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38581A -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581A
KR19980038581A KR1019960057492A KR19960057492A KR19980038581A KR 19980038581 A KR19980038581 A KR 19980038581A KR 1019960057492 A KR1019960057492 A KR 1019960057492A KR 19960057492 A KR19960057492 A KR 19960057492A KR 19980038581 A KR19980038581 A KR 19980038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attery
engine
storage batte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581A/ko
Publication of KR1998003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581A/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E)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11)와 이러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전압조정기(12)로 조정하여 공급함으로써 축전지(B)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B)의 전압이 전압계(15)로 감지되어 ECU(13)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과 ECU(13)에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 기어의 중립위치와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될 때 시동장치(14)를 구동하여 엔진(E) 및 이에 따르는 발전기(11)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장시간 주차시에 방전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엔진을 시동시켜 축전지를 충전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시간 주차로 인하여 축전지 방전시 이를 감지하여 엔진을 자동으로 시동하게 함으로써 발전기를 구동시켜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Battery)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화시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전기적 부하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2차전지이며, 차량용 축전지(B)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차량의 엔진룸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차량에서 가동장치의 전기적 부하를 부담하며 발전기에 고장이 있을 경우 주행 전원으로 작용하게 되며, 주행상태에 따르는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언밸런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축전지는 종종 방전이 일어나게 되는 바, 자기방전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방전이 있다. 상기 자기방전은 사용하지 않아도 조금씩 자연 방전하여 용량이 감소되는 현상이며 이는 구조상 기본적으로 소모되는 전류(암전류)에 의한 방전,불순물에 의한 방전, 단락에 의한 방전 등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것은 전기부하를 작동시킨 상태로 방치하였을 때 발생된다.
이러한 방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이 구동되면 이와 연결된 발전기(11)의 출력 전압이 전압조정기(12)를 거쳐 일정하게 조정되어 축전지(B)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엔진을 시동할 수 없을 정도로 방전되면 자체적으로는 엔진의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시스템으로 충전 또는 교환하게 되지만 여건이 여의치 않을 때는 타 차량의 축전지와 부스터 케이블로 연결하여 임시로 시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타 차량의 축전지와 연결하여 임시로 차량을 시동하는 것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전지식이 없는 운전자의 경우 난감하며 또한 차량의 통행이 없는 곳에 주차후에는 이 또한 시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차 등 장시간 차량 방치시 여러 이유로 인하여 축전지가 방전될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전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부위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 4는 종래 축전지 충전계통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 엔진 B : 축전지
11 : 발전기 12 : 전압조정기
13 : ECU 14 : 시동장치
15 : 전압계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E)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11)와 이러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전압조정기(12)로 조정하여 공급함으로써 축전지(B)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B)의 전압이 전압계(15)로 감지되어 ECU(13)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과 ECU(13)에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 기어의 중립위치와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될 때 시동장치(14)를 구동하여 엔진(E) 및 이에 따르는 발전기(11)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동일부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축전지(B)에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압계(15)를 연결 설치하고, 이러한 전압계(15)는 ECU(13)에 연결하며 상기 ECU(13)에서 시동장치(14)를 제어하도록 연결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축전지(B)의 현재 전압이 전압계(15)에 체크되고 ECU(13)로 입력되는 바, 이에 따라 현재 차량의 축전지(B) 전압이 소정의 기준치(7V) 이하로 되면 ECU(13)에서는 현재 기어중립상태와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기어중립상태와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는 해당 부위에 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어중립상태와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가 확인되면 ECU(13)는 시동장치(14)를 작동시키게 되며, 엔진(E)을 구동시켜 발전기(11)를 구동시키고 축전지(B)를 충전시키게 된다.
한편 기어중립상태가 아니거나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ECU(13)는 시동장치(14)를 구동시키지 않게 되는 바, 이는 차량의 방전보다 안전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엔진(E) 및 발전기(11)의 구동으로 인한 충전으로 축전지(B)의 전압이 목표치인 12V 이상 도달하여 상기 전압계(15)에 감지되면 ECU(13)에서 시동장치(14)를 제어하여 엔진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등 장시간 방치시 여러 이유로 인하여 축전지가 방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하므로, 축전지가 방전됨으로 인하여 시동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게 되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차량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E)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11)와 이러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전압조정기(12)로 조정하여 공급함으로써 축전지(B)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B)의 전압이 전압계(15)로 감지되어 ECU(13)로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과 ECU(13)에 사전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 기어의 중립위치와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될 때 시동장치(14)를 구동하여 엔진(E) 및 이에 따르는 발전기(11)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KR1019960057492A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KR19980038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492A KR19980038581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492A KR19980038581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81A true KR19980038581A (ko) 1998-08-05

Family

ID=6648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492A KR19980038581A (ko) 1996-11-26 1996-11-26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22B1 (ko) * 2000-09-20 2003-08-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방전제어시스템
KR102380660B1 (ko) * 2021-04-19 2022-04-04 에스올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에어컨의 사용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22B1 (ko) * 2000-09-20 2003-08-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방전제어시스템
KR102380660B1 (ko) * 2021-04-19 2022-04-04 에스올텍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에어컨의 사용에 따른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14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장치
US6979977B2 (en) Power controller for a vehicle
US9956882B2 (en)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
US7963264B2 (en) Engine cranking system and method
US5952813A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with battery charging system
US5659240A (en) Intelligent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drive system batteries
US7911078B2 (en) Dual type vehicle power-supply apparatus
US2010028945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vehicles
US20060137918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 motor vehicle electric system
KR940006839A (ko) 전기 모터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US5726553A (en) Dual battery system control circuit
US8237305B2 (en) Auxiliary electrical power system for vehicular fuel economy improvement
KR102125893B1 (ko)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방전 차량 점프 스타트 시스템
KR20140068556A (ko) 전기자동차용 직류 변환장치의 제어방법
JP2008131772A (ja) 電源装置
JP7373113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9980038581A (ko) 자동차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KR200147895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과다 방전 방지장치
KR100213760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시스템
JP7378982B2 (ja) 充電制御装置
JP3674428B2 (ja) バッテリの充電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の充電状態推定装置
KR100193439B1 (ko)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방법
KR19980047790A (ko) 장기 주차시 축전지의 자동충전방법
US20240317089A1 (en) Electric vehicle
JP5203634B2 (ja) 車載バッテリの過放電防止方法及び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