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18188A -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서브미크론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응용을 위한 자기 정렬 POCl₃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서브미크론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응용을 위한 자기 정렬 POCl₃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188A
KR19980018188A KR1019970033200A KR19970033200A KR19980018188A KR 19980018188 A KR19980018188 A KR 19980018188A KR 1019970033200 A KR1019970033200 A KR 1019970033200A KR 19970033200 A KR19970033200 A KR 19970033200A KR 19980018188 A KR19980018188 A KR 1998001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silicon
pocl
g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265B1 (ko
Inventor
압달라 에이 나엠
Original Assignee
클라크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컨덕터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컨덕터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클라크3세 존 엠
Publication of KR1998001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having source and drain regions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self-aligned to sides of the gate
    • H10D30/0227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having source and drain regions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self-aligned to sides of the gate having both lightly-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doped drain [LDD] MOSFET or double-diffused drain [DDD]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01L21/28052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silicide layer formed by the silicidation reaction of silicon with a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집적회로 구조물의 일부분으로써 형성되는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 영역 내부로 인을 주입하는 방법에서, 초기의 MOS 구조물은, 이러한 경우에, 게이트 폴리실리콘이 비도핑 상태로 남는 것을 제외하고, 가볍게 도핑된 드레인 (LDD) 주입 단계를 통한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도펀트가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이 비정질화되도록 소오스/드레인 영역 내부로 주입되며, 그럼으로써, 폴리실리콘 입계 (粒界)를 제거한다. 그 다음에, CVD 산화물층이 형성되고 CMP 단계가 수행되어 비정질화된 게이트 폴리실리콘 영역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층이 비정질화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상에 형성되고 열적으로 어닐링되어 POCl3층으로부터 인을 폴리실리콘 내부로 주입한다. 그리고, POCl3층이 제거된다.

Description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서브미크론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응용을 위한 자기 정렬 POCl₃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집적회로 구조물에 대한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POCl3) 층으로부터 인을 아래의 폴리실리콘 내부로 열적으로 주입하여 폴리실리콘에 소망의 도전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에서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MOS 디바이스용 도전성 게이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실리콘 게이트는, 그 위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층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상기 POCl3층을 어닐링하여 인을 폴리실리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소망의 도전 레벨로 도핑된다.
통상적인 POCl3공정 흐름이 도 1a - 도 1f 에 예시되어 있다.
도 1a 는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100) 의 증착을 통한 초기 디바이스 구조물을 나타낸다. 그 다음에,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Cl3층 (102) 이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100) 상에 증착된다. 다음으로,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Cl3어닐링 단계가 수행되고 POCl3층 (102) 으로부터 인을 아래의 폴리실리콘 내부로 주입하여 도핑된 폴리실리콘층 (104) 을 형성하게 된다. POCl3어닐링 단계 다음에, 디글레이징 (deglazing) 단계가 DI-HF (10:1) 에칭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되어 POCl3층을 제거한다.
POCl3어닐링 단계 동안, 인이 POCl3층으로부터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내부로 주입될 때, 대부분의 인은 비도핑 폴리실리콘 입계 내부로 세그레게이트 (segregate) 되고 HF 용액으로 매우 빠르게 식각되는 진하게 도핑된 인산화물을 형성한다. 또한, POCl3증착 동안에, 인이 풍부한 얇은 (100 -200 Å) 유기층이 POCl3층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인이 풍부한 유기층은, 습식 HF 용액이 아래의 POCl3층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표면층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습식 DI:HF 용액은 인이 풍부한 층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POCl3층에 도달할 것이다. 인이 풍부한 층에 의해 생긴 마스킹 때문에 HF 는 POCl3층을 제거하는데 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식각이 빨리 진행되는 어떤 영역에서 HF 는 폴리실리콘내의 입계 내부로 침투하여, 진하게 도핑된 산화물을 제거하고, 아래의 얇은 게이트 산화물층 (108) 에 도달한다. HF 용액이 폴리실리콘층 (104) 을 투과하여 얇은 게이트 산화물층 (108) 에 도달할 때, 상기 용액은 게이트 산화물을 공격하여, 구멍 (106) 을 형성하고, 따라서, 도 1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대-기판이 단락 (short) 된다.
도 1e 를 참조하면, POCl3디글레이징 단계 다음에,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104) 을 패터닝하기 위해 요구되는 게이트 폴리실리콘 포토마스킹 단계가 수행되어 도핑된 폴리실리콘 (104) 상에 패턴된 포토레지스트층 (110) 을 나타낸다. 도 1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에, 게이트 폴리실리콘 (104) 이 식각되고 포토레지스트 (110) 가 제거되어 MOS 디바이스의 폴리실리콘 게이트 (112) 를 나타낸다.
그러나, 폴리실리콘 식각 단계 동안, 잉여 산화물 필러 가 필드/소오스/드레인 산화물 영역상에 생성된다. 즉, 폴리실리콘 패터닝 동안, HF 용액이 투과하지 못하는 영역에 있는 폴리실리콘 입계에 존재하는 산화물은 폴리실리콘 식각에 의해 공격받지 않고, 따라서, 필드 산화물 및 소오스/드레인 산화물상에 남아 산화물 필러 로써 통상 지칭되는 것을 형성한다. 이들 필러들은 최종 생산물에 심각한 신뢰성 방해물이 된다.
도 1f 는 종래의 공정 흐름에 의해 얻어진 최종 폴리실리콘 게이트 구조물을 나타내며, 상기 최종 구조물은 필드 및 소오스/드레인 산화물상에 형성된 산화물 필러 뿐만 아니라 게이트 산화물내의 구멍을 통한 폴리실리콘-대-기판 단락 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록 종래의 POCl3공정 흐름은 게이트 산화물이 HF 디글레이징 용액에 의한 공격을 견딜만큼 충분히 두껍고 (200 Å 이상) 생산물도 열적 산화물의 표면상에 남는 잉여 산화물에 민감하지 않은 대규모 기하적인 크기에 적절하지만, ULSI 프로세스에서는 디바이스의 크기도 작고, 따라서 높은 정도의 청결도 및 얇은 게이트 산화물 (100 Å 이하) 을 요구하기 때문에, 종래의 POCl3공정은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인을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층으로부터 비도핑 게이트 폴리실리콘 내부로 주입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초기 MOS 구조물은 가볍게 도핑된 드레인 주입 단계까지, 이러한 경우에, 게이트 폴리실리콘층이 비도핑으로 남겨지는 것을 제외하고,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그 다음에, 도펀트가 기판 내부로 주입되어 MOS 디바이스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동시에, 비도핑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비정질화하고, 그럼으로써 입계를 깨뜨리고 실리콘과 산화물을 혼합한다. 그 다음에, 산화물층이 화학기상증착 (CVD) 에 의해 형성되고 화학적 기계적인 폴리싱 (CMP) 스텝이 수행되어 비정질화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에, POCl3층이 비정질화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상에 형성되고 열적으로 어닐링되어 POCl3층으로부터 인을 폴리실리콘 내부로 주입한다. 그 다음에, POCl3층은 종래의 공정 흐름에서 발생하는 최종 게이트 산화물 구멍 및 산화물 필러없이 제거된다. 왜냐하면, 입계를 제거하면, 폴리실리콘의 보다 균일한 식각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도 1a - 도 1f 는 종래의 POCl3공정 흐름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예시하는 반도체 구조물의 부분 단면도.
도 2a - 도 2i 는 본 발명에 따른 POCl3공정 흐름의 순차적인 단계들을 예시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조물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도핑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102 : POCl3
104 : 도핑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108 : 얇은 게이트 산화물층
110 : 포토레지스트층 112 : 폴리실리콘 게이트
114 : 잉여 산화물 필러 200 : 게이트 폴리실리콘
202 : 소오스/드레인 영역 204 : 실리콘 이산화물
206 : POCl3층 208 : 절연 산화물층
본 발명에 대한 특징 및 장점은 아래에 기재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를 사용하여 폴리실리콘을 도핑하는 공정 흐름은 도 2a - 도 2i 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어떠한 명시적인 공정 파라미터들 ( 예를 들어, 필름 두께, 도펀트 농도) 도 없지만, 당 분야의 해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이들 파라미터들이 없이도 적용가능하고 제조 중인 특정한 집적회로 생산품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 분야의 해당업자는 또한, 하기 설명의 방향이 N 채널 장치를 제조하는 쪽이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모든 MOS 기술 및, 사실, 포스포러스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모든 공정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를 참조하면, 초기의 MOS 구조물은 가볍게 도핑된 드레인 (LDD) 주입 단계를 통한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경우에,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은 비도핑으로 남으며 필드 산화물은 LOCOS (local oxidation od silicon) 기술 대신에 트렌치 격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채널 또는 P 채널 디바이스 중 어느 디바이스가 제조되는가에 좌우되어, N+ 또는 P+ 소오스/드레인 주입 단계가 수행되어 보통의 소오스와 드레인 영역 (202) 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주입 단계는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을 비정질화시키고,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HF 디글레이징 용액에 의해 공격받기 쉬운 게이트 폴리실리콘의 구조물에서 입계들을 파괴한다.
다음으로, 실리콘 이산화물 (204) 층이, 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 (CVD) 에 의해 형성되어, 도 2c 에 도시된 구조물로 된다.
도 2d 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학적 기계적인 폴리싱 (CMP) 단계가 수행되어 폴리실리콘 게이트 (200) 을 노출하는 반면에, 다른 모든 실리콘 영역은 CVD 에 의한 실리콘 산화물 (204) 에 의해 보호되어 남는다. 또한, CMP 단계에 의해 디바이스의 전체표면이 평탄화되고,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물 토포그래피 (topography) 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폴리실리콘 게이트 재료의 초기 두께는 종래의 폴리실리콘 공정보다 약간 두꺼워야 한다 (0.3 미크론 대신에 약 0.5 미크론). 이렇게 하면, 폴리실리콘 게이트층 (200) 이 CMP 단계 이후에 0.3 미크론까지 얇아질 때 모든 폴리실리콘 영역이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층 (206) 이 전체 구조물에 증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POCl3층을 형성하면 상기 POCl3의 상부면에 인이 풍부한 유기층 (도시되지 않음) 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POCl3층 (206) 이 열적으로 어닐링되어 인을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내부로 주입한다. 상기 POCl3어닐링은, 상술된 바와 같이, 소오스/드레인 주입 단계의 결과로써, 인이 폴리실리콘층이 아닌 아모포스 실리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제외하곤 종래의 단계와 같이 수행된다. 최종 구조물이 도 2f 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POCl3층 (206) 이 DI-HF (10:1) 을 사용하는 디글레이징 단계로 제거되어, 게이트 산화물 구멍 및 종래의 공정 흐름에서 생기는 잉여 산화물이 없는 도 2g 에 도시된 구조물이 된다.
그 다음에, 도 2h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한 열적인 프로세스 (RTP) 어닐링 단계가 수행되어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내부로의 도핑 뿐만 아니라 소오스/드레인 주입을 활성화시킨다.
그 다음에, 절연 산화층 (208) 이 증착되고 접촉부들이 개방되고 금속화 흐름 모듈, 예시된 경우에서는, Ti/TiN/Al 의 형성이 종래의 방식으로 수행되어 도 2i 에 도시된 구조물이 된다.
도 2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폴리사이드층이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상에 형성되어 접촉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폴리사이드층의 형성은 다음의 단계들을 따라 진행할 수 있다: 티타늄층이 도 2h 의 구조물상에 형성된다. 그 다음에, 저온 RTP 단계가 수행되어 게이트 폴리실리콘 (200) 상에 제 1 페이즈 (phase) 실리사이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반응하지 않은 티타늄은 웨트 스트립 (wet strip) 으로 제거되고 고온 RTP 단계가 수행되어 낮은 저항성 폴리사이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폴리사이드는 짙게 도핑된 POCl3폴리실리콘상에 형성되는 반면에, 소오스/드레인 영역 (202) 은 제 2 페이즈 RTP 단계 동안에 발생되는 고온으로부터 보호된다.
상술된 새로운 POCl3프로세스 흐름은 많은 장점을 포함한다. 먼저, 게이트 영역은 임의의 폴리실리콘이 도핑되기 전에 패턴닝된다. 또한, 종래의 LDD 및 N+/P+ 소오스/드레인 주입은 게이트 POCl3도핑이 실행되기 전에 수행된다. 소오스/드레인 주입은 게이트 폴리실리콘을 비정질화시키고, 폴리실리콘내의 입계를 파괴하고, 따라서, POCl3증착 또는 주입 동안 입계에 대한 도펀트 채널링 및/또는 도펀트 디세그레게이션 (desegregation) 을 방지한다. CMP 단계는 제 1 절연층이, 웨이퍼상의 어느 곳에서도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노출하는 정도로 증착된 후에 수행된다. POCl3층은 제1 절연층 및 CMP 단계가 수행된 후에 증착된다. 이제 POCl3층은 게이트 폴리실리콘에 자기 정렬되고, 따라서, POCl3공정은 필드 또는 소오스/드레인 산화물과 같은 웨이퍼상의 임의의 다른 영역들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POCl3층이 디바이스 활성 영역들로부터 격리되고, 따라서 디바이스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못하기 때문에, 디글레이징 단계, 즉, POCl3층의 제거는 이러한 공정 흐름에서 선택적으로 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공정 흐름은 폴리실리콘 에칭 후에 보통 필드/소오스/드레인 산화물에 나타나는 산화물 필러 를 제거한다. 상기 공정 흐름은 또한 때때로 게이트 산화물에서 탐지되는 구멍도 제거한다. 왜냐하면, POCl3층은 입계없는 비정질화된 실리콘상에서 수행되고, 따라서, 디글레이징에 사용되는 임의의 습식 식각용액이 게이트 산화물에 도달할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다른 대안들이 본 발명을 실현할 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며 이들 청구항의 범위내의 방법 및 구조물들 및 그것에 동등한 것들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OCl3층으로부터 인을 비도핑된 게이트 폴리실리콘층 내부로 주입하는 것으로 산화물 구멍이나 필러가 제거되기 때문에 ULSI 프로세스와 같은 디바이스의 크기가 작고 얇은 게이트 산화물을 필요로 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폴리실리콘 영역이 반도체 기판내에 형성된 필드 산화물 영역들 사이의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실리콘 산화물에 중첩되며, 집적회로 구조물의 일부분으로써 형성되는 폴리실리콘 영역 내부로 인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폴리실리콘 영역을 비정질화하는 단계;
    (b) (a) 단계로 형성되는 구조물상에 실리콘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화학적 기계적인 폴리싱 (CMP) 단계를 수행하여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 영역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d) (c) 단계로 형성되는 구조물상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를 포함하는 소오스 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소오스 재료층을 열적으로 어닐링하여 상기 소오스 재료층으로부터 인을 아래쪽의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 영역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 및
    (f) 소오스 재료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a) 반도체 기판에 트렌치 격리 필드 산화물 영역들을 형성하여 그것들 사이에 액티브 디바이스 기판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액티브 디바이스 기판 영역의 표면상에 게이트 실리콘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c) 폴리실리콘층 및 아래쪽의 게이트 실리콘 산화물층을 형성하여 MOS 트랜지스터의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정의하고, 상기 폴리실리콘 게이트는 게이트 실리콘 산화물을 아래에 놓음으로써 상기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액티브 디바이스 기판 영역의 소오스/드레인 영역들을 노출시키는 단계;
    (e) 낮은 밀도 확산 단계를 수행하고, 그럼으로써 제 1 N 형 도펀트를 소오스/드레인 영역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
    (f)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측벽들 및 게이트 실리콘 산화물의 영역상에 측벽 공간들을 형성하는 단계;
    (g) 이온 주입 단계를 수행하고, 그럼으로써 폴리실리콘 게이트가 비정질화되도록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 내부로 제 2 N 형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
    (h) (g)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상에 실리콘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i) 화학적 기계적인 폴리싱 (CMP) 을 수행하여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j) (i)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상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POCl3) 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k) POCl3층을 열적으로 어닐링하여 POCl3층으로부터 인을 비정질화된 폴리실리콘 게이트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
    (l) POCl3층을 제거하는 단계;
    (m) (l)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상에 절연 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n) (m)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에 접촉공을 형성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상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o) (n)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상에 금속화층을 형성하여 금속화층이 소오스/드레인 영역들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노출된 상부 표면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도록 금속화층을 접촉공 내부로 연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에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l) 단계로 형성된 구조물상에 티타늄층을 형성하는 단계;
    초기 온도에서 제 1 어닐링 단계를 수행하여 폴리실리콘 게이트상에 제 1 페이즈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
    반응되지 않은 티타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에서 제 2 어닐링 단계를 수행하여 폴리실리콘 게이트상에 제 2 페이즈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를 (l) 단계와 (m) 단계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33200A 1996-08-08 1997-07-16 비정질화된폴리실리콘을사용하는서브미크론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응용을위한자기정렬poci₃제조방법 KR100271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89,334 1996-08-08
US08/689,334 US5843834A (en) 1996-08-08 1996-08-08 Self-aligned POCL3 process flow for submicron microelectronics applications using amorphized polysilic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88A true KR19980018188A (ko) 1998-06-05
KR100271265B1 KR100271265B1 (ko) 2000-12-01

Family

ID=2476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200A KR100271265B1 (ko) 1996-08-08 1997-07-16 비정질화된폴리실리콘을사용하는서브미크론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응용을위한자기정렬poci₃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43834A (ko)
KR (1) KR100271265B1 (ko)
DE (1) DE1973185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419A (en) * 1996-11-12 1998-04-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raised source/drain MOSFET using self-aligned POCl3 for doping gate/source/drain regions
US6143613A (en) * 1997-06-30 2000-11-07 Vlsi Technology, Inc. Selective exclusion of silicide formation to make polysilicon resistors
US6420273B1 (en) 1997-06-30 2002-07-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f-aligned etch-stop layer formation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074921A (en) * 1997-06-30 2000-06-13 Vlsi Technology, Inc. Self-aligned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 features
US6207543B1 (en) 1997-06-30 2001-03-27 Vlsi Technology, Inc. Metallization technique for gate electrodes and local interconnects
US5953612A (en) * 1997-06-30 1999-09-14 Vlsi Technology, Inc. Self-aligned silicidation technique to independently form silicides of different thickness on a semiconductor device
US6051467A (en) * 1998-04-02 2000-04-18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to fabricate a large planar area ONO interpoly dielectric in flash device
US6150216A (en) * 1998-12-29 2000-11-2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an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capacitor
US6194299B1 (en) * 1999-06-03 2001-02-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low resistivity MOSFET gate with thick metal on polysilicon
JP4449076B2 (ja) * 2004-04-16 2010-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863A (en) * 1995-07-17 1997-04-29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processing method of forming complementary N-type doped and P-type doped active regions withi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5637525A (en) * 1995-10-20 1997-06-1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CMOS circuitry
JP2785772B2 (ja) * 1995-11-20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1857A1 (de) 1998-02-12
KR100271265B1 (ko) 2000-12-01
US5843834A (en) 1998-12-01
DE19731857C2 (de) 200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489B1 (ko) Soi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0260327B1 (ko) 게이트/소오스/드레인 영역을 도핑하기 위해 자기 정렬된옥시염화인을 사용하여 융기된 소오스/드레인 mosfet를 제조하는 방법
KR950014112B1 (ko) 고밀도 집적에 적합한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구조와 그의 제조방법
EP1253632A2 (en) Novel transistor with ultra shallow tip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20011133A (ko) 상감 세공 접촉 및 게이트 공정으로 제조된 자기-정렬소스 및 드레인 확장부
EP0369336A2 (en) Process for fabricating bipolar and CMOS transistors on a common substrate
US6674128B1 (en) Semiconductor-on-insulator device with thermoelectric cooler on surface
US5742088A (en) Process having high tolerance to buried contact mask misalignment by using a PSG spacer
KR100271265B1 (ko) 비정질화된폴리실리콘을사용하는서브미크론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응용을위한자기정렬poci₃제조방법
KR20010023944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455179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4016922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10074630A (ko) 샬로우 접합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9980081139A (ko) Cmos 회로장치의 형성방법
KR100273296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5824596A (en) POCl3 process flow for doping polysilicon without forming oxide pillars or gate oxide shorts
US6521517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gate electrode us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as a mask in the formation of an insulating layer by oxidation of a first conductive layer
KR100247811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H0529157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3938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59930B1 (ko) 부분적으로 셀프 얼라인 된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59112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410143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28274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618807B1 (ko) 셀프 얼라인 컨택이 가능한 이중 게이트 폴리 구조의반도체 소자 제조방법과 그 게이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