치는 실린더 블록(3)의 일측에 장착되는 오일 펌프(1)와, 상기 오일 펌프(1) 및 실린더 블록(3)의 하부에 설치되며 파이프구멍(15)이 형성된 어퍼 블록(9)과, 상기 어퍼 블록(9)의 수평부(13)에 플랜지(21)접합으로 장착되며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 팬(17)과, 상기 오일 펌프(1)의 하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어퍼 블록(9)의 파이프 구멍(15)을 관통하며 상기 오일 팬(17)의 본체(19)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까지 연장된 오일 파이프(7)와, 상기 오일 파이프(7)의 단부에 장착되어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분술물 등을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퍼 블록(9)은 상기 오일 팬(17)의 측면 유동을 방지하도록 플랜지(21)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오일 팬(17)의 양 플랜지(21)와 접합하는 수평부(13)와, 상기 수평부(13)상을 오일 파이프(7)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이프 구멍(15)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 펌핑 장치에서는, 오일 파이프(7)가 오일 펌프(1)의 하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어퍼 블록(9)을 관통하며 오일 팬(17)의 본체(19)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형의 오일 파이프(7)가 필요함에 따라 그 중량이 무겁고, 조립하는 데 있어 조립공정이 많이 필요하므로써, 제품의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오일 홀이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을 갖는 오일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일 펌핑 장치의 일예로서, 오일 펌프의 삽입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오일 홀이 오일 파이프까지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가 저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퍼 블록이 장착된 오일 펌핑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퍼 블록이 장착된 오일 펌핑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어퍼 블록 33 : 수직부
35 : 수평부 37 : 오일 홀
39 : 수용부 41 : 오일 펌프
43 : 삽입부 45 : 실린더 블록
47 : 오일 팬 49 : 본체
51,55 : 플랜지 53 : 오일 파이프
57 : 오일 스트레이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퍼 블록이 장착된 오일 펌핑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오일 펌핑 장치는 실린더 블록(45)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하부면에 삽입부(43)가 형성된 오일 펌프(41)와, 상기 오일 펌프(41) 및 실린더 블록(45)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43)가 삽입되는 수용부(39)와 오일이 상승하는 오일 홀(37)이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어퍼 블록(31)과, 상기 어퍼 블록(31)의 수평부(35)에 플랜지(51)접합으로 장착되며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 팬(47)과, 상기 어퍼 블록(31)의 수평부(35)의 하부면에 그 플랜지(55)가 접합되며 상기 오일 팬(47)의 본체(49)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까지 연장된 오일 파이프(53)와, 상기 오일 파이프(53)의 단부에 장착되어 오일에 섞여 있는 분술물을 여과하는 오일 스트레이너(5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퍼 블록(31)은 상기 오일 팬(47)의 측면 유동을 방지하도록 플랜지(51)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부(33)와, 상기 수직부(33)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며 상기 오일 팬(47)의 플랜지(51) 및 상기 오일 파이프(53)의 플랜지(55)가 접합하는 수평부(35)와, 상기 수평부(35)의 일측에 오일이 상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일 홀(37)과, 상기 오일 홀(37)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수용부(39)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오일 펌핑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어퍼 블록(31)은 실린더 블록(45)의 하부에 장착되어 오일 펌프(41)를 지지해 주며, 오일 팬(47)과 오일 파이프(53)가 수평부(35)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35)에 형성된 오일 홀(37)은 오일 파이프(53)대용의 역할을 하며, 상기 오일 홀(37)을 통하여 오일이 상승한다.
오일 팬(47)은 본체(49)와 플랜지(51)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49)에 오일을 수용한다.
오일 파이프(53)의 일단부에 장착된 오일 스트레이너(57)는 오일 팬(47)에 저장된 오일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어 오일속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등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일 펌핑 장치에서는, 어퍼 블록에 일체로 형성된 오일 홀이 오일 파이프의 상단부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일 파이프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단가가 저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 펌핑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오일 펌프(41)의 삽입부(43)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부(39)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39)로부터 오일 홀(37)이 오일 파이프(53)까지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 어퍼 블록(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펌핑 장치.
KR2019960056144U 1996-12-24 1996-12-24 오일 펌핑 장치 KR199800430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144U KR19980043035U (ko) 1996-12-24 1996-12-24 오일 펌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144U KR19980043035U (ko) 1996-12-24 1996-12-24 오일 펌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35U true KR19980043035U (ko) 1998-09-25

Family

ID=5399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144U KR19980043035U (ko) 1996-12-24 1996-12-24 오일 펌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03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671A (en) Multi-size threaded adapter
EP1039176A4 (en) AXLE DRIVE DEVICE
FR2433393A1 (fr) Cle a douille pour filtre
US6585889B2 (en) Transmission oil pan module having filter with integrated drain plug
CA1275603C (en) Air cleaner with crankcase breather assembly
KR970075327A (ko) 미세 구멍 연료 필터를 갖는 연료 압송 모듈
GB2079168A (en) Fluid filter
KR19980043035U (ko) 오일 펌핑 장치
KR970075817A (ko) 냉매호스연결구를 구비한 오일쿨러 및 그 제조방법
JP2004132317A (ja) オイルパン
JP2003201932A (ja) 燃料供給装置
JPS60132803U (ja) 液体濾過器
KR970061318A (ko) 정수기의 보조필터장치
JP3104544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ストレーナ構造
EP1144838A1 (en) In-tank fuel delivery system
JP3315043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ストレーナの取り付け構造
JPS6242090Y2 (ko)
KR19990001606U (ko) 램프 하우징
KR0116191Y1 (ko) 전자펌프 필터
KR19980053481U (ko) 자동 변속기용 오일필터 장착구조
JPH06185597A (ja) 変速機のポンプ吸入構造
KR970003902Y1 (ko) 자동변속기의 오일휠터(oil filter) 막힘 경보장치
JPH0510726U (ja) マリンエンジン用残量低減型オイルパンの構造
JPH0510724U (ja) マリンエンジン用残量低減型オイルパンの構造
JPH05343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2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