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32586A -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586A
KR19980032586A KR1019970051293A KR19970051293A KR19980032586A KR 19980032586 A KR19980032586 A KR 19980032586A KR 1019970051293 A KR1019970051293 A KR 1019970051293A KR 19970051293 A KR19970051293 A KR 19970051293A KR 19980032586 A KR19980032586 A KR 1998003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attachment
attachment portion
moto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659B1 (ko
Inventor
스나하라히로시
이치카와야스노리
가지나겐지
야마기시가츠아키
기구치유키오
사사키마사히코
스기야마히로유키
사이토다이스케
오자와데츠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63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109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59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94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502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726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다이조
Publication of KR1998003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6Magnetic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4Indicator and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속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유닛 본체는 천정속에 배치되어 하면부가 실내에 노출되고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을 배치하며, 상기 유닛본체의 하면부로서 흡입구를 구비한 화장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화장패널의 일부로서 필터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 필터 부착부가 구성되며, 상기 필터 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며, 개폐 구동 기구가 필터 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구동하고, 개방했을 때 필터 부착부를 천정면으로부터 거의 늘어진 상태로 매달아 마루면에 선 필터 교환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본 발명은 천정속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특히 필터의 부착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천정속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이 다양하게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타입의 유닛이면 압박감이 전혀 없고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요한 공기조화작용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도 장기간 운전하면 흡입구에 대향하여 설치된 필터가 소정량 이상의 먼지를 포착하고 그 결과, 눈막힘이 생겨서 공기 저항이 증대되고 열교환 능력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소정 기간 사용하면 사용자는 필터를 청소하거나 새로운 필터와 교환한다.
단, 유닛 본체가 천정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그대로는 손이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받침대나 사다리 등에 올라 화장 패널의 필터 부착부를 떼어 내고 일단 마루면 등 작업하기 쉬운 장소에 둔다.
필터를 제거하고 포착된 먼지를 게거한 후, 또는 새로운 필터와 교환하고 나서, 다시 필터 부착부를 들어 올려 화장 패널에 끼운다. 이와 같이 필터의 교환작업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많은 수고와 시간을 요하고 또한, 높은 곳의 위험성을 수반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천정부착 타입이면서 필터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열교환 기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의 단면도,
도 2는 실내 유닛의 일부 생략한 평면도,
도 3은 실내 유닛의 측면도,
도 4는 개폐 구동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필터 부착부를 개방한 상태의 실내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개폐 구동 기구의 일부 단면도,
도 7a는 제 2 실시형태에서 개폐 구동 기구의 사시도,
도 7b는 개폐 구동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는 제 3 실시형태에서 개폐 구동 기구의 사시도,
도 8b는 개폐 구동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서 필터 부착부를 개방한 상태의 실내 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걸어 맞춤부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과는 다른 상태의 걸어 맞춤부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의 도면,
도 12a는 걸어 맞춤부에 사용되는 캠의 정면도,
도 12b는 캠의 종단면도,
도 13은 공기조화기의 전기 블럭도,
도 14는 (A)∼(D)의 순으로 걸림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는 래치체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해방하는 데에 이르기까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A)∼(D)의 순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해방상태로 하는 래치체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를 걸림 유지하기에 이르기까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리모콘의 플로우 차트도,
도 17은 필터 부착부의 개방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도,
도 18은 필터 부착부의 폐쇄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도,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실내 유닛을 분해한 사시도,
도 20은 실내유닛의 단면도,
도 21a는 발포 단열재의 저면도,
도 21b는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
도 22는 제 6 실시형태에서의 실내 유닛의 단면도,
도 23a는 발포 단열재의 저면도,
도 23b는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
도 24는 제 7 실시형태에서의 실내 유닛의 주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25는 실내 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제 8 실시형태에서의 실내 유닛의 단면도,
도 27a는 드레인 접시의 평면도,
도 27b는 드레인 접시의 측면도,
도 28은 드레인 접시의 사시도,
도 29는 제 9 실시형태에서의 실내 유닛의 저면도,
도 30은 상하 풍향판의 평면도,
도 31은 천정 패널의 배출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상하 풍향판의 한단부측에서 본 단면도,
도 32a는 제 10 실시형태에서의 상하 풍향판의 평면도,
도 32b는 도 32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33a는 도 32a, 도 32b에 도시한 상하 풍향판의 변형예로서 상하 풍향판의 평면도, 및
도 33b는 도 33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유닛본체 24: 화장패널
26: 덕트 27: 열교환기
30: 지지대 31: 드레인판
35: 개폐구동기구 38: 구동풀리
47: 마그네트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속에 배치되고 하면부가 실내에 노출됨과 동시에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배치되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하면부로서 구성되고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인도하는 흡입구가 설치되는 화장 패널과,
상기 화장 패널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필터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필터 부착부와,
상기 필터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필터 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구동하고, 개방했을 때 필터부착부를 천정면으로부터 거의 늘어진 상태로 매달려 마루면에 선 필터 교환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로 이동시키는 개폐 구동 기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3 및 도 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도시한다.
유닛 본체(21)는 하면부만이 개구하고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유닛 본체(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른 측면부(21a)의 바깥면측에 수용부재(22)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가옥의 도시하지 않는 천정속 등으로부터 설치되는 매달림 볼트(23)로 지지되어 있다.
이 유닛 본체(21)의 하면 개구부는 화장 패널(24)에 의해 폐쇄된다. 화장패널(24)은 천정(H)으로부터 피공조실내(R)로 노출되지만 이 화장패널(24)을 제외한 유닛 본체(21)는 천정(H)으로부터 천정속(W)에 돌출되어 부착된다.
유닛 본체(21)의 양측면부(21a)에는 각각 복수의 배출구(25)가 개구된다. 이 배출구(25)에는 배출 덕트(26)가 접속되고 상기 피공조실내(R)의 천정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배출부로 연장된다. 또는 별도의 피공조실의 천정에도 배출부가 설치되는 경우는 그곳으로도 연장된다.
유닛 본체(21)의 내부에는 각각 실내 열 교환기(27)와, 원심송풍기(28)가 2조씩 배치된다. 각 실내 열교환기(27)는 길이 방향의 측면부(21b)로 근접한 위치에서 유닛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각 실내 열 교환기(27)는 상단부가 외측, 하단부가 내측이 되도록 기울어져 있고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본체(21)의 측면에서 보아 양 실내 열 교환기(27)는 서로 대칭적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각 원심 송풍기(28)는 서로 실내 열 교환기(27) 사이에 배치되고 그 축방향은 실내 열교환기(27)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이며, 유닛 본체(21)의 짧은 변 방향을 따른다.
이 송풍기(28)는 지지대(30)로 유닛 본체(21)에 고정되는 팬 모터(FM)와, 상기 팬모터(FM)의 회전축에 부착되는 시로코팬(Sirrocco fan)(F)으로 이루어지고 팬모터와 팬의 위치가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반대로 배치된다.
상기 시로코팬(F)은 축방향으로부터 흡입되어 둘레 방향으로 배출되는 특성이 있고 각각의 흡입방향에 실내 열 교환기(27)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배출 공기는 팬케이싱(28a)에 의해 측면부(21b)에 설치되는 상기 배출구(25)로 인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27)와 유닛 본체 측면부(21b)의 사이에는 필터(29)가 배치된다. 이 필터(29)는 실내 열교환기(27)와 거의 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기울어져 있고 도시하지 않은 부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화장패널(24)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각 실내 열 교환기(27)의 하단부에는 드레인판(31)이 배치되어 있고 각 실내 열 교환기(27)에서 응축하여 생성되는 드레인 수를 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드레인판(31) 상호간에는 기판(32)이 일체로 가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화장패널(24)에는 한쌍의 흡입구(33)가 개구되고 여기에 그릴이 끼워져 있다. 이 흡입구(33)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유닛 본체(21)의 길이 방향 측면부(21b)를 따라 설치된다. 화장 패널(24)이 실내에 노출되므로, 상기 흡입구(33)는 실내(R)에 개구하게 된다.
도 1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판(31) 및 기판(32)과 화장 패널(24) 사이에는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화장 패널(24)을 개폐 자유롭게 구동하는 후술하는 개폐 구동기구(35)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24)은 둘레단 틀부(24a)와, 상기 둘레단 틀부(24a)에 둘러싸여 상기 흡입구(33)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29)가 부착되는 필터 부착부(24b)와, 상기 필터 부착부(24b)에 둘러싸여 상기 개폐 구동 기구(35)를 수납하는 중앙 패널부(24c)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 부착부(24b)의 길이 방향의 한 측단에는 둘레단 틀부(24a)에 대해서 필터 부착부(24b)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36)가 설치된다. 지지부(36)와 반대측의 다른 측단 양측에는 작동부재인 와이어(37)의 한단부가 접속된다. 이 와이어(37)의 타단부는 중앙패널부(24c)내의 공간부(34)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구동기구(35)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구동기구(35)는 구동측 풀리(38)와, 종동측 풀리(39) 및 이 풀리 사이에 무단 주행 자유롭게 놓은 벨트체(40)와, 상기 구동 풀리(38)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41)과, 앞서 설명한 지지부(36) 및 와이어(37)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체(40)의 소정 부위에는 핀(43)이 돌출되어 설치된 고정부재(42)가 설치된다. 상기 핀(43)에는 상기 와이어(37)의 타단부가 부착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38)의 지지축(38a)은 받침대(44)에 설치되는 베어링부(44a)를 통하여 톱니바퀴(45)에 연결된다. 즉, 톱니바퀴(45)와 구동 풀리(38)의 지지축(38a)은 일체가 되어 베어링부(44a)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톱니바퀴(45)에 맞물리는 톱니바퀴(46)는 구동원인 구동 모터(41)의 회전축(41a)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41)는 정역 회전 가능한 DC모터이고 상기 받침대(44)로 지지되어 있다.
다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측에 또한, 양측부에 마그네트(47)가 부착된다. 이 마그네트(47)와 대향하는 둘레단 틀부(24a)부분에는 마그네트(47)에 자기 흡착되는 자성 부재(48)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통상에서는 화장 패널(24)이 평판형상을 이룬다.
즉, 필터 부착부(24b)에 부착되는 마그네트(47)가 둘레단 틀부(24a)에 부착되는 자성부재(48)를 자기 흡착하고 둘레단 틀부(24a) 및 중앙 패널부(24c)에 필터 부착부(24b)가 밀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2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확히 실내 열 교환기(27)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냉동 사이클 운전을 이룸과 동시에 송풍기(28)를 구동함으로써 피공조실(R) 내 공기가 흡입구(33)로부터 유닛 본체(21) 내에 흡입된다. 그리고, 필터(29)를 통과할 때, 피공조실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가 포착된다. 이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27)에 인도되어 열교환하고 배출구(25)로부터 배출덕트(26)를 통하여 소정의 부위로 송풍되어 송풍장소의 공기조화를 이룬다.
소정 기간의 운전을 실시하면, 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 램프를 점등하면 필터(29)의 눈막힘이라 판단하여 필터(29)에 포착된 먼지의 제거를 실시한다.
이 때는 도시하지 않는 리모콘 등에 설치된 필터 추출 스위치를 온하고 개폐 구동기구(35)의 구동 모터(41)에 통전하여 웜(46)을 회전 구동한다. 상기 톱니바퀴(46)와 맞물리는 톱니바퀴(45)가 회전하고 구동 풀리(38)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38)와 종동 풀리(39) 사이에 놓여지는 벨트체(40)가 진행 주행한다. 그에 수반되지 않는 와이어(37)의 한 단부를 고정하는 핀(43)이 이동하고 와이어(37)는 필터 부착부(24b)를 향해 계속 풀려진다.
와이어 타단부가 접속되는 필터 부착부(24b)는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마그네트(47)와 자성부재(48)의 자기 결합이 해제되고 필터 부착부의 자유단은 서서히 하강한다.
필터 부착부(24b)는 지지부(36)를 지지점으로서 회전하고 둘레단 틀부(24a) 및 중앙 패널부(24c)를 개방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가 천정(H)로부터 거의 수직 형태로 매달린 곳에서, 구동 모터(41)의 운전이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내 유닛을 부착한 천정(H)이 마루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약 2400㎜의 높이에 있다고 하면, 도면과 같이 필터 부착부(24b)를 거의 늘어진 상태로 자세 변경했을 때, 필터 부착부의 중심위치는 마루면으로부터 약 1800㎜의 높이에 있고 필터 부착부의 하측단부는 마루면으로부터 1300㎜의 높이에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부착부(24b)와 함께 수직 상태로 자세 변경하는 필터(29)는 필터 교환 작업자의 대부분 얼굴 앞 위치의 손이 닿는 범위에 있고 쉽게 떼어내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받침대 등을 사용하거나 발꿈치를 드는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필터(29)를 세정하고 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포착한 먼지를 제거하면 다시 필터를 필터 부착부(24b)의 소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필터 부착부(24)의 자세는 변경하지 않으므로, 부착 작업도 편하고 안전성을 확보하여 빠르게 작업할 수도 있다.
다음에, 리모콘에 설치된 필터 세트 버튼을 온하고 필터 부착부(24b)의 개폐 지령을 내보내면, 구동 모터(41)가 역회전 구동한다. 벨트체(40)는 되돌림 주행하고 그에 따라서 핀(43)이 이동하며, 와이어(37)는 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은 끌려 올려지며 서서히 둘레단 틀부(24a)를 폐쇄한다. 다음에는 필터 부착부(24b)는 도시하지 않는 리미트 스위치에 접촉하고 둘레단 틀부(24a)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로 구동 모터(41)는 정지한다.
또한, 이 때 구동 모터(41)로의 통전은 필터 부착부(24b)가 둘레단 틀부(24a)를 닫기까지 필요한 시간과 플러스α의 시간으로 끝나도록 설정해 둔다.
그렇게 하면, 설령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나도 구동 모터(41)로의 통전이 끝나지 않은 경우에도 구동 모터(41)에 대한 단속 전류를 단시간으로 하고 모터의 연속 운전을 방지하여 확실한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필터 부착부(24b)가 둘레단 틀부(24a)에 밀착하고 평판형상의 화장 패널(24)이 완전히 형성된 상태에서 필터 부착부에 부착되는 마그네트(47)가 둘레단 틀부(24a)에 부착되는 자성부재(48)를 자기 흡착한다.
본래, 와이어(37)의 매달리는 힘으로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을 폐쇄 유지하므로, 와이어 신장이 발생하기 쉽지만 상술한 개폐 구동기구(35)에서는 마그네트(47)와 자성부재(48)를 채용했으므로, 와이어(37)의 하중 부담이 경감되고 와이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개폐 구동 기구(35)를 드레인판(31) 및 기판(32)과 화장패널(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4)에 배치했으므로,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 커버 등 사용하지 않고 개폐 구동 기구(35)의 구성부품에 대한 먼지의 부착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 모터(41)를 정역회전 가능한 DC모터로 하고 상기 모터에 톱니바퀴(46)를 부착하고 톱니바퀴(45)를 통하여 구동 풀리(38)를 회전 구동하므로, 구동 풀리(38)의 자연 발생적인 스스로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부착부(24b)의 불의의 개방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7)에서의 설치형태는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 양측부에 와이어(37)의 한단부를 접속했으므로, 2개의 와이어가 필요해지지만, 자유단 중앙부에만 와이어를 접속하도록 하면, 1개의 와이어로 충분하다.
또한, 필터 부착부(24b)가 닫혀 있지 않은 상태, 즉 리미트 스위치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운전할 수 없도록 해도 좋다.
즉, 리모콘 등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운전 개시가 지령되었을 때, 필터 부착부(24b)가 리미트 스위치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앞서 구동 모터(41)를 구동하여 필터 부착부(24b)를 닫은 상태로 하고 그 후,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기 사용에 따라서 와이어(37)가 늘어나 필터 부착부(24b)가 약간 열렸다고 해고 공기조화기의 운전 개시시에 이 와이어(37)가 늘어난 것을 흡수하여 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도 7b에 제 2 실시형태의 개폐 구동 기구(35A)를 도시한다. 이 경우, 구동 모터(41)로부터 벨트체(40)까지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같은 번호를 붙이고 새로운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벨트체(40)의 중도부에 직접, 이동가대(5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이동가대(50)에 와이어용 풀리(5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51a)이 돌출되어 설치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용 풀리(51)에는 2개의 와이어(37a)의 중도부가 겹친 상태로 걸린다.
이 와이어(37a)의 한단부는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 양측부에 접속된다. 와이어(37a)의 타단부는 와이어 단부측과 함께 와이어용 풀리(51)를 통하여 U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묶여진 벨트체(40) 근방에 설치되는 고정부인 고정핀(52)에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1)를 구동하여 벨트체(40)와 함께 와이어용 풀리(51)를 예를 들어, L만큼 이동하면, 와이어(37a)의 필터 부착부(24b)에 접속되는 단부는 소위 활차의 원리에 의해 2L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 개폐 구동 기구(35A)에 의하면, 와이어(37a)는 벨트체(40)의 이동 거리의 2배의 거리를 이동하게 되고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개폐 구동 기구(35)의 반정도의 시간으로 필터 부착부(24b)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고 필터 처리의 신속화를 얻을 수 있다.
도 8a, 도 8b에 제 3 실시형태의 개폐 구동 기구(35B)를 도시했다. 이 경우, 구동 모터(41)로부터 벨트체(40)까지와, 벨트체(40)의 중도부에 이동가대(50)가 부착되고 와이어용 풀리(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51a)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형태와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와이어(37b)는 1개의 긴 형상의 것으로 구성된다. 이 와이어(37b)의 중간부는 2개 접혀 있고 양단부는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 양측에 접속된다.
와이어(37b)의 중도부는 2중으로 묶어 상기 와이어용 풀리(51)에 U자형상으로 걸린다. 2번 접힌 중간부는 벨트체(40) 근방에 설치되는 아이들 풀리(53)에 걸린다. 이 아이들 풀리(53) 자체는 회전 자유롭지만,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41)를 구동하고 벨트체(40)과 함께 와이어용 풀리(51)를 이동시키면, 여기에 걸리는 와이어(37b)의 필터 부착부(24b)에 접속되는 단부가 2배만큼 이동하여 필터 부착부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고, 필터 처리의 신속화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1개의 긴 형상의 와이어(37b)의 중간부를 접어 사용했으므로 중앙 패널부(24b)의 개폐에 수반하여 자유단 양측에 접속되는 와이어 중 어느것이 한방향측으로 늘어나도 다른쪽에서 늘어난 것이 흡수된다. 그 결과, 중앙패널부(24b)는 자유단측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기울지 않고 개폐되고 둘레단 틀부(24a)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부착부(24b)에 부착되는 마그네트(47)가 둘레단 틀부(24a)에 부착되는 자성부재(48)를 자기 흡착하고 와이어(37)에 늘어나지 않도록 처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서술한 바와 같이 설정해도 좋다.
도 9는 제 4 실시형태의 실내 유닛을 도시한다.
앞에 도 5에 도시한 마그네트(47) 대신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설치되고 자성부재(48) 대신 걸어 맞춤부인 래치체(1)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부품에 동일번호를 붙여 새로운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중앙 패널부(24c)내의 공간부에는 앞서 도 4에 설명한 개폐 구동기구(35)가 배치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동도면을 적용하여 새로운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래치체(1)는 둘레단 틀부(24a)에서의 각 와이어(37)의 한단부의 근방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래치체(1)와 대향하는 위치의 필터 부착부(24a)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체(1) 및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10은 필터 부착부(24b)의 개방상태, 도 11은 필터부착부(24b)의 폐쇄상태이다.
상기 래치체(1)는 화장 패널(24)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지지판(3)에 부착 고정된다. 또한, 이 지지판(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4)도 부착 고정된다.
래치체(1)는 중심축이 수직방향을 향하고 지지판(3)에 적절한 수단으로 부착되는 래치 본체(5)와, 상기 래치 본체(5) 내에 수용되는 래치 기구부(6)와, 작동부재(7) 및 후크(8)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 기구부(6)는 래치 본체(5)에 설치되는 지지핀(9)과, 상기 지지핀(9)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캠(10)과, 상기 캠(10)을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11)과, 상기 작동부재(7)를 아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12a,도 12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10)의 측단으로부터 대각선 아래방향을 향해 홈부(12)가 설치된다. 이 홈부(12)는 대각선 아래 방향의 저부로부터 캠 중심부인 상방부를 향해 설치되고 거의 V자형상을 이룬다. 캠(10)의 측단인 홈부(12)의 개구단을 선단부(12a)라고 부르고, 홈부(12)의 최저단을 저부(12b)라고 부르며 홈부의 최상단을 상단부(12c)라 부른다.
또한, 이 홈부(12)의 저부(12b)로부터 상단부(12c)를 따라서 가이드용 설편(舌片)(13)이 깍아세워 가공된다. 이 가이드용 설편(13)은 캠(10)의 한측면에서 래치 본체(5)와는 반대측의 면에 깍아 세워져 있다.
다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7)가 항상 그 일부가 래치 본체(5)의 하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정됨과 동시에, 래치 본체(5)에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래치 본체(5)에는 상하 방향에 걸쳐 가이드홈(5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5a)에는 작동부재(7)는 돌출되어 설치되는 작동 핀(14)이 항상 걸어맞추어지고 상하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작동핀(14)이 래치 본체(5)의 가이드홈(5a)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작동부재(7)가 최대한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그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작동핀(14)이 캠(10)의 홈부 상단부(12c)에 걸림으로써 작동부재(7)가 최대한 위쪽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가 규제된다.
상기 후크(8)는 도시하지 않은 상단부가 작동부재(7)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단 지지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후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후크(8)의 하단부는 앞 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단면이 거의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후크(8)는 작동부재(7)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일체로 상하 운동함과 동시에 래치 본체(5)로부터 돌출량에 따라서 그 회전량이 규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가 최대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는 후크(8)는 최대한의 회전각도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부터 작동부재(7)가 상승하면, 그에 수반하여 후크(8)도 상승한다.
작동부재(7)가 소정량 상승한 상태에서, 후크(8)는 래치 본체(5)의 개구단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작동부재(7)가 상승하면, 후트(8)는 래치 본체(5)의 개구단부에 규제되고 스프링 탄성력에 대항하여 회전 각도가 감소하고 폐쇄상태가 된다.
작동부재(7)가 도 11의 위치에 이르기 이전에 후크(8)의 회전량이 완전히 제로가 되고 거의 반 이상은 동작간(7)과 함께 래치 본체(5) 내에 수용된다. 또한, 도 11의 위치로부터 작동부재(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후크(8)는 이상 설명한 동작과 전혀 반대의 동작을 이루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지지판(3)에 래치체(1)와 함께 부착 고정되는 상기 검출 스위치(4)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그 작용은 후술한다.
또한, 필터 부착부(24b)에 설치되는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거의 하트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판으로 이루어져 필터 부착부(24b)의 위치에 의해서는 상기 래치체(1)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스위치 누름 봉(15)이 설치되어 있고, 필터 부착부(24b)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4)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도 13에 이 공기조화기에서의 제어 블럭을 도시한다.
공기조화기는 원격조작판인 리모콘(A), 실내 유닛(B) 및 실외 유닛(C)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콘(A)에는 필터(29)의 승강을 지시하는 누름버튼식의 필터 승강 스위치(16)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 온도설정, 실내유닛의 팬 풍량설정 등의 복수의 조작 스위치군(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16,17)는 마이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회로(18)에 입력되어 있고 제어회로(18)는 이 스위치 입력에 따라서 실내 유닛(B)에 각종 운전지시를 통신선(a)를 통하여 실시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A)에는 필터(29)의 승강 동작 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를 실시하는 승강 이상표시LED(19a), 승강중에 경보음을 내는 이동경보장치인 승강 알림 부저(19b), 리모콘(A)의 표시 패널 상에 필터(29)의 승강중을 점멸하는 필터승강 알림램프(19c)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동작은 상기 제어회로(18)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실내 유닛(B)에는 리모콘(A)의 제어회로(18)로부터 통신선(a)을 통하여 보내져 오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고 이 지시에 따라서 각종 실내 유닛내의 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실외 유닛(C)으로 통신선(a)를 통하여 지령 신호를 보내는 제어회로(20)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B)의 상기 제어회로(20)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는 상기 덕트(26)로 열 교환 공기를 송풍하는 2대의 상기 송풍기(28)의 팬모터(FM)와, 상기 와이어(37)를 통하여 필터 부착부(24b)의 승강 구동을 실시하는 정역회전 구동하는 상기 모터(41)와, 스위치 누름 봉(15)의 접촉 분리에 따라서 필터 부착부(24b)의 수납 상태를 검출하는 2개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4)와, 필터 부착부(24b)의 승강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표시를 실시하는 승강 이상 표시 LED(50a)와, 승강중에 경보음을 내는 승강 알림 부저(50b) 및 하강거리 설정수단인 하강거리 전환 스위치(51)이다.
상기 하강거리 전환스위치(51)는 실내 유닛(B)의 설치 조건에 따라 필터 부착부(24b)의 하강 거리를 설정하는 것이고 실내 유닛(B)의 설치 공사시에 전환 설정된다.
또한, 설명하면 하강 거리 전환스위치(51)에는 미리 대소 2종류의 하강 거리가 준비되어 있고 상기 공사시에 어느 한쪽을 설정한다. 그 한쪽은 일반적으로 천정이 높은 단독주택용으로서 큰 하강거리이고, 다른쪽은 일반적으로 천정이 낮은 공동주택용으로서 적은 하강 거리이고, 그 중 어떤 것이 선택된다.
또한, 상기 실외 유닛(C) 내에는 압축기 등의 냉동 사이클 기기 및 실내 유닛(B)의 제어회로(20)와 통신하여 이들 냉동 사이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제어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이고 소정 기간의 운전을 하면 필터(29)에 포착된 먼지의 제거, 또는 새로운 필터29)의 교환작업을 실시한다.
이 때는 리모콘(A)의 필터 승강 스위치(16)를 온(누름)한다. 그렇게 하면, 도 4에 도시한 개폐 구동 기구(35)의 모터(41)에 통전되고 일단 이것을 정회전 구동시킨다. 톱니바퀴(46)가 회전 구동되고 이 톱니바퀴(46)와 맞물리는 톱니바퀴(45)가 회전하고 회전 풀리(38)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풀리(38)와 종동 풀리(39) 사이에 놓인 벨트체(40)가 주행을 개시하고 진행운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와이어(37)의 한 단부를 고정하는 핀(43)이 이동된다.
와이어(37)는 끌어 올려지고 와이어 타단부에 접속되는 필터 부착부(24b)는 지지부(36)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자유단은 소정 거리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필터 부착부(24b)에 설치되는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 패널(24)에 설치되는 래치체(1)로부터 해방된다.
다음에, 모터(41)는 역회전 구동되고 개폐 기구(35)는 모두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은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필터 부착부(24b)는 둘레단 틀부(24a) 및 중앙 패널부(24c)를 개방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가 거의 수직 상태가 된 지점에서, 모터(41)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의 필터 부착부(24b)의 높이 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따라서 변함없이 필터(29)의 착탈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필터 부착부(24b)의 개방에 있어서, 미리 실내 유닛의 설치 조건에 따라서 하강 거리를 변경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천정이 높은 단독주택의 경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를 거의 수직 형상으로 이루고, 천정이 낮은 공동주택의 경우는 필터 부착부(24b)를 대각선 상태로 개방 유지하며 어떤 것도 거주인의 접촉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다음에, 필터 부착부(24a)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따른, 상기 래치체(1)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걸림 유지하는 상태로부터 완전히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래치체(1)의 동작을 차례로 설명한다.
래치체(1)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걸림 유지하는 상태는 도 11 및 도 14의 (A)에 도시하고 있고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거의 L자형상으로 형성된 후크(8)의 수평부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필터(29)를 구비한 필터 부착부(24b)는 래치체(1)만에 의해 지지되므로, 와이어(37)에 대한 하중이 없어지고 와이어의 부하가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어 늘어나지 않는다.
또한, 래치체(1)의 동작간(7) 단면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에 탄성적으로 맞닿고 있다. 이와 같이 래치체(1)에 의한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의 유지 고정위치는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에 위치한다.
상기 개폐 구동 기구(35)의 작용에 의해 도 11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또는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착부(24b)와 함께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일단, 상사점이라 부르는 c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상승동작을 끌어 올림으로 부르고, 래치체(1)의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에 대한 걸어맞춤고정을 해제하며, 걸이부를 개방하기 위한 동작이다. 또한, 끌어 올림의 거리(e)는 3㎜이다.
지금까지 걸어맞춤고정 위치(b)에 있는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후크(8)와는 떨어지고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작동부재(7)를 밀어 올려, 끌어 올림 거리(e)를 상승시킨다. 래치 기구부(6)에서는 동작간(7)에 설치되는 동작핀(14)이 홈부(12)의 저부(12b)로부터 상단부(12c)를 향하여 상승하고 이 상단부에 걸리고 그 이상의 상승이 규제된다.
즉,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와 함께 작동부재(7)는 상사점(c)까지 상승한다. 이 때,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후크(8)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후크(8)로부터 개방된다. 다음에, 개폐 구동 기구(35)는 필터 부착부(24b)와 함께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하강 구동한다.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에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여 작동부재(7)를 밀어 올린다.
작동부재(7)는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의 하강에 따라 하강한다. 하강 도중에서 후크(8)가 경사방향으로 회전하고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후크(8)에 걸리지 않고 하강을 계속한다. 동시에 후크의 지지부에 걸어 맞추는 스프링의 반발력이 동작핀(14)에 작용한다.
따라서, 작동핀(14)의 선단면은 홈부(12)를 따라서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용 설편(13)에 맞닿는다. 또한, 작동부재(7)의 하강에 수반하여 후크(8)의 회전각도가 커지고 동작핀(14) 선단면을 가이드용 설편(13)에 탄성적으로 미끄럼 접촉한다.
다음에는 작동핀(14)은 가이드용 설편(13)의 하단부로부터 캠(10)의 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캠(10)의 하단부를 타고 넘어 그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핀(14)은 래치 본체(5)의 가이드홈(5a) 하단부에 걸리고 작동부재(7)의 하강이 규제된다. 이 때, 후크(8)는 래치 본체(5)로부터 그 거의 대부분이 돌출한다.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완전히 래치체(1)로부터 해방되어,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와 함께 필터 부착부(24b)의 하강 이동은 완전히 자유롭게 된다.
필터 부착부(24b)를 개방하여 필터(29)의 청정·교환작업을 실시한 후에는 리모콘(A)의 필터 승강 스위치(16)를 온하고 필터 부착부(24b) 폐쇄지령을 내보낸다.
모터(41)는 정전구동하여 벨트체(40)를 주행시키고 와이어(37)는 끌어들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필터 부착부(24b)의 자유단을 끌어 올린다. 필터 부착부(24b)는 서서히 둘레단 부착부(24a)를 폐쇄한다.
다음에는 필터 부착부(24b)는 둘레단 틀부(24a)를 완전히 폐쇄한다. 이 때, 개폐 구동 기구(35)는 필터 부착부(24b)의 걸어맞춤 유지위치(b)를 일단 넘어 상사점(c)까지 필터 부착부(24b)를 상승 구동하고 여기에서도 거리(e)의 끌어 올림을 이룬다.
그리고, 상사점 위치(c)에서 모터(41)을 역회전 구동하고 필터 부착부(24b)를 걸어맞춤 고정 위치(b)까지의 거리(e)만큼 하강시킴으로써 필터 부착부(24b)는 다시 래치체(1)에 의해 걸어맞춤 유지된다.
다음에, 필터 부착부(24b)가 래치체(1)로부터 해방된 상태로부터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래치체(1)에 걸어맞춤 유지되는 데에 이르기까지의 래치체(1)의 동작을 차례로 설명한다.
래치체(1)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완전히 해방하는 상태를 도 10 및 도 15의 (A)에 나타낸다. 이 때는 작동부재(7)의 돌출량과, 후크(8)의 회전량이 각각 최대가 되고 있다. 또한, 동작간(7)의 동작핀(14)은 래치 본체(5)의 가이드홈(5a) 하단부에 걸려 있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필터 부착부(24b)의 상승에 따라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상승하고 결국에는 도 15의 (B)에 도시한 작동부재(7)의 하단면에 맞닿아 작동부재(7)를 상승 구동한다. 작동부재(7)의 동작핀(14)은 캠(10)의 단면에 접촉하면서 상승하므로 캠(10)은 스프링(1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가해진다.
또한, 작동부재(7)의 상승에 따라 후크(8)도 상승하고 래치 본체(5)로 규제되어 회전을 개시한다.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통과한 후, 후크(8)의 수평부가 걸이부(2)의 아래쪽부에 돌아 들어가고 여기에서도 서로 접촉은 없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가 상사점(c) 위치에 도달한 지점에서 작동핀(14)은 캠(10)에 설치되는 홈부(12)의 선단부(12a)를 타고 넘는다. 순간적으로 캠(10)을 규제하는 힘이 제거되고 스프링(11)의 탄성력이 캠에 작용하여 캠(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한다.
작동핀(14)에서는 홈부(12)의 입구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후크(8)는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에 걸린 상태가 되어 있지만, 걸이부와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걸어맞춤 고정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다음에, 상기 개폐 구동 기구(35)는 모터(41)를 역회전 구동하여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상사점(c)으로부터 걸어맞춤 고정 위치(b)까지의 끌어 올림 거리(e)만큼 하강 구동한다. 이 하강에 수반하여 작동부재(7)를 누르는 힘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작동부재(7)를 따라 하강시킨다. 또한, 후크(8)의 자세에 변경은 없다.
캠(10)에 대해 스프링(11)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고 캠(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가해진다 작동 핀(14)은 홈부(12)의 저부(12b)를 향해서 안내되고 다음에는 앞에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부 저부(12b)에 걸려 하강이 규제된다.
이것은 또한,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가 후크(8)에 걸림 유지되는 상태이기도 하다. 작동부재(7)에는 압축 스프링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걸이부(2)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한, 래치(1)의 누름 스트로크(S)는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재(7)이 가장 돌출하는 위치인 누름개시위치(d)로부터 누름 종료 위치인 상사점(c)까지의 사이의 거리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4)는 래치체(1)의 누름 스트로크(S)의 전 범위에 걸쳐 수납 상태를 판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이상의 동작을 제어 플로우차트의 면에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A)의 제어회로(18)에서는 우선 스텝(S1)에서 필터 승강 스위치(16)가 온(승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온 되어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는 스텝(S2)로 이동하고 현재의 실내 유닛(B)에서 필터(29)가 승강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후술하는 실내 유닛(B)의 제어회로(20)로부터 보내져 오는 필터 승강 개시 신호와, 종료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즉, 필터 승강 개시 신호를 받은 후, 종료 신호를 받기까지가 필터(29)의 승강중이라고 판단한다.
이 스텝(S2)에서 필터(29)의 승강중이 아니(아니오)라고 판단하면, 스텝(S3)으로 이동하여 통상의 냉방이나 난방의 공기조화기로서의 운전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S1)에서 필터 승강 스위치(16)가 온되어 있는 경우(예)는 스텝(S4)으로 이동하여 필터 승강 지령이 리모콘 제어회로(18)로부터 통신선(a)을 통하여 실내 유닛 제어회로(20)로 보내진다.
계속하여, 스텝(S5)에서 실제로 필터 부착부(24b)의 승강을 위해 개폐 구동 기구(35)의 모터(41)를 구동할 때, 실내 유닛 제어회로(20)로부터 리모콘(A)으로 출력되는 필터 승강 개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승강 개시 신호가 수신되어 있는 경우(예)는 스텝(S6)으로 이동하여 이동 경보 장치인 승강 알림 부저(19b)를 온하여 필터 승강 경보음을 발한다. 그리고 스텝(S7)에서 표시 패널 속의 필터 승강 알림 램프(29c)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고 필터(29)의 승강 표시를 실시한다.
그 후, 스텝(S8)으로 이동하고 필터(29)의 승강중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알리는 승강 이상 신호가 실내 유닛 제어회로(20)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이상 신호가 수신되면(예), 스텝(S9)에서 승강 이상 표시 LED(19a)를 점등시키고 스텝(S10)에서 공기조화기로서 모두 정지를 이루며, 이후의 조작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스텝(S5)에서 필터 승강 개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아니오)는 스텝(S8)에서 점프하여 승강 이상의 유무가 판단된다.
이 스텝(S8)에서 이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아니오), 스텝(S11)로 이동하여 실내 유닛 제어 회로(20)로부터 필터(29)의 승강 종료 신호가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11)에서 승강 종료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경우(예)는 스텝(S12)으로 이동하여 앞에서 스텝(S6)에서 설정되어 그때까지 울리고 있던 상기 승강 알림 부저(19b)의 승강 경보음을 멈춘다. 또한, 스텝(S13)에서 조작 패널상의 필터 승강 알림 램프(19c)의 점등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11)에서 승강 종료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으면(N), 다시 최초의 스텝(S1)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스텝(S2)에서 필터 승강중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S5)로 이동한다.
이상의 제어동작을 정리하면, 사용자가 필터 승강 스위치(16)를 조작하면, 이 조작이 스텝(S1)으로 판별되고 실내 유닛(B)에서 필터 승강 지령이 나온다. 이에 의해 필터 부착부(24b)의 승강이 개시되고 이번에는 실내 유닛(B)으로부터 필터 승강 개시 신호가 출력되며, 이것이 스텝(S5)에서 판별된다.
계속하여 이미 필터(29)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 승강 스텝(16)을 온 조작하면, 다시 스텝(S1)에서 판별되는 스텝(S2)에서 필터 승강 지령이 출력된다.
실내 유닛(B)에서는 이미 필터(29)가 하강하고 있으므로, 이번에는 필터의 상승이 개시된다. 필터(29)가 소정의 위치에 수납된 시점에서, 필터 승강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필터 승강 종료 신호는 스텝(S11)에서 판별되고 필터(29)의 승강 동작, 즉 사용자에 의한 필터의 청정화 또는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그리고, 필터 해당 개시(필터승강 개시신호 수신)로부터 필터 상승 종료(필터승강 종료신호 수신)까지의 사이에, 스텝(S6)에서 부저(19b)의 필터 승강 경보음이 울림과 동시에, 스텝(S7)에서 승강 알림 램프(19c)가 점멸된다.
또한, 필터(29)의 승강 도중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즉 스텝(S8)의 (예)에서는 스텝(S9)에서 승강 이상 표시 LED(19a)가 점등되고 스텝(S10)에서의 모두 정지에 이르며 그 이후의 리모콘 조작이 접수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 부착부(24b)를 하강시킨 후, 여기에서부터 필터(29)를 떼어 내고 부착할 때까지 동안은 스텝(S1,S2,S5,S8,S11)의 순으로 차례로 반복된다.
다음에, 실내 유닛(B)에 대한 제어 플로우 차트에 대해서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최초의 스텝(T1)에서 리모콘(A)로부터 필터 승강 개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상기 필터 승강 지령이 입력된 경우(예)는 스텝(T2)로 이동하고 실내 유닛(B)기 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운전중이면, 스텝(T3)에서 송풍기(28) 등의 모든 운전이 정지된다.
한편, 스텝(T1)에서 필터 승강 지령이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아니오), 스텝(T4)로 이동하여 현재 상황이 필터(29)의 승강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승강중이면(예), 다음의 필터 승강 지령이 올 때 까지 스텝(T1)과 스텝(T4)를 반복한다. 승강중이면(아니오), 스텝(T5)로 이동하여 통상의 운전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T2)에서 실내 유닛(B)이 운전중이 아니면(아니오), 스텝(T6)로 이동하여 필터 부착부(24b)의 수납 상태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4)의 개폐 상태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리미트 스위치(4)가 개방되어 있지 않으면(예), 필터 부착부(24b)는 하강하고 있다고 판단되고 필터 승강 지령에 기초하여 실내 유닛(B) 내에 필터(29)를 수납하므로, 도 18에서 설명하는 필터 플로우로 이동한다.
한편, 스텝(T3)에서 운전을 중지한 경우, 및 리미트 스위치(4)가 폐쇄가 되어 있는 경우, 필터 부착부(24b)는 실내 유닛(b)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필터(29)의 하강이 개시된다.
필터(29)의 하강 동작은 우선, 스텝(T7)에서 승강 알림 부저(50b)에 의한 필터 승강 경보음이 발해지고 스텝(T8)에서 리모콘(A)의 제어회로(18)에 필터(29)의 승강 개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스텝(T9)에서 래치 해제용 타이머(t1)의 계시를 개시하고 계속하여 스텝(T10)에서 래치체(1)로부터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해제하므로, 작동부재(7)를 밀어 올리도록 개폐 구동 기구(35)의 모터(41)를 A방향(필터 부착부(24b)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시킨다.
다음에, 스텝(T11)으로 이동하여 래치 해제용 타이머(t1)의 계시시간이 3초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개폐구동기구(35)의 모터(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를 내장하고 출력축으로부터의 회전을 방지한 브러시 부착 DC모터가 채용되어 있다. 이 모터(41)에서는 회전횟수는 그 동작(통전) 시간에 비례한다.
또한, 와이어(37)를 통하여 끌어 올려지는 필터 부착부(24b)의 상승 거리도 거의 이 모터(41)의 회전 횟수에 비례한다. 그 때문에, 필터 부착부(24b)의 상승과 하강량의 제어는 상기 모터(41)의 회전방향 및 통전 시간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에서 3초간의 모터 통전에 의한 모터(41)의 회전에 수반하여 필터 부착부(24b)가 상승한다. 상기 필터부착부(24b)의 상승거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이다.
또한, 이 3초간의 통전(누름 스트로크임)은 와이어(37)의 신장을 고려하고 필터 부착부(24b)의 수납 상태로부터 래치 해제를 위한 누름스트로크 보다도 약간 긴 거리만큼 필터부가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누름 스트로크 이상의 필터 부착부(24b)의 끌어 올림에 의한 지나친 끌어 올림을 방지하도록 모터(41)로부터 와이어(37) 사이에 도시하지 않는 래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텝(T10)에서 타이머(t1)가 3초를 계시할 때까지 모터(41)의 A방향의 회전이 계속되고 스텝(T11)에서 계시가 3초를 넘는 것이 검출되면(예), 스텝(T12)에서 모터(41)는 일단 정지된다. 이 시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체(1)의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에 대한 걸어맞춤 유지가 해제된다.
계속하여 필터 부착부(24b)의 하강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하강 거리 전환 스위치(51)의 설정이 판독되고 스텝(T13)에서 이 스위치(51)가 단독주택용측이나 공동주택측 중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된다.
상기 하강 거리 전환 스위치(51)가 단독주택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예)는 스텝(T14)에서 필터(29)를 하강시키기 위한 모터 통전 시간의 설정(ts)이 긴 쪽의 35초로 설정되어 있다.
하강거리전환 스위치(51)가 공동주택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아니오)는, 스텝(T15)에서 하강하기 위한 모터 통전 시간의 설정(ts)이 짧은쪽의 20초로 설정되어 있다.
어떤 것도 다음에 스텝(T16)으로 이동하여 모터 하강 타이머(t2)의 계시를 스타스시키고, 모터(41)를 B방향인 필터 부착부(24b)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미 래치체(1)의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에 대한 걸어맞춤 유지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필터 부착부(24b)는 하강을 개시한다. 이 하강중은 스텝(T18)에서 모터 하강 타이머(t2)의 계시시간이 모터(41)의 통전 시간(ts)와 비교된다.
그리고, 모터 하강 타이머(t2)의 계시시간이 모터(41)의 통전시간(ts)을 넘긴 시점(예)에서, 스텝(T19)으로 이동하여 모터(41)는 정지된다.
상기 모터 하강 타이머(t2)에 긴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큰 하강 거리가 되어 실내 유닛(B)에 대한 낮은 위치, 즉 마루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위치까지 필터(29)가 하강한다. 반대로 짧은 시간이 설정되면 작은 하강거리가 되고 실내 유닛(B)에 대한 높은 위치, 즉 마루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위치까지 필터(29)는 하강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T20)에서 2개의 리미트 스위치(4)가 함께 개방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필터 부착부(24b)의 바로 앞에 장애물이 없으면, 통상은 틀림없이 필터(29)가 아래쪽까지 하강하고 있고, 정상이면 2개의 리미트 스위치(4)는 모두 개방이다.
따라서, 모든 리미트 스위치(4)가 개방이 되어 있으면(예), 사용자가 필터(29)의 세정·교환작업 사이,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타트로 돌아가고, 새로운 필터(29)의 승강지령, 즉 이 경우, 필터 부착부(24b)를 실내 유닛(B) 내로 수납하는 필터 상승 지령이 리모콘(A)으로부터 입력될 때까지 스텝(T1)과 스텝(T4)을 반복하여 대기한다.
한편, 어떤 이상에서 리미트 스위치(4) 중 하나라도 폐쇄가 되어 있으며(아니오), 스텝(T20)으로부터 스텝(T21)로 이동하고, 승강 이상의 데이터가 설정되고, 승강 이상 표시 LED(50a)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리모콘(A)으로 승강 이상 신호를 송신하고 이 상태에서 공조 운전을 정지하는 모두 정지가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콘(A)측에서는 이 승강 이상 신호에 따라서 리모콘(A)의 승강이상표시LED(19a)를 점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상이 검출된 경우, 실내 유닛(B) 및 리모콘(A)의 양쪽에서 이상을 알리게 된다.
이 때문에, 리모콘(A)과 실내 유닛(B)이 각각 다른 방에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도, 어떤 방에서도 상승 이상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필터(29)의 청소·교화작업을 완료한 후에 실시되는 필터 부착부(24b)를 소정 위치에 수납하기까지의 플로우차트를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U1)에서 최악의 경우에도 필터 부착부(24b)를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킬 만큼의 최대 모터 통전시간을 계시하는 최대 허용 타이머(t3)가 동작을 개시한다.
계속하여 스텝(U2)에서 모터(41)를 A방향(필터 부착부(24b)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개시한다.
스텝(U3)에서는 이 필터 부착부(24b)의 상승중에, 필터 부착부가 실내 유닛(B)에 수납되는 위치까지 끌어 올려졌는지 아닌지가 모든 리미트 스위치(4)의 개폐상태에 의해 판단된다.
모든 리미트 스위치(4)가 폐쇄상태가 되면(예), 스텝(U5) 내지 스텝((U8)에서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걸어맞춤 유지하기 위해 동작간(7)을 밀어 올리는, 즉 끌어 올림이 개시된다.
한편, 적어도 1개의 리미트 스위치(4)가 개방 상태(아니오)이면, 스텝(U4)으로 이동하고 최대 허용 타이머(t3)가 최대 시간 제한인 50초를 넘겼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스텝(U4)에서 모터(41)로의 통전을 개시하고 나서 50초가 경과해도 모든 리미트 스위치가 폐쇄되지 않는 경우(예)는 필터 부착부(24b)와 실내 유닛(B)의 사이에 어떤 이물이 끼어 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즉, 이상상태라고 판단되고 필터 부착부(24b) 하강시의 플로우차트에서의 스텝(T21)과 스텝(T22)과 동일한 이상처리가 스텝(U15) 및 스텝(U16)에서 실시된다.
상기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를 래치체(1)의 후크(8)에 걸어맞춤 유지시키기 위한 끌어 올림으로서는 우선 스텝(U5)에서 끌어 올림 시간을 설정하는 끌어 올림용 타이머(4)가 계시를 개시한다.
계속하여 스텝(U6)에서 타이머(t4)의 계시시간이 3초를 넘겼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3초를 넘긴 시점(예)에서는 스텝(U7)에서 모터(41)로의 통전을 정지하고 필터 부착부(24b)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또한, 스텝(U6)의 상태에서는 스텝(U2)에서 설정된 모터(41)의 회전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결국 모든 리미트 스위치(4)가 폐쇄가 되고나서 3초간 만큼 더 필터 부착부(24b)를 상승시키고 이 3초간의 상승에 의해 래치체(1)의 작동부재(7)는 앞에서 설명한 상사점(c)에 도달한다.
계속하여 스텝(U8)에서 타이머(t5)의 계시를 개시시키고, 스텝(U9) 및 스텝(U11)에서 3초를 넘기는 계시를 이루기까지 모터를 B방향(필터 부착부(24b)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필터 부착부(24b)는 하강하고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2)는 래치체(1)의 후크(8)에 확실히 걸어맞춤 유지되고 동시에 와이어(37)는 약간 느슨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필터(29)를 구비한 필터 부착부(24b)는 래치체(1)만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37)에 대한 하중이 없어지며, 와이어의 부하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늘어나지 않는다.
단, 이 상태에서도 어떤 이상 발생으로 래치체(1)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부착부(24b)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할 가능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하강 도중의 스텝(U10)에서 모든 리미트 스위치(4)의 상태가 확인되고 하강시켜도 리미트 스위치(4)가 폐쇄 상태이면, 그대로 3초간의 하강이 실시되고 도중 어떤 리미트 스위치(4)가 개방되면, 래치체(1)의 걸어맞춤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하여 스텝(U15) 이하의 이상 처리가 실시된다.
정상으로 필터 부착부(24b)가 래치체(1)에 의해 지지되면, 스텝(U12)에서 모터(41)는 정지되고 계속해서 필터 승강 종료 신호가 출력되고, 실내 유닛(B)의 승강 알림 부저(50b)에 의한 승강 경보음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리모콘(A)에 출력되어 필터 승강 알림 램프(19c)가 소등되고 또한, 승강 알림 부저(19b)에 의한 승강 경보음이 정지된다.
스텝(U4) 및 스텝(U10)에서 이상으로 판단되면 스텝(U15)에서 승강 이상 데이타가 설정되고 승강 이상 표시가 온됨과 동시에, 리모콘에 승강 이상 신호가 출력되고, 그 후 스텝(U16)에서 완전 정지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부착부(24b)의 한 단부를 지지부(36)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타단부를 자유단으로서 자동적으로 승강 구동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예를 들어, 필터부착부 전체가 평행하여 승강 구동되는 구성의 것이나, 필터 부착부의 승강을 수동으로 하여 와이어를 사용자가 끌어 당기는 구성에서도 적용된다.
또한, 작동부재(37)로서 와이어를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프나 종이 또는 낚시실로써 사용되는, 소위 테그스류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천정부착 타입이면서, 필터의 교환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열교환기의 열 교환능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부로 지지함으로써 작동부재를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작동부재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령 만에 하나 작동소가 절단되는 일이 있어도 필터의 착탈을 수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상의 형태의 실내 유닛은 유닛 본체(21)에 배출 덕트(26)를 접속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천정 부착형 실내 유닛에서, 피공조실내에 흡입구와 배출구를 개구시킨 타입의 공지조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 5 실시형태∼제 10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여기에는 필터 및 필터 부착부의 지지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1b에 의해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내 유닛은 천정판(70)과 측판(71a∼71d)을 갖고, 저부가 개구한 통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체(61) 내에서 그 천정판(70)의 중앙부에,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송풍기(F)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통체(61) 내에서 열교환기(63)가 송풍기(F)를 둘러싸고 설치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63)는 수평단면에서 사각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통체(61)의 저부를 막는 드레인 접시(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접시(64)는 그 중앙부에 흡입구(100)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부에 4군데의 배출 통로(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접시(64) 상부면측의 흡입구(100)와 배출통로(102)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기(63)의 하부(92)를 받아들이는 오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체(61)의 내부는 열교환기(63)에 의해 드레인 접시(64)의 흡입구(100)에 대응하는 측(열교환기(63) 상류측의 공간)과, 드레인 접시(64)의 배출 통로(102)에 대응하는 측(열교환기(63)의 하류측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즉, 원심 송풍기(F)의 회전에 의해 실내 공기를 드레인 접시(64)의 흡입구(100)으로부터 흡입하고 열교환기(63)를 지나 공조공기로 하여, 이것을 드레인 접시(64)의 배출 통로(102)를 지나 실내에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체(61)의 내면측에는 일체 성형의 발포 단열벽(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포 단열벽(62)는 통체(61)의 측판(71a∼71d)에 대응하는 측벽부(81)와, 이 측벽부(81)의 상단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통체(61)의 천정판(70)에 대응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브형상 상벽부(8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발포 단열벽(62)의 하단면(88)은 드레인 접시(64)의 외부 둘레부 윗면(108)에 맞닿고 발포 단열벽(62)의 내측에 드레인 접시(64)의 배출 통로(102)와 연결되는 상부 배출 통로(P)가 형성되어 있다.
발포단열벽(62)의 상벽부(80)에는 열교환기(3)의 사각형의 각변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응하고, 4개의 돌기부(걸림부)(8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돌기부(84)는 각각 대응하는 열교환기(63)의 상부(91)의 풍하측(상부 배출 통로(P)측)과 맞닿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실내 유닛은 드레인 접시(64)의 저부측을 덮어 실내를 향하여 부착되는 사각형의 화장패널(65)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화장 패널(65)은 드레인 접시의 흡입구(100)에 대응하는 흡입구(110)와 드레인 접시(64)의 4군데의 배출통로(102)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장방형의 배출구(112)를 갖고 있다.
화장패널(65)의 각 배출구(112)에는 각각, 배출 공기의 상하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하 상하 풍향판(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풍향판(67)은 장방형의 배출구(112)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같은 폭을 갖고 있다.
상기 흡입구(110)와 상기 교환기(63)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끼워져 있다. 이 필터는 상기 화장 패널(65)에 설치되는 필터 부착부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한, 특히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 패널(65)의 네 귀퉁이 근방 부위에 와이어(37)의 한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37)의 타단부는 통체(61) 내부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 회전 드럼 등으로 이루어진 승강 구동부에 접속된다.
즉, 이 와이어(37)와 승강 구동부로 화장패널(37)에 대한 개폐구동기구가 구성되어 있고, 화장 패널(65)을 필터를 부착한 상태로 승강 구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화장 패널(65)이 드레인 접시(64)의 저부를 덮는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앞에 설명한, 화장 패널(65)에 부착된 걸어 고정시키는 걸이부가 드레인 접시(64) 저부에 부착된 래치체에 걸린다. 실제의 화장 패널(65)의 승강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와 같은 실내 유닛에서는 발포 단열벽(62)의 상벽부(80)에, 열교환기(63)의 사각형의 각변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4개의 돌기부(84)를 설치하고 이 돌기부(84)에 열교환기 상부(91)의 풍하측과 맞닿도록 한 것으로 이 발포단열벽(62)의 돌기부(84)에 의해 제품조립시에서의 열교환기(63)의 부착위치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각 돌기부(84)를 기준으로 하고 열교환기의 사각형이 구부러지는 각도 등의 형상의 불량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63)의 형상 불량품을 배제하고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단열벽(62)의 상벽부(80)에, 열교환기상(931)의 풍하측이 맞닿는 돌기부(84)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돌기부(84)를 대신하여, 또는 이 돌기부(84)에 더하여 열교환기 상부(91)의 풍상측(송풍기(F)측)이 맞닿는 돌기부를 설치해도 좋다.
도 22 및 도 23a, 도 23b에 의해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발포단열벽(62)의 각 돌기부(84)를 대신하여, 발포단열벽(62)의 상벽부(80)에, 열교환기(63)의 상부(91)가 끼워 맞추어지는 홈부(86)를 설치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발포 단열벽(62)의 홈부(86)에 의해, 제품 조립시에서의 열교환기(63)의 부착위치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홈부(86)를 기준으로 하여 열교환기의 사각형이 구부러진 각도 등의 형상의 불량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63)의 형상의 불량품을 배제하고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의해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통체(61)의 각 측판(71a∼71d)의 내측에, 각각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하부를 거는 걸이부(76)를 설치한 점에서,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다르고 그밖의 구성은 제 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통체(61)의 각 걸이부(76)는 대응하는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하부가 끼워지는 것과 같은 L자형의 단면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통체(61)의 각측판(71a∼71d)의 내측에,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하부를 거는 걸이부(76)를 설치한 것으로, 이 걸이부(76)에 의해 상부 배출 통로(P)를 형성하는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변형에 수반하는 배출 공기의 풍량저하나 송풍 소음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통체(61)의 걸이부(76) 외에(또한 걸이부(76)를 대신하여), 도 24에만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61)의 각 측판(71a∼71d)과 대응하는 발포단열벽(62)의 측벽(81)을 양면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T)로 결합해도 발포 단열벽(2)의 측벽부(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6 내지 도 28에 의해 제 8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드레인 접시(64)에,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하부 내면측에 맞닿는 4개의 걸림 돌기부(106)를 설치한 점에서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다르고, 그밖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드레인 접시(64)의 걸림 돌기부(106)는 드레인 접시(64)의 각 배출통로(102)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각 배출통로(102)를 2군데로 간막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접시(64)의 각 배출통로(102)의 중앙부분에 각각 하나의 걸림 돌기부(106)를 설치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각 배출통로(102)에 각각 복수의 걸림 돌기부(106)를 설치해도 좋다.
따라서, 드레인 접시(64)에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하부 내면측에 맞닿는 4개의 걸림 돌기부(106)을 설치했으므로, 이 걸림 돌기부(106)에 의해 상부 배출통로(P)를 형성하는 발포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7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포 단열벽(62)의 측벽부(81)의 변형에 수반하는 배출 공기의 풍량 저하나 송풍 소음의 증대를 방지한다.
다음에, 도 29 내지 도 31에 의해 제 9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상하 풍향판(67)을 대신하고 형상이 다른 상하 풍향판(66)을 천정 패널(65)의 각 배출구(112)에 설치한 점에서 제 5 실시형태와 다르며, 그밖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66)이 설치되는 천정 패널(65)의 각 배출구(112)의 폭(L1)은 디자인 상, 대응하는 드레인 접시(64)의 배출통로(102)(도 19 및 도 20 참조)의 폭(L2) 보다 넓어져 있고, 그것에 대응하기 위해 각 배출구(112)의 양단부 안쪽은 차풍재(116)에 의해 막혀있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66)은 그 배출 공기상류측(122)(이하, 단지 「상류측(122)」이라고 함)이 직선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배출공기 하류측(123)(이하, 단지 「하류측(123)」이라 함)이,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120)(이하, 단지 「중앙부(120)이라고 함」)로부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121)(이하, 단지 「양단부(121)」라 함)을 향함에 따라서 차례로 상하 풍향판(66)의 폭(w)이 좁아지는 곡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66)은 천정 패널(65)의 배출구(112) 내에서 회전축선(X)(도 30참조) 둘레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에는 각각, 상하 풍향판(66)의 뒷면(124)측에 돌출하는 설편(1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설편(125)의 선단측에 상기 회전축선(X)에 대응하는 지지축(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66)은 배출 공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편향시키도록 횡단면에서 윗면(124)측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하 풍향판(66)은 그 상류측(122)이 직선형상을 이루고 하류측(123)이 그 중앙부(120)로부터 양단부(121)를 향함에 따라서 차례로 상하 풍향판(66)의 폭(w)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같은 폭을 갖는 종래의 상하 풍향판에 비해, 양단부(121)가 실내측(도 31의 아래쪽)으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에서는 중앙부(120)보다 상하 풍향판(66)의 폭(w)이 좁아지므로, 공기 저항이 중앙부(120)보다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특히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출 공기의 흐름(유속 v1)에 더하여,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측에 편향한 배출 공기의 흐름(유속 v2)이 발생하므로, 같은 폭을 갖는 종래의 상하 풍향판에 비해,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에서의 배출 공기의 실질적인 유속(v3)이 커진다.
이 때문에,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에서 냉방 운전시의 실내 공기가 들어감에 의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측에 편향한 배출 공기의 흐름(유속 v2)이 발생하여 배출 공기의 상하 풍향판(66)의 길이 방향에 대한 배출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하 풍향판(126)의 하류측(123)이 곡선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중앙부(120)로부터 양단부(121)를 향함에 따라서 차례로 풍향판의 폭(w)이 좁아지는 형상이면 상하 풍향판(66)의 하류측(123)은 복수의 직선의 조합, 또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 형상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 32a, 도 32b에 의해 제 10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상기 제 9 실시형태의 상하 풍향(66)의 윗면(124)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람 도입 홈(128)을 형성한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33a, 도 33b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도 32a, 도 32b에 도시한 복수의 바람 도입 홈(128)을 대신하여 상류측(122)에서의 중앙부(120)으로부터, 하류측(123)에서의 양단부(121)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람 도입 홈(129)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바람 도입 홈(128,129)에 의해 상하 풍향판(66)의 윗면(124)을 따른 배출 공기의 흐름이 양단부(121)측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상하 풍향판(66)의 양단부(121)측으로 편향한 배출 공기의 흐름이 한층 더 촉진되므로, 상기 제 9 실시형태에서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열교환 기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8)

  1. 천정속에 배치되고 하면부가 실내에 노출되고 동시에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배치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의 하변부로서 구성되고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인도하는 흡입구가 설치되는 화장 패널,
    상기 화장패널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필터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필터 부착부,
    상기 필터 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필터 부착부를 화장 패널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구동하고, 개방했을 때 필터 부착부를 천정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린 상태로 매달리게 하여 마루면에 선 필터 교환작업자의 손에 닿는 범위로 이동시키는 개폐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한쪽 단부가 상기 화장패널의 필터 부착부의 자유단에 접속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타단부가 접속되는 벨트체,및
    상기 벨트체를 무단 주행 자유롭게 걸어 고정하는 한쌍의 풀리 및 어느 한쪽의 풀리의 지지축에 연결되어 풀리를 통하여 상기 벨트체를 왕복 구동하고, 작동부재를 진퇴 이동시켜 상기 화장 패널의 필터 부착부를 유닛 본체에 대해서 개폐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상기 실내 열 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판과 상기 화장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구동원으로서 정역회전 가능한 DC 모터가 사용되며, 이 구동원과 상기 풀리 사이에 톱니바퀴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부의 자유단측과 유닛본체의 대향부위에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자기 흡착되는 자성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공조운전 스위치 온시에, 상기 필터 부착부의 폐쇄운전을 실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상기 필터 부착부의 폐쇄에 필요한 운전시간이 종료한 후에도 소정 시간 운전을 계속하고 나서 운전을 정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중도부에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가 설치되는 벨트체,
    한쪽 단부가 상기 필터 부착부의 자유단에 접속되고 중도부가 상기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에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는 작동부재,
    상기 벨트체를 무단 주행 자유롭게 걸어 고정시키는 한쌍의 풀리,및
    어느 한쪽의 풀리의 지지축에 연결되고 이 풀리를 통하여 상기 벨트체와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를 왕복 구동하고, 작동부재를 진퇴 이동시켜 상기 필터 부착부를 유닛 본체에 대해서 개폐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중도부에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가 설치되는 벨트체,
    상기 벨트체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는 아이들 풀리,
    중간부를 접어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필터 부착부의 자유단 양측부에 접속되며, 중도부는 상기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에 2중이 되어 걸어 맞춰지고, 접힘부는 상기 아이들 풀리에 걸어 맞추어지는 작동부재,
    상기 벨드체를 무단 주행 자유롭게 걸어 고정시키는 한쌍의 풀리,및
    어느 한쪽의 풀리의 지지축에 연결되고 이 풀리를 통하여 상기 벨트체와 작동부재 걸어 맞춤용 풀리를 왕복 구동하고, 작동부재를 진퇴 이동시켜 상기 필터 부착부를 유닛 본체에 대해서 개폐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는 천정속에 위치하는 측면부에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열 교환공기를 소정의 공조부위에 인도하는 덕트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부의 흡입구는 복수로, 서로 떨어져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복수로 유닛본체의 대향하는 측면부에 설치되고
    유닛 본체내에는 이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통풍로가 형성되고, 이 통풍로의 각각에 상기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는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지는 원심 송풍기이고, 팬모터와 팬의 위치가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반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3. 천정속에 배치되고 하면부가 실내에 노출됨과 동시에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배치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의 아랫면에 설치된 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인도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필터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필터 부착부,
    상기 필터 부착부를 승강시키는 구동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필터 부착부의 유닛 본체로의 수납에 수반하여 필터 부착부를 유닛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걸어 맞춤 유지하는 걸어 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부는 눌러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고, 다시 눌러 힘을 가함으로써 필터 부착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래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부에는 상기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기구는 복수의 작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사용 갯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고 작동부재가 매달린 위치의 각각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인접한 위치에, 걸어맞춤부가 필터 부착부를 걸어맞춤 유지하는 수납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정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필터부착부를 상승시키고, 역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내림으로써 필터 부착부의 하강을 이루는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착부가 화장 패널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검출 스위치가 검출하기까지의 동안은 상기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 올려 필터부착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검출 스위치의 검출후에는 모터를 역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내리려고 필터 부착부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부가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일단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 올려 필터 부착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래치체를 다시 눌러 해제한 후 모터를 역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내려 필터 부착부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본체는 필터 부착부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경보를 발하는 이동경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천정판과 측판을 갖고,
    상기 송풍기는 천정판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송풍기를 둘러싸고 설치됨과 동시에, 이 저부에 중앙부에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부에 배출 통로가 형성된 드레인 접시가 배치되며,
    유닛 본체 내부는 상기 실내 열 교환기에 의해 드레인 접시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측과, 드레인 접시의 배출 통로에 대응하는 측으로 구획되고,
    또한, 유닛 본체의 내면측에 발포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발포 단열벽에 실내 열교환기의 상부를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2. 천정속에 배치되고 하면부가 피공조실내에 노출됨과 동시에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 및 송풍기 등이 배치되는 유닛본체,
    상기 유닛 본체의 하면부로서 구성되고 피공조실내의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인도하는 흡입구가 설치되는 화장 패널,
    상기 화장 패널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필터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필터 부착부,
    상기 필터부착부를 매달고 승강 구동하여 상기 화장 패널에 대해 필터 부착부를 개폐 조작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필터 부착부가 화장 패널을 폐쇄하는 것에 수반하여 필터 부착부를 착탈자유롭게 걸어 맞춤 유지하고, 누르는 힘을 가함으로서 상기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고, 다시 누르는 힘을 가함으로써 필터 부착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래치체,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며, 정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필터 부착부를 상승시키며, 역회전 구동하여 작동부재를 끌어 내림으로써 필터 부착부의 하강을 이루는 모터,
    상기 래치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래치체가 필터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 및
    필터 승강 스위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필터 부착부가 래치체에 걸어 맞추고 있는 상태로부터 일단, 상기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필터 부착부를 끌어 올린 후, 모터를 역회전시켜 필터부착부를 하강시켜 정지하고, 그 후에 다시 필터 승강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필터 부착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부터 검출 스위치가 래치체의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는 상태를 검출하기까지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필터 부착부를 상승시키고, 검출후 필터 부착부를 상승시킨 후, 모터를 역회전시켜 작동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필터부를 하강시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부의 하강시와, 상승시 및 정지 직후에는 경보음을 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체는 소정 거리의 누름 스트로크를 갖고,
    상기 검출 스위치는 래치체의 누름 개시로부터 누름 종료까지의 누름 스트로크의 전 범위에 걸쳐서 래치체의 필터 부착부를 걸어 맞춤 유지하는 상태를 판별하는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체에 필터 부착부가 걸어 맞추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일단 모터에 의해 필터 부착부를 끌어 올리는 거리는 상기 래치체의 누름 스트로크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가 필터 부착부의 수납을 검출한 후, 필터 부착부를 끌어 올리는 거리는 래치체의 누름 스트로크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7. 제 25 항에 있어서,
    필터 부착부 개방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필터 부착부를 상승시켜도 검출 스위치가 필터 부착부의 수납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경보를 발하는 이상경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착부의 하강 거리를 모터의 동작 시간에 따라 제어함과 동시에 필터부착부의 하강시의 모터의 동작시간을 변경하는 하강 거리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유닛.
KR1019970051293A 1996-10-03 1997-10-02 공기조화기의실내유닛 KR100258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63087A JPH10110966A (ja) 1996-10-03 1996-10-03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8-263087 1996-10-03
JP30959196A JP3279490B2 (ja) 1996-11-20 1996-11-20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
JP8-309591 1996-11-20
JP9-035029 1997-02-19
JP03502997A JP3507268B2 (ja) 1997-02-19 1997-02-19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86A true KR19980032586A (ko) 1998-07-25
KR100258659B1 KR100258659B1 (ko) 2000-06-15

Family

ID=2728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293A KR100258659B1 (ko) 1996-10-03 1997-10-02 공기조화기의실내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58114A (ko)
EP (1) EP0834704B1 (ko)
KR (1) KR100258659B1 (ko)
CN (1) CN1195958C (ko)
ES (1) ES2229320T3 (ko)
TW (1) TW38437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58B1 (ko) *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0748959B1 (ko) *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846B2 (ja) * 1998-04-17 2007-02-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HK1025475A2 (en) 1999-07-29 2000-10-13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U2001276944A1 (en) * 2000-07-17 2002-01-30 Emerson Electric Co. Re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heat generating objects
US6497739B2 (en) * 2001-01-03 2002-12-24 Mcgill Joseph A. Modular clean room filter system
WO2002060560A1 (en) * 2001-02-01 2002-08-08 Mcgill Joseph A Bottom loading clean room air filter support system
GB0107107D0 (en) 2001-03-21 2001-05-09 Dwyer Robert C Fluid to gas exchangers
WO2002075220A1 (en) * 2001-03-21 2002-09-26 Robert Charles Dwyer Air treatment units
EP1256769A1 (en) * 2001-05-08 2002-11-13 O.Y.L. Research & Development Centre Sdn Bhd Cooling and/or heating units
US6745589B2 (en) * 2001-11-22 2004-06-08 Sharp Kabushiki Kaisha Single-package air conditioner
CN100334403C (zh) * 2002-11-26 2007-08-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装饰板安装结构
US20050045205A1 (en) * 2003-08-29 2005-03-03 Stach Steven R.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rinted circuit boards
EP1544553B1 (de) * 2003-12-18 2009-10-07 M+W Zander Products GmbH Einrichtung zur Konditionierung von Umluft, vorzugsweise von Reinluft
KR100556432B1 (ko) * 2004-06-24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DE102004038778A1 (de) * 2004-06-28 2006-01-19 Schönfuß KG Raumbelüftungseinrichtung für die Klimatisierung von Räumen
JP2006029664A (ja) * 2004-07-15 2006-02-02 Daikin Ind Ltd 天井埋設型または天井吊下型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清浄ユニット
EP2163831B1 (en) * 2004-09-30 2018-11-07 Toshiba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GB2420083A (en) * 2004-11-11 2006-05-17 Reckitt Benckiser Inc Air purifier
KR100617079B1 (ko) * 2005-02-07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JP2007003045A (ja) * 2005-06-22 2007-01-11 Sanyo Electric Co Ltd フィルタ装置、天吊り型空気調和機
JP4039453B1 (ja) * 2005-12-12 2008-0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34364B1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4175410B2 (ja) * 2006-08-31 2008-1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08096553A1 (ja) * 2007-02-09 2008-08-14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325722B2 (ja) * 2007-12-17 2009-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561926B2 (ja) * 2008-07-18 2010-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7908879B1 (en) * 2009-11-03 2011-03-22 Chen Yung-Hua Multifunctional ceiling air-conditioning circulation machine
JP5972228B2 (ja) * 2013-07-18 2016-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R3021396B1 (fr) * 2014-05-23 2019-04-26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traitement d'air par depollution, adapte a une implantation dans differents environnements d'une enceinte
JP6481817B2 (ja) * 2015-03-24 2019-03-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10288302B2 (en) * 2015-03-31 2019-05-14 Fujitsu General Limite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with airflow guide vane
CN106051911B (zh) * 2015-04-02 2020-10-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风扇装置和天花板吊挂式空调设备
KR102396941B1 (ko) *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5252761U (zh) * 2015-12-14 2016-05-25 创天昱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过滤器容纳装置
US10989438B2 (en) * 2017-03-07 2021-04-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use i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598020B1 (en) * 2017-03-15 2021-12-22 Toshiba Carrier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7270512B (zh) * 2017-08-03 2023-07-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阀装置及新风系统
US20190093908A1 (en) * 2017-09-22 2019-03-28 Vasanthi R. Iyer Ceiling mounted air purifier
JP6610644B2 (ja) 2017-11-20 2019-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2688065B1 (ko) 2018-04-23 202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3819554B (zh) * 2021-09-23 2022-12-30 南京佳为生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型窗式通风器
US20230105974A1 (en) * 2021-10-04 2023-04-06 Ibow2U Llc Apparatus for safely enabling air filtering with box fans and filter
WO2024242324A1 (ko) * 2023-05-24 2024-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필터 모듈의 탈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8505A (en) * 1931-03-26 1931-12-29 Herman Nelson Corp Heating and ventilating unit
US2021437A (en) * 1934-03-20 1935-11-19 Frank P Walsh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44832A (en) * 1934-06-26 1936-06-23 Aeriet Air Conditioner Company Air conditioner
US3357763A (en) * 1965-12-10 1967-12-12 Carrier Corp Room terminal cabinet construction
US3412530A (en) * 1967-02-06 1968-11-26 George H. Cardiff Electrostatic air filter structure
US4191543A (en) * 1977-12-23 1980-03-04 Peters Max D Sterile air recycling apparatus
US4560395A (en) * 1984-04-17 1985-12-24 Environmental Air Control, Inc. Compact blower and filter assemblies for use in clean air environments
US4724749A (en) * 1986-02-04 1988-02-16 Donaldson Company, Inc. Clean room ceiling grid system
US4662912A (en) * 1986-02-27 1987-05-05 Perkins Lynn W Air purifying and stabilizing blower
US4713099A (en) * 1986-06-05 1987-12-15 Schroeder Clifford A Molded fiberglass air return filter grille
JPH0787886B2 (ja) * 1989-03-23 1995-09-27 松下精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5094676A (en) * 1990-05-03 1992-03-10 Karbacher Michael H Filter/fan assembly
JPH0540726A (ja) * 1991-08-06 1993-02-19 Nec Corp ライトバツフアのギヤザリング制御方式
JP2923150B2 (ja)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348563A (en) * 1993-06-29 1994-09-20 Honeywell Inc. Air purifying apparatus
US5679121A (en) * 1994-12-10 1997-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filter attachment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58B1 (ko) *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0748959B1 (ko) * 2004-12-30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4704B1 (en) 2004-09-01
CN1195958C (zh) 2005-04-06
CN1183533A (zh) 1998-06-03
ES2229320T3 (es) 2005-04-16
US5958114A (en) 1999-09-28
EP0834704A2 (en) 1998-04-08
EP0834704A3 (en) 2001-04-11
TW384374B (en) 2000-03-11
KR100258659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659B1 (ko) 공기조화기의실내유닛
JP477209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3297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1407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50726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51923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101109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70107195A (ko) 환기 청정 장치
JP200725584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386544B2 (ja) 空気調和機
JP2003097819A (ja) 空気調和機
WO2010007907A1 (ja) 天井設置型の空気調和機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JP2891041B2 (ja) シャッタ付グリル
JP303482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13361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183083B2 (ja)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JP394791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076404A (ko) 공기조화기
KR20050078877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085457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552295Y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148210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