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22554A -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554A
KR19980022554A KR1019960041732A KR19960041732A KR19980022554A KR 19980022554 A KR19980022554 A KR 19980022554A KR 1019960041732 A KR1019960041732 A KR 1019960041732A KR 19960041732 A KR19960041732 A KR 19960041732A KR 19980022554 A KR19980022554 A KR 1998002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low
gas
surge tank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물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554A/ko
Publication of KR1998002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Blow-by Gas)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크리너(13)와 서지탱크(9)가 에어 흡기 호스(11)로 연결되고, 상기 서지탱크(9)는 흡기다기관(7)에 의해 실린더블록(3)으로 연결되며, 실린더헤드(5)는 에어 흡기 호스(11)와 브리더 호스(15)에 의해 연결되고, 한편에는 실린더헤드(5)를 서지탱크(9)와 연결되도록 PCV밸브(17)와 벤틸레이션 호스(19)가 연결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1)내의 블로바이가스가 흐르는 브리더 호스(15)와 벤틸레이션 호스(19)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40)로 이루어진 관통공(30)을 형성함으로써 혼합기의 충전효율이 상승되어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Blow-by Gas)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는 브리더 호스와 벤틸레이션 호스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를 형성하여 주므로써 블로바이가스의 온도를 저감시켜 혼합기의 충진효율이 상승되어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켜 주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는 최근 자동차의 엔진에서 매우 보편화 되어 있는 것으로서, 크랭크 케이스내로 새어 들어온 혼합가스 및 연소가스를 다시 흡기계통으로 도입하여 재연소시키는 장치이다. 예컨대, 엔진을 운전중에는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내에 어느 정도의 배기가스나 혼합기가 새어 들어오는데, 이러한 혼합기는 부분산화를 받은 혼합가스와 연소가스등으로 이루어지는 강산성을 띠는 가스로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량의 약 1/4이 이러한 블로바이가스 안에 포함된다. 그 때문에 엔진오일은 열이나 연소가스의 수분, 가솔린 등의 영향으로 엷어지거나 변질되어 슬러지(Sludge)가 생기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크랭크 케이스에 에어브리더(Air Breather)라는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했으나, 이 가스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량의 탄화수소를 포함하여 대기의 오염원이 되므로 이를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흡기계통으로 도입하여 연소실로 보낸 후 재연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블로바이가스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13)와 서지탱크(9)가 에어 흡기 호스(11)로 연결되고, 상기 서지탱크(9)는 흡기다기관(7)에 의해 실린더블록(3)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실린더헤드(5)는 에어 흡기 호스(11)와 브리더 호스(15)에 의해 연결되고, 한편에는 실린더헤드(5)를 서지탱크(9)와 연결되도록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밸브(17)와 벤틸레이션 호스(19)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연결된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는 연소실로부터 유입된 크랭크 케이스(1)내의 블로바이가스는 경부하 또는 중부하일 경우엔 실린더블록(3), 실린더헤드(5), PCV밸브(17), 벤틸레이션 호스(19), 서지탱크(9)를 통해서 흡기다기관(7)으로, 그리고 급가속시와 고부하시에는 브리더 호스(15)를 통해서 에어 흡기 호스(11)로 보내진다.
이때 고온의 블로바이가스는 에어크리너(13)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와 에어 흡기 호스(11) 또는 서지탱크(9)에서 혼합되어 흡기다기관(7)을 통해 연소실로 보내져 연료와 함께 연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는 에어크리너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가 에어 흡기 호스와 서지탱크에서 고온의 블로바이가스와 혼합되어 온도가 상승되고, 혼합기의 충전효율이 저하되어 엔진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충전효율(charging efficiency)이란, 표준 대기상태의 건조공기가 행정체적을 차지하는 만큼의 공기질량과, 운전중 실제 1 사이클당 실린더에 흡입된 공기질량의 비를 말한다. 그러므로 행정체적을 차지하는 공기질량이 높으면 충전효율도 높아진다. 그래서 행정체적을 많이 차지하려면 공기의 온도는 낮아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크리너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가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내로 유입된 고온의 블로바이가스와 혼합될 때 블로바이가스의 온도를 저감시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충전효율을 높이고,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크랭크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가 브리더 호스와 벤틸레이션 호스를 통해 에어 흡기 호스나 서지탱크에서 에어크리너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와 혼합될 때 브리더 호스와 벤틸레이션 호스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로 된 관통공을 형성하여 주므로써 상기 와이어 메시 관통공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의 온도를 저감시켜 충전효율이 상승되고,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블로바이가스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블로바이가스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와이어 메시 관통공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크랭크 케이스 3: 실린더블록
5: 실린더헤드 7: 흡기다기관
9: 서지탱크 11: 에어 흡기 호스
13: 에어크리너 15: 브리더 호스
17: PCV밸브 19: 벤틸레이션 호스
30: 관통공 40: 와이어 메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블로바이가스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와이어 메시 관통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13)와 서지탱크(9)가 에어 흡기 호스(11)로 연결되고, 상기 서지탱크(9)는 흡기다기관(7)에 의해 실린더블록(3)으로 연결되며, 실린더헤드(5)는 에어 흡기 호스(11)와 브리더 호스(15)에 의해 연결되고, 한편에는 실린더헤드(5)를 서지탱크(9)와 연결되도록 PCV밸브(17)와 벤틸레이션 호스(19)가 연결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1)내의 블로바이가스가 흐르는 브리더 호스(15)와 벤틸레이션 호스(19)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40)로 이루어진 관통공(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0)은 다수의 와이어 메시(40)가 에어필터의 역할을 하여 고온의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관통공(30)을 통과하게 되면 다수의 와이어 메시(40)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는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내로 유입된 블로바이가스가 브리더 호스(15)나 벤틸레이션 호스(19)를 통해 에어 흡기 호스(11)나 서지탱크(9)에서 에어크리너(13)를 통해 유입된 저온의 공기와 혼합될 때 고온의 블로바이가스가 브리더 호스(15)나 벤틸레이션 호스(19)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 메시(40)로 된 관통공(30)을 통과하게 되어 블로바이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블로바이가스와 저온의 공기가 혼합되어 흡기다기관(7)을 통해 다시 연소실로 보내지는데 이때 공기와 블로바이가스의 온도가 낮으므로 혼합기의 충전효율이 상승되어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는 크랭크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가 경유하게 되는 브리더 호스와 벤틸레이션 호스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로 이루어진 관통공을 형성하여 주므로써 혼합기의 충전효율이 상승되어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에어크리너(13)와 서지탱크(9)가 에어 흡기 호스(11)로 연결되고, 상기 서지탱크(9)는 흡기다기관(7)에 의해 실린더블록(3)으로 연결되며, 실린더헤드(5)는 에어 흡기 호스(11)와 브리더 호스(15)에 의해 연결되고, 한편에는 실린더헤드(5)를 서지탱크(9)와 연결되도록 PCV밸브(17)와 벤틸레이션 호스(19)가 연결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1)내의 블로바이가스가 흐르는 브리더 호스(15)와 벤틸레이션 호스(19)의 일측에 다수의 와이어 메시(40)로 이루어진 관통공(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KR1019960041732A 1996-09-23 1996-09-23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Ceased KR19980022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32A KR19980022554A (ko) 1996-09-23 1996-09-23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32A KR19980022554A (ko) 1996-09-23 1996-09-23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54A true KR19980022554A (ko) 1998-07-06

Family

ID=6652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732A Ceased KR19980022554A (ko) 1996-09-23 1996-09-23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78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안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78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안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1846A (en) Anti-pollution device
US5201301A (en) Adjustable ambient air filtering system and pollution control device
RU2002121779A (ru)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00240457A (ja) 2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KR19980022554A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KR20050034791A (ko) 오일 세퍼레이터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JPS6149130A (ja) 4サイクル内燃機関
KR200166942Y1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0409579B1 (ko) 디젤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KR200181190Y1 (ko) 실린더 헤드 커버의 소음방지 구조
US6708679B1 (en) Polution control kit
KR100305929B1 (ko) 자동차의크랭크케이스환기장치
KR20040051623A (ko) 블로바이 가스의 분배장치
KR0139655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여과장치
KR200153737Y1 (ko) 블로 바이 가스 환원 구조
JPH07103082A (ja) エンジン構造
KR19980035334U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0453654B1 (ko) 피스톤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시브이밸브
KR20020046519A (ko) 블로바이가스 환류장치
KR200251761Y1 (ko) 탄화수소 포집기능을 구비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JP2005226510A (ja) 汎用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9980017401U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9980030198A (ko) 각기통 분배식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CN101519995A (zh) 新型双火花塞安装技术/有效汽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