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2678U - 톱커버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톱커버의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12678U KR19980012678U KR2019960026258U KR19960026258U KR19980012678U KR 19980012678 U KR19980012678 U KR 19980012678U KR 2019960026258 U KR2019960026258 U KR 2019960026258U KR 19960026258 U KR19960026258 U KR 19960026258U KR 19980012678 U KR19980012678 U KR 1998001267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cover
- main chassis
- assembly structure
- guid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향상된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 톱커버의 조립구조는 톱커버를 메인섀시에 조립함에 있어서, 메인섀시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홀을 갖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결합홀과 대응되는 톱커버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갖는 가이드턱이 형성되며, 톱커버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버링된 버링부를 갖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톱커버의 가이드돌기를 메인섀시의 가이드홈에 단순히 끼워서 톱커버를 메인섀시에 고정하므로 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톱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버링부에 의해 톱커버가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또한, 톱커버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금형비가 절감되어 생산원가가 낮아지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톱커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성이 향상됨은 물론 조립성이 손쉬운 톱커버의 조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측으로 톱커버(1)가 위치되고, 이 톱커버(1)의 하측에는 메인섀시(2)가 위치된다.
전술한 톱커버(1)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a)가 절곡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1a)와 인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홈(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가이드돌기(1a)와 가이드홈(1b)과 대응되는 메인섀시(2)의 양측에는 각각 걸림턱(2a)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턱(2a)에 가이드돌기(1a)를 걸림유지시키고, 이 걸림턱(2a)이 가이드홈(1b)에 끼워진 상태에서, 톱커버(1)의 양측면에 형성된 스크류홀(1c)을 통해 스크류(3) 체결시키므로써 톱커버(1)가 메인섀시(2)에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톱커버의 조립구조는, 톱커버(1)와 메인섀시(2)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1a,1b)과 걸림턱(2a)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금형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상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외력에 의해 톱커버(1)가 변형될 경우에 조립작업이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향상된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톱커버를 메인섀시에 조립함에 있어서, 전술한 메인섀시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홀을 갖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전술한 결합홀과 대응되는 톱커버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갖는 가이드턱를 형성하며, 전술한 톱커버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버링된 버링부를 갖는 스크류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톱커버11 : 가이드 턱
11a : 결합동기20 : 메인섀시
21 : 가이드 부21a : 결합 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톱커버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 톱커버의 조립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톱커버(10)가 위치하게 되고, 이 톱커버(10)의 하측에는 메인섀시(20)가 위치하게 된다. 메인섀시(20)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홀(21a)을 갖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된다. 전술한 메인섀시(20)의 결합홀(21a)과 대응되는 톱커버(10)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1a)를 갖는 가이드턱(11)이 절곡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커버(10)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버링된 버링부(13)를 갖는 스크류홀(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톱커버의 조립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섀시(20)의 가이드부(21)에 형성된 결합홀(21a)에 톱커버(10)의 결합돌기(11a)를 끼우게 된다.
그리고, 메인섀시(20)와 톱커버(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스크류홀(15)에 스크류(30)를 관통시켜 톱커버(10)를 메인섀시(20)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홀(15)에는 내측에는 버링된 버링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류(30) 체결시 스크류 체결력에 의해 버링부(13)가 메인섀시(20) 측면으로 소정의 힘으로 눌려지면서 메인섀시(20)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톱커버(10)가 메인섀시(2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정신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많은 변형례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주내에 들게 되는 변형례들을 모두 포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 의미일 뿐 제한적 의미를 갖지 않으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를 갖는 모든 변형예들 또한 본 고안의 범주내에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설명은 브이씨알로 한정하여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톱커버를 갖는 각종 전자제품에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톱커버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톱커버의 가이드돌기를 메인섀시의 가이드홈에 단순히 끼워서 톱커버를 메인섀시에 고정하므로, 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톱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버링부에 의해 톱커버가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또한, 톱커버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금형비가 절감되어 생산원가가 낮아지는 잇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를 채택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 톱커버를 메인섀시에 조립함에 있어서,상기 메인섀시(20)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홀(21a)을 갖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1a)과 대응되는 톱커버(10)의 양쪽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1a)를 갖는 가이드턱(11)이 형성되며, 상기 톱커버(10)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버링된 버링부(13)를 갖는 나사홀(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커버의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6258U KR19980012678U (ko) | 1996-08-28 | 1996-08-28 | 톱커버의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6258U KR19980012678U (ko) | 1996-08-28 | 1996-08-28 | 톱커버의 조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2678U true KR19980012678U (ko) | 1998-06-05 |
Family
ID=5397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6258U Withdrawn KR19980012678U (ko) | 1996-08-28 | 1996-08-28 | 톱커버의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12678U (ko) |
-
1996
- 1996-08-28 KR KR2019960026258U patent/KR19980012678U/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68703Y1 (ko) | Lcd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결착구조 | |
KR19980012678U (ko) | 톱커버의 조립구조 | |
JPH046233Y2 (ko) | ||
KR920003137Y1 (ko) | 케이스류의 상, 하부 커버 결합구조 | |
JPH062307Y2 (ja) | 2つの回路基板内蔵電気部品 | |
KR930006491Y1 (ko) | 캐비넷의 고정장치 | |
KR970003833Y1 (ko) |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 |
KR910003973Y1 (ko) | 튜너샤시와 pcb의 고정구조 | |
KR940003929Y1 (ko) | 인터폰 지지틀의 마감부재 | |
KR0128433Y1 (ko) |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전화기 케이스 결합구 구조 | |
KR0129078Y1 (ko) | 상관부재 결합용 클립 | |
JPH0988927A (ja) | 組付部品のロック構造 | |
KR890005040Y1 (ko) | 전자제품용 P. C. B 프레임(Frame) | |
KR19990013035U (ko) | 브이씨알의 데크 조립구조 | |
KR200162009Y1 (ko) | 원형전기터미널고정가능커넥터하우징 | |
KR890001082B1 (ko) | 전기배선기구 | |
KR200143357Y1 (ko) | 부채 | |
KR0126463Y1 (ko) | 전자제품의 레그 조립구조 | |
KR0118710Y1 (ko) | 홈 오토메이션의 버튼 고정 구조 | |
KR200154675Y1 (ko) | 암레스트 고정구조 | |
KR200141916Y1 (ko) | 전자 통신장비의 푸트 고정구조 | |
KR890001093Y1 (ko) | 텔레비젼 수상기용 안테나 단자판 | |
KR970004209Y1 (ko) | 스피커의 조립구조 | |
KR970005023Y1 (ko) | 디지탈 피아노의 상부 판넬 고정장치 | |
KR920003315Y1 (ko) | 스피커용 단자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8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