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579U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3579U KR19980023579U KR2019960036967U KR19960036967U KR19980023579U KR 19980023579 U KR19980023579 U KR 19980023579U KR 2019960036967 U KR2019960036967 U KR 2019960036967U KR 19960036967 U KR19960036967 U KR 19960036967U KR 19980023579 U KR19980023579 U KR 199800235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mat
- slot
- hook
- mounting structure
- cross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 프레임(11)을 장착하도록 플로어판넬(10)에 가로방향으로 접합된 크로스멤버(12) 전면에 수직방향의 슬로트(13)를 형성하고, 그 슬로트(13)에 가이드 부재(14)의 단부를 상기 슬로트를 통하여 크로스멤버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단부가 형성된 지지부재(15)가 크로스멤버(12) 내측면에 접촉함에 의해 가이드 부재(14)가 슬로트(13)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상하로 피보트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자유단부에 보조매트(17)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는 후크(1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보조매트를 후크에 간편하게 장착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프런트 시트앞의 카페트 상에 보조매트 장착을 간편하게 하도록 된 보조매트 장착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플로어판넬 상면에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플로어 판넬을 보호하기 위하여 카페트가 제공된다. 그러나, 운전자를 비롯하여 탑승자의 시트 앞에는 발이 놓이게 되므로 다른 곳보다 흙등이 많이 묻게되어 자주 청소를 해야하며 다른 부분보다 심하게 마모된다.
이에 대하여 자동차의 시트 앞의 카페트에는 보조매트를 배치시켜 청소할때 보조매트 만을 들어내어 털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게 청소를 할 수 있게 하고 마모가 심한 경우 새것으로 교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매트의 장착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판넬(1)의 측방 충격에 대한 강성 보강 및 시트(2)의 마운팅을 위하여 플로어 판넬(1)에 가로 방향으로 접합된 크로스 멤버(3)에 후크부재(4)의 단부에 일체로 제공된 패치플레이트를 접합하고 보조매트(5)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후크부재(4)에 걸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매트 장착구조는 후크부재(4)를 취부하기 위해 크로스멤버(3)와 패치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낮고 제조 비용상승을 초래하며 후크부재(4)를 하나만 형성하게 되면 보조매트(5)가 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어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보조매트에 후크를 간편하게 체결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보조매트 장착구조의 제공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보조매트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보조매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매트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플로어판넬 12: 크로스멤버 13: 슬로트 14: 가이드부재 15: 지지부재 16: 후크 17: 보조매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는 시트프레임을 장착하도록 플로어판넬에 가로방향으로 접합된 크로스멤버 전면에 수직방향의 슬로트를 형성하고, 그 슬로트에 가이드 부재의 단부를 상기 슬로트를 통하여 크로스멤버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가 크로스멤버 내측면에 접촉함에의해 가이드 부재가 슬로트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상하로 피보트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자유단부에 보조매트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는 후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보조매트를 후크에 간편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자동차 플로어 판넬(10)에는 시트 프레임(11)을 장착하도록 크로스멤버(12)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멤버(12)는 시트 프레임(11) 장착 뿐만 아니라 측면 충돌시 플로어 판넬의 지지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크로스 멤버(12)의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로트(13)가 형성되고, 후크가 자유단부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14)의 타단부가 상기 슬로트(13)를 통하여 크로스 멤버(12)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15)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 삽입시에는 90° 회전하여 지지부재(15)를 슬로트(13)를 통해 삽입한 다음 원위치 시킴으로써 지지부재(15)가 슬로트(13) 양측의 크로스멤버(12)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4)의 자유단부에는 후크(16)가 360°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보조매트(17)을 후크(16)에 장착하는 것은 본 고안에 따라 가이드부재(14)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어서 후크(16)가 들어올려지므로 보조매트(17)의 체결공에 후크(16)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후크(16)가 가이드부재(14)에서 360°회전가능하므로, 본 고안에 따라 후크(16)를 상하 좌우의 어느 위치에서나 보조매트를 장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본 고안에 따라 보조매트를 체결하고 후크를 상하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종래 보조매트를 크로스 멤버앞에 고정된 후크에 체결하여야 하는 것과 비교하여 매우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플로어 판넬(10)에 접합되어 시트프레임(11)을 장착하는 크로스멤버(12)에 수직방향의 슬로트(13)를 형성하고, 상기 슬로트에 가이드부재(14)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4)의 자유단부에 회전자재하게 후크(16)가 장착되어 보조매트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6967U KR19980023579U (ko) | 1996-10-31 | 1996-10-31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6967U KR19980023579U (ko) | 1996-10-31 | 1996-10-31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3579U true KR19980023579U (ko) | 1998-07-25 |
Family
ID=5398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36967U Withdrawn KR19980023579U (ko) | 1996-10-31 | 1996-10-31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23579U (ko) |
-
1996
- 1996-10-31 KR KR2019960036967U patent/KR19980023579U/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826048A (ja) | 樹脂製リヤバンパ構造 | |
KR19980023579U (ko)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
JP3129045B2 (ja) | 自動車用シート | |
JPH0794160A (ja) | 車両用のバッテリ取付構造 | |
JP4055874B2 (ja) | 車両の後席シート構造 | |
KR19980023578U (ko)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
JP3950354B2 (ja) | フォークリフトのラジエタカバー | |
JP3112181B2 (ja) | ジャッキとジャッキハンドルの収納構造 | |
JP2725412B2 (ja) | フロントバンパの取付構造 | |
JP3452663B2 (ja) | マッドガード | |
KR200141622Y1 (ko)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
KR19980023581U (ko) | 자동차 보조매트 장착구조 | |
JP3488831B2 (ja) | 車両用合成樹脂製ドアアウタパネルの取付構造 | |
JP3604010B2 (ja) | 引出し式食器洗浄機 | |
KR100258811B1 (ko) | 보조매트 고정장치 | |
KR0119629Y1 (ko) | 트럭의 흙받이 보강구조 | |
KR0132584Y1 (ko) |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 |
JP2534075Y2 (ja) | 自動二輪車のバッテリ保持構造 | |
KR0134409B1 (ko) | 자동차용 와이퍼모터 커버 | |
KR100273792B1 (ko) | 차량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 |
JPH07102830B2 (ja) | スクーター型車両 | |
JPH046990Y2 (ko) | ||
KR0121420Y1 (ko) | 자동차의 페달조립체 장착구조 | |
KR0138862Y1 (ko) | 보조매트 후크 조립체 | |
JP3729990B2 (ja) | 車両のウインドシールド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03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