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15966A -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966A
KR19980015966A KR1019960035448A KR19960035448A KR19980015966A KR 19980015966 A KR19980015966 A KR 19980015966A KR 1019960035448 A KR1019960035448 A KR 1019960035448A KR 19960035448 A KR19960035448 A KR 19960035448A KR 19980015966 A KR19980015966 A KR 1998001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gital
group
exchange system
c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두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966A/ko
Publication of KR1998001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6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시스템의 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내선가입자들에게 구별되는 링이 서비스되도록 하여 업무효율의 저하 및 전화응대 서비스의 질이 저하됨을 방지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전화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내선가입자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링을 서비스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를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링코드를 할당하는 링코드 할당과정과, 소정 호가 착신될 시 해당하는 디지털전화기의 링코드를 발생하는 링코드 발생과정과, 상기 발생된 링코드에 대응하는 링을 발생하는 링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털전화기를 연결하는 교환시스템.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가입자들을 그룹별로 분류한 후 각 그룹에 해당하는 링을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통화스위칭을 제어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02)는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02)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으로 구성된다. 시계회로(104)는 시계칩IC로서 현재의 시간데이터를 발생하여 중앙처리장치(100)로 출력한다. 스위칭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터를 스위칭한다.
일반전화기 가입자회로(108)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A,B,C,D)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전화기(A,B,C,D)와 스위칭회로(106)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링발생기(110)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디지털전화기 가입자회로(112)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디지털전화기(키폰 또는 디지폰)(E,F,G,H)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통화전류를 공급하며, 디지털전화기(E,F,G,H)와 스위칭회로(106)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디지털전화기(E,F,G,H) 및 일반전화기(A,B,C,D)는 내선가입자가 된다. 그리고 일반전화기 가입자회로(108) 및 디지털전화기 가입자회로(112)와 상기 내선가입자를 연결하는 선로는 가입자선로가 된다.
톤발생기(114)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06)로 출력한다. 국선회로(116)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스위칭회로(106)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국선이라 함은 국선회로(116)와 국설교환기 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DTMF수신기(118)는 스위칭회로(106)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회로(106)로 DTMF수신기(118)에 수신되는 DTMF신호는 국선을 통한 외부가입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DTMF송신기(120)는 중앙처리장치(100)가 출력하는 디지탈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회로(106)로 출력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교환시스템은 호가 발생될 시 착신측 내선가입자에게 링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때 서비스되는 링은 내선가입자들의 소속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서비스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수의 내선가입자들이 밀집하여 생활하는 사무소와 같은 환경하에서 링이 발생될 시 착신전화기에 가까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전화기에 링이 울리는지를 구분하기는 결코 용이하지 않다. 즉 링소리만으로는 호출되는 가입자의 소속을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전화를 받을 사람이 있는 타부서의 전화를 받는 경우에는 업무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부서에 걸려온 전화를 미처 몰라 응대하지 못함에 따라 전화응대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들이 구분할 수 있는 링을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들이 타부서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음에 따라 저하되는 업무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들이 소속부서에 걸려오는 전화를 응대하지 못함에 따라 저하되는 전화응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전화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내선가입자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링을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서비스 방법은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를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링코드를 할당하는 링코드 할당과정과, 소정 호가 착신될 시 해당하는 디지털전화기의 링코드를 발생하는 링코드 발생과정과, 상기 발생된 링코드에 대응하는 링을 발생하는 링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코드 발생과정은, 호가 착신될 시 해당하는 디지털전화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그룹을 나타내는 링코드를 발생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3bs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해 구조되는 가입자테이블 및 링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라 가입자 그룹별로 링을 서비스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교환시스템의 디지털전화기 가입자회로(112)에 연결되는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들을 내선가입자로 연결하는 디지털 교환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임을 밝혀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이 가능한 것은 디지털전화기는 다양한 링음색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들에는 내선가입자들을 묶어주는 기능, 소위 Grouping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서비스의 동작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할 것이 요구된다. 도 2는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들이 그룹단위로 분류되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디지털전화기 A1,A2, ··· ,An은 A그룹을 형성하고, B1,B2, ··· ,Bn은 B그룹을 형성하고, C1,C2, ··· ,Cn은 C그룹으로 형성한다. 이때 분류의 기준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별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단위로 분류한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들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가입자테이블에는 가입자정보와, 가입자의 소속을 나타내는 그룹정보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코드들이 저장된다. 이때 코드들은 각 그룹에 대응하는 코드들이다. 도 3b는 디지털전화기가 발생할 수 있는 링소스들을 코드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는 링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코드A에는 A링이 대응되며, 코드B에는 B링이 대응되며, 코드C에는 C링이 대응된다.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입자테이블을 교환시스템에 구비시켜 놓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테이블을 디지털전화기에 구비시켜 놓으면 본 발명에 따른 링 서비스 동작이 수행된다.
도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라 가입자 그룹별로 링을 서비스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금, A그룹에 속하는 A1디지털전화기를 호출하기 위한 호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사설교환기는 S11단계에서 호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사설교환기는 S12단계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입자테이블을 검사하여 착신측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와, 착신그룹에 대응하는 코드가 어떠한 코드인지를 확인한다. 이 결과 착신그룹으로는 A그룹이 확인될 것이고, A코드가 확인될 것이다. 그 다음에 사설교환기는 상기 확인된 A코드를 S13단계에서 발생하여 A1디지털전화기측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A1디지털전화기는 S21단계에서 코드가 수신됨을 확인하게 된다. 코드가 확인되는 경우 A1디지털전화기는 S22단계에서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링이 어떤 링인지를 도 3b에 도시된 링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이때 확인되는 링은 A링이 확인될 것이다. 이렇게 링을 확인한 다음에는 S23단계에서 그 확인된 A링을 발생한다. 이에 따라 A1디지털전화기의 가입자는 다른 링들과 구별되는 A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전화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내선가입자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링을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들이 타부서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음에 따라 저하되는 업무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가입자들이 소속부서에 걸려오는 전화를 응대하지 못함에 따라 저하되는 전화응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다양한 링을 발생할 수 있는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들을 내선가입자로 연결하고 있는 교환시스템의 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선가입자들을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링을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서비스 방법.
  2.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를 연결하고 있는 교환시스템의 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지털전화기를 그룹단위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링코드를 할당하는 링코드 할당과정과,
    소정 호가 착신될 시 해당하는 디지털전화기의 링코드를 발생하는 링코드 발생과정과,
    상기 발생된 링코드에 대응하는 링을 발생하는 링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링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코드 발생과정은,
    상기 호가 착신될 시 해당하는 디지털전화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그룹을 나타내는 링코드를 발생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링 서비스 방법.
KR1019960035448A 1996-08-24 1996-08-24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Withdrawn KR19980015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48A KR19980015966A (ko) 1996-08-24 1996-08-24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48A KR19980015966A (ko) 1996-08-24 1996-08-24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66A true KR19980015966A (ko) 1998-05-25

Family

ID=6625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448A Withdrawn KR19980015966A (ko) 1996-08-24 1996-08-24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9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00A (ko) * 2000-03-08 2001-09-21 서평원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87186B1 (ko) * 1997-07-09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이교환시스템에서내선가입자별링서비스방법
KR100526495B1 (ko) * 1997-06-25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시스템에서 착신을 알리는 방법
KR100898243B1 (ko) * 2002-06-26 2009-05-18 주식회사 케이티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코드 할당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95B1 (ko) * 1997-06-25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시스템에서 착신을 알리는 방법
KR100487186B1 (ko) * 1997-07-09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이교환시스템에서내선가입자별링서비스방법
KR20010087700A (ko) * 2000-03-08 2001-09-21 서평원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98243B1 (ko) * 2002-06-26 2009-05-18 주식회사 케이티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코드 할당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2683B2 (en) Ad ringer
US8989365B2 (en) Call monitoring
CN1234938A (zh) 标识呼叫类型的方法和装置
PL174342B1 (pl) Sposób i stacja telefoniczna do identyfikacji końcowego numeru dyrektorskiego w siedzibie klienta
EP080991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US20020146111A1 (en) Method and telephone device for exchanging calls from plural areas with a single exchange
US68737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a message through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9980015966A (ko)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CN1133537A (zh) 无线电话系统中分别呼叫多个便携单元的方法
US5844968A (en) Interfacing between independent voice mail system and exchange
KR20010087700A (ko) 교환기에서 수신자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28300B1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940000952B1 (ko) 사설 자동 교환기에 있어서 자동 호 분배방법
JP3903404B2 (ja) 自動交換装置
KR0149585B1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자동 픽업 방법
KR20030082308A (ko) 사설교환기의 발신번호 선택적 전송 방법
JPH0685889A (ja) 発呼通知方式
KR100383574B1 (ko)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다이알 송출시의 노이즈 제거방법
KR19980034173A (ko) 키폰시스템에서 팩스 및 일반전화의 호 자동 분배 방법
KR20000044521A (ko) 전송 시스템에서 링신호 출력방법
JPS63234694A (ja) 着信時の相手識別方式
KR19980027085A (ko) 키폰시스템에서 강제 착신링 지정벙법
KR19980026628A (ko) 교환시스템의 호 서비스 방법
JPS6154740A (ja) デ−タ呼接続制御方式
KR19980066415A (ko) 교환시스템에서 음성메일 서비스시 링 송출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