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19399A -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399A
KR19980019399A KR1019980008690A KR19980008690A KR19980019399A KR 19980019399 A KR19980019399 A KR 19980019399A KR 1019980008690 A KR1019980008690 A KR 1019980008690A KR 19980008690 A KR19980008690 A KR 19980008690A KR 19980019399 A KR19980019399 A KR 1998001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formwork
flat iron
formwork assembly
iron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7973B1 (ko
Inventor
기승철
Original Assignee
기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승철 filed Critical 기승철
Priority to KR101998000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9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99A/ko
Priority to CN98125507A priority patent/CN1124392C/zh
Priority to PCT/KR1999/000115 priority patent/WO199904776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2017/064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made of a flat strip, e.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거푸집 역할과 철근배근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지재의 개수를 줄일수 있거나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벽체를 신속하고 졍밀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 조립체는 일정한 폭과 두께 및 길이를 지닌 평철판 양쪽 상,하단을

Description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거푸집 역할과 철근배근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지재의 개수를 줄일수 있거나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벽체를 신속하고 겅밀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구측함에 있어서는 벽체 양면에 거푸집용 패널을 조립하고 간격유지구 등의 철물을 결속하는 한편 그 양표면에 지지재를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구축된다. 이러한 전통적 방법은 콘크리트 벽체 완성후 지지재및 간격유지구 등의 가설재를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공기단축이 어려웠다. 또한 완성된 콘크리트 벽체면에 단열재시공 및 마감재의 부착을 위하여 벽틀을 설치하는 공정 등의 다단계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근래에는 철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로철선과 세로철선 및 크로스철선으로 이루어진 입방체의 거푸집을 용착하여서된 입체식 구조의 조립식 건축모듈(발명특허 공고번호:90-8987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구조의 거푸집은 콘크리트양생후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기의 단축은 물론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거푸집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은 다수의 가로철선과 세로철선및 크로스철선 각각의 교차점을 모두를 용착하여야 함으로서 용접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따라서 이를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고가의 복잡한 공장설비가 필요하다.
둘째, 이 입체식 거푸집은 다량의 가로철선 과 세로철선 및 크로스철선이 일체로 용착되어 입방체로 구성 되어 있어 그 부피가 매우 큰 바, 이는 보관,운반하는 데에 많은 물류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그 부피가 커서 시공과정에서 취급이 쉽지 않다.
셋째,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은 그 거푸집 양쪽에 패널을 삽입하면 그 내부에 수직철근의 설치가 곤란하며, 콘크리트 타설시에 측압에 의한 배불름 현상이 발생하면 후속조치에 한계가 있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통방식의 벽체거푸집이나 철선을 이용한 입체식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세로부재와 가로부재 및 수직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의 벽체거푸집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 입체식 거푸집이 아닌 단위부재로 제조하여 그 부피와 중량을 줄여 보관, 운송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세로부재와 가로부재 및 수직철근을 일체로 결합 제조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벽체거푸집 조립체로 거푸집이 조립됨과 동시에 철근배근이 함께 수행될수 있도록할 수 있는 건축물 벽체거푸집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거푸집 조림체의 가로부재인 평철결속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거푸집 조립체 다수를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이 조립되고 그 양면에 패널이 삽입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벽체거푸집 조립체 2:각형강관 3:평철결속판 4:수직철근 5:요홈 6:나사못 7:결속구멍 8:콘크리트 9:가로철근 10:패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측물 벽체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림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 1에 도시된 벽체거푸집 조립체의 횡방향에 겉속되는 평철결속판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거푸집 조립체(1)는, 일정한 폭과 두께 및 길이를 지닌 평철판 양쪽 상,하단을자형으로 요홈(5)을 타공하고 또한 그 양쪽에 결속구멍(7)을 천공하여서 된 평철결속판(3)과; 상기의 평철결속판(3)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길이방향(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중심부에 용접되는 수직철근(4)과;그리고, 상기 다수의 평철결속판(3) 좌,우측에 종방향으로 각형강관(2)이 배열되어평철결속판(3)의 좌,우측에 천공된 결속구멍(7)을 통하여 나사못(6)에 의하여 각형강관(2)과 다수의 평철결속판(3)이 상호 결합되며 벽체거푸집 조립체(1)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벽체거푸집 조립체(1)는 종방향으로 2개의 각형강관(2)(2)과 그 사이의 등간격 간에 다수의 평철결속판(3)과 그 평철결속판(3)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수직철근(4)이 일체로 용접되어 있어 벽체의 거푸집이 조립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거푸집 조립체(1) 다수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 간에 연속하여 배열되어 평철결속판(3)양쪽 상,하단에 타공된 요홈(5) 간에 패널(10)이 끼워져 입방체의 벽체 거푸집이 조립된다 이때에 평철결속판(3)에 증방향으로 용접된 수직철근(4)은별도의 철근배근이 필요 없도록 거푸집공정 과 철근배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평철결속판 양쪽에 상,하단에자형으로 타공된 요홈의 폭칫수는 끼워지는 패널의 두께에 따라서 가변성을 지니며또한 양쪽의 요홈 내측의 길이는 벽체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길이의 가변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벽체거푸집 조립체는 입체가 아닌 평면상의 단위체로 제조되어 있어, 제작이나 보관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취급이 편리하며, 벽체거푸집 조립체에 수직철근이 용접되어 있어 거푸집 조립과 동시에 철근배근이 함께 이루어지며 다양한 소재의 패널을 삽입하여 벽체거푸집을 조립하여 그 내부면에 유동성 몰탈(콘크리트,단열몰탈,경량몰탈,황토흙 등)을 타설하여 완성된 벽체에서 벽체거푸집 조립체 및 패널을 해체 하지 않고 일체로 성력화 시공함 으로서 공정의 합리화는 물론 내진성을 지니는 벽체 구조물을 시공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사용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어떠한 부위에 적용해도 경제성 있는 벽체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정한 폭 과 두께 및 길이를 지닌 평철판 양쪽 상,하단을자형으로 요홈(5)을 타공하고 또한 그 양쪽에 결속구멍(7)을 천공하여서 된 평철결속판(3)과; 상기의 평철결속판(3)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길이방향(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중심부에 용접되는 수직철근(4)과; 그리고, 상기 다수의 평철결속판(3) 좌,우측에 종방향으로 각형강관(2)이 배열되어 평철결속판(3)의 좌,우측에 천공된 결속구멍(7)을 통하여 나사못(6)에 의하여 각형강관(2)과 평철결속판(3)이 상호 결합되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명철결속판(3) 양쪽 상,하단에 타공된 요홈(5)의 깊이와 폭이 가변칫수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각형강관(2)의 외경칫수 및 재료두께가 가변성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거푸집 조립체.
KR1019980008690A 1998-03-16 1998-03-16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KR10025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90A KR100257973B1 (ko) 1998-03-16 1998-03-16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CN98125507A CN1124392C (zh) 1998-03-16 1998-12-25 用于建造混凝土墙壁的模具装置
PCT/KR1999/000115 WO1999047768A1 (en) 1998-03-16 1999-03-16 Form unit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90A KR100257973B1 (ko) 1998-03-16 1998-03-16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99A true KR19980019399A (ko) 1998-06-05
KR100257973B1 KR100257973B1 (ko) 2000-06-01

Family

ID=1953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90A KR100257973B1 (ko) 1998-03-16 1998-03-16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57973B1 (ko)
CN (1) CN1124392C (ko)
WO (1) WO1999047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56B1 (ko) * 2001-06-26 2004-04-28 김홍종 벽체 시공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건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1357A1 (en) * 2003-12-30 2005-07-14 Bluescope Steel Limited Wall panel
TW201641788A (zh) * 2015-05-26 2016-12-01 Jin Long Steel Co Ltd 免拆模網牆之立柱製造方法
PT117057B (pt) * 2021-02-09 2022-11-29 Dos Anjos Branco Chagas Rodrigues Nelson Elemento de cofragem e sistema de cofragem para elementos estruturais
CN117868302B (zh) * 2024-03-11 2024-05-28 中国船舶集团国际工程有限公司 一种自复位装配式柱间支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4587A (en) * 1926-02-23 1927-10-04 John N Heltzel Concrete form
AT334035B (de) * 1974-09-05 1976-12-27 Mossler Franz Stutzvorrichtung fur schalungsplatten
US4329821A (en) * 1980-04-30 1982-05-18 Long Robert T Composite insulated wall
FR2562594B1 (fr) * 1984-04-05 1990-03-30 Chandeze Pierre Dispositif d'espacement de coffrage permettant le positionnement de panneaux isolants noyes dans le bet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56B1 (ko) * 2001-06-26 2004-04-28 김홍종 벽체 시공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건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9163A (zh) 1999-09-22
WO1999047768A1 (en) 1999-09-23
KR100257973B1 (ko) 2000-06-01
CN1124392C (zh) 200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938B1 (ko)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JP5559461B2 (ja) コンクリート壁用型枠モジュール
US20020023401A1 (en) Structural thermal framing and panel system for assembling finished or unfinished walls with multiple panel combinations for poured and nonpoured walls
US20120311949A1 (en) Thermal insulated build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US20050050838A1 (en) Building component
CN210194867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
KR100257973B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KR101464073B1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101376232B1 (ko) 조립식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200634866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KR101946500B1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19990081415A (ko) 콘크리트충전형 각형강관을 이용한 기둥과 수평보의 접합구조
CN210238769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节点
KR19990075375A (ko) 건축물 벽체거푸집 조립체
JPH10317503A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247691Y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100522746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102721178B1 (ko) 수평 분할형 pc 코어
JPH0431914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壁構造の構築工法
KR100495739B1 (ko) 건물기둥의 축조방법과 축조구조
JP2003193484A (ja) 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布基礎あるいはべた基礎の構築方法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200322026Y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1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8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