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86972B1 -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86972B1 KR102786972B1 KR1020230070735A KR20230070735A KR102786972B1 KR 102786972 B1 KR102786972 B1 KR 102786972B1 KR 1020230070735 A KR1020230070735 A KR 1020230070735A KR 20230070735 A KR20230070735 A KR 20230070735A KR 102786972 B1 KR102786972 B1 KR 102786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external
- lifting system
- concrete wall
- inter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형거푸집의 자주식 상승장치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대형거푸집의 자주식 상승장치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통상적인 사장교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이동식 거푸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이동식 거푸집의 인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인양시스템(ACS)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ACS 방식으로 시공된 사장교 주탑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6은 다양한 단면 형태의 사장교 주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외부 거푸집 및 내부 거푸집이 거푸집 세팅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외부 거푸집과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외부 거푸집과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의 상하간격 조절부재와 좌우간격 조절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거푸집 세팅 프레임의 유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외부 거푸집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에서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에 대응하여 외부 거푸집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110: 외측 자동인양시스템
111: 서스펜션 슈(Suspension Shoe)
112: 상승 프로파일(Climbing Profile)
113: 스핀들 스트럿(Spindle Strut) 114: 유압잭(유압실린더)
115: 리프팅 메커니즘(인양기구) 116: 상승 캐리지(Climbing Carriage)
117: 수직 띠장(Vertical Waling)
120: 내측 자동인양시스템 130: 외부 거푸집
140: 내부 거푸집 141: 거푸집 타이로드
150: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
160: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
161: 스트럿망 162: 강선망
163: 프레임 타이로드 164: 브레이스
165: 상하간격 조절부재 166: 좌우간격 조절부재
200: 콘크리트 구조물(사장교 주탑)
210: 기초블록 220: 콘크리트 벽체
Claims (10)
- 사장교 주탑을 포함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콘크리트 벽체(220) 시공시 거푸집을 자동인양하는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ACS)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자동인양시스템(110);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20);
상기 외측 자동인양시스템(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자동인양시스템(110)의 유압잭에 의해 자동인양되는 외부 거푸집(130);
상기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20)의 유압잭에 의해 자동인양되는 내부 거푸집(140);
스트럿망, 강선망 및 타이로드를 결합한 트러스 구조체로서, 상기 외부 거푸집(130)의 세팅을 위해 상기 외부 거푸집(130)의 거푸집 타이로드에 결합되는 외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및
스트럿망, 강선망 및 타이로드를 결합한 트러스 구조체로서, 상기 내부 거푸집(140)의 세팅을 위해 상기 내부 거푸집(140)의 거푸집 타이로드에 결합되는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60)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160) 각각은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의 거푸집 타이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의 상하간격과 좌우간격을 각각 조절하며, 상기 외측 및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10, 120)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단면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되며, 서스펜션 슈, 상승 프로파일, 스핀들 스트럿, 유압잭, 리프팅 메커니즘, 상승 캐리지 및 수직 띠장을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 각각은,
다수의 강재 스트럿으로 형성되어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형성하는 스트럿망;
다수의 강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망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보강하도록 상기 스트럿망에 체결되는 강선망;
상기 스트럿망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프레임 타이로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상하간격 조절부재; 및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좌우간격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 각각은,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와 상기 스트럿망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단면은 수직형 사각 단면, 경사형 사각 단면, 수직형 육각 단면 및 경사형 육각 단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 사장교 주탑을 포함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콘크리트 벽체(220) 시공시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벽체(220) 시공을 위해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100)의 외측 및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10, 120)을 각각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외측 자동인양시스템(110)에 형성된 외부 거푸집(130) 및 상기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20)에 형성된 내부 거푸집(140)에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에 각각 결합된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고정된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e)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에 결합된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을 콘크리트 벽체(220)로부터 탈형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측 및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10, 120)의 유압잭을 사용하여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을 각각 인양하면서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 각각은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130, 140) 각각이 인양된 후 상하간격 및 좌우간격을 각각 조절하며, 상기 a) 단계의 외측 및 내측 자동인양시스템(110, 120) 각각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단면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되며, 서스펜션 슈, 상승 프로파일, 스핀들 스트럿, 유압잭, 리프팅 메커니즘, 상승 캐리지 및 수직 띠장을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 각각은,
다수의 강재 스트럿으로 형성되어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형성하는 스트럿망;
다수의 강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망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보강하도록 상기 스트럿망에 체결되는 강선망;
상기 스트럿망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프레임 타이로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상하간격 조절부재; 및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 타이로드와 체결되는 좌우간격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거푸집 세팅 프레임(150, 160) 각각은, 상기 프레임 타이로드와 상기 스트럿망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220)의 단면은 수직형 사각 단면, 경사형 사각 단면, 수직형 육각 단면 및 경사형 육각 단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735A KR102786972B1 (ko) | 2023-06-01 | 2023-06-01 |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0735A KR102786972B1 (ko) | 2023-06-01 | 2023-06-01 |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2441A KR20240172441A (ko) | 2024-12-10 |
KR102786972B1 true KR102786972B1 (ko) | 2025-04-01 |
Family
ID=9384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0735A Active KR102786972B1 (ko) | 2023-06-01 | 2023-06-01 |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8697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683Y1 (ko) * | 2001-10-19 | 2002-01-12 | (주)청호종합기술단 | 옹벽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7695A (ja) * | 1994-03-14 | 1995-09-26 | Saga Kogyo Kk | 高構造物の施工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施工装置 |
KR100475544B1 (ko) | 2004-08-04 | 2005-03-14 | 주식회사 용주 |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
DE102005030336A1 (de) * | 2005-06-29 | 2007-01-04 | Peri Gmbh |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KR100799276B1 (ko) | 2006-03-16 | 2008-01-30 | 깨뱉시스템주식회사 | 대형거푸집의 자주식 상승장치의 설치구조 |
KR20080011750A (ko) * | 2006-07-31 | 2008-02-11 | 김호연 | 복합교각폼을 이용한 교각시공 장치 및 그 방법 |
US20110017287A1 (en) | 2008-03-25 | 2011-01-27 | Nicholas Francis Borrelli | Substrates for photovoltaics |
KR20110004543U (ko) * | 2009-10-30 | 2011-05-09 | 박한웅 | 거푸집 지지장치 |
KR102096548B1 (ko) | 2018-08-31 | 2020-04-02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
KR102219660B1 (ko) | 2020-08-24 | 2021-02-24 | 현대건설주식회사 |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
-
2023
- 2023-06-01 KR KR1020230070735A patent/KR1027869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683Y1 (ko) * | 2001-10-19 | 2002-01-12 | (주)청호종합기술단 | 옹벽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2441A (ko) | 2024-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8068B1 (ko) | 다중 수평구조부재 형성방법 | |
KR101744345B1 (ko) |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 |
WO2022252829A1 (zh) | 爬式脚手架及其爬升和安装方法、装配式建筑的施工方法 | |
JP2008274586A (ja) | 柱頭部の施工方法 | |
KR100731315B1 (ko) |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 |
US10829927B2 (en) |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 |
KR20070000811U (ko) | 갱폼 상승유도기 | |
CN116065500A (zh) | 斜拉桥塔梁同步体系及施工方法 | |
KR20190041189A (ko) |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 |
CN100365237C (zh) | 一种自升式可变形可拆卸整体提升钢平台系统及施工方法 | |
CN118208066B (zh) | 既有筒形结构内部增层改造的施工方法 | |
KR102786972B1 (ko) | 거푸집 세팅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
KR101140884B1 (ko) |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CN112267692A (zh) | 一种装配式建筑构件吊装综合装备及其施工方法 | |
CN116181041B (zh) |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 |
CN217439544U (zh) | 建筑顶部外立面悬挑结构模板支撑体系 | |
CN118128187A (zh) | 顶升式逆作施工方法 | |
CN107035037B (zh) | 塔楼顶层幕墙架及其安装方法 | |
CN113530243B (zh) | 高抗震性快装钢结构楼承板混凝土多层同步浇筑施工方法 | |
KR102786962B1 (ko) | 작업용 케이지가 구비된 거푸집 자동인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 |
JP5003253B2 (ja) | Rc大梁の施工方法 | |
CN111155715A (zh) | 立柱安装结构 | |
CN1352721A (zh) | 一种混凝土楼板的成形方法 | |
CN214996342U (zh) | 楼梯井一体化防护通道 | |
KR20250061106A (ko) | 엘리베이터 승강로 및 기계실 옥탑 골조공사 공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13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